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노 레인보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모델
- 참조
1. 개요
히노 레인보우는 히노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중형 버스 시리즈이다. 1964년 RM100 모델을 시작으로, BM계, RL계, RJ/RR계, AM/AC계, RB/AB계, 7M/7W계, HR계, 그리고 현재의 레인보우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다. 특히 RJ/RR계는 스켈레톤 차체를 도입하여 중형 버스의 이미지를 개선했으며, 1999년부터는 이스즈 엘가 J를 기반으로 한 HR계를 출시하여 저상버스 시장에도 진출했다. 2016년에는 현재의 레인보우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핀토
포드 핀토는 1970년대 포드가 폭스바겐 비틀 등 수입차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하고 판매한 소형차로, 후방 충돌 시 연료 탱크 파열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 때문에 안전성 논란과 기업 윤리 문제 사례 연구로 남아있다. - 1970년 도입된 자동차 - 토요타 셀리카
토요타 셀리카는 1970년부터 2006년까지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한 스포츠 쿠페로, 7세대에 걸쳐 다양한 모델을 선보였으며 랠리 분야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고, 2023년 사장의 재출시 희망 발언으로 새로운 모델 출시 가능성이 있다. - 히노 자동차의 차종 - 히노 세레가
히노 세레가는 1990년에 출시되어 히노 자동차의 대형 버스 라인업을 잇는 모델로, 풀 모델 체인지를 통해 외관을 일신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 히노 자동차의 차종 - 히노 듀트로
히노 듀트로는 히노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소형 상용 트럭으로, 다이하츠 델타 OEM 공급을 통해 처음 출시되었으며, 토요타 다이나와 자매차 관계를 맺었고,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및 다양한 엔진과 적재량 모델, 워크스루 구조 전기 자동차 개발 등으로 친환경성을 강조하고 있다. - 버스 차종 - 쌍용 트랜스타
쌍용 트랜스타는 쌍용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 O-404 버스를 개량하여 1994년에 출시한 대형 버스로, 혁신적인 특징과 해외 시장에서의 품질 인정에도 불구하고 1998년 경영난으로 단종되었다. - 버스 차종 -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코스터는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버스로, 1969년 다이나 플랫폼 기반으로 출시되어 현재 4세대까지 다양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대중교통, 스쿨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히노 레인보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J-Bus |
생산 기간 | 1970년-현재 |
전임 차종 | 히노 RL |
후임 차종 | 히노 리에쎄 |
후임 차종 (관광 코치) | 히노 메르파 |
차종 분류 | 완성차 버스 |
차종 분류 | 버스 차대 |
차체 스타일 | 단층 버스 |
차체 스타일 | 단층 코치 |
문 개수 | 1개 또는 2개 |
바닥 종류 | 계단식 입구 |
바닥 종류 | 저상 |
바닥 종류 | 저상 진입 |
관련 차종 | 이쓰즈 에르가-J |
관련 차종 | 이쓰즈 에르가 미오 |
관련 차종 | 이쓰즈 갈라 미오 |
별칭 | 이쓰즈 에르가 미오 |
엔진 | |
변속기 | 5단 수동 |
변속기 | 6단 수동 |
변속기 | 3단 자동 (7M/7W/RB/AB) |
변속기 | 5단 자동 (RJ/RR/HR/II) |
전장 | 7.0 ~ 10.5 미터 |
전폭 | 2.0 ~ 2.5 미터 |
전고 | 3.0 미터 |
2. 모델
- 히노 BM계 (1966년 ~ 1976년)
1966년 히노 자동차는 버스 라인업의 보급형 모델로 RM100계보다 작은 프런트 엔진 방식의 BM320계를 출시했다. 이 모델은 중형 트럭인 레인저(KM300계)와 섀시, 파워트레인을 공유하여, 초대 미쓰비시 로자(B10/B20계)와 같이 국산 캡오버 마이크로버스 중에서는 비교적 큰 편에 속했다. 원맨 운전에 용이한 앞쪽 승객용 출입문 덕분에 영업용으로 수요가 많았고, 삿포로 시영 버스 도심 순환선 등 노선 버스로도 활용되었다.[1]
차체 제작 업체는 테이코쿠 자동차 공업과 카나산 자동차 공업 두 곳이었다. 테이코쿠 자동차 공업제는 BM320T형, 카나산 자동차 공업제는 BM320K형으로, 두 모델 모두 직렬 4기통 엔진을 탑재했지만, 차체 스타일과 구조는 달랐다. 테이코쿠는 "컷 스타일"이라 불리는 각진 스켈레톤 바디를, 카나산은 둥근 형태의 세미 모노코크 바디를 채택했다. 카나산 제 바디는 앞 유리를 한 장 또는 두 장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1]
1969년 차명이 레인보우 BM으로 변경되었고,[1] 1970년에는 카나산 제 바디가 마이너 체인지되었다. 조수석 창문이 미닫이에서 삼각창+H고무 고정창으로 바뀌었고, 객석 창문 모서리의 둥근 부분도 사라졌다.[1]
1973년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전면 방향 지시등이 커졌고, 운전석 도어가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카나산 제 바디에 운전석 도어를 장착하면 조수석 창문은 미닫이 방식이 되었다.[1]
- 히노 RM계
1964년, 히노 자동차는 최초로 중형 리어 엔진 버스 RM100을 출시했다. 1975년에는 엔진을 예연소실 방식의 EH300(160PS)으로 변경한 RL300/RL320으로 마이너 체인지되었다. RL300은 기존의 RL100과 동일한 크기였지만, RL320은 전장 및 리어 오버행을 연장하여 후륜보다 뒤쪽에 문을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1]
- 히노 RL계
1964년 히노 자동차 최초의 중형 리어 엔진 버스 RM100이 탄생했다. 이후 RM100을 발전시킨 RL100(1970년), RL300/320(1975년), K-RL301/321(1980년) 모델들이 출시되었다.

