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길동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길동전은 조선 세종 때 좌의정 홍상직의 얼자로 태어난 홍길동을 주인공으로 하는 고전 소설이다. 홍길동은 무예와 도술을 익혔으나 서얼 신분으로 인해 뜻을 펼치지 못하고, 활빈당을 조직하여 탐관오리를 처벌하고 백성을 구제한다. 이후 율도국을 건설하여 이상 사회를 구현하며, 서얼 차별과 사회 부조리에 대한 비판 의식을 담고 있다. 홍길동전은 한국 문학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어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길동 - 홍일동
    홍일동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세조 찬위를 도와 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인순부윤, 호조참판 등을 역임했으며 술과 풀피리를 즐기고 호방한 성품과 뛰어난 식성으로 알려져 있다.
  • 홍길동 - 이달
    이달은 조선 중기의 서자 출신 시인으로,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고 유랑하며 아름다운 서정과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노래한 시를 지어 최경창, 백광훈과 함께 삼당시인으로 불린다.
  • 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설공찬전
    설공찬전은 채수가 지은 소설로, 사후 세계를 배경으로 설공찬이 저승에 다녀온 이야기를 다루며, 정치적 상황 비판으로 조선 시대 최초의 금서가 되었고, 국문 번역으로 소설 대중화에 기여하며 조선 전기 소설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한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더킹 투하츠
    《더킹 투하츠》는 입헌군주제라는 가상 설정의 대한민국에서 남한 왕자 이재하와 북한 특수부대 교관 김항아의 신분과 국경을 초월한 사랑을 그린 2012년 MBC 드라마이다.
  • 홍길동을 소재로 한 작품 - 홍길동 (드라마)
    홍길동은 1998년 SBS에서 방영된 조선시대 의적 홍길동의 활약상을 그린 드라마로, 김석훈, 김원희, 이덕화 등이 출연했으며 김석훈은 이 드라마로 S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을 수상했다.
  • 홍길동을 소재로 한 작품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연산군 시대를 배경으로 홍길동의 삶과 투쟁을 그린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은 부패한 시대에 의적 활동을 펼치는 홍길동이 혁명가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김상중을 비롯한 여러 배우들의 열연과 함께 작품성을 인정받아 2017년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8관왕을 달성했다.
홍길동전
기본 정보
홍길동전 첫 페이지
한국어 제목홍길동전
한자 제목洪吉童傳
로마자 표기Honggildongjeon
작품 정보
유형한국 소설
시대16세기 또는 17세기
언어한국어
관련 정보
등장인물홍길동

2. 내용

조선 세종 때 좌의정 홍상직(洪尙直)의 얼자로 태어난 홍길동(洪吉童)은 무예예의를 익혔으나 얼자로 태어나 자신의 뜻을 다 펴지 못함을 한탄하였다. 홍길동은 홍상직과 시비(侍婢) 사이에 출생하였다. 홍 대감의 또 다른 이 보낸 자객에게 살해당할 위기를 모면한 길동은 집을 떠나 도적의 소굴로 가 재주를 보이고 우두머리가 된다. 무리의 이름을 활빈당이라 자칭하고 탐관오리와 패악하고 타락한 승려를 징치하여 전국에 이름이 알려지자 조정은 홍길동을 잡기 위해 군사를 동원한다.[43]

나라에서는 홍길동의 신기한 재주로 인해 도저히 잡을 수 없자, 아버지인 홍 대감을 회유하여 길동을 병조판서에 제수하려 하니 불러들이라 한다. 이에 임금 앞에 나타난 길동은 병조판서 제수를 사양하고 무리를 이끌고 나라를 떠날 것을 알리고 공중으로 몸을 띄워 홀연히 사라진다. 이후 길동은 어머니와 수하들을 이끌고 율도국으로 건너가 나라를 세운다.[43]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은 서로 다른 배경에서 일어난다.[5]


