맨위로가기

호크스베이 지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크스베이 지방은 뉴질랜드 노스섬 동해안에 위치한 지역으로, 쿡 선장이 명명한 호크 만에서 유래되었다. 마오리어로는 마우이의 낚싯바늘을 뜻하는 '테 마타우아마우이'로 불린다. 1858년 웰링턴 주에서 분리되어 주로 설립되었으며, 1931년 규모 7.8의 지진으로 네이피어와 헤이스팅스가 파괴되어 256명이 사망하는 피해를 입었다. 2023년에는 사이클론 가브리엘로 인해 광범위한 홍수 피해를 입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 특히 원예 산업이며, 주요 도시로는 네이피어, 헤이스팅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행정 구역 - 니우에
    니우에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자치 국가로, 1974년 뉴질랜드와의 자유 연합을 통해 자치권을 획득했으며, 20명의 의회와 총리를 중심으로 정부를 운영하고, 외교와 국방은 뉴질랜드가 담당하며, 농업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뉴질랜드의 행정 구역 - 크라이스트처치
    크라이스트처치는 뉴질랜드 남섬 동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1850년 영국 이민자들이 건설했으며, 2010년과 2011년 지진 피해를 겪고 캔터베리 지역의 경제, 문화,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호크스베이 지방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지역 이름호크스 베이
영어 이름Hawke's Bay Region
위치뉴질랜드 북섬
중심지네이피어
행정 구역지역 의회
지역 의회호크스 베이 지역 의회
의장히네와이 오름스비
부의장윌 폴리
면적14139.15 km²
최대 해발고도카웨카 J 1,724 m
ISO 코드NZ–HKB
네이피어와 만
네이피어
와이로아 올드 포틀랜드 등대
와이로아
오루아와로 홈스테드
와이푸쿠라우
밤의 헤이스팅스 중심 업무 지구
헤이스팅스
마히아 해변 아침
마히아
와이파와
와이파와
인구
총인구174,800 명 (2018년)
인구밀도자동 계산
경제
GDP 총액NZ$ 113억 8,500만 (2021년)
1인당 GDPNZ$ 61,977 (2021년)
기타
HDI (2021)0.913 (매우 높음)
공식 웹사이트호크스 베이 지역 의회 공식 웹사이트

2. 명칭

호크 만


호크스베이(Hawke's Bay)는 동쪽에 있는 호크 만(Hawke Bay)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만의 이름은 뉴질랜드 해안을 따라 항해하던 제임스 쿡 선장이 에드워드 호크 제1대 남작을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다.

호크 만의 마오리어 이름은 Te Matau-a-Māui|테 마타우아마우이mi이며, 문자 그대로 '마우이의 낚싯바늘'이라는 뜻이다. 이 이름은 마우이가 뉴질랜드 섬들을 물에서 낚아 올렸다는 전통적인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호크 만은 마우이가 사용한 낚싯바늘이며, 포틀랜드 섬(Portland Island)과 키드내퍼스곶이 각각 낚싯바늘의 북쪽과 남쪽 갈고리에 해당한다.[4]

호크스베이는 뉴질랜드에서 지명에 소유격 어포스트로피(')가 포함된 두 곳 중 하나이며, 다른 한 곳은 아서스 패스이다.[5] 쿡 선장은 처음에 만의 이름에 어포스트로피를 사용했지만, 일관성이 없어 하루 뒤에는 어포스트로피 없이 이름을 적기도 했다. 현재 많은 뉴질랜드 사람들은 어포스트로피 없이 'Hawkes Bay'로 표기하기도 한다.[6]

3. 역사

3. 1. 초기 역사

19세기 호크스베이 만 해안에는 고래잡이 기지가 운영되었다.[7]

호크스 만 주는 1858년 2월 네이피어에서 열린 회의 이후 웰링턴 주에서 분리되어 뉴질랜드의 주로 설립되었다. 이 주는 1876년 뉴질랜드의 다른 모든 주들과 함께 폐지되었고, 주 지방구로 대체되었다.

3. 2. 1931년 호크스베이 지진

1931년 2월 3일, 뉴질랜드 최악의 자연재해인 규모 7.9의 1931년 호크스베이 지진이 네이피어헤이스팅스를 파괴했으며, 256명이 사망했다. 네이피어는 재건되었고, 현재는 아르데코 건축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매년 2월에 [http://www.artdeconapier.com 아르데코 주말] 행사를 통해 그 유산을 기념하고 있다. MTG 호크스베이에는 지진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전시가 있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잠수함 U-862deu호는 네이피어 인근 해역에 탐지되지 않고 잠입하여 사운드 쉘(Sound Shell) 근처에서 수면 위로 부상했다. 잠수함은 네이피어 항구(Port of Napier)를 출항하는 증기선 푸케코호(Pukekoeng)를 향해 어뢰를 발사했지만, 근소한 차이로 명중하지 못했다.[8]

3. 4. 2023년 사이클론 가브리엘

2023년 2월 13일과 14일, 사이클론 가브리엘이 북섬을 통과하면서 호크스베이 지역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다. 투타에쿠리 강이 제방을 넘으면서 발생한 홍수로 주요 레드클리프 변전소가 피해를 입어, 1만 6천 가구 이상이 정전, 통신 두절, 인터넷 접속 불가 상태에 놓였다. 하류 지역에서는 투타에쿠리 강 주변 저지대에서 1,000명이 대피했으며 타라데일, 미이니, 아와토토의 상당 부분이 물에 잠겼다.

