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홋카이도 제11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홋카이도 제11구는 오비히로시도카치 종합진흥국 관할 구역을 포함하는 일본 중의원 선거구이다. 과거 '나카가와 왕국'으로 불리며 나카가와 가문의 강력한 지역 기반을 바탕으로 했으나, 민주당 후보에게 패배하며 붕괴되었다. 이후 이시카와 도모히로, 나카가와 이쿠코, 이시카와 가오리 등이 번갈아 당선되었으며, 2021년 선거에서는 이시카와 가오리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의 선거구 - 홋카이도 제9구
    홋카이도 제9구는 홋카이도에 위치한 일본 중의원 소선거구로, 무로란시, 도마코마이시, 노보리베쓰시 등을 포함하며 히로시마현과 비슷한 면적을 가지고 있고, 하토야마 유키오, 호리이 마나부를 거쳐 현재는 야마오카 타츠마루가 의원을 맡고 있다.
  • 홋카이도의 선거구 - 홋카이도 선거구
    홋카이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에 사용되는 선거구로 홋카이도 전 지역을 관할하며, 초기 정수 8명에서 2016년 이후 정수 6명으로 변경되었고, 과거 사회당 강세에서 민주당, 자민당 양분, 최근 자민당 의석 확대 추세를 보인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2구
    에히메현 제2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마쓰야마시 일부, 이마바리시, 도온시, 오치군, 이요군을 포함하며 과거 자유민주당 텃밭이었으나 2024년 총선에서 입헌민주당이 승리하며 변화를 겪었고,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의원이 장기간 당선되었던 지역이다.
  • 일본 중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제3구
    에히메현 제3구는 일본 에히메현의 중의원 선거구로, 과거에는 에히메현 동부 지역을 관할했으나 선거구 개정 이후 관할 지역이 크게 변경되었고, 정당 간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홋카이도 제11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선거구 명칭홋카이도 제11구
관할 구역오비히로시도카치 지청
이전 선거구홋카이도 5구 (1947-1993)
유권자 수 (2021년)283,874명
선출 의원1명
현직 의원이시카와 가오리
소속 정당입헌민주당
비례 블록홋카이도 비례대표 블록
선거 결과
2021년 제49회 총선당선: 이시카와 가오리 (입헌민주당)
득표수: 99,899표
2017년 제48회 총선당선: 나카가와 이쿠코 (입헌민주당)
득표수: 83,740표
2014년 제47회 총선당선: 나카가와 이쿠코 (생활당)
득표수: 80,293표
2012년 제46회 총선당선: 다카하시 하루미 (자유민주당)
득표수: 95,599표
2009년 제45회 총선당선: 아사노 다카히로 (민주당)
득표수: 122,598표
2005년 제44회 총선당선: 나카가와 쇼이치 (자유민주당)
득표수: 132,219표
2003년 제43회 총선당선: 나카가와 쇼이치 (자유민주당)
득표수: 119,283표
2000년 제42회 총선당선: 나카가와 쇼이치 (자유민주당)
득표수: 122,617표
1996년 제41회 총선당선: 나카가와 쇼이치 (자유민주당)
득표수: 106,878표
지도
홋카이도 현의 단일 의석 지구 번호 지도
홋카이도 현의 단일 의석 지구 번호 지도
단일 좌석 지구 목록 범례
단일 좌석 지구 목록 범례

2. 지역

오비히로시도카치 종합진흥국 관할 구역이다.[12][13] 일본 전국에서 홋카이도 제12구 다음으로 면적이 가장 넓은 선거구이다.

관할 구역 변천사


3. 역사

나카가와 이치로 시대부터 이어진 나카가와 가문의 지반은 '''"나카가와 왕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나카가와 쇼이치중선거구제 시절을 포함해 8번 연속 당선되었다.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에도 30만 명 정도의 유권자를 가진 선거구에서 많을 때는 차점자와 6만 표 차이를 보일 정도로 강세를 자랑했다.