조모 전기 철도
- 히노 레인보우 RJ계/RR계 (시내버스 사양)
1980년에 히노 레인보우 RJ가 탄생했다. 차체는 직선적인 스켈레톤 구조로, 중형 버스의 이미지를 새롭게 바꾸었다. 초기 모델은 쇼와 54년 배출 가스 규제(K-)에 적합하며, 전장에 따라 K-RJ170AA 또는 K-RJ172AA 모델이 있었다. 엔진은 EH700형(직렬 6기통, 170 PS)을 사용했다. 1982년에는 판스프링과 공기 스프링을 함께 사용한 레인보우 RR이 추가되었다.
1984년에는 쇼와 58년 배출 가스 규제(P-)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졌다. P-RJ170/172BA, P-RR170/172BA로 변경되었고, 엔진은 H07C형(직렬 6기통・175 PS)으로 바뀌었다. 1988년, 관광형과 함께 차체가 완전히 모델 체인지되었다. P-RJ171/172CA, P-RR171/172CA로 변경되었고, 엔진은 H07C형(직렬 6기통, 180 PS)이다. 엔진 원키 조작이 기본으로 설정되었다. 직선적인 스타일은 유지되었지만, 모서리가 부드러워지고 전조등은 원형 4등이 표준(사각도 선택 가능)이 되었다.
1990년 7월에는 1989년 배출가스 규제(U-)에 대응했다.[24] 엔진은 H07D형(직렬 6기통, 195 PS)으로 변경되었고, 형식은 RJ/RR3H계가 되었다. 1993년에는 5단 자동변속기 사양이 추가되었고, 저상차는 5단 수동변속기가 표준 장착되었다.
1995년에는 1994년 배출가스 규제(KC-)에 대응했다. 엔진은 J08C형(직렬 6기통, 215 PS)으로 변경되었고, 스티어링 휠 형태와 제조사 엠블럼이 변경되었다. 전조등은 각형 4등으로 바뀌었다. 1997년 3월에는 원스텝 차량이 추가되었고, 아이들링 스톱 장치도 설정되었다.[2]
1999년에는 1998년 배출 가스 규제(KK-)에 대응했다. 9m 장척차만 남게 되었고, 바닥 형태는 투스텝 표준 바닥, 저상, 원스텝의 3종류가 되었다. 엔진은 J08C형(직렬 6기통, 넷 220 PS)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원스텝 차에 에어 서스펜션 차(KK-RJ1JJHK 개)가 추가되었다. 2001년 이후 RR 노선 계는 소멸되었고, 특장용이 중심이 되었다.[2]
2004년 8월, 이스즈 자동차와의 버스 사업 통합으로 인해 제조가 종료되었다.