홍수로 인해 레드클리프 다리(Redcliffe Bridge)를 포함한 4개의 다리가 파괴되었는데, 이 다리는 타라데일 남쪽의 주요 교량이었다. SH2와 SH51 도로의 다리들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완전히 무너지지는 않았다. 투타에쿠리 강을 가로지르는 팔머스턴 노스-기즈번선 철도의 일부 구간도 붕괴되었다. 응가루로로 강 역시 제방을 넘어 오마후 마을을 침수시켰고, 20명이 헬리콥터를 이용해 대피해야 했다.

와이로아에서는 와이로아 강이 제방을 넘어 마을의 약 15%가 침수되었다. 남쪽의 SH2 모하카 강 다리(Mohaka River Bridge)가 심각하게 파손되고 북쪽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SH2 도로가 폐쇄되면서 와이로아로 가는 길이 막혔다. 중앙 호크스베이 지역의 상수도 공급이 중단되었고, 와이파라 강 수위가 기록적인 수준으로 상승하면서 동부 와이파와 지역에는 의무 대피령이 내려졌다. 현재까지 총 피해 규모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9][10]

4. 지리

이 지역은 뉴질랜드 노스섬의 동해안에 위치해 있다. 현재 호크 만이라고 불리는, 마히아 반도에서 케이프 키드내퍼스까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100km에 걸쳐 있는 큰 반원형 만의 옛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호크 만 지역은 만의 북쪽과 중앙 주변의 구릉성 해안 지대, 북쪽의 와이로아 강의 충적 평야, 남쪽의 헤스팅스 주변의 넓고 비옥한 헤레타웅가 평야, 그리고 카웨카와 루아히네 산맥으로 이어지는 구릉성 내륙 지역을 포함한다. 눈에 띄는 봉우리인 타라포누이는 내륙에 위치해 있다.

5개의 주요 강이 호크 만 해안으로 흘러든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와이로아 강, 모하카 강, 투타에쿠리 강, 응가루로로 강, 투키투키 강이 있다. 호크 만 북부, 해안에서 약 3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와이카레모아나 호는 호크 만에서 가장 큰 호수이며, 노스섬에서 네 번째로 크고 뉴질랜드에서 16번째로 큰 호수이다.

이 지역에는 뉴질랜드에서 가장 긴 지명을 가진 언덕이 있으며, 2009년 기네스 북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긴 지명을 가진 언덕이기도 하다. 타우마타와카탕이항아코아우아우오타마테아투리푸카카피키마웅아호로누쿠포카이웨누아키타나타후는 와이푸쿠라우에서 멀지 않은 호크 만 남부의 특별할 것 없는 언덕이다.[11]

5. 행정 구역

네이피어에 있는 호크스베이 지방 의회 건물


이 지역은 호크스베이 지방 의회(en)의 관할이며, 주 사무소와 의회 회의실은 네이피어(Napier)에 있다. 의회는 선출된 1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3년마다 선거를 실시한다. 2022년 10월 26일 기준 의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23]

의원선거구
히네와이 오름스비(en)(의장)아후리리/네이피어 일반
윌 폴리(en)(부의장)타마테아-센트럴 호크스 베이 일반
잔 하딩(en)헤레타웅가-헤이스팅스 일반
닐 커튼 (en)아후리리/네이피어 일반
찰스 램버트(en)마우이 키 테 라키 마오리
조크 맥킨토시(en)헤레타웅가-헤이스팅스 일반
디 로들리(en)와이로아 일반
소피 시어스(en)헤레타웅가-헤이스팅스 일반
호키앙가 톰슨(en)마우이 키 테 통가 마오리
제프 반 비크(en)응가루로로 일반
마틴 윌리엄스(en)아후리리/네이피어 일반



호크스베이 지방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 네이피어
  • 헤이스팅스 구 (en)
  • 와이로아 구 (en)
  • 센트럴 호크스 베이 구 (en)
  • 기타 지역 (타 구역에 속하지만 호크스베이 지방 경계 내)
  • 타우포 지구의 타하루아(en) 지역
  • 랑기티케이 지구의 응가마테아 (en) 지역


호크스 베이 지역 당국 지도


지방 의회 아래의 지역 당국으로는 헤이스팅스 구, 와이로아 구, 센트럴 호크스 베이 구, 그리고 네이피어 시가 있다. 타우포 지구의 타하루아 지역과 랑기티케이 지구의 응가마테아 지역 또한 호크스베이 지방의 경계 내에 포함된다. 타라루아 지구, 대니버크, 우드빌 또는 노스우드는 마나와투-왕가누이 지역 의회(호라이즌스 지역 의회) 관할이며, 이는 1989년 지방 정부 개혁 이후 유지되고 있다.[32][33]