  • 첫 번째 부분은 홍씨 가문의 저택을 배경으로, 홍길동의 탄생과 성장을 다룬다.
  • 두 번째 부분에서 홍길동은 활빈당(가난한 자를 돕는 무리)이라는 이름의 도적떼의 우두머리가 된다.[6] 길동과 그의 무리는 전국 각지의 창고와 사찰 등 부유한 곳에서 재물을 훔친다. 그의 강도 행각이 대담해지고 빈번해짐에 따라, 그는 왕의 주목을 받게 되고 결국 자의로 나라를 떠나 유배 생활을 하게 된다.
  • 세 번째 부분은 율나라를 배경으로 한다. 홍길동은 재도에서 활빈당을 다시 시작한 후 율나라 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된다. 그는 자애로운 왕으로 통치하며 율나라에서 자신의 가족을 이루고, 서자와 적자를 똑같이 대한다.


일본에서는 이시카와 고에몬이나 네즈미코조지로키치와 같은 의적, 미토 코몬과 같은 백성들의 편과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

2. 1. 탄생과 성장

조선 세종 때 좌의정 홍상직(洪尙直)의 서자로 태어난 홍길동은 어려서부터 무예와 도술을 익혔다. 그러나 얼자라는 신분적 제약 때문에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는 현실에 좌절하였다. 홍길동은 홍상직과 시비(侍婢) 사이에서 태어났다. 홍 대감의 첩이 보낸 자객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자, 길동은 집을 떠나 도적의 소굴로 가 재주를 보이고 우두머리가 된다.[43] 이후 신비로운 노인에게 바람을 일으키고 구름을 부르는 둔갑술을 배워 금강산산적들을 거느리고 활빈당의 두목이 된다.[5]

2. 2. 활빈당 활동

조선 세종 때, 홍길동은 도적 무리의 우두머리가 되어 활빈당(活貧黨)을 조직한다.[43] 활빈당은 탐관오리와 부패한 승려들을 징벌하고 재물을 빼앗아 가난한 백성들에게 나눠주었다.[43] 活貧黨|활빈당중국어은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무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6]

홍길동은 신출귀몰한 도술로 팔도를 누비며 활약하였고, 조정에서는 군사를 동원하여 그를 잡으려 했지만 번번이 실패하였다.[43]

2. 3. 율도국 건설

조정에서는 홍길동의 비범한 재주 때문에 그를 잡을 수 없게 되자, 그의 아버지인 홍 대감을 통해 회유하여 병조판서 벼슬을 제안한다. 그러나 홍길동은 이를 사양하고, 부하들을 이끌고 나라를 떠날 것을 알리며 홀연히 사라진다.[43]

이후 홍길동은 어머니와 수하들을 이끌고 율도국으로 건너가 나라를 세운다.[43] 율도국은 《홍길동전》의 후반부에 등장하는 국가로, 일부에서는 유구국이 율도국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위도가 율도국의 모델이라는 추측도 있다.[48]

홍길동은 율도국에서 활빈당을 다시 시작하고, 율도국 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된다. 그는 율도국에서 자신의 가족을 이루고, 서자와 적자를 차별하지 않고 똑같이 대하는 등 자애로운 왕으로 통치하며, 백성들이 평등하게 살아가는 이상 사회를 건설한다.

3. 평가

《홍길동전》은 서얼 차별, 탐관오리의 횡포 등 조선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고, 능력 중심의 이상 사회 건설이라는 개혁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문학적, 사회적으로 높게 평가받는다. 주인공을 서자로 설정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는 혁신적인 내용은 민중의 열망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허균의 저서 《성소부부고》의 〈호민론〉과 연결 지어, 홍길동이 세상을 바꾸려는 백성을 뜻하는 '호민'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한다.[44]

일각에서는 홍길동이 율도국을 점령하는 과정이 식민주의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43]

4. 논쟁

《홍길동전》의 저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크게 허균이 저술했다는 주장과 미상의 작가가 썼다는 주장으로 나뉜다.

