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하 노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하 노씨는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온 노오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노강필이 고려 창업에 기여하여 교하로 복관되었고, 이후 무신정권기부터 원 간섭기까지 다양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조선 시대에는 왕실과의 인척 관계를 통해 세력을 확장했으며, 문과 급제자 12명, 무과 급제자 36명을 배출했다. 근현대에는 법조인, 정치인, 관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이 나왔으며, 강원도 김화군 원북면 추의리가 집성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교하 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교하 노씨 |
한자 표기 | 交河盧氏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지역 | 파주 |
기원 | 교하 |
창립자 | 노오 |
로마자 표기 | Gyoha No ssi |
연결된 인물 | |
주요 인물 | 노경은 노성호 소영로 노태우 노홍철 순비 노씨 |
역사 | |
시조 | 노오 |
중시조 | 노강필 |
집성촌 | |
집성촌 위치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두북리 강원도 김화군 원화면 추의리 강원도 김화군 임남면 두목리 황해도 금천군 우봉면 용성리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암리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노영순 노연 노한 순비 노씨 노사신 노공필 노용호 노재현 노승환 노재원 노태우 노승우 노박래 노철래 노준형 노대래 노웅래 노영민 노소영 노재헌 |
통계 | |
2015년 인구 | 61,747명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교하노씨대종회 |
관련 단체 | 노씨중앙종친회 |
2. 역사
《교하노씨세보》(交河盧氏世譜)에 따르면, 교하 노씨의 시조 노오(盧塢)는 당나라 한림원 한림학사를 지내고 신라로 건너온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둘째 아들로, 교하백(交河伯)에 봉해졌다고 한다.[1]
신라 말 노강필(盧康弼)은 기계(杞溪)에 정착하여 본관을 장산(章山)으로 옮겼으나,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우고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라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에 봉해지면서 교하로 복관하였다.[1] 노강필은 교하 노씨의 일세조(一世祖)이다.[1]
2. 1. 시조 및 유래
《교하노씨세보(交河盧氏世譜)》에 따르면, 시조 노오(盧塢)는 당나라에서 한림원 한림학사를 역임하고 신라로 건너온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둘째 아들로서, 교하백(交河伯)에 봉해졌다고 한다.[1]신라 말기 노강필(盧康弼)은 기계(杞溪)에 정착하면서 본관을 장산(章山)으로 옮겼다가,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으로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랐으며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에 봉해져 교하로 복관하였다고 한다.[1] 노강필을 일세조로 한다.[1]
2. 2. 본관 형성
신라 말기 노강필(盧康弼)은 기계에 정착하면서 본관을 장산(章山)으로 옮겼다.[1] 그러나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큰 공을 세워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으로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오르고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에 봉해졌다.[1] 이처럼 큰 공적을 인정받아 노강필은 본관을 교하로 복관하였다.[1]3. 고려시대 주요 인물
교하 노씨는 고려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 노안맹(盧安孟) :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은청광록대부 상장군에 올랐다.[1]
- 노영순(盧永淳) : 무신정권기 참조.
- 노탁유(盧卓儒) : 무신정권기 참조.
- 노연(盧演) : 무신정권기 참조.
- 노경륜(盧景倫) : 원 간섭기 참조.
- 노영수(盧頴秀) : 원 간섭기 참조.
- 노책(盧𩑠) : 원 간섭기 참조.
- 노진(盧稹) : 고려 말기 참조.
- 노한(盧閈, 1376년 ~ 1443년) : 노진의 손자이자 노균의 아들. 태종의 비 원경왕후의 제부. 증조부는 고려 좌정승 노책. 1434년(세종 16년) 대사헌, 1435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우의정(판병조사 겸), 1437년(세종 19년) 영경연사 겸임.
- 노윤보(盧允寶) : 공양왕 때 도감판관행랑장(都監判官行郞將) 역임. 노진의 증손자이자 노숙의 손자. 이색과 교류, 한산이씨 가문에 장가. 고려 멸망 후 한산 낙향, 자손들이 충남 서천에 집성촌 형성.