각 구 및 시의 시장 (2023년 기준)
구/시시장선출 연도
센트럴 호크스 베이 구알렉스 워커 (en)2016
헤이스팅스 구산드라 헤즐허스트 (en)2017
네이피어 시키르스텐 와이즈 (en)2019
와이로아 구크레이그 리틀 (en)2013



=== 지방 정부 통합 논의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뉴질랜드 지방정부위원회(en)는 호크스베이 지역의 행정 구역 통합을 검토했다. 이는 호크스베이 지방 의회, 4개의 하위 지방자치단체(네이피어 시의회, 센트럴 호크스 베이 구의회, 헤이스팅스 구의회, 와이로아 구의회), 그리고 랑기티케이 구의회의 응가마항가(en) 농촌 지역과 타우포 구의회의 타하루아(en) 농촌 지역을 하나의 단일 지방자치단체로 통합하는 방안이었다. 이 제안은 "더 나은 호크스베이"(en)[24]라는 단체의 신청으로 시작되었으며, 2010년 정부 주도로 8개 지방자치단체를 오클랜드 의회로 통합한 오클랜드 거버넌스 왕립 위원회 사례와, 2012년 호크스베이 통합 시 연간 최대 2500만뉴질랜드 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는 "번영 연구"(en)[25] 결과에 영향을 받았다. 과거 네이피어와 헤이스팅스를 합병하려는 제안은 헤이스팅스 주민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1999년 주민투표에서 부결된 바 있다.[26]

지방정부위원회는 2013년 11월 초기 제안을 발표하고[27], 공개 의견 수렴 후 2015년 6월 최종 제안을 내놓았다. 최종 제안은 호크스베이 전체를 아우르는 단일 의회(시장 1명과 5개 선거구에서 선출된 의원 18명)를 설립하고, 그 아래에 5개의 지역위원회(각 6~9명의 선출된 위원)를 두어 하위 의사결정을 담당하도록 하는 내용이었다.[28]

지방정부법에 따라 주민들은 통합 여부에 대한 구속력 있는 주민투표를 요구할 권리가 있었다. 최종 제안 발표 이틀 후, 랑기티케이 지역에서 유효한 주민투표 요구가 접수되었다.[29] (해당 지역의 영향을 받는 유권자는 12명뿐이었기에, 투표 실시에 필요한 서명은 2명이었다.[26][30]) 우편으로 진행된 주민투표는 2015년 9월 15일에 마감되었으며, 유권자의 66%가 통합에 반대하여 제안은 최종 부결되었다.[31] 지역별로는 헤이스팅스 구 유권자만 통합에 찬성(52%)했고, 네이피어(84% 반대), 와이로아 구(88% 반대), 센트럴 호크스 베이 구(58% 반대)는 반대했다. 랑기티케이에서는 찬반 각 2표씩 나왔고, 타우포 구에서는 투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31]

2015년 호크스베이 통합 주민투표 결과
지역찬성반대무효기권총계투표율
헤이스팅스 구15,63951.54%14,61448.16%80.03%840.28%30,34556.71%
네이피어 시4,63215.83%24,55383.92%50.02%670.23%29,25767.29%
센트럴 호크스 베이 구2,62941.55%3,68458.23%20.03%120.19%6,32765.50%
와이로아 구45711.62%3,46588.12%00.00%100.25%3,93269.35%
랑기티케이 구250.00%250.00%00.00%00.00%433.33%
타우포 구00.00%00.00%00.00%00.00%00.00%
총계23,35933.43%46,31866.30%150.02%1730.25%69,86562.18%



=== 선거구 ===

호크스 베이 일반 선거구


호크스 베이는 일반 선거구 5곳으로 나뉜다: 네이피어, 투키투키, 와이라라파, 랑기티케이, 타우포.[34] 지역 대부분은 네이피어와 투키투키 선거구에 속한다. 네이피어 선거구는 지역 북부(네이피어, 와이로아 포함)를, 투키투키 선거구는 지역 중앙부와 헤이스팅스 주변(해블록 노스, 클라이브 포함)을 포함한다. 웰링턴 대도시권과 마나와투-왕가누이 일부에 걸쳐 있는 와이라라파 선거구는 센트럴 호크스 베이 구(와이푸쿠라우, 와이파와 포함) 대부분을 포함한다. 랑기티케이와 타우포 선거구는 호크스베이 지역 내 인구가 거의 없다.

네이피어와 투키투키는 종종 '벨웨더' 선거구로 불린다.[35][36] 뉴질랜드에 혼합 비례대표제가 도입된 이후, 두 선거구 모두 노동당국민당 소속 국회의원을 번갈아 배출하며 전국적인 정치 추세를 반영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호크스 베이는 또한 마오리 선거구 3곳으로 나뉜다: 이카로아-라위티, 와이아리키, 테 타이 하우아우루.[37] 지역 인구 대다수는 이카로아-라위티 선거구에 속한다.