- 히노 레인보우 RJ계/RR계 (전세버스, 자가용 사양)
1980년에 최초로 출시되었고 엔진은 EH700형이 탑재되었다. 숏타입은 RJ170A계, 롱타입은 RJ172A계 사양이 있다. 차체는 스켈레톤 RS 모델의 숏타입 모델이다. 1982년에 에어 서스펜션 사양인 RR계가 출시되면서 전세버스 모델이 되었고 기존 RJ계 모델은 자가용 사양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1984년에 마이너 체인지로 엔진은 W07형, 전세버스 사양인 H06C-T형이 탑재되었다. 형식은 터보 사양인 P-RR192계, 일반 엔진의 경우 P-RJ/RR170/2B계이다.[1]
1988년 풀모델 체인지로 차체가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전조등이 변경되었고 차량 엠블럼이 변경되었다. 엔진은 H07C형, H06C-T형이 탑재되었다. 1990년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로 엔진은 H07D형, H07C-T형으로 변경되었고 형식도 U-RJ/RR 3H/2HG/JAA계이다. 1995년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로 엔진은 J-II형과 인터쿨러 터보 사양인 JT-I형이 탑재되었다. RR계 모델은 숏타입이고, RJ계는 롱타입이다. 1999년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히노 멜프라 9 모델로 풀모델 체인지가 되었다.[1]



- 히노 레인보우 AM계/AC계
1976년에 프론트 엔진 사양인 BM32계의 후속으로 AM100계 모델이 출시되었다. 차체 골격 구조를 처음으로 도입되었고 프론트 엔진 사양에 중형 버스 수준의 넓은 모델이 특징이다. 또한 자가용 및 시내버스 사양 외에도 전세버스에도 출시되었다. 엔진은 EC100형이 탑재되었고 히노 레인저 모델과 비슷한 일체형 프론트 마스크가 특징이다.[1]
1980년에 엔진이 EH100형으로 변경과 동시에 형식도 K-AM101계로 변경되었다. 이 차량은 1979년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한 차량이다.[1]
1983년에 마이너 체인지로 AC140계로 변경되었고 엔진은 W06C형이 탑재되었다. 형식은 P-AC140AA이다. 자가용 및 전세버스 및 시내버스 사양에 2도어 사양이 판매되었다.[1]
1988년에 히노 레인보우 7W계의 출시로 단종되었다.[1]

- 히노 레인보우 RB계/AB계
히노 레인보우 RB계/AB계는 미니버스로, 관광 코치로 제작되었다.


- 히노 레인보우 7M(CH계)/7W(RH계) (1987년 ~ 1995년)
1987년에 7m급 사양으로 기존 AC계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P-CH160AA, P-RH160AA이다. 7W계는 RB계의 확장형 모델로 차체가 특장차를 기반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엔진은 W06E형이 탑재되었다. 1990년 1월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를 하면서 7M계 엔진은 H07D형으로 탑재되었고 엔진 출력이 향상되었고 뒷좌석에 트렁크가 설치됨과 동시에 개량되었다. U-CH3HFAA, U-RH1WFAA이며, W04C-TI형 엔진이 탑재되었다. 1991년에 7W계 모델이 전장 단축과 동시에 중문에서 앞문으로 변경되었고 전세버스 사양과 2도어 사양도 추가되었다. U-RH1WFBA이다.
1995년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로 7M계 엔진이 J08C형으로 변경되었다. KC-CH1JFAA로 7W계의 경우 엔진은 J05C-TI형이 탑재되었고 3단 AT가 옵션으로 추가되었으며, KC-RH4JEAA이다. 1998년 7월에 풀모델 체인지로 히노 멜프라 7 모델로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7M계가 멜프라 7CH계로, 7W계에서 멜프라 7RH계로 변경되었고 2004년까지 생산되었다.




- 히노 레인보우 HR계, 이스즈 엘가 J (1999년 ~ 2010년)
1999년에 논스텝 버스 전용 모델인 '''히노 레인보우 HR'''이 등장했다. 7m, 9m, 10.5m의 세 가지 차체 길이로 출시되었으나, 이후 라인업 정리를 통해 중형 장척형인 10.5m 모델만 남게 되었다.
레인보우 HR은 레인보우 RJ・RR (노선계)의 논스텝 버전 후속 차종으로, 1999년 12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레인보우 RJ와 병행 판매되었다. 초기에는 히노 차체 공업에서 제조되었으나, 이스즈 자동차와 히노의 버스 제조 사업 통합으로 설립된 제이 버스에 흡수 합병되어 생산 종료 시까지 제이 버스 고마츠 사업소에서 제조되었다. 이스즈 자동차에는 엘가 J라는 이름으로 OEM 공급되었다.
2004년 10월 1일, 제조사가 히노 차체 공업에서 제이 버스 고마츠 사업소로 변경되었다. 이후 레인보우 HR이 신 단기 규제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되면서 레인보우 RJ가 단종되어, 차명이 '''레인보우'''로 변경되었다.