허균 저술설은 그의 제자인 이식의 《택당집》에 "허균수호전을 본받아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기록[45]에서 시작되었다. 경성제국대학 교수였던 다카하시 도루가 이 기록을 인용하면서 널리 알려졌고, 그의 제자 김태준도 이 견해를 따랐다.[46] 이후 많은 학자들이 허균 저작설을 정설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허균 저작설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국문학자 이능우와 김진세는 허균의 사상과 홍길동전의 사상이 다르며, 허균이 문초를 받을 때 홍길동전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의문을 제기했다. 이윤석 등은 《택당집》에 언급된 '홍길동전'과 현재 전해지는 '홍길동전'이 같은 작품인지 불분명하며, 장길산, 선혜청 등 허균 사후에 등장하는 내용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2019년에는 황일호의 《노혁전》이 발굴되면서, 홍길동 이야기가 허균만의 창작이 아니라는 점도 밝혀졌다.[47]

《홍길동전》은 오랫동안 최초의 한글 소설로 알려졌으나, 채수의 《설공찬전》 국문본이 발견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한글 소설의 개념에 대한 학자들 간의 이견, 《설공찬전》의 번역 문제, 《홍길동전》 원본의 불확실성 등이 논쟁의 핵심이다.

이처럼 《홍길동전》을 둘러싼 논쟁은 저자, 최초의 한글 소설 여부 등 여러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아직까지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4. 1. 저자 문제

이식의 《택당집》(澤堂集)에는 ‘허균수호전을 본받아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45] 경성제국대학 교수였던 다카하시 도루는 《일본문학 강좌》에서 이 기록을 인용하며 홍길동전을 허균이 지었다고 주장했다. 다카하시 도루의 제자 김태준도 〈조선소설사〉(1930)에서 이 견해를 따랐고,[46] 이후 많은 학자들이 이를 정설로 받아들였다. 허균 저작설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허균의 저서 《성소부부고》의 〈호민론〉에 나타난 백성을 중시하는 사상이 홍길동전에 반영되었다고 본다.[44]

그러나 국문학자 이능우와 김진세는 허균의 사상과 홍길동전의 사상이 다르며, 허균이 문초를 받을 때 홍길동전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허균 저작설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윤석 등은 《택당집》에 언급된 ‘홍길동전’과 현전하는 ‘홍길동전’의 관계가 불분명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19세기에 등장한 한글소설 형식, 장길산선혜청 등 허균 사후에 등장하는 내용, 《택당집》 외 다른 문헌에서의 언급 부족 등을 근거로 제시한다.[45] 2019년에는 황일호의 《노혁전》이 발굴되면서, 홍길동 이야기가 허균만의 창작이 아니라는 점도 밝혀졌다.[47] 다만, 허균 지지측에서는 허균 사후 내용이 첨삭되었을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4. 2. '최초의 한글소설' 문제

홍길동전은 오랫동안 최초의 한글 소설로 알려져 왔으나, 1997년에 채수가 1511년경에 지은 《설공찬전》의 국문본이 발견되면서 최초의 한글 소설이 맞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한글 소설이라는 개념을 각 학자들이 다르게 정의하기 때문에, 순 한글로 쓰는 것을 한글 소설로 봐야 할지, 아니면 한문에서 한글로 번역된 것을 봐야 할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설공찬전》은 《중종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한문에서 한글로 번역되었기에 최초의 한글 소설이 아니라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홍길동전》은 저자로 여겨지는 허균이 지었다는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그가 사망한 이후 약 100년 후 이식의 《택당집》에 저자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 실리기 때문에 원본 논란이 있다.[6][7]

4. 3. 율도국 실존 문제

율도국은 《홍길동전》 후반부에 홍길동이 점령한 국가의 이름이다. 율도국을 실존한 나라로 보는 사람들은 유구국이 율도국이라고 주장한다.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위도가 율도국의 모델이 되었다고 추측하는 사람도 있다.[48] 홍길동이 일본 섬의 왕이 되어 일본인이 되었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5. 실존 인물 홍길동

조선왕조실록연산군 6년(1500년)에 홍길동(童)이라는 도적의금부에 체포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 기록에 따르면 홍길동은 정삼품 당상관 첨지사의 복장을 하고 부하들을 거느리고 관아에 당당하게 출입했으며, 심지어 별감(장관)을 휘둘렀다고 한다.[43] 그 때문에 도적을 방치하고 체포하지 않은 죄로 많은 사람들이 유배를 당했다. 그러나 체포된 홍길동이 어떤 형벌을 받았는지에 대한 기록은 빠져있다.