이 지역 주요 선거구의 현재 국회의원 (2023년 총선 기준)
선거구주요 중심지국회의원정당초선
네이피어네이피어, 와이로아케이트 니몬 (en)뉴질랜드 국민당2023
투키투키헤이스팅스, 해블록 노스, 클라이브캐서린 웨드 (en)뉴질랜드 국민당2023
와이라라파와이푸쿠라우, 와이파와마이크 버터릭 (en)뉴질랜드 국민당2023
이카로아-라위티전체쿠시라 탕가에레-마누엘 (en)마오리당2023


6. 인구



2023년 뉴질랜드 인구 조사에 따르면 호크스베이 지역의 인구는 175,074명이다. 이는 2018년 인구 조사 이후 8,706명(5.2%), 2013년 인구 조사 이후 23,895명(15.8%) 증가한 수치이다. 남성은 85,497명, 여성은 89,055명, 기타 성별은 516명이며, 총 63,735가구에 거주하고 있다.[14] 인구의 2.3%는 LGBTIQ+로 확인되었다. 중간 연령은 40.4세로, 뉴질랜드 전국 평균 38.1세보다 높다. 연령대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16]

  • 15세 미만: 34,641명 (19.8%)
  • 15~29세: 30,249명 (17.3%)
  • 30~64세: 76,266명 (43.6%)
  • 65세 이상: 33,918명 (19.4%)


'''연도별 인구 변화'''[16][13]
연도인구
1991138,342
1996142,791
2001142,950
2006147,783
2013151,179
2018166,368
2023175,074



호크스베이 지역의 면적은 약 14139.05km2[12]이며, 2023년 기준 인구 밀도는 km²당 약 12명이다. 지역 인구의 상당수는 네이피어-헤이스팅스 연합 도시에 거주한다.

2023년 인구 조사에서는 복수 민족 응답이 가능했다.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6]


  • 유럽계(파케하): 73.3%
  • 마오리족: 28.6%
  • 파시피카: 6.2%
  • 아시아계: 6.5%
  • 중동,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계 뉴질랜드인(MELAA): 0.8%
  • 기타 (뉴질랜드인 포함): 2.4%


언어 사용 현황은 영어 사용자가 96.5%, 마오리어 사용자가 7.2%, 사모아어 사용자가 1.9%, 기타 언어 사용자가 8.2%이다. 1.9%는 언어를 사용할 수 없다고 응답했으며, 뉴질랜드 수화 사용자는 0.6%이다. 해외 출생자 비율은 17.5%로, 전국 평균 28.8%보다 낮다.[16]

'''해외 출생 주요 거주민 그룹 (2018)'''[15]
국적인구
잉글랜드6,840
오스트레일리아2,625
인도2,076
사모아1,665
남아프리카 공화국1,473
필리핀942
스코틀랜드876
중국765
네덜란드738
미국657



주요 지역 마오리족 부족은 응가티 카훙구누(Ngāti Kahungunu)이다.[16]

종교적 소속 분포는 기독교 33.6%, 힌두교 0.9%, 이슬람교 0.5%, 마오리 종교 3.3%, 불교 0.6%, 뉴에이지 0.5%, 유대교 0.1%, 기타 종교 1.7%이다. 무종교라고 답한 사람은 52.5%였고, 6.5%는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16]

15세 이상 인구 중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는 20,490명(14.6%),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자격증이나 디플로마 소지자는 77,136명(54.9%), 고등학교 졸업 자격만 있는 사람은 36,423명(25.9%)이다. 중간 소득은 39300NZD으로, 전국 평균 41500NZD보다 낮다. 10만뉴질랜드 달러 이상 소득자는 12,315명(8.8%)으로, 전국 평균 12.1%보다 낮다. 15세 이상 인구의 고용 상태는 정규직 69,846명(49.7%), 파트타임 18,585명(13.2%), 실업자 3,948명(2.8%)이다.[16]

다음은 인구 1,000명 이상의 도시 지역 목록 (2018년 기준)이다.

'''주요 도시 지역 인구 (2018년 기준)'''
도시 지역인구지역 내 비율
네이피어62,24137.4%
헤이스팅스49,00029.4%
헤이브록 노스13,9508.4%
와이로아4,0502.4%
와이푸쿠라우4,0082.4%
와이파와2,0071.2%
클라이브1,9651.2%


7. 경제

호크스베이 지방의 경제는 농업, 특히 원예 산업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2019년 3월까지의 지역 총생산(GDP)은 86.7억뉴질랜드 달러으로 추산되며, 이는 뉴질랜드 전체 GDP의 2.9%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1인당 GDP는 50251NZD로 추산되었다. 2018년 3월 기준 산업별 GDP 기여도는 1차 산업 11.4억뉴질랜드 달러(13.9%), 상품 생산 산업 18.4억뉴질랜드 달러(22.3%), 서비스 산업 45.6억뉴질랜드 달러(55.3%), 세금 및 관세 7.7억뉴질랜드 달러(8.6%) 순이었다.[17]

이 지역은 건조하고 온화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여름은 길고 겨울은 시원하여 농업에 유리하다. 특히 평야 지대에는 넓은 과수원과 포도원이 펼쳐져 있어 원예 산업이 발달했다. 호크스베이의 원예 면적은 총 17886ha로, 캔터베리말버러에 이어 뉴질랜드에서 세 번째로 넓다.[18] 주요 재배 작물은 다음과 같다.

