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1945년 8월 17일, 스즈키 간타로 내각의 총사직 이후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면서 출범했다. 패전 처리와 전후 복구라는 과제를 안고, 군부 통제와 국민 통합을 목표로 했으며, '아사히 내각'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연합국 최고사령부(GHQ)의 지령에 따라 인권 확보를 위한 개혁을 추진했으나, 공산주의 활동 활성화를 우려하여 지령 실행을 주저하다가 1945년 10월 9일 총사퇴했다. 54일간의 짧은 존속 기간 동안 패전 직후 혼란을 수습하고 전후 질서 구축의 초기 단계를 담당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가시쿠니노미야 -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히가시쿠니 나루히코는 육군 대장으로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고 내각총리대신으로 종전 절차를 주도했으며 102세로 사망했다.
  • 히가시쿠니노미야 - 히가시쿠니 시게코
    히가시쿠니 시게코는 쇼와 천황의 장녀로 태어나 히가시쿠니 모리히로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평민이 되어 잡지에 기고하다가 위암으로 사망했다.
  • 요나이 미쓰마사 - 스즈키 간타로 내각
    스즈키 간타로 내각은 1945년 4월 7일부터 8월 17일까지 존속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락과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결정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요나이 미쓰마사 - 하타 슌로쿠
    하타 슌로쿠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원수까지 올랐으며, 육군대신과 지나 파견군 총사령관 등을 지내며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에 관여했고,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가 가석방되었다.
  • 쇼와 시대의 내각 (일본 제국) - 스즈키 간타로 내각
    스즈키 간타로 내각은 1945년 4월 7일부터 8월 17일까지 존속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락과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결정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쇼와 시대의 내각 (일본 제국) - 도조 내각
    도조 내각은 도조 히데키가 이끈 전시 내각으로,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고 국가 동원 체제를 강화했으나, 무리한 전쟁으로 일본을 패망으로 이끌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개요
내각 명칭동쿠니 내각
총리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출범일1945년 8월 17일
종료일1945년 10월 9일
대수제43대
전임 내각스즈키 간타로 내각
후임 내각시데하라 내각
동쿠니노미야 내각
동쿠니노미야 내각
정치적 구성
정치 성향거국일치내각
여당무소속
군부 참여군부
의회 상황다수 (연립)
역사적 배경
성립 시기연합군 점령 시기 (1945년 8월 28일 ~)
의회제87회 제국의회
주요 인물
천황히로히토
총리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2. 성립 배경 및 특징

스즈키 간타로 내각이 총사직한 후, 1945년 8월 17일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를 총리로 하는 내각이 출범했다.[1] 패전 처리와 전후 복구라는 중대한 과제를 안고 있었던 이 내각은, 황족이자 육군 대장 출신인 히가시쿠니노미야 총리를 통해 군부 통제와 국민 통합을 이끌어낼 적임자로 여겨졌다.

히가시쿠니노미야는 황족이자 군인이었기 때문에 정치 경험은 전무했지만, 전쟁 패배 후의 국가 재건이라는 대의명분 아래 총리직을 수락했다. 그는 고노에 후미마로 전 총리에게 많은 것을 위임했고,[13] 각료 선발에는 오가타 다케토라(전 아사히 신문사 부사장)의 의향이 강하게 반영되었다.[14] 특히 아사히 신문 출신 인사들이 대거 기용되어 '아사히 내각'이라는 별칭을 얻었다.[15]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각료 명단 (1945년 8월 17일 ~ 1945년 10월 9일)[1]
직책이름비고
내각총리대신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황족
외무대신시게미쓰 마모루 ( ~ 1945년 9월 17일)
요시다 시게루 (1945년 9월 17일 ~ )
내무대신야마자키 이와오
대장대신쓰시마 주이치
육군대신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 ~ 1945년 8월 23일)
시모무라 사다무 (1945년 8월 23일 ~ )
육군 출신
해군대신요나이 미쓰마사해군 출신
사법대신이와타 주조
문부대신마쓰무라 겐조 ( ~ 1945년 8월 18일)
마에다 타몬 (1945년 8월 18일 ~ )
후생대신마쓰무라 겐조
대동아대신시게미쓰 마모루 ( ~ 1945년 8월 26일)
농상대신센고쿠 고타로 ( ~ 1945년 8월 26일)
농림대신센고쿠 고타로 (1945년 8월 26일 ~ )
군수대신나카지마 지쿠헤이 ( ~ 1945년 8월 26일)
상공대신나카지마 지쿠헤이 (1945년 8월 26일 ~ )
운수대신고비야마 나오토
국무대신고노에 후미마로
국무대신오가타 다케토라
국무대신오바타 도시로육군 출신
내각관방장관오가타 다케토라
내각관방부장관다카기 소키치해군 출신
내각법제국장관무라세 나오카이