그러나 아소 내각의 재무대신이었던 나카가와 쇼이치는 로마에서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한 후 가진 기자 회견에서 발음이 어눌해지고 몽롱한 상태를 보여 언론과 당 안팎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이전부터 술버릇이 나쁜 점이 지적되어 여러 차례 문제를 일으켰지만,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와 더불어 자민당 전체에 역풍이 불면서 민주당의 이시카와 도모히로에게 3만 표 가까운 차이로 패배, 46년간 이어온 나카가와 왕국은 붕괴되었다. 나카가와 쇼이치는 비례홋카이도 블록 자민당 3위였지만, 자민당이 참패하여 비례홋카이도 블록에서도 2석 획득에 그쳐 비례 부활도 하지 못했다. 선거 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던 나카가와 쇼이치는 10월 3일에 56세로 급서[15]하여 한동안 11구의 자민당 후보는 공석이 되었다. 한편 이시카와 도모히로도 리쿠잔회 사건에 연루된 정치 자금 규정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2010년2월기소된 것을 받아 민주당을 탈당했다. 의원직은 사직하지 않았지만, 한때 국정의 양당제에서 11구를 지반으로 하는 의원이 부재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사망한 나카가와 쇼이치를 대신하여 지반을 물려받은 부인 나카가와 이쿠코가 출마했고, 이시카와 도모히로는 무소속을 거쳐 입당했던 신당 대지에서 출마했다. 민주당은 해당 구에 후보를 내지 않고 자율 투표로 했다. 선거 결과, 나카가와 이쿠코가 이시카와 도모히로를 꺾고 첫 당선되어 설욕을 했다[16].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이시카와 도모히로가 공민권 정지 기간 중이라 출마할 수 없었고, 민주당은 신인을 옹립했지만, 지난번보다 큰 차이로 나카가와 이쿠코가 다시 당선되었다.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당초 이시카와 도모히로가 출마 예정이었지만, 2017년9월 28일에 중의원이 해산하고 10월 10일에 공시되었기 때문에 10월 24일에 공민권이 회복되는 이시카와 도모히로는 출마가 불가능해졌고, 민진당은 부인 이시카와 가오리를 옹립하게 되었다. 그 후 민진당의 분열로 인해 입헌민주당에서 출마한 이시카와 가오리가 당선되었고, 나카가와 이쿠코는 비례 부활도 하지 못했다. 한편 이시카와 도모히로는 공민권 회복 후 2019년 홋카이도 지사 선거에 출마했지만, 큰 차이로 낙선했다.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도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이시카와 가오리와 나카가와 이쿠코의 일대일 대결이 되어 이시카와 가오리가 재선되었지만, 지난번보다 표 차이가 좁혀져 나카가와 이쿠코의 비례 부활을 허용하는 결과가 되었다.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이시카와 가오리와 나카가와 이쿠코에 더해 일본 공산당이 전 나카사츠나이 촌 의원을 옹립하면서 3파전이 되었지만, 이시카와 가오리가 자민당의 뒷돈 문제의 영향도 있어 나카가와 이쿠코의 비례 부활을 허용하지 않고 3선이 되었다.

선거명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996년나카가와 쇼이치자유민주당97,42853.5당선
이케모토 류지민주당67,25037.0
사토 이토에일본 공산당17,3199.5
2000년나카가와 쇼이치자유민주당112,29757.7당선
이데타 모토코민주당57,48629.6
아사누마 소지일본 공산당24,71712.7
2003년나카가와 쇼이치자유민주당112,21062.0당선
야마우치 케이코일본 사회민주당52,39529.0
하세베 아키오일본 공산당16,2359.0
2005년나카가와 쇼이치자유민주당107,50651.51당선
이시카와 도모히로민주당84,62640.72
하세베 아키오일본 공산당16,1457.77
2009년이시카와 도모히로민주당118,65554.03당선
나카가와 쇼이치자유민주당89,81840.90
와타나베 유카리일본 공산당11,1405.07
2012년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6,71950.99당선[17]
이시카와 도모히로신당 대지70,11241.23비례대표로 당선
와타나베 유카리일본 공산당13,2357.78
2014년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7,11852.22당선[7]
미츠 타케오민주당61,40536.81
하타나카 요스케일본 공산당18,30310.97
2017년이시카와 가오리일본 입헌민주당98,21454.47당선[5][6]
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2,09645.53
2021년이시카와 가오리일본 입헌민주당91,53851.75당선[4]
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5,33648.25비례대표로 당선
2024년이시카와 가오리일본 입헌민주당
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
사토 고헤이일본 공산당


3. 1. 나카가와 왕국 (1963년 ~ 2009년)

나카가와 이치로 의원 재직 시절부터 이어지는 나카가와 가문의 지역기반은 그 위세가 대단해 '나카가와 왕국' (中川王国)이라 불렸다. 그 지반을 물려받은 나카가와 쇼이치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치러진 총선에서 8회 연속 당선되었다. 소선거구제하에서도 30만 명에 달하는 인구의 선거구에서 많게는 6만 표 차에 달하는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다.[3]

하지만,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의 이시카와 도모히로 후보가 3만 표 가까운 표 차로 나카가와 쇼이치를 꺾고 당선되면서, 46년간 계속됐던 나카가와 왕국은 붕괴되었다. 나카가와 쇼이치는 홋카이도 블록에서 자민당 3위 비례대표로 나섰지만, 해당 총선에서 자민당이 참패하여 홋카이도 블록 내에서도 2석에 그쳤으며, 비례 부활도 하지 못하고 낙선했다. 그해 10월 나카가와 쇼이치는 급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제11구의 자민당 후보는 한동안 후계자가 없는 상황이었다.[15]