작물재배 면적 (헥타르)
사과4750ha
포도3620ha
스쿼시3390ha
완두강낭콩1360ha



구릉지대에서는 주로 를 사육하며, 더 험준한 지역에는 삼림이 분포한다.

호크스베이는 포도 재배에 최적의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어 와인 산업 또한 발달했다. 19세기 중반 선교사들이 처음 포도나무를 심었으며, 현재는 특히 풀바디 레드 와인 생산지로 중요하다.[19] 이곳은 말버러 와인 지방 다음으로 뉴질랜드에서 두 번째로 큰 와인 산지로, 2018년 기준으로 포도밭 면적은 4681ha에 달하며 91개의 와이너리가 운영되고 있다.[20]

한편, 마히아 반도에는 뉴질랜드 최초의 궤도 발사 기지인 로켓랩 발사 단지 1호(Rocket Lab Launch Complex 1)가 위치해 있다. 인근 와이로아 지구 해안선은 우주 발사를 관측할 수 있어 '뉴질랜드 우주 해안(Space Coast New Zealand)'으로 불리기도 한다.[21] 로켓랩은 2018년 1월 첫 성공적인 발사 이후, 일렉트론(Electron) 로켓을 연간 여러 차례 발사하고 있다.

8. 문화 및 생활

노동절 전 금요일에 열리는 연례 기념일인 '''호크스베이 기념일'''(Hawke's Bay Anniversary Day)은 옛 호크스베이 주 경계 전역에서 기념된다.

호크스베이 와이너리 내부


호크스베이 와인 산지에서는 뉴질랜드 최고급 와인이 생산되며, 연 2회 개최되는 '''푸드 앤 와인 클래식'''(Food And Wine Classic) 축제에서 지역 요리와 함께 선보인다. 이 축제는 겨울에는 여러 주말에 걸쳐, 여름에는 10일 동안 개최되며 수천 명의 방문객, 특히 해외 방문객을 유치한다.[38]

네이피어에서는 1993년부터 매년 초 '''미션 콘서트'''(Mission Concert)가 열린다. 타라데일의 미션 에스테이트 와이너리(Mission Estate Winery)에서 열리는 이 행사에는 케니 로저스, 엘튼 존, 셜리 베이시, 로드 스튜어트, 비-52스, 벨린다 칼라일, 레이 찰스, 에릭 클랩튼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이 출연했다. 2009년 콘서트에는 라이오넬 리치가 출연할 예정이었으나 비 때문에 취소되었다.

콘월 공원의 히말라야 삼나무


케이프 키드내퍼스


스플래시 플래닛


호크스베이에는 수많은 공원, 숲, 해변 및 기타 다양한 자연 명소가 있다. 특히 네이피어와 헤이스팅스에는 많은 공원이 있는데, 주요 공원으로는 헤이스팅스의 콘월 공원(Cornwall Park), 프림리 공원(Frimley Park), 윈저 공원(Windsor Park)과 네이피어의 앤더슨 공원(Anderson Park), 공원 섬(Park Island), 타라데일 공원(Taradale Park) 및 식물원(Botanical Gardens)이 있다. 윈저 공원에는 여름에 개장하는 놀이시설 및 워터파크인 스플래시 플래닛(Splash Planet)이 있다. 호크스베이 남동쪽 끝에 있는 곶인 케이프 키드내퍼스(Cape Kidnappers)는 인기 있는 관광 명소로, 6,500쌍 이상의 오스트레일리아슴새 번식지이기 때문에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호크스베이 럭비 연맹의 대표팀인 '''매그파이스'''(Magpies)는 뉴질랜드의 연례 프로페셔널 국내 럭비 유니온 대회인 미터 10컵에 참가한다. 이 팀은 호크스베이 지역을 대표하며, 네이피어의 맥린 파크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 매그파이스 소속 선수들은 국제 슈퍼 럭비 대회 팀인 허리케인스에서도 뛸 자격이 있다. 호크스베이는 여러 명의 올 블랙스 선수를 배출했다.

호크스베이 호크스는 뉴질랜드 내셔널 농구 리그에서 활동한다.

이 지역은 라디오 카훈구누(Radio Kahungunu), 더 히츠 89.5(The Hits 89.5), 모어 FM(More FM), 액세스 방송국인 라디오 호크스베이(Radio Hawke's Bay)(구 라디오 키드내퍼스(Radio Kidnappers)), 지역 방송국인 베이 FM(Bay FM)을 포함한 다양한 라디오 방송국의 서비스를 받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국 상업 및 비상업 방송사들이 이 지역을 커버하는 송신기를 운영하고 있다.