2. 1. '일억 총참회'와 국체호지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총리는 취임 직후 기자 회견에서 "전 국민 총참회를 하는 것이 우리나라 재건의 첫걸음이며, 우리나라 내 단결의 첫걸음이라고 믿는다"라는, 이른바 "일억 총참회" 발언을 하여 혼란 수습에 힘썼다.[13] 이는 전쟁에 대한 국민적 반성과 책임을 강조하여, 당시 일본 국내외의 혼란을 수습하고 국가 재건의 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기서 "일억"은 당시 일본인(야마토 민족) 약 6천만 명 외에, 당시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대한민국(한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같은 주권 국가가 조선반도에 성립하지 않았고, 비일본령이 되었지만 향후 처리가 불투명했던 대만 및 조선반도 주민 약 4천만 명을 포함하여 "대일본제국 국민으로서 대동아 전쟁(태평양 전쟁)을 치른 자가 총참회"라고 표현한 것이다. 즉, 이 시점에서는 아직 국제법상 일본 국적을 상실하지 않았던 대만 및 조선반도 주민도 포함하여, 세계에 대해 패전 국민으로서 전쟁 중의 과오를 반성하고 참회한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일억 총참회'는 당시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의 주민들을 포함한 개념으로, 이들에 대한 전쟁 책임 전가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스즈키 간타로 내각에서 정한 "국체호지"(천황제 유지)를 주요 방침으로 삼았으나,[13] 이는 민주주의와 인권 존중을 요구하는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정책과 충돌하는 요인이 되었다.

3. 내각의 활동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포츠담 선언 수락에 따른 종전 조서 조인, 군대 해산, 연합군 진주 등 패전 처리를 위한 조치들을 이행했다.[2] "국체호지"와 "일억 총참회"를 양대 방침으로 삼아 혼란 수습과 전후 부흥을 위해 노력했다. "일억 총참회"는 당시 일본인뿐만 아니라 국제법상 일본 국적을 상실하지 않았던 대만 및 조선반도 주민도 포함하여, 전 세계에 대해 전쟁 중의 과오를 반성하고 참회한다는 의미였다.

1945년(쇼와 20년) 10월 4일 GHQ가 발령한 "자유의 지령"(인권 지령)에 대한 대처가 문제가 되었다.

3. 1.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와의 관계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연합국 최고사령부(GHQ)의 지령에 대응하며 전후 개혁을 추진해야 했다. 특히 1945년(쇼와 20년) 10월 4일 GHQ가 발표한 '자유의 지령'(인권 지령, "정치적, 시민적 및 종교적 자유에 대한 제한 철폐에 관한 각서")은 일본 국민의 인권 확보를 위해 치안유지법, 종교단체법 등의 폐지 및 정치범·사상범의 석방, 특별고등경찰(특고경찰)의 해체, "일본 공산당원 및 위반자의 계속 처벌"을 명시한 야마자키 이와오 내무대신을 비롯한 내무성 간부의 파면 등을 요구했다.[2]

그러나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이 지령을 실행하면 국내에서 공산주의 활동이 활발해져 혁명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여 지령 실행을 주저했고, 결국 내각 총사직에 이르렀다.[2]