- 히노 레인보우 II (2004년 ~ 2016년)
'''레인보우II'''는 이스즈 엘가미오의 OEM 차량으로 등장하여, 이후 동차량과의 통합 차종이 된 중형 노선 버스이다. 이 세대에서는 히노 자동차에서 디젤 논스텝 버스인 HR계 레인보우가 출시되었기 때문에, 디젤 논스텝 버스를 제외한 디젤 원스텝 버스와 CNG 논스텝 버스가 이스즈 자동차에서 '''레인보우II'''로 OEM 공급되었다. 이는 제이 버스 우쓰노미야 사업소에서 제조되었으며, 외관 및 사양은 엘가미오와 동일하여 구별하기 어렵다.
- 히노 레인보우 (2016년 ~ 현재)
히노 레인보우는 이스즈 엘가 미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레인보우 II와 완전히 유사하며, 둥근 지붕 돔, 이중 곡선 앞 유리창, 별도로 장착된 행선지 표시기를 갖추고 있다. 2016년에 "레인보우 II"에서 "레인보우"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2017년 이후로는 엘가미오와 함께 일본에서 제조되는 유일한 중형 노선 버스 차량이다.
2017년 8월 8일에 헤이세이 28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한 모델이 발표되었고(배출 가스 규제 기호 "2KG-"), 8월 29일에 출시되었다.[17] 로우 빔과 차폭등이 LED화되었고, 요소 SCR 시스템이 채용되었다.[17]
2019년 7월 1일에는 운전자 이상 시 대응 시스템(EDSS)이 표준 장착된 모델이 출시되었다.[18][19][20]
2020년 6월 17일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 2세대 레인보우(KR290계) 최초의 토크 컨버터식 자동변속기가 설정되었다. (형식 변경은 없음)
2023년 1월 31일, 운전자 이상 시 대응 시스템(EDSS)을 자동 감지식으로 개선한 모델이 출시되었다.[21] 변속기는 AMT가 없어지고 6단 AT만 적용되었다.[22]
2. 1. 히노 RM계
1964년, 히노 자동차는 최초로 중형 리어 엔진 버스 RM100을 출시했다. 1975년에는 엔진을 예연소실 방식의 EH300(160PS)으로 변경한 RL300/RL320으로 마이너 체인지되었다. RL300은 기존의 RL100과 동일한 크기였지만, RL320은 전장 및 리어 오버행을 연장하여 후륜보다 뒤쪽에 문을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1]2. 1. 1. RM100 (1964년)
1964년에 히노 자동차 최초로 중형 리어 엔진 버스 모델로 출시되었다. 엔진은 DM100형(90 PS)이 탑재되었고, 히노 레인저와 주요 부품을 공유하여 가격은 일반 버스보다 저렴했다. 차체는 RB10/RC100계를 축소한 스타일로, 자가용이나 시내버스로 도입되었다. 1967년에 엔진 출력을 100 PS로 향상시키면서 성능이 개선되었다.[1]
2. 2. 히노 BM계 (1966년 ~ 1976년)
1966년 히노 자동차는 버스 라인업의 보급형 모델로 RM100계보다 작은 프런트 엔진 방식의 BM320계를 출시했다. 이 모델은 중형 트럭인 레인저(KM300계)와 섀시, 파워트레인을 공유하여, 초대 미쓰비시 로자(B10/B20계)와 같이 국산 캡오버 마이크로버스 중에서는 비교적 큰 편에 속했다. 원맨 운전에 용이한 앞쪽 승객용 출입문 덕분에 영업용으로 수요가 많았고, 삿포로 시영 버스 도심 순환선 등 노선 버스로도 활용되었다.[1]차체 제작 업체는 테이코쿠 자동차 공업과 카나산 자동차 공업 두 곳이었다. 테이코쿠 자동차 공업제는 BM320T형, 카나산 자동차 공업제는 BM320K형으로, 두 모델 모두 직렬 4기통 엔진을 탑재했지만, 차체 스타일과 구조는 달랐다. 테이코쿠는 "컷 스타일"이라 불리는 각진 스켈레톤 바디를, 카나산은 둥근 형태의 세미 모노코크 바디를 채택했다. 카나산 제 바디는 앞 유리를 한 장 또는 두 장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1]
1969년 차명이 레인보우 BM으로 변경되었고,[1] 1970년에는 카나산 제 바디가 마이너 체인지되었다. 조수석 창문이 미닫이에서 삼각창+H고무 고정창으로 바뀌었고, 객석 창문 모서리의 둥근 부분도 사라졌다.[1]