영국 음악 아티스트 타이코 존스(Tycho Jones)는 호크스베이의 헤이스팅스에 머무르는 동안 조나단 쿼럼비가 제작한 'Don't Be Afraid'라는 곡을 쓰게 된 영감을 받았다.[39]

9. 교통

호크스베이 지방의 교통은 주로 도로와 항공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로 교통망의 중심에는 2번 국도와 5번 국도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남북과 북서 방향으로 지방을 관통하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2번 국도는 북쪽의 기즈번에서 시작하여 네이피어헤이스팅스를 거쳐 남쪽의 웰링턴 방면으로 이어지는 핵심 경로이다. 5번 국도는 북섬 중부의 타우포 지역과 호크스베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외에도 타이하페-내피어 도로는 내륙 지역과의 연결을, 50번 국도는 지방 내 여러 정착촌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항공 교통은 네이피어 인근에 위치한 호크스베이 공항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공항은 국내 주요 도시와의 항공편을 운항하며 지역의 주요 관문으로 기능한다. 또한 헤이스팅스 근처에는 소규모의 헤이스팅스 비행장이 있다.

9. 1. 도로

호크스베이 지방으로의 주요 지역 간 이동은 2번 국도와 5번 국도, 그리고 타이하페-내피어 도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38번 국도도 지역을 연결하지만, 일부 구간이 비포장도로여서 이용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2번 국도는 북쪽의 기즈번에서 남쪽으로 호크스베이 지방으로 진입하며, 이스트 케이프 지역과 호크스베이를 연결하는 주요 경로이다. 이 도로는 누하카와 와이로아를 거쳐 모하카 강을 모하카 고가교 근처에서 건넌다. 이후 호크스베이 북부의 구릉 지대를 지나 투티라 호를 통과하고, 해안가의 위리나키를 지나 5번 국도와 만난다. 베이 뷰와 호크스베이 공항을 지나 판도라 연못 옆 네이피어 시내로 진입한다. 네이피어를 통과하는 동안 50번 국도와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타라데일을 지난다. 다음 구간은 호크스 베이 고속도로로 이어지며, 투타에쿠리 강과 응가루로로 강을 건넌다. 그 후 헤이스팅스와 플렉스미어를 가로지른다. 도로는 헤레탕가 평원을 지나 중앙 호크스베이 지역으로 이어지며 오타네, 와이파와, 와이푸쿠라우 마을들을 연결한다. 이후 타카파우로 향하며 50번 국도의 다른 끝 지점과 만난다. 타카파우를 지나면 타라루아 지구로 들어가 노스우드와 다네비르크 마을을 통과한다. 2번 국도는 네이피어-헤이스팅스 지역에서 남쪽의 팔머스턴 노스와 웰링턴 같은 주요 도시로 향하는 핵심 노선이다.

5번 국도는 내피어-타우포 도로로도 불리며, 북서쪽에서 호크스베이 지방으로 들어온다. 이 도로는 호크스베이와 북섬의 주요 도시들(오클랜드, 해밀턴, 타우랑가, 로토루아, 타우포)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5번 국도는 지역의 구릉 지대 내부를 통과하며, 에스케일 근처에서 2번 국도와 합류한다.

타이하페-내피어 도로는 호크스베이와 내륙의 랑기티케이 지구, 루아페후 지구 사이를 잇는 경로로, 타이하페, 와이오루, 오하쿠네 등의 마을을 연결한다.

50번 국도는 네이피어의 아후리리 지역에서 시작하여 잠시 2번 국도와 경로를 공유한 후 갈라져 나온다. 이 도로는 퍼른힐, 마라에카카호, 티코키노, 옹가옹가, 애슐리 클린턴 정착촌 등 호크스베이 지방의 내륙 지역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50번 국도는 타카파우 근처에서 다시 2번 국도와 만나며 끝난다.

9. 2. 항공

호크스베이 지방의 주요 공항은 호크스베이 공항(네이피어 공항으로도 알려짐)이다. 2013년 6월까지 1년간 452,000명이 이 공항을 이용했으며, 2017년 6월까지 1년간 이용객 수는 652,426명으로 증가했다.[22]

헤이스팅스 인근 브리지 파에는 소규모 무관제 공항인 헤이스팅스 비행장이 있다.

10. 지진

호크스 베이(Hawke's Bay)는 뉴질랜드에서 지진 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크고 피해가 큰 지진이 자주 발생했다. 1800년대 이후 50건이 넘는 피해를 입힌 지진이 이 지역에서 기록되었다.

특히 1931년 2월 3일에 발생한 규모 7.8[46]의 1931년 호크스베이 지진은 네이피어헤이스팅스를 파괴하고 256명의 사망자를 낸 뉴질랜드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46] 이 지진으로 인해 네이피어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이후 재건 과정을 거쳐 현재는 아르데코 건축물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매년 2월에는 아르데코 주말 행사를 통해 그 유산을 기념하고 있다. MTG 호크스베이(이전 명칭: 호크스베이 박물관 및 미술관)에는 1931년 지진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전시가 마련되어 있다.

호크스베이 지방에서 발생한 주요 지진은 다음과 같다.