4. 내각의 총사퇴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1945년 10월 4일 GHQ로부터 이른바 "자유의 지령"(인권 지령)을 받았다. 이 지령은 일본 국민의 인권 확보를 위해 치안유지법, 종교단체법 등의 폐지, 정치범·사상범 석방, 특별고등경찰 해체, 야마자키 이와오 내무대신을 비롯한 내무성 간부 파면 등을 요구했다.[2]

그러나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이 지령을 이행하면 국내에서 공산주의 활동이 활발해져 혁명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지령 이행을 주저했다. 결국 1945년 10월 5일 총사직 의향을 표명하고, 4일 후인 10월 9일 시데하라 내각(시데하라 기주로 총리)에 정권을 넘겨주고 총사퇴했다.[2]

4. 1. 평가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54일이라는 짧은 재임 기간에도 불구하고, 패전 직후의 혼란을 수습하고 전후 질서 구축의 초기 단계를 담당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은 취임 후 기자 회견에서 "전 국민 총참회를 하는 것이 우리나라 재건의 첫걸음이며, 우리나라 내 단결의 첫걸음이라고 믿는다"라며 '일억 총참회'를 주창했다.[2]

여기서 '일억'은 당시 일본인(야마토 민족) 인구가 약 6천만 명이었던 것에 비해 4천만 명이 부족한 숫자였다. 이는 당시 조선반도에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같은 주권 국가가 성립하기 전이었고, 대만 및 조선반도 주민 약 4천만 명을 포함하여 "대일본제국 국민으로서 대동아 전쟁(태평양 전쟁)을 치른 자가 총참회"해야 한다는 의미였다. 당시 국제법상 일본 국적을 상실하지 않았던 대만 및 조선반도 주민까지 포함하여, 패전국 국민으로서 전쟁 중의 과오를 반성하고 참회한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일억 총참회'는 한반도에 강제 동원되었던 조선인들에게 큰 상처를 남겼다는 비판을 받는다.

5. 각료 명단

담당 부처이름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황족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외무대신시게미쓰 마모루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9월 17일
요시다 시게루무소속1945년 9월 17일1945년 10월 9일
내무대신야마자키 이와오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대장대신쓰시마 주이치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육군대신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황족1945년 8월 17일1945년 8월 23일
시모무라 사다무군인 (육군)1945년 8월 23일1945년 10월 9일
해군대신요나이 미쓰마사군인 (해군)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사법대신이와타 주조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문부대신마쓰무라 겐조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8월 18일
마에다 타몬무소속1945년 8월 18일1945년 10월 9일
후생대신마쓰무라 겐조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대동아대신시게미쓰 마모루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8월 26일
농상대신센고쿠 고타로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8월 26일
농림대신센고쿠 고타로무소속1945년 8월 26일1945년 10월 9일
군수대신나카지마 지쿠헤이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8월 26일
상공대신1945년 8월 26일1945년 10월 9일
운수대신고비야마 나오토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국무대신고노에 후미마로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국무대신오가타 다케토라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국무대신오바타 도시로군인 (육군)1945년 8월 19일1945년 10월 9일
내각관방장관오가타 다케토라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내각관방부장관다카기 소키치군인 (해군)1945년 9월 19일1945년 10월 9일
내각법제국장관무라세 나오카이무소속1945년 8월 17일1945년 10월 9일
출처:[1]


