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일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일동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12년 경기도 적성에서 태어나 1464년 사망했다.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했으며,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함길도선위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술을 즐겨 마시고 대식가로 알려졌으며, 저서로 《마천집》이 있다. 그의 이복 동생인 홍길동은 《홍길동전》의 주인공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길동 - 홍길동전
《홍길동전》은 조선 시대 사회 문제 속에서 서얼 출신 홍길동이 활빈당을 이끌고 의적 활동을 펼치다 율도국을 건설하는 이야기를 그린 한글 소설로, 사회 비판과 민중 영웅 제시를 통해 문학적,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한국 문화의 주요 상징이 되었다. - 홍길동 - 이달
이달은 조선 중기의 서자 출신 시인으로,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고 유랑하며 아름다운 서정과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노래한 시를 지어 최경창, 백광훈과 함께 삼당시인으로 불린다. - 1412년 출생 - 정소공주
정소공주는 조선 세종의 첫째 딸로, 1412년에 태어나 공주로 봉해졌으나 1424년 완두창으로 사망했다. - 1412년 출생 - 희령군
희령군은 조선 태종의 열 번째 아들로, 이름은 타이며, 1433년에 군에 봉해졌고,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세조가 예장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할 정도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 허균 - 홍길동전
《홍길동전》은 조선 시대 사회 문제 속에서 서얼 출신 홍길동이 활빈당을 이끌고 의적 활동을 펼치다 율도국을 건설하는 이야기를 그린 한글 소설로, 사회 비판과 민중 영웅 제시를 통해 문학적,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한국 문화의 주요 상징이 되었다. - 허균 - 이복남
이복남은 1555년 강원도 명주 출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활약하다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홍일동 | |
---|---|
기본 정보 | |
인물 정보 | |
이름 | 홍일동 |
성별 | 남성 |
직업 | 학생 |
소속 | 서울고등학교 |
능력 | |
특기 | 그림 그리기 |
성격 | 활발하고 긍정적 |
기타 | |
좋아하는 것 | 친구들과 어울리기 영화 감상 |
싫어하는 것 | 지루한 수업 잔소리 |
꿈 | 세계적인 화가 |
2. 생애
2. 1. 생애 초반
1412년(?) 경기도 적성(積城)에서 경성절제사(鏡城節制使) 홍상직과 어머니 남평 문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조부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 부사(密直副使) 홍징은 1388년 무진년 정월에 일어난 무진피화때 염흥방의 매부로 연좌되어 처자식과 같이 몰살당했다. 형은 홍귀동이다. 일설에 그보다 30년 정도 나이 차이나는 이복 동생 홍길동이 있다고 한다. 홍길동은 연산군 때 활동하던 인물이다.2. 2. 관료 생활
1442년(세종 24) 한학훈도(漢學訓導)로 재직 중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하여 돈녕부부승(敦寧府副丞)이 되었다. 그러나 강이관(講肄官)으로서 여러 해에 걸쳐 한어(漢語) 강습에 전력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장(杖) 80의 형을 치르고 파직되었다.그 뒤 1450년(문종 즉위년) 사간원 우정언(右正言)이 되고, 1453년(단종 1) 봉직대부(奉直大夫) 선공판관(繕工判官)을 거쳐 8월에 개천군사(价川郡事)가 되었으며, 다음해 좌헌납(左獻納)이 되었다.
1455년(세조 원년) 주부(注簿)로 재직중 계유정난때 세조 찬위를 도운 공로로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녹훈 책록되었다. 이후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에 이르렀다.
1457년(세조 3) 2월 사은사압물(謝恩史押物)인 부지승문원사(副知承文院事)가 되어 중시(重試)에 급제하였으나, 이는 어명(御命)을 받고 북경(北京)으로 가던중 중로(中路)에서 마음대로 돌아와 몰래 시험을 치러 합격한 것이며, 또 이를 아뢰지 않고 돌아가고, 이후 과거에 합격하여 왕이 명소(命召) 하였는데도 오지 않았으니, 불경(不敬)이 너무 심하고, 또 노모(老母)가 집에 계신데도 먼 길 가기를 사양하지 않았으므로, 충(忠)과 효(孝)에 모두 어그러짐이니 임용(任用)은 마땅하지 않으니 파직(罷職)하여 내쫓아서 선비의 기풍을 권려(勸勵)해야된다고 사헌부 장령(掌令) 송문림(宋文琳) 및 지평(持平) 김기(金琦)가 아뢰니, 작은 과실(過失) 때문에 서용(敍用)하지 않은 것은 타당하지 않다며 불윤하였다.