날짜위치규모 (ML)깊이 (km)사망자 수추가 정보
1843년 7월 8일티코키노(Tikokino) 서쪽 25km7.612km2[40]
1863년 2월 22일와이푸쿠라우7.525km1863년 호크스 베이 지진[41]
1875년 9월 14일마히아 반도5.825km[42]
1904년 8월 9일포랑가하우(Pōrangahau)7.016km[43]
1921년 6월 28일카웨카 숲 공원(Kaweka Forest Park)6.780km[44]
1930년 2월 12일포랑가하우(Pōrangahau)6.233km[45]
1931년 2월 3일네이피어 북쪽 20km7.820km2561931년 호크스베이 지진[46]
1931년 2월 3일네이피어 북동쪽 25km5.825km[47]
1931년 2월 8일와이로아6.460km[48]
1931년 2월 13일네이피어 동쪽 50km7.330km[49]
1932년 5월 5일네이피어 동쪽 50km5.912km[50]
1932년 9월 16일와이로아6.912km[51]
1934년 3월 5일퐁가로아(Pongaroa)7.212km[52]
1934년 3월 15일와이로아6.325km[53]
1940년 2월 26일헤이스팅스6.025km[54]
1950년 3월 1일와이카레모아나 호수5.860km[55]
1951년 2월 10일포랑가하우(Pōrangahau)6.233km[56]
1980년 10월 6일헤이스팅스5.730km[57]
1990년 2월 19일포랑가하우(Pōrangahau)6.234km[58]
1990년 5월 13일포랑가하우(Pōrangahau)6.430km[59]