3. 1. 무신정권기
1170년 무신의 난 당시 의종을 시종했던 노영순(盧永淳)은, 대대로 무인 가문 출신이었기에 화를 면했다.[1] 이후 참지정사, 상서좌복야, 문하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했으며,[1] 부인은 이광필의 딸 낙랑군부인 이씨이다.[1]노영순의 아들 노탁유(盧卓儒)는 고려의 무신으로, 1170년 명종 즉위에 기여하여 용호군낭장에 올랐다.[2] 1174년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여 좌우위보승중낭장차수장군(左右衛保勝中郎將借授將軍)에 이르렀고, 1178년 금나라에 만춘절축하사로 파견되었으며, 서북면지병마사 등을 거쳐 1190년 용호군상장군을 역임했다.[2]
7세손 노연(盧演)은 고려의 무신으로 은청광록대부 북계병마사를 거쳐 지제고를 역임하였다.[3]
3. 2. 원 간섭기
고려 충렬왕 때 전라도 안찰사(按察使)를 지낸 노경륜(盧景倫)이 있었다.[1] 노영수(盧頴秀)는 고려의 문신으로 이부상서와 밀직사좌승지를 지냈다. 원 간섭기에 몽골어 통역관으로 시작해 문하시중까지 지낸 평양군(平壤君) 조인규의 딸과 혼인했고, 후에 충선왕도 조인규의 딸을 왕비로 맞아 왕과 동서지간이 되었다. 시호는 의열(懿烈)이다.[1]노책(盧𩑠)은 고려의 문신으로 왕실의 평양공(平陽公) 왕현(王昡)의 딸 경녕옹주(慶寧翁主)와 혼인하였다. 충목왕 때 좌정승으로 경양부원군(慶陽府院君)에 봉해졌으며, 딸이 원나라 순제비(順帝妃)가 되었으나, 공민왕의 반원정책으로 기철 등과 함께 처형되었다.[1]
3. 3. 고려 말기
노진(盧稹)은 창성군파의 파조이다. 고려 공민왕이 기철 등을 숙청할 때, 먼 곳으로 귀향 갔다가 복권되어 밀직사판사를 제수받았다. 그러나 자제위 소속이었던 둘째 아들 노선(盧瑄)이 홍륜 등의 공민왕 시해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면서, 나머지 아들 노정(盧禎), 노숙(盧璹), 노균(盧鈞)과 함께 처형되었다. 이는 기철 숙청 이후 공민왕의 개혁 정치에 대한 반발로 해석될 수 있다.훗날 노진의 사위가 공양왕에 오르면서 제효공(齊孝公)으로 추증되었다.
4. 조선시대 주요 인물
조선시대에는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거나 관료, 학자로서 이름을 알린 인물들이 많았다.
