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로사와 사네오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로사와 사네오미는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약한 조슈번 출신의 무사이다. 그는 존왕양이 운동에 참여하고, 막부 말기에는 사쓰마번과의 동맹을 추진하는 등 토막 활동을 펼쳤다. 유신 정부 수립 후에는 군무관, 참의 등을 역임하며 메이지 유신에 기여했지만, 1871년 자객의 습격을 받아 암살당했다. 그의 사후, 히로사와 가는 화족에 편입되었고, 그의 일기는 막말 유신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암살 사건의 배후는 현재까지 미스터리로 남아 있으며,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로사와 사네오미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히로사와 사네오미 - 유신십걸
    유신십걸은 일본 메이지 유신에 기여한 주요 인물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 등이 포함되었으며 정부 수립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지만, 일부는 암살되거나 처형되는 비극을 맞이했다.
  • 일본 제국의 관료 - 마쓰다이라 야스마사 (후작)
    마쓰다이라 야스마사는 일본 제국의 후작이자 정치인으로, 귀족원 의원, 내대신 비서관장, 식부두 등을 역임하며 교토 제국대학 법학부 졸업 후 영국과 프랑스 유학, 귀족원 연구회 활동, 쇼와 천황 측근 활동과 저서 집필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일본 제국의 관료 - 엔도 류사쿠
    엔도 류사쿠는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조선총독부 관료, 지바현, 아오모리현, 미에현 지사, 만주국 총무청장, 아베 노부유키 내각의 내각서기관장,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등을 지낸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해방 후에는 무사시노 은행 창립 기여 및 참의원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친일 행적 비판과 더불어 여운형과의 교섭을 통해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발족을 지원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일본의 암살된 정치인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일본 사회당 위원장으로, 사회주의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일본 노농당 창립, 도쿄 시의회 의원, 국회 의원, 사회당 재건, 헌법 9조 개정 및 재군사화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1960년 미일 안보 조약 개정 반대 투쟁 중 극우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 일본의 암살된 정치인 - 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마코토는 일본 제국의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대신,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 등을 역임하며 해군력 확장, 문화 통치 추진, 만주국 승인, 국제연맹 탈퇴 등의 행적을 남겼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히로사와 사네오미
기본 정보
씨명히로사와
이름마사오미
로마자 표기Hirosawa Saneomi
시대에도 시대 말기 (막말) - 메이지 시대 초기
출생덴포 4년 12월 29일 (1834년2월 7일)
사망메이지 4년 1월 9일 (1871년2월 27일)
개명아명: 기노신
초명: 나오아쓰
호: 쇼가쿠, 고잔
이명하타노 킨고
시호없음
계명없음
묘소쇼인 신사
관위증 종2위
막부에도 막부 → 메이지 정부
주군없음
조슈 번
씨족없음
부모아버지: 가시와무라 야스토시
양아버지: 하타노 나오타다
형제가시와무라 가즈마
마사오미
배우자하타노 나오타다의 딸
자녀긴지로
히로사와 사네오미
히로사와 마사오미

2. 생애

나가토국 조슈번사 가시무라 안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고카 원년 12월, 같은 번사인 하타노 나오타다의 사위 양자가 되어 '''하타노 킨고'''라고 칭했다.

번교인 명륜관에서 배우고, 가에이 6년 흑선 내항 당시에는 오모리 다이바 경비를 위해 출장했다. 안세이 6년에는 번의 군정 개혁에 참여하는 등 존왕양이파로서 활약했다. 이후 번 세자 모리 사다히로와 함께 입락(入洛)하여, 기도 다카요시, 구사카 겐즈이의 지휘 아래 교토 주재의 사무 담당자로 헌신했다.

겐지 원년, 조슈번은 금문의 변, 시모노세키 전쟁, 제1차 조슈 정벌 등 잇따른 재난으로 인해, 번 내부의 정권 투쟁에서 주전파(주로 정의파)가 공순파(주로 속론파)에게 패배한 결과, 하타노도 투옥되었지만, 정의파가 아니었기에 처형을 면했다. 게이오 원년, 다카스기 신사쿠,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등 정의파가 쿠데타로 번의 실권을 장악하자, 중간파였던 하타노가 정무역(政務役)으로서 번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같은 해 4월 4일, 번의 명령에 의해 '''히로사와 도이에몬'''으로 개명했고, 다음 달인 5월 6일에는 '''히로사와 효스케'''로 개명했다.

게이오 2년 8월 말의 제2차 조슈 정벌의 강화 교섭에서는, 막부 측의 가쓰 가이슈아키 이쓰쿠시마에서 협상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사카모토 료마사쓰마번고다이 도모아쓰와 회담하여 「상사 시담 조항서」를 작성하고 사쓰초 국산 무역 상사의 설립에 헌신했으나(후일 계획은 무산됨)[2], 기도 다카요시의 대리인이자 동료로서 분주하게 활동했다. 게이오 3년 10월에는 오쿠보 도시미치 등과 함께 토막의 밀칙 강하에도 헌신하는 등 토막 활동을 추진했다.