1458년(세조 4) 전농판관(典農判官), 1460년(세조 6)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 인순부윤(仁順府尹)으로 승진되었다.
2. 3. 생애 후반
1460년(세조 6) 9월 함길도선위사로 함길도 도체찰사 신숙주에게 전달할 어찰을 가지고 함길도에 다녀왔으며, 1461년(세조 7) 호조참판으로 하성절 및 천추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62년(세조 8) 인순부윤으로 하정사가 되어 다시 명나라를 다녀왔다. 1463년(세조 9) 행대호군의 직책으로 시연에 참석하고, 이후 행상호군에 올랐다.평소 술을 잘 마시었는데, 취하면 풀피리를 만들어 즐겨 불었다고 한다. 행상호군이 되고, 1464년(세조 10) 3월 세조가 종재들을 모시고 명승지를 유람시키라는 선위사에 임명되자, 안색에 기쁨을 나타내며 임금이 내린 술 선온을 가지고 홍주에 가서 여러 종재가 돌아오는 것을 만나 선위례를 행하면서 마음껏 마시고 취하여 과음으로 3월 13일 졸하였다. 향년 53세이다.
3. 저서
- 《마천집》
4. 평가
홍일동은 성품이 호방하고 위용이 범상치 않은 큰 재목으로, 사소한 예절에 구애받지 않았다. 평생에 더러운 물건을 싫어하지 않았고 나쁜 옷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시 짓기를 좋아했으며, 여러 번 과거 시험에 합격하였다. 술을 잘 마셔 두어 말까지 마셨으며, 대식가로도 유명하였다.
서거정은 1487년 간행된 《필원잡기》 초간본에 홍일동이 진관사로 놀러 갔을 때 많은 음식을 먹었다고 기록했다. 서거정의 기록에 따르면, 홍일동은 떡 한 그릇, 국수 세 사발, 밥 세 그릇, 두부국 아홉 그릇을 먹었고, 산 밑에서는 삶은 닭 두 마리, 생선국 세 그릇, 어회 한 쟁반, 술 40여 잔을 비웠다고 한다. 세조는 이 이야기를 듣고 홍일동을 장하게 여겼다. 그러나 홍일동은 보통 때에는 밥을 먹지 않고 쌀가루와 독한 술을 먹었다고 한다.
그의 이복 동생 홍길동은 당상관을 자처하면서 실제로 당상관인 형 홍일동의 관복을 입고 도적질을 했다.
5. 시
금은 사람을 귀하게 하지만, 시가 없으면 사람을 속되게 만든다. 돌은 둔하여 원래 해를 입지 않으나, 계수나무는 향기로워 마침내 벌목된다. 실이 물든다고 슬퍼할 것 없고, 갈림길 많다고 어찌 반드시 울어야 하는가. 대나무에서 군자의 지조를 볼 수 있고, 솔은 추운 때의 몰골이 사랑스럽도다. 바가지로 마시는 것이 참으로 즐겁고, 달팽이 같은 작은 집이 그런대로 편안하다. 온돌은 겨울에 발을 덥히고, 싸리나무 창은 여름에 머리를 흩뜨린다. 가죽 띠는 아들 어리석음에 맡기고, 남색 옷은 첩이 싫어하는 그대로 내버려둔다. 초목과 함께 썩고 마는데, 일생이 어찌 그리도 분주하고 바쁜가.
6. 가계
홍융(洪戎)을 고조부로, 홍주(洪澍)를 증조부로, 홍징(洪徵)을 조부로 두었다. 아버지 홍상직(洪尙直)은 경성절제사(鏡城節制使)를 지냈으며, 어머니는 남평 문씨(南平文氏)이다. 형제로는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낸 홍귀동(洪貴童)이 있으며, 누이는 문화유씨 유사공(柳思恭)에게 출가하였다. 부인은 교하 노씨(交河 盧氏)와 남평 문씨(南平 文氏)이며, 아들로는 홍효문(洪孝文)과 홍효성(洪孝誠)이 있다. 딸은 순천김씨 김약균(金若勻)에게 출가하였다. 측실에게서는 성종의 후궁인 숙의 홍씨(淑儀 洪氏)를 두었다.
서모 옥영향(玉英香)에게서 얼제(孽弟) 홍길동(洪吉同)을 두었는데, 그는 홍길동전(洪吉童傳)의 주인공으로 추정된다.
백부로는 홍상빈(洪尙濱), 홍상부(洪尙溥), 홍상연(洪尙淵)이 있고, 숙부로는 홍상검(洪尙儉)과 홍상리(洪尙利)가 있다. 고모들은 각각 유원정(柳爰廷), 성부(成溥), 허지신(許之信), 김로(金輅)에게 출가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