1973년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전면 방향 지시등이 커졌고, 운전석 도어가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카나산 제 바디에 운전석 도어를 장착하면 조수석 창문은 미닫이 방식이 되었다.[1]
2. 2. 1. BM320
1966년에 히노 자동차 버스 라인업의 보급형 모델을 담당하기 위해 RM100계보다 더욱 소형의 프런트 엔진차인 BM320계가 등장했다. 섀시와 파워트레인을 중형 트럭인 레인저(KM300계)와 공유하기 때문에, 초대 미쓰비시 로자(B10/B20계)와 마찬가지로, 국산 캡오버 마이크로버스로서는 다소 대형에 속한다. 원맨 운전에 편리한 앞쪽의 승객용 출입문과 함께 영업용 수요가 많아, 삿포로 시영 버스의 도심 순환선 등 노선 버스로도 사용되었다.[1]차체 제작 업체는 2개사가 있었으며, 테이코쿠 자동차 공업제는 BM320T형, 카나산 자동차 공업제는 BM320K형이다. 두 모델 모두 직렬 4기통 엔진을 탑재하지만, 차체의 스타일과 구조는 달랐으며, 테이코쿠는 "컷 스타일"이라고 불리는 각형 스켈레톤 바디를 채용했고, 카나산은 원형의 세미 모노코크 바디였다. 또한, 카나산 제 바디의 앞 유리는 한 장 또는 두 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다.[1]
1969년에 차명이 레인보우 BM으로 변경되었다.[1]
1970년에 카나산 제 바디를 마이너 체인지했다. 조수석 창문을 미닫이에서 삼각창+H고무의 고정창으로 변경하고, 객석 창문도 모서리의 둥근 부분이 사라졌다.[1]
1973년에 마이너 체인지했다. 전면 방향 지시등이 대형화되었다. 운전석 도어를 옵션으로 설정했다. 또한, 카나산 제 바디에 운전석 도어를 장착한 경우, 조수석 창문은 미닫이 방식이 된다.[1]
2. 3. 히노 RL계
조모 전기 철도]]2. 3. 1. RL100 (1970년)
1970년에 출시된 모델로 기존 RM100 모델의 후속이다. 엔진은 EC100형이 탑재되었고 차체는 기존 RM 100 모델과 마찬가지로 RB10계, RC100계의 단축 사양이다. 차체 스타일은 RE100/RC300계를 축소한 형태가 되었다.[1]
2. 3. 2. RL300/320 (1975년)
1975년에 마이너 체인지로 출시된 모델로 엔진은 EH300형이 탑재되었다. RL300은 기존 RL100과 동일하나, RL320은 길이와 리어 오버행이 연장되었고 후륜에 출입문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2. 3. 3. K-RL301/321 (1980년)
1980년에 RL 모델의 마이너 체인지로 출시된 모델로, 1979년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EH700형 엔진을 탑재했다. 차체는 종전 모델인 RL300/320과 동일하다.2. 4. 히노 레인보우 RJ계/RR계 (시내버스 사양)
1980년에 히노 레인보우 RJ가 탄생했다. 차체는 직선적인 스켈레톤 구조로, 중형 버스의 이미지를 새롭게 바꾸었다. 초기 모델은 쇼와 54년 배출 가스 규제(K-)에 적합하며, 전장에 따라 K-RJ170AA 또는 K-RJ172AA 모델이 있었다. 엔진은 EH700형(직렬 6기통, 170 PS)을 사용했다. 1982년에는 판스프링과 공기 스프링을 함께 사용한 레인보우 RR이 추가되었다.1984년에는 쇼와 58년 배출 가스 규제(P-)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졌다. 형식은 P-RJ170/172BA, P-RR170/172BA로 변경되었고, 엔진은 H07C형(직렬 6기통・175 PS)으로 바뀌었다. 1988년, 관광형과 함께 차체가 완전히 모델 체인지되었다. 형식은 P-RJ171/172CA, P-RR171/172CA로 변경되었고, 엔진은 H07C형(직렬 6기통, 180 PS)이다. 엔진 원키 조작이 기본으로 설정되었다. 직선적인 스타일은 유지되었지만, 모서리가 부드러워지고 전조등은 원형 4등이 표준(사각도 선택 가능)이 되었다.
1990년 7월에는 1989년 배출가스 규제(U-)에 대응했다.[24] 엔진은 H07D형(직렬 6기통, 195 PS)으로 변경되었고, 형식은 RJ/RR3H계가 되었다. 1993년에는 5단 자동변속기 사양이 추가되었고, 저상차는 5단 수동변속기가 표준 장착되었다.