실존인물 홍길동은 소설 속 홍길동과는 달리, 외척 신분이었으며, 형인 홍일동의 관복을 입고 도적질을 했다. 실존인물 홍길동의 형인 홍일동은 실제로 당상관이었으며, 그의 딸 숙의 홍씨는 조선 성종의 후궁이었다.[43]

실존인물 홍길동, 임꺽정, 장길산은 조선 시대 3대 의적으로 불리며, 민중 영웅으로 자주 다뤄진다.

6. 대중문화

《홍길동전》은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 TV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장르로 각색되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6] 지드래곤은 자신의 노래 가사에서 홍길동을 여러 차례 언급하기도 했다.[22][23]

홍길동은 한국 문화와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미국에서 존 도우처럼 흔히 쓰이는 가명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4][25] 그는 민중적인 의적이라는 점에서 영국의 로빈 후드, 호주의 네드 켈리와 같은 유명한 의적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6. 1. 영화


  • 1934년 김소봉 감독의 《홍길동전》[22]
  • 1967년 신동헌 감독의 한국 최초 장편 애니메이션 《홍길동》. 일본에서 《소년용사 길동》이라는 제목으로 문화영화 취급으로 상영되었다.[29]
  • 1986년 북한 영화 《홍길동》. 북한 최초의 본격 액션 사극으로, 악역은 모두 일본 닌자 복장을 하고 일본어를 사용한다. 태권도를 이용한 화려한 와이어 액션이 볼거리이다. DVD 한국어 제목은 ‘홍길동(ホン・ギルトン)’이다.[32]
  • 1980년대 한국 SF 영화 《우주전사 홍길동》[31]

6. 2. 만화


  • 신동우 화백의 《풍운아 홍길동》 (1966년~1969년)은 파란색 셔츠와 노란색 모자를 쓴 영웅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냈다.[28]
  • 고우영 화백의 만화 《홍길동》
  • 오세권의 만화 시리즈 《홍길동~무림전사록》은 2004년에 시작되었으며, 사이버펑크 요소가 가미된 판타지 세계관 속에서 조선으로 돌아온 홍길동의 이야기를 다룬다.
  • 만화 신암행어사에는 여성 산적 두목으로 홍길동의 등장인물이 각색되어 나오기도 한다.

6. 3. 드라마



더불어민주당은 이 드라마가 홍길동의 영웅적인 면모와 백성을 위한 헌신을 잘 보여주었다고 평가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민중 봉기를 선동하는 위험한 드라마라고 비판한다.

6. 4. 게임


  • 1993년 A+에서 IBM 호환 컴퓨터용으로 한국 역할수행 비디오 게임 ''홍길동전''(홍길동전|한국어)을 출시했다.[34]
  • 1995년에는 1993년 게임의 속편인 인터랙티브 무비 ''홍길동전 2''(홍길동전 2|한국어)가 출시되었다.[35]
  • 1995년 LG에서 윈도우용 플랫폼 게임 비디오 게임 《홍길동전》을 출시했는데, 이는 같은 제목의 1995년 한국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를 각색한 것이다.[37]
  • 1995년 한국 역할수행 비디오 게임 ''망국전기~잊혀진 나라의 이야기''는 원작에서 홍길동이 세운 나라인 율도국을 배경으로 한다.[38]