참조

[1] 웹사이트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Year ended March 2022 https://www.stats.go[...] Statistics New Zealand 2023-04-04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23-02-18
[3] 웹사이트 Hawke’s Bay region – Overview http://www.TeAra.gov[...] 2017-11-09
[4] 웹사이트 Te Matau-a-Māui: The hook of Māui Hawke's Bay NZ https://www.hawkesba[...] 2023-10-30
[5] 웹사이트 Hawke's Bay named after Cook's boss https://www.nzherald[...] 2024-01-29
[6] 웹사이트 Hawke's Bay region https://teara.govt.n[...] 2024-01-29
[7] 서적 Sealers & whalers in New Zealand waters Reed Methuen 1986
[8] 웹사이트 Memorial unveiled to mark German submarine's Napier visit https://www.stuff.co[...] 2023-10-31
[9] 웹사이트 Cyclone Gabrielle: Town cut off as Wairoa River bursts its banks, flooding homes of about half its population https://www.stuff.co[...] 2023-02-14
[10] 웹사이트 Hawke's Bay RSE workers rescued after 10 hours trapped on roofs amid flood waters https://www.nzherald[...] 2024-01-04
[11] 웹사이트 Town with the longest name in New Zealand https://www.newzeala[...] 2023-11-27
[12] 웹사이트 ArcGIS Web Application https://statsnz.maps[...] 2024-10-07
[13] 웹사이트 2001 Census: Regional summary http://archive.stats[...] 2020-04-28
[14] 웹사이트 Totals by topic for dwellings, (RC, TALB, UR, SA3, SA2, Ward, Health), 2013, 2018, and 2023 Censuses https://explore.data[...] Stats NZ - Tatauranga Aotearoa - Aotearoa Data Explorer 2024-10-03
[15] 웹사이트 Birthplace (detailed), for the census usually resident population count, 2006, 2013, and 2018 Censuses (RC, TA, SA2, DHB) https://nzdotstat.st[...] Statistics New Zealand
[16] 웹사이트 Totals by topic for individuals, (RC, TALB, UR, SA3, SA2, Ward, Health), 2013, 2018, and 2023 Censuses https://explore.data[...] Stats NZ - Tatauranga Aotearoa - Aotearoa Data Explorer 2024-10-03
[17] 웹사이트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Year ended March 2019 Stats NZ https://www.stats.go[...] 2020-05-21
[18] 간행물 Fresh Facts: New Zealand Horticulture https://www.freshfac[...] 2018
[19] 웹사이트 The-Wine-Library http://www.the-wine-[...]
[20] 웹사이트 New Zealand Winegrowers Annual Report 2018 https://www.nzwine.c[...] New Zealand Winegrowers 2019-08-05
[21] 웹사이트 Space Coast New Zealand https://www.visitwai[...] Wairoa District Council 2019-08-08
[22] 웹사이트 Record Number of Passengers through Hawke's Bay Airport Hawke's Bay Airport https://www.hawkesba[...] 2023-10-31
[23] 웹사이트 Hawke's Bay council elects youngest and first wahine chair https://insidegovern[...] JSL Media 2022-10-26
[24] 웹사이트 Decisions and Determinations Local Government Commission http://www.lgc.govt.[...] 2021-04-27
[25] 웹사이트 Hawke's Bay amalgamation could save $25m https://www.stuff.co[...] 2021-04-27
[26] 웹사이트 Close to quarter on roll cast votes https://www.nzherald[...] 2021-04-27
[27] 웹사이트 Amalgamation plan revealed https://www.nzherald[...] 2021-04-27
[28] 웹사이트 Hawke's Bay Local Government Reorganisation: Final Proposal http://www.lgc.govt.[...] Local Government Commission 2021-04-27
[29] 웹사이트 Poll process update for Hawke's Bay reorganisation proposal Local Government Commission http://www.lgc.govt.[...] 2021-04-27
[30] 웹사이트 Two people could force council amalgamation poll https://www.stuff.co[...] 2021-04-27
[31] 웹사이트 Hawke's Bay Reorganisation Poll https://www.scoop.co[...] electionz.com 2021-04-27
[32] 백과사전 Hawke's Bay region – Local government boundary changes http://www.teara.gov[...] 2012-11-15
[33] 백과사전 Hawke's Bay region – Government, education and health http://www.teara.gov[...] 2012-11-15
[34] 웹사이트 Stats NZ Geographic Data Service https://datafinder.s[...] 2023-10-28
[35] 웹사이트 Hawke's Bay Today to host three election candidate evenings as campaign heats up https://www.nzherald[...] 2023-10-28
[36] 웹사이트 National leads polling in bellwether Napier, but 23 per cent of voters undecided https://www.stuff.co[...] 2023-08-22
[37] 웹사이트 Stats NZ Geographic Data Service https://datafinder.s[...]
[38] 뉴스 Newcomers flock to 10-day Hawke's Bay Food and Wine Classic F.A.W.C! https://www.nzherald[...] 2017-11-13
[39] 웹사이트 Tycho Jones delivers on single-run finale with 'Don't Be Afraid' & Tychonaut EP https://www.melodicm[...] 2020-05-09
[40] 웹사이트 A magnitude 7.6 earthquake occurred 35 km east of Taihape, New Zealand on Sat Jul 8 1843 5:09 PM. The quake was 12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1] 웹사이트 A magnitude 7.5 earthquake occurred Within 5 km of Waipukurau, New Zealand on Mon Feb 23 1863 12:39 AM. The quake was 25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2] 웹사이트 A magnitude 5.8 earthquake occurred 35 km south of Gisborne, New Zealand on Tue Sep 14 1875 11:39 PM. The quake was 25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trong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3] 웹사이트 A magnitude 7.0 earthquake occurred 20 km south-west of Porangahau, New Zealand on Tue Aug 9 1904 10:20 AM. The quake was 16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4] 웹사이트 A magnitude 6.7 earthquake occurred 45 km north-west of Napier, New Zealand on Wed Jun 29 1921 1:28 AM. The quake was 80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5] 웹사이트 A magnitude 6.2 earthquake occurred 10 km south-west of Porangahau, New Zealand on Wed Feb 12 1930 6:22 PM. The quake was 33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6] 웹사이트 GeoNet News http://info.geonet.o[...]
[47] 웹사이트 A magnitude 5.8 earthquake occurred 20 km north of Napier, New Zealand on Tue Feb 3 1931 8:41 PM. The quake was 25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trong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8] 웹사이트 A magnitude 6.4 earthquake occurred 15 km south-east of Wairoa, New Zealand on Sun Feb 8 1931 1:44 PM. The quake was 60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49] 웹사이트 A magnitude 7.3 earthquake occurred 50 km south of Wairoa, New Zealand on Fri Feb 13 1931 1:27 PM. The quake was 30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0] 웹사이트 A magnitude 5.9 earthquake occurred 45 km east of Napier, New Zealand on Thu May 5 1932 7:54 PM. The quake was 12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trong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1] 웹사이트 A magnitude 6.9 earthquake occurred 15 km north-east of Wairoa, New Zealand on Fri Sep 16 1932 1:25 AM. The quake was 12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2] 웹사이트 A magnitude 7.2 earthquake occurred 5 km east of Pongaroa, New Zealand on Mon Mar 5 1934 11:46 PM. The quake was 12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3] 웹사이트 A magnitude 6.3 earthquake occurred 30 km south-west of Wairoa, New Zealand on Thu Mar 15 1934 10:46 PM. The quake was 25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4] 웹사이트 A magnitude 6.0 earthquake occurred 30 km north-west of Hastings, New Zealand on Mon Feb 26 1940 6:16 PM. The quake was 25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trong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5] 웹사이트 A magnitude 5.8 earthquake occurred 45 km north-west of Wairoa, New Zealand on Wed Mar 1 1950 6:58 AM. The quake was 60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moderat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6] 웹사이트 A magnitude 6.2 earthquake occurred 35 km east of Porangahau, New Zealand on Sat Feb 10 1951 3:27 PM. The quake was 33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trong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7] 웹사이트 A magnitude 5.7 earthquake occurred 5 km south of Hastings, New Zealand on Mon Oct 6 1980 3:32 AM. The quake was 30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trong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8] 웹사이트 A magnitude 6.2 earthquake occurred 20 km north-east of Pongaroa, New Zealand on Mon Feb 19 1990 6:34 PM The quake was 34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59] 웹사이트 A magnitude 6.4 earthquake occurred 15 km south-west of Porangahau, New Zealand on Sun May 13 1990 4:23 PM. The quake was 30 kilometres deep and the shaking was severe close to the quake. http://www.geonet.or[...]
[60] 통계자료 Hawke's Bay Region
[61] 웹사이트 2001 Census: Regional summary http://archive.sta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