리쿠잔 사건에 연루된 이시카와 도모히로 의원 역시 정치자금규정법 위반으로 체포, 2010년 2월 기소되면서 민주당을 탈당하였다. 의원직을 사퇴하지는 않았지만, 한때 국회 여당과 제1야당의 양대 정당에서 모두 11구의 지역기반을 지니는 국회의원이 부재하게 되었다.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사망한 나카가와 쇼이치를 대신하여 지역기반을 이어받은 아내 나카가와 이쿠코가 출마하고, 이시카와 도모히로는 무소속에서 신당대지에 입당해 출마하였다. 민주당은 후보자를 내지 않고 자율 투표를 결정했다. 선거 결과 나카가와 이쿠코가 이시카와 도모히로를 꺾고 초선 의원으로 당선되어 설욕에 성공하였다.[16][17]

3. 2. 이시카와 도모히로의 당선과 리쿠잔회 사건 (2009년 ~ 2012년)

나카가와 이치로 의원 시절부터 이어져 온 나카가와 가문의 지역 기반은 '나카가와 왕국'이라 불릴 정도로 굳건했다. 나카가와 쇼이치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8회 연속 당선되며 이 지역구를 지켰다.

그러나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민주당의 이시카와 도모히로 후보가 나카가와 쇼이치를 3만 표 가까운 차이로 꺾고 당선되면서, 46년간 이어진 '나카가와 왕국'은 막을 내렸다. 나카가와 쇼이치는 비례 홋카이도 블록에서 자민당 3위로 출마했지만, 자민당의 참패로 비례대표 부활에 실패하고 낙선했다. 같은 해 10월, 나카가와 쇼이치는 급작스럽게 사망했다.[15]

한편, 이시카와 도모히로 역시 리쿠잔회 사건에 연루되어 정치자금규정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고, 2010년 2월 기소되면서 민주당을 탈당했다. 의원직은 유지했지만, 한동안 홋카이도 제11구는 여당과 제1야당 모두 지역 기반을 둔 국회의원이 없는 상황이 되었다.

3. 3. 나카가와 유코와 이시카와 가오리의 경쟁 (2012년 ~ 현재)

나카가와 이치로 시대부터 이어져 온 나카가와 가문의 굳건한 지역 기반은 "나카가와 왕국"이라 불릴 정도로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나카가와 쇼이치는 이러한 지반을 물려받아 중선거구제 시절을 포함, 총 8번의 선거에서 연속 당선되었다.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에도 30만 명의 유권자를 가진 선거구에서 최대 6만 표 차이로 압승하는 저력을 과시했다.

그러나 아소 내각의 재무대신이었던 나카가와 쇼이치는 로마에서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한 후 가진 기자 회견에서 술에 취한 듯 몽롱한 상태로 발언하여 국내외적으로 큰 비판을 받았다.[3] 평소에도 술버릇 문제로 여러 차례 문제를 일으켰던 그는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 문제와 더불어 자민당에 대한 역풍까지 겹치면서 민주당의 이시카와 도모히로에게 3만 표 가까운 큰 차이로 패배, 46년간 지속된 "나카가와 왕국"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비례 홋카이도 블록 자민당 3위였던 나카가와 쇼이치는 당의 참패로 인해 비례 부활에도 실패했다. 건강 문제로 시달리던 그는 선거 직후인 10월 3일 56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고,[15] 한동안 제11구의 자민당 후보는 공석 상태가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이시카와 도모히로 역시 리쿠잔회 사건에 연루되어 정치 자금 규정법 위반 혐의로 체포, 2010년 2월 기소되면서 민주당을 탈당했다. 의원직을 사퇴하지는 않았지만, 양대 정당 모두 제11구에 지역 기반을 둔 국회의원이 없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사망한 남편 나카가와 쇼이치의 지역 기반을 이어받은 부인 나카가와 이쿠코가 자민당 후보로 출마했고, 이시카와 도모히로는 무소속을 거쳐 신당 대지 소속으로 출마했다. 민주당은 후보를 내지 않고 자율 투표를 결정했다. 선거 결과 나카가와 이쿠코가 이시카와 도모히로를 꺾고 당선되어 남편의 복수에 성공했다.[17]

제4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이시카와 도모히로가 공민권 정지 상태로 출마하지 못했고, 민주당은 신인 후보를 내세웠으나 나카가와 이쿠코가 더 큰 표 차이로 재선에 성공했다.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당초 이시카와 도모히로가 출마할 예정이었으나, 2017년 9월 28일 중의원 해산 및 10월 10일 선거 공시로 인해 10월 24일 공민권이 회복되는 그의 출마가 불가능해졌다. 이에 민진당은 그의 부인 이시카와 가오리를 대신 출마시켰다. 이후 민진당 분열 과정에서 입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한 이시카와 가오리가 당선되었고, 나카가와 이쿠코는 비례 부활에도 실패했다. 한편, 이시카와 도모히로는 공민권 회복 후 2019년 홋카이도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큰 표 차이로 낙선했다.