6. 5. 기타


  • 1995년 한국 애니메이션 《돌아온 영웅 홍길동》이 개봉되었다.[36]
  • 일본 만화 《신암행어사》에서 홍길동 캐릭터가 여성 산적 두목으로 각색되었다.
  • 2009년 현대적 영화 각색인 《홍길동의 후예》가 제작되었다.[39]
  • 2010년 슈퍼주니어의 성민, 예성이 주연한 뮤지컬 《홍길동》이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에서 2010년 2월 18일부터 4월 18일까지 공연되었다.[40]
  • SBS TV 시리즈 《런닝맨》의 2014년 10월 12일 방영된 특별 슈퍼히어로 에피소드에서 하하가 '하길동'(홍길동 각색)을 연기했다.
  • 만화 액션 스릴러 《유령탐정》은 현대판 홍길동을 형사로 묘사한다.[41]
  • 블리자드의 게임 《오버워치》에서 트레이서 캐릭터의 홍길동 모티브 대체 의상이 2019년 설날 이벤트를 위해 제작되었다.
  • 한국 가챠 게임 《세븐나이츠》에는 여성 버전 홍길동이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Rumpus Interviews With Minsoo Kang http://therumpus.net[...] 2016-04-13
[2] 서적 Historia Korei Dialog
[3] 기타
[4] 기타
[5] 서적 Story of Hong Gil Dong Penguin
[6] 서적 The Story of Hong Gildong Penguin Classics
[7] 학술지 Introduction to the Story of Hong Gildong https://muse.jhu.edu[...] 2013-05-03
[8] 기타
[9] 기타
[10]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11]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12] 서적 《朝鲜文学通史》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10-09
[13] 웹사이트 http://contents.hist[...]
[14] 웹사이트 https://ko.wikipedia[...]
[15]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16] 웹사이트 https://www.khan.co.[...]
[17]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18] 기타
[19] 웹사이트 https://db.mkstudy.c[...]
[20] 웹사이트 https://www.donga.co[...]
[21] 기타
[22] 웹사이트 장성군 홍길동테마파크 http://www.jangseong[...]
[23] 웹사이트 Welcome Message https://web.archive.[...] 2016-04-11
[24] 서적 Neo geugeo ani? 너 그거 아니? (Did you know that?) DBDic.com (디비딕닷컴) 2006-09-22
[25] 웹사이트 Hong Gildong: Classic Korean Fiction’s Number One Hero https://aaww.org/hon[...] 2016-08-23
[26] 웹사이트 Hong Gildong as the 'Impossible Key' to Korean Literature | https://www.ktlit.co[...]
[27] 웹사이트 'The Story Of Hong Gildong' Helps Define Korean Sense Of Identity https://www.npr.org/[...]
[28] 학술지 Introduction to Shin Dong Wu's ''Hong Gildong''
[29]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Korean Animation: Part II http://www.koreanfil[...]
[30] 웹사이트 웹방화벽 http://www.kmdb.or.k[...]
[31] 웹사이트 웹방화벽 http://www.kmdb.or.k[...]
[32] 웹사이트 Hong Kil Dong http://miff.com.au/f[...] MIFF
[33] 웹사이트 Hardcore Gaming 101: A History of Korean Gaming http://www.hardcoreg[...]
[34] 웹사이트 Hardcore Gaming 101: A History of Korean Gaming http://www.hardcoreg[...]
[35] 웹사이트 Hardcore Gaming 101: A History of Korean Gaming http://www.hardcoreg[...]
[36] 웹사이트 웹방화벽 http://www.kmdb.or.k[...]
[37] 웹사이트 Hardcore Gaming 101: A History of Korean Gaming http://www.hardcoreg[...] 2014-09-29
[38] 웹사이트 Hardcore Gaming 101: A History of Korean Gaming http://www.hardcoreg[...] 2014-09-29
[39] 웹사이트 Descendants of Hong Gil-dong (Korean Movie - 2009) - 홍길동의 후예 https://web.archive.[...] 2014-09-29
[40] 뉴스 Hong Gil-dong to be revived in musical https://web.archive.[...] 2010-03-29
[41] 웹사이트 'Phantom Detective,' action thriller full of laughs https://koreatimes.c[...] 2016-05-04
[42] 서적 홍길동은 실존인물이 아니다? 책과함께 2008
[43] 서적 한국사 사전 청아출판사 2006
[44] 간행물 조선시대의 의적 서해문집 2003
[45] 논문 1997
[46] 뉴스 朝鮮小說史 (18)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0-12-04
[47] 뉴스 한글 홍길동전이 허균 작이 아닌 5+1가지 이유…400년전 다른 한문 홍길동전까지 발견됐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9-04-24
[48] 뉴스 '홍길동의 율도국' 위도와 채석강, 내소사, 매창 기행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