1995년에는 1994년 배출가스 규제(KC-)에 대응했다. 엔진은 J08C형(직렬 6기통, 215 PS)으로 변경되었고, 스티어링 휠 형태와 제조사 엠블럼이 변경되었다. 전조등은 각형 4등으로 바뀌었다. 1997년 3월에는 원스텝 차량이 추가되었고, 아이들링 스톱 장치도 설정되었다.[2]
1999년에는 1998년 배출 가스 규제(KK-)에 대응했다. 9m 장척차만 남게 되었고, 바닥 형태는 투스텝 표준 바닥, 저상, 원스텝의 3종류가 되었다. 엔진은 J08C형(직렬 6기통, 넷 220 PS)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는 원스텝 차에 에어 서스펜션 차(KK-RJ1JJHK 개)가 추가되었다. 2001년 이후 RR 노선 계는 소멸되었고, 특장용이 중심이 되었다.[2]
2004년 8월, 이스즈 자동차와의 버스 사업 통합으로 인해 제조가 종료되었다.
2. 4. 1. K-RJ계/RR계 (1980년)
1980년에 이전까지의 모노코크 차체를 가진 RL계를 모델 체인지하여 '''레인보우 RJ'''가 탄생했다. 차체는 직선적인 스켈레톤 (멀티 튜브 프레임) 구조가 되어, 중형 버스에 대한 이미지를 일신했다.노선 계열은 측창이 2연 유닛식이 된 상하가 좁은 2단식이 표준으로, 창 위의 막판이 넓은 것이 특징이다. 전면은 좌우 각각 1개씩의 둥근 전조등이 특징이며, "두 눈"이라고 부르는 팬도 있다. 전조등은 둥근 4등/각진 4등도 선택할 수 있었다. 전면 창도 좌측 하단이 우측보다 내려간 시야 확대 타입이 특징이다. 당초에는 전면 대형 방향 지시 막은 옵션이었고, 냉방 장치도 마찬가지였다.
초기 모델은 쇼와 54년 배출 가스 규제(규제 기호:K-) 적합 차량으로, 전장에 따라 K-RJ170AA 또는 K-RJ172AA가 존재했다. 엔진은 RL계의 최종 모델에 탑재된 EH700형(직렬 6기통, 170 PS)이 계속 채용되었다. 전면에 대형 방향 지시 막을 탑재하는 경우 해당 부분이 융기했다. 냉방 장치는 직결식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전방 지붕 위에 증발기가 탑재되어 독특한 외관이 되었다. 사업자에 따라서는 독립 기관식(서브 엔진식)도 선택되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당초에는 규격형이 아닌, 세로 3련식이었다.
1982년에 판스프링 병용 공기 스프링 장착 '''레인보우 RR'''이 추가되었다.
2. 4. 2. P-RJ계/RR계 (1984년)
1984년에 출시된 모델로 1983년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한 모델이다. 엔진은 H07C형이 탑재되었다. 1985년에 엠블럼이 변경되었다. 1988년에 풀모델 체인지로 직선적인 스타일은 기존 모델과 동일하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느낌으로 개선과 동시에 전조등도 변경되었다.[2]1984년, 쇼와 58년 배출 가스 규제(규제 기호:P-) 적합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졌다. 형식은 마지막 문자가 AA에서 BA로 변경되었다.(P-RJ170/172BA, P-RR170/172BA). 엔진은 H07C형(직렬 6기통・175 PS)으로 변경되었다.
대형 방향막이 표준이 되었으며, 전면의 대형 방향막 부분의 지붕 융기가 없어졌다. 또한, 운전석계기판 등을 일신했다. 측면 창문은 2단식 외에, 미닫이식(킨키 일본 철도, 엔슈 철도 등), 역 T자형 창문(한큐 버스, 도쿄 도 교통국 등)도 보였다. 엠블럼은 필기체로 "Rainbow"라고 쓰인 것이 전면에 비스듬하게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았지만, 1985년경까지 대형 차량 등에서도 보였던, 후면에 "Hino RJ" 엠블럼이 장착되어 있었다.
; P-RJ

하코네 등산 철도
P-RJ172BA
1988년, 관광형과 함께 차체의 완전한 모델 체인지가 이루어졌다. 모델 체인지 전과 비교하여 형식은 마지막이 CA로 변경되었다.(P-RJ171/172CA, P-RR171/172CA). 엔진은 H07C형(직렬 6기통, 180 PS)이다.
엔진 원키 조작이 기본 설정되었다.