이름 | 생몰년 | 주요 경력 | 비고 |
---|---|---|---|
노한 | 1376년 ~ 1443년 | 대사헌, 의정부 우의정, 영경연사 | 태종의 비 원경왕후의 제부 |
노사신 | 1427년 ∼ 1498년 | 집현전 박사, 도승지, 좌의정, 영의정 | 원경왕후의 조카, 소헌왕후의 조카사위, 무오사화 가담 |
노공필 | 1445년 ~ 1516년 | 홍문관 부제학, 대사헌, 공조판서, 의정부 우찬성, 영돈녕부사 | 노사신의 아들, 명나라에서 권서국사(權署國事) 칙지 수령 |
노봉천 | 1594년 ~ 1637년 | 병자호란 때 전사, 공조참의 추증, 예빈검정, 여진족 토벌, 이괄의 난 진압 | |
노용호 | 1904년 ~ 1970년 | 제1대 법원행정처장 | |
노승환 | 1927년 ~ 2014년 | 제8·9·10·12·13대 국회의원 | |
노재원 | 1932년 ~ 2006년 | 제1대 駐 중국 대사 | |
노태우 | 1932년 ~ 2021년 | 제13대 대한민국 대통령 | |
노철래 | 1950년 ~ | 제19대 국회의원 | |
노준형 | 1954년 ~ | 제10대 정보통신부 장관 | |
노대래 | 1956년 ~ |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 |
노웅래 | 1957년 ~ | 기자, 제17·19·20대 국회의원 | |
노영민 | 1957년 ~ | 대통령비서실장, 제17·18·19대 국회의원 |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히 다루어진 노한, 노사신, 노공필에 대한 내용은 간략하게 요약하고, 표를 이용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4. 1. 왕실 인척
노한(1376년 ~ 1443년)은 노진의 손자이자 원경왕후의 동생의 남편으로, 태종과 인척 관계였다. 1434년(세종 16) 대사헌을 거쳐 1437년(세종 19) 의정부 우의정이 되었다.노사신(1427년 ~ 1498년)은 노한의 손자이며, 원경왕후의 조카이자 소헌왕후의 조카딸과 혼인하여 세종과도 인척 관계를 맺었다. 1453년(단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박사를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쳤다. 1463년(세조 9) 도승지에 올라 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1495년(연산군 1) 영의정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는 조카를 죽인 이유와 결탁하고, 남이를 제거하는 데 앞장섰으며, 임사홍 등과 인척 관계를 맺고 무오사화에 가담하는 등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노공필(1445년 ~ 1516년)은 노사신의 아들로, 1466년 문과에 급제한 후 홍문관 부제학, 대사헌, 공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1503년 의정부 우찬성을 지냈고, 중종반정 이후 1507년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중종의 즉위를 알리고, '권서국사(權署國事)' 칙지를 받아오는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공로로 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고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4. 2. 관료와 학자
- 노한(盧閈, 1376년 ~ 1443년) : 조선 초기의 문신. 태종의 비 원경왕후의 제부이다. 1434년(세종 16) 대사헌, 1435년 의정부 우의정, 1437년(세종 19) 영경연사를 겸했다.[1]
- 노사신(盧思愼, 1427년 ∼ 1498년) : 노한의 손자. 할머니는 원경왕후의 여동생, 어머니는 소헌왕후의 여동생으로 2대에 걸쳐 왕실과 인척 관계였다.[1] 1451년(문종 1) 생원시, 1453년(단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박사에 임명되었다.[1] 1463년(세조 9) 도승지, 1492년(성종 23) 좌의정, 1495년(연산군 1) 영의정에 올랐다.[1] 이유(李瑈), 남이를 주살하는데 가담했고,[1] 임사홍 등과 인척을 맺었으며 무오사화에도 가담했다.[1]
- 노공필(盧公弼, 1445년 ~ 1516년) : 노사신의 아들.[1] 1466년 춘시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직강, 홍문관 부제학 등을 지냈다.[1] 1483년 대사헌, 1489년 공조판서, 1503년 의정부 우찬성, 중종반정 후인 1507년에 영돈녕부사가 되었다.[1] 명나라에서 권서국사(權署國事)의 칙지를 받아 귀국하였다.[1]
- 노봉천(盧奉天, 1594년 ~ 1637년) :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구하기 위해 싸우다 전사하였다.[1] 숙종 때 공조참의에 추증되었다.[1] 1617년 예빈검정, 1618년 여진족 토벌, 1624년 이괄의 난 때 공을 세웠다.[1]
- 노용호(盧龍鎬, 1904년 ~ 1970년) : 제1대 법원행정처장을 지냈다.[1]
- 노승환(盧承煥, 1927년 ~ 2014년) : 제8·9·10·12·13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 노재원(盧載源, 1932년 ~ 2006년) : 제1대 駐 중국 대사을 지냈다.[1]
- 노태우(盧泰愚, 1932년 ~ 2021년) : 제13대 대한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을 지냈다.[1]
- 노철래(盧喆來, 1950년 ~ ) :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 노준형(盧俊亨, 1954년 ~ ) : 제10대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냈다.[1]
- 노대래(盧大來, 1956년 ~ ) : 공정거래위원장을 지냈다.[1]
- 노웅래(盧雄來, 1957년 ~ ) : 기자, 제17·19·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 노영민(盧英敏, 1957년 ~ ) : 대통령비서실장, 제17·18·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5. 근현대 주요 인물
교하 노씨는 근현대에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법조계에서는 노용호가 제1대 법원행정처장을 지냈다. 정치계에서는 노승환이 제8·9·10·12·13대 국회의원을, 노철래는 제19대 국회의원을, 노웅래는 기자 출신으로 제17·19·20대 국회의원을, 노영민은 대통령비서실장과 제17·18·1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관료로는 노재원이 제1대 駐 중국 대사를, 노준형은 제10대 정보통신부 장관을, 노대래는 공정거래위원장을 역임했다.