제4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이시카와 가오리와 나카가와 이쿠코가 맞붙었고, 이시카와 가오리가 재선에 성공했지만 표 차이가 좁혀지면서 나카가와 이쿠코는 비례 부활로 당선되었다.

제5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이시카와 가오리, 나카가와 이쿠코 외에 일본 공산당이 전 나카사츠나이 촌 의원을 후보로 내세워 3파전이 벌어졌다. 이시카와 가오리는 자민당의 뒷돈 문제의 영향 등에 힘입어 나카가와 이쿠코의 비례 부활을 허용하지 않고 3선에 성공했다.

선거명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제46회 총선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6,71950.99당선[17]
이시카와 도모히로신당 대지70,11241.23비례대표로 당선
와타나베 유카리일본 공산당13,2357.78
제47회 총선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7,11852.22당선[7]
미츠 타케오민주당61,40536.81
하타나카 요스케일본 공산당18,30310.97
제48회 총선이시카와 가오리일본 입헌민주당98,21454.47당선[5][6]
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2,09645.53
제49회 총선이시카와 가오리일본 입헌민주당91,53851.75당선[4]
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85,33648.25비례대표로 당선
제50회 총선이시카와 가오리일본 입헌민주당
나카가와 이쿠코자유민주당
사토 고헤이일본 공산당


4. 역대 국회의원


참조

[1] 웹사이트 北海道11区 https://go2senkyo.co[...] initial.inc 2021-11-18
[2] 간행물 http://www.soumu.go.[...]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3] 뉴스 Booze, prostitutes, gangsters and gaffes: why Japan's politicians have had to fall on their sword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11-30
[4] 웹사이트 開票速報 小選挙区:北海道 - 2021衆議 https://www.nhk.or.j[...] NHK 2021-11-18
[5] 웹사이트 小選挙区開票速報:北海道(定数12)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7-11-30
[6] 문서 The CDP is the successor party of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DPJ]] in this district, therefore the voting figures of the DPJ candidate in the previous election are used as a reference.
[7] 웹사이트 小選挙区:北海道 - 開票速報 - 2014総選挙: 朝日新聞デジタル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7-11-30
[8] 문서 The DPJ is the successor party of the [[New Party Daichi|NPD]] in this district, therefore the voting figures of the NPD candidate in the previous election are used as a reference.
[9] 웹사이트 第46回総選挙>小選挙区開票速報:北海道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7-11-30
[10] 웹사이트 小選挙区開票結果ー北海道11区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7-11-30
[11] 웹사이트 2005総選挙>小選挙区開票結果ー北海道11区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7-11-30
[12] 웹사이트 衆議院トップページ >立法情報 >制定法律情報 >第183回国会 制定法律の一覧 >衆議院小選挙区選出議員の選挙区間における人口較差を緊急に是正するための公職選挙法及び衆議院議員選挙区画定審議会設置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法律第六十八号(平二五・六・二八)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1-09-30
[13] 웹사이트 北海道 https://www.soumu.go[...] 総務省 2023-01-08
[14] 웹사이트 衆議院トップページ >立法情報 >制定法律情報 >第131回国会 制定法律の一覧 >法律第百四号(平六・一一・二五)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1-09-30
[15] 문서 1年後に[[北海道第5区]]選出の[[小林千代美]](民主党選出)が陣営内の[[公職選挙法]]違反に伴い議員辞職し、小林と議席を争った自民党北海道ブロック2位(比例復活)の[[町村信孝]]が補選に出馬した。存命であれば中川昭一は[[繰り上げ当選]]の対象となったが、既に没していたためブロック4位の[[今津寛]]が繰り上げ対象となっている。
[16] 문서 石川は[[新党大地 (2012-)|新党大地]]唯一の当選者として比例復活したが、その後議員辞職。2014年に有罪[[判決 (日本法)|判決]]が確定し、[[公民権]]停止となった。
[17] 문서 이시카와는 [[신당대지]] 후보로 비례부활을 통해 당선되었지만 의원직에서 물러났으며, 2014년 유죄 판결을 받고 공민권도 정지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