5. 1. 국무대신

직함대수성명출신 등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총리대신43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4]--황족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육군대장
(육사 20기, 육대 26기)
육군대신 겸임첫 입각
외무대신64시게미쓰 마모루--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대동아대신 겸임1945년 9월 17일 면[5][6]
65요시다 시게루--외무성첫 입각
1945년 9월 17일 임[6]
내무대신62야마자키 이와오--내무성첫 입각
대장대신48쓰시마 주이치--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육군대신32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황족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육군대장
(육사 20기, 육대 26기)
내각총리대신 겸임첫 입각
1945년8월 23일 면 겸[7]
33시모무라 사다무--육군대장
(육사 20기, 육대 28기)
첫 입각
1945년 8월 23일 임
해군대신24요나이 미쓰마사--해군대장
(해병 29기, 해대 갑종 12기)
유임
사법대신46이와타 주조--귀족원
무소속
(동화회)
첫 입각
문부대신58마쓰무라 겐조--중의원
(대일본정치회→)
무소속
후생대신 겸임첫 입각
1945년8월 18일 면 겸[8]
59마에다 다몬--귀족원
무소속
(동성회)
첫 입각
1945년 8월 18일 임[8]
후생대신12마쓰무라 겐조--중의원
(대일본정치회→)
무소속
문부대신 겸임첫 입각
대동아대신5시게미쓰 마모루--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외무대신 겸임1945년 8월 26일 면 겸
(대동아성 폐지)1945년 8월 26일자
농상대신5센고쿠 고타로--귀족원
무소속
(무소속클럽)
첫 입각
1945년 8월 26일 면
(농상성 폐지)1945년 8월 26일자
농림대신(농림성 미설치)1945년8월 25일 설치
1센고쿠 고타로--귀족원
무소속
(무소속클럽)
1945년 8월 26일 임
군수대신5나카지마 지쿠헤이--중의원
(대일본정치회→)
무소속
예비역 해군기관대위
(해기 15기, 해대 기관과)
1945년 8월 26일 면
(군수성 폐지)1945년 8월 26일자
상공대신(상공성 미설치)1945년 8월 25일 설치
25나카지마 지쿠헤이--중의원
(대일본정치회→)
무소속
예비역 해군 기관대위
(해기 15기, 해대 기관과)
1945년 8월 26일 임
운수대신1고비야마 나오토
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유임
국무대신-고노에 후미마로--귀족원
무소속
(화요회)
공작
국무대신-오가타 다케토라--귀족원
무소속
(무회파)
내각서기관장 겸임
정보국 총재
국무대신-오바타 도시시로--예비역 육군중장
(육사 16기, 육대 23기)
첫 입각
1945년 8월 19일 임[9]


5. 2. 내각서기관장・법제국장관

무소속
(무회파)국무대신 겸임법제국 장관44무라세 나오카이--귀족원
무소속
(연구회)종합계획국 장관[10]유임내각 부서기관장(내각 부서기관장 미설치)1945년 9월 19일 설치-다카기 소키치--예비역 해군소장
(해대 갑종 25기)1945년 9월 19일 임명



1945년(쇼와 20년) 8월 17일 임명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Higashikuni no miya Cabinet http://www.kantei.go[...]
[2] 문서 2021年10月に自由民主党総裁の岸田文雄が内閣総理大臣に就任し、組閣した第1次岸田内閣が38日で総辞職したため、内閣の在任記録はこちらが最短となった(ただし、同年の第49回衆議院議員総選挙執行後に召集された特別会|特別国会(第206回国会)に於いて岸田が再び首相に選出され、約3年間首相を務めた)。
[3]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45-08-17
[4] 문서 内閣総理大臣としての正式な表記は宮号を冠さない'''内閣総理大臣稔彦王'''(ないかくそうりだいじんなるひこおう)であり、官報にもそのように掲載された。当時の報道等では'''東久邇総理大臣宮'''(ひがしくにそうりだいじんのみや)、'''東久邇首相宮'''(ひがしくにしゅしょうのみや)と呼称された。
[5] 문서 戦争犯罪人の処理に対する連合国軍総司令部、閣内の対立により更迭。
[6] 간행물 『官報』5608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45-09-20
[7] 문서 北支那方面軍司令官として満州に赴任していた下村が帰国するまでの5日間、総理が兼任していた。
[8]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45-08-18
[9] 간행물 『官報』第5584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45-08-23
[10] 문서 1945年(昭和20年)9月1日、総合計画局廃止。
[11] 문서 1945年(昭和20年)8月22日、前内閣の政務次官・参与官辞任。
[12] 간행물 『官報』第5587号「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1945-08-27
[13] 서적 作戦の鬼 小畑敏四郎
[14] 서적 緒方竹虎――情報組織の主宰者―― 吉川弘文館 1996
[15] 서적 病める巨象――朝日新聞私史―― 文藝春秋 1983
[16] 서적 占領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