직선적인 스타일은 변하지 않았지만, 모서리가 부드러운 인상으로 바뀌어 이미지를 일신했다. 전조등은 원형 4등이 표준(사각도 선택 가능)이 되었다. 측면 창에 대해서도 상하가 확대되었지만, 전면 창은 구형 모델을 이어받아, 왼쪽 아래 변이 내려간 시야 확대형이 계속되었다.
2. 4. 3. U-RJ계/RR계 (1990년)
1990년 7월에 출시된 모델로 1989년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한 모델이다.[24] 엔진은 H07D형이 탑재되었고 차량 형식도 변경되면서 RJ/RR3H계란 명칭을 사용했다. 1993년에 5단 자동변속기 사양이 추가되었다. 기존 저상버스 모델의 경우 5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었다. 추가 옵션으로 4등 라이트와 리어 램프가 별도로 존재했다.2. 4. 4. KC-RJ계/RR계 (1995년)
1995년에 출시된 모델로 1994년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한 모델이다. 엔진은 J08C형이 탑재되었다. 또한 휠 모양이 변경되었고 엠블럼이 현재의 엠블럼으로 변경되었으며 전조등이 개선되었다. 1997년 3월에 1계단 사양이 추가되었다. 이 시기부터 서일본 차체 공업에서 제작된 차체로 생산하기 시작했고 공회전 기능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2]



2. 4. 5. KK-RJ계/RR계 (1999년)
1999년에 출시된 모델로 1998년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한 모델이다. 7m급 사양이 단종되었고 9m급 사양만 생산했다. 고상형 버스와 저상버스 3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되었고 이 중 RJ계의 경우 저상버스와 1계단 사양만 존재했다. 엔진은 J08C형이 탑재되었다. 휠파크식 주차 브레이크와 충격 흡수에 대응한 스티어링 휠이 장착되었다. 2000년에 개조 사양으로 1계단 사양에 에어 서스펜션 사양이 추가되었다. 2001년에 RR계 시내버스 사양이 단종되면서 KK-RJ계만 생산하게 되었다.[2]2003년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를 추진했으나 이스즈 자동차와 버스 사업부문이 통합되면서 2004년 8월에 단종되었다.
2. 5. 히노 레인보우 RJ계/RR계 (전세버스, 자가용 사양)
1980년에 최초로 출시되었고 엔진은 EH700형이 탑재되었다. 숏타입은 RJ170A계, 롱타입은 RJ172A계 사양이 있다. 차체는 스켈레톤 RS 모델의 숏타입 모델이다. 1982년에 에어 서스펜션 사양인 RR계가 출시되면서 전세버스 모델이 되었고 기존 RJ계 모델은 자가용 사양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1984년에 마이너 체인지로 엔진은 W07형, 전세버스 사양인 H06C-T형이 탑재되었다. 형식은 터보 사양인 P-RR192계, 일반 엔진의 경우 P-RJ/RR170/2B계이다.[1]1988년 풀모델 체인지로 차체가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전조등이 변경되었고 차량 엠블럼이 변경되었다. 엔진은 H07C형, H06C-T형이 탑재되었다. 1990년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로 엔진은 H07D형, H07C-T형으로 변경되었고 형식도 U-RJ/RR 3H/2HG/JAA계이다. 1995년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로 엔진은 J-II형과 인터쿨러 터보 사양인 JT-I형이 탑재되었다. RR계 모델은 숏타입이고, RJ계는 롱타입이다. 1999년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히노 멜프라 9 모델로 풀모델 체인지가 되었다.[1]
2. 6. 히노 레인보우 AM계/AC계
1976년에 프론트 엔진 사양인 BM32계의 후속으로 AM100계 모델이 출시되었다. 차체 골격 구조를 처음으로 도입되었고 프론트 엔진 사양에 중형 버스 수준의 넓은 모델이 특징이다. 또한 자가용 및 시내버스 사양 외에도 전세버스에도 출시되었다. 엔진은 EC100형이 탑재되었고 히노 레인저 모델과 비슷한 일체형 프론트 마스크가 특징이다.[1]1980년에 엔진이 EH100형으로 변경과 동시에 형식도 K-AM101계로 변경되었다. 이 차량은 1979년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한 차량이다.[1]
1983년에 마이너 체인지로 AC140계로 변경되었고 엔진은 W06C형이 탑재되었다. 형식은 P-AC140AA이다. 자가용 및 전세버스 및 시내버스 사양에 2도어 사양이 판매되었다.[1]
1988년에 히노 레인보우 7W계의 출시로 단종되었다.[1]
2. 7. 히노 레인보우 RB계/AB계
히노 레인보우 RB계/AB계는 미니버스로, 관광 코치로 제작되었다.2. 7. 1. P-RB145/AB115 (1985년)
1985년 2월에 출시되었다. RB계는 리어 엔진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P-AB115AA형과 P-RB115AA형은 W04D형 엔진을 탑재했고, P-RB145AA형은 W04CT형 엔진을 탑재했다.