노태우는 제13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5. 1. 법조인 및 정치인
- 노용호(盧龍鎬, 1904년 ~ 1970년) : 제1대 법원행정처장을 지냈다.[1]
- 노승환(盧承煥, 1927년 ~ 2014년) : 제8·9·10·12·13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 노철래(盧喆來, 1950년 ~ ) :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 노웅래(盧雄來, 1957년 ~ ) : 기자 출신으로, 제17·19·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 노영민(盧英敏, 1957년 ~ ) :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냈으며, 제17·18·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1]
5. 2. 관료
- 노재원(盧載源, 1932년 ~ 2006년): 제1대 駐 중국 대사를 지냈다.[1]
- 노준형(盧俊亨, 1954년 ~ ): 제10대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냈다.[2]
- 노대래(盧大來, 1956년 ~ ): 공정거래위원장을 지냈다.[3]
5. 3. 대통령
'''노태우'''(盧泰愚, 1932년 ~ 2021년)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했으며,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또한 북방 정책을 추진하여 소련, 중국 등 공산권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남북기본합의서를 채택하여 남북 관계 개선의 기반을 마련했다.그러나 노태우는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의 주범 중 한 명이라는 역사적 과오를 가지고 있다. 퇴임 후에는 비자금 조성 혐의로 구속되어 처벌받기도 했다.
6. 과거 급제자
조선시대 교하 노씨는 문과 급제자 12명, 무과 급제자 36명을 배출하였다.[6]
7. 항렬자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
석(錫) | 洙|수중국어 | 병(秉) | 愚|우중국어 | 재(載) | 鎬|호중국어 善|선중국어 鉉|현중국어 | 승(承) 해(海) 자(滋) | 來|래중국어 相|상중국어 模|모중국어 | 희(熙) 대(大) 형(炯) | 喆|철중국어 培|배중국어 奎|규중국어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종(鍾) 흠(欽) 진(鎭) | 구(求) 순(淳) 제(濟) | 영(榮) 채(采) 인(寅) | 환(煥) 섭(燮) 경(炅) | 기(基) 길(吉) 정(廷) | 용(鏞) 록(錄) 회(會) | 영(泳) 한(漢) 태(泰) | 동(東) 근(根) 주(柱) | 헌(憲) 응(應) 용(容) | 중(重) 균(均) 혁(赫) |
8. 집성촌
강원도 김화군 원북면 추의리[5]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교하노씨 交河盧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3]
웹사이트
(135)교하 노씨(交河盧氏)-53,203명
http://www.seoulecon[...]
2015-02-19
[4]
웹사이트
소개
http://www.rohs.or.k[...]
노씨중앙종친회
2022-09-04
[5]
웹사이트
노씨(盧氏) 본관(本貫) 교하(交河)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6]
간행물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데이터베이스를 간행물로 간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