레인보우 RB(후방 엔진)/AB(전방 엔진)는 미니버스로, 관광 코치로 제작되었다.
2. 7. 2. U-RB1W/AB2W (1990년)
1990년 2월에 출시되었다. RB계 엔진은 U-RB1WGAA형이 W04C-T형을 탑재했고, U-RB2WGAA형은 W04D형을 탑재했다. AB계 엔진은 U-AB2WGAA형이 W04D형을 탑재했다. 1992년에 풀모델 체인지로 RB계는 전장이 축소되고 앞문 사양이 추가되었다. 엔진은 앞문 사양인 U-RB1WEAA형의 경우 W04C-TI형, W04C-T형이 탑재되었다. 중간문 사양의 경우 W04D형을 탑재했다. 1993년에 인터쿨러 터보 사양이 추가되었다. 앞문 차량 사양은 파워 스티어링도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1995년에 풀모델 체인지로 RB계는 RX계로 모델이 변경되었고 히노 리에세란 명칭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와 동시에 AB계는 단종했으나, 1996년 토요타 자동차의 OEM 공급으로 인해 히노 리에세 II 모델이 출시와 동시에 단종되었다.
레인보우 RB(후방 엔진)/AB(전방 엔진)는 미니버스로, 관광 코치로 제작되었다.
2. 8. 히노 레인보우 7M(CH계)/7W(RH계) (1987년 ~ 1995년)
1987년에 7m급 사양으로 기존 AC계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형식은 P-CH160AA, P-RH160AA이다. 7W계는 RB계의 확장형 모델로 차체가 특장차를 기반으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엔진은 W06E형이 탑재되었다. 1990년 1월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를 하면서 7M계 엔진은 H07D형으로 탑재되었고 엔진 출력이 향상되었고 뒷좌석에 트렁크가 설치됨과 동시에 개량되었다. 형식은 U-CH3HFAA, U-RH1WFAA이며, W04C-TI형 엔진이 탑재되었다. 1991년에 7W계 모델이 전장 단축과 동시에 중문에서 앞문으로 변경되었고 전세버스 사양과 2도어 사양도 추가되었다. 형식은 U-RH1WFBA이다.1995년에 배출가스 규제 대응에 따라 마이너 체인지로 7M계 엔진이 J08C형으로 변경되었다. 형식은 KC-CH1JFAA로 7W계의 경우 엔진은 J05C-TI형이 탑재되었고 3단 AT가 옵션으로 추가되었으며, 형식은 KC-RH4JEAA이다. 1998년 7월에 풀모델 체인지로 히노 멜프라 7 모델로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7M계가 멜프라 7CH계로, 7W계에서 멜프라 7RH계로 변경되었고 2004년까지 생산되었다.
2. 9. 히노 레인보우 HR계, 이스즈 엘가 J (1999년 ~ 2010년)
1999년에 논스텝 버스 전용 모델인 '''히노 레인보우 HR'''이 등장했다. 7m, 9m, 10.5m의 세 가지 차체 길이로 출시되었으나, 이후 라인업 정리를 통해 중형 장척형인 10.5m 모델만 남게 되었다.레인보우 HR은 레인보우 RJ・RR (노선계)의 논스텝 버전 후속 차종으로, 1999년 12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레인보우 RJ와 병행 판매되었다. 초기에는 히노 차체 공업에서 제조되었으나, 이스즈 자동차와 히노의 버스 제조 사업 통합으로 설립된 제이 버스에 흡수 합병되어 생산 종료 시까지 제이 버스 고마츠 사업소에서 제조되었다. 이스즈 자동차에는 엘가 J라는 이름으로 OEM 공급되었다.
HR계는 개조 사양이 많았는데, CNG 차량은 플랫 필드에서 개조하여 커뮤니티 버스나 이요테츠 버스 등에 납품되었다.[6][7]
2004년 10월 1일, 제조사가 히노 차체 공업에서 제이 버스 고마츠 사업소로 변경되었다. 이후 레인보우 HR이 신 단기 규제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되면서 레인보우 RJ가 단종되어, 차명이 '''레인보우'''로 변경되었다.
KK계, KL-HR계, PB계, PK-HR계, BDG-HR7JPBE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9. 1. KK계, KL-HR계 (1999년)
(WB 3.35m)(WB 4.6m)
(WB 5.48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