유신 정부 발족 후 참여와 군무관(해군·육군 군무계), 동정대총독부 참모를 맡았고, 이후 내국사무계와 교토부 어용계, 참의를 역임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요네자와번의 미야지마 세이이치로와 회담하여 아이즈번의 "귀정"을 주선하도록 건의하는 등, 기도 다카요시와 마찬가지로 관대한 정책을 주장했다. 메이지 2년 복고 공신으로서 기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와 같은 영세록 1,800석을 하사받았고, 민부관 부지사[3]와 참의를 역임했다.

메이지 4년 1월 9일 도쿄부 고지마치 후지미초 사저에서 열린 연회 후 심야에 자객의 습격을 받아 암살당했다. 향년 37세.

2. 1. 막부 말기

나가토국 조슈번사 가시무라 안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고카 원년 12월, 같은 번사인 파다노 나오타다의 사위 양자가 되어 '''하타노 킨고'''라고 칭했다.

번교인 명륜관에서 배우고, 가에이 6년 흑선 내항 당시에는 오모리 다이바 경비를 위해 출장했다. 안세이 6년에는 번의 군정 개혁에 참여하는 등 존왕양이파로서 활약했다. 이후 번 세자 모리 사다히로와 함께 입락(入洛)하여, 계고소고로, 구사카 요시스케의 지휘 아래 교토 주재의 사무 담당자로 헌신했다.

겐지 원년, 조슈번은 금문의 변, 시모노세키 전쟁, 제1차 조슈 정벌 등 잇따른 재난으로 인해, 번 내부의 정권 투쟁에서 주전파(주로 정의파)가 공순파(주로 속론파)에게 패배한 결과, 하타노도 투옥되었지만, 정의파가 아니었기에 처형을 면했다. 게이오 원년, 다카스기 신사쿠, 이토 슌스케, 야마가타 쿄스케 등 정의파가 쿠데타로 번의 실권을 장악하자, 중간파였던 하타노가 정무역(政務役)으로서 번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같은 해 4월 4일, 번의 명령에 의해 '''히로사와 도이에몬'''으로 개명했고, 더 나아가 다음 달인 5월 6일에는 '''히로사와 효스케'''로 개명했다.

게이오 2년 8월 말의 제2차 조슈 정벌의 강화 교섭에서는, 막부 측의 가쓰 가이슈아키이쓰쿠시마에서 협상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사카모토 료마사쓰마번고다이 사이스케와 회담하여 「상사 시담 조항서」를 작성하고 사쓰초 국산 무역 상사의 설립에 헌신했으나(후일 계획은 무산됨[2]), 기도의 대리인이자 동료로서 분주하게 활동했으며, 게이오 3년 10월에는 오쿠보 도시미치 등과 함께 토막의 밀칙 강하에도 헌신하는 등 토막 활동을 추진했다.

2. 2. 메이지 시대

유신 정부 발족 후 참여와 군무관(해군·육군 군무계), 동정대총독부 참모를 맡았고, 이후 내국사무계와 교토부 어용계, 참의를 역임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요네자와번의 미야지마 세이이치로와 회담하여 아이즈번의 "귀정"을 주선하도록 건의하는 등, 기도 다카요시와 마찬가지로 관대한 정책을 주장했다. 메이지 2년 (1869년) 복고 공신으로서 기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와 같은 영세록 1,800석을 하사받았고, 민부관 부지사[3]와 참의를 역임했다.

메이지 4년 (1871년) 1월 9일 도쿄부 고지마치 후지미초 사저에서 열린 연회 후 심야에 자객의 습격을 받아 암살당했다. 향년 37세.

3. 사망 이후

정삼위를 증위받았다. 1879년(메이지 12년) 유신의 공을 기려 히로사와 가는 화족에 포함되었다. 화족령 제정 이전에 화족에 포함된 원훈 가계는 기도 가문, 오쿠보 가문과 히로사와 가문뿐이었다. 1884년(메이지 17년), 적자 긴지로에게 백작이 수여되었다.

묘소는 당초 조슈번보리사였던 시바 구의 세이쇼지에 마련되었으나, 후에 세타가야의 쇼인 신사 요시다 쇼인 묘소 근처로 개장되었다. 묘소는 블록 담으로 둘러싸여 있어 들어갈 수 없다.

1921년(다이쇼 10년) 2월 24일, 증 종이위[4]

『히로사와 사네오미 일기』는 기도, 오쿠보의 일기와 함께 막말 유신사의 일급 자료로 평가받는다.

4. 암살 사건

의사의 검시에 따르면 히로사와 사네오미는 13곳을 찔렸고, 목에는 3곳의 찔린 상처가 있었다. 범행 후, 같은 방에 있던 첩은 체포되었지만 경상만 입었고, 현장의 상황 등 부자연스러운 점이 많았다. 요코이 쇼난, 오무라 마스지로에 이은 유신 정부 요인 암살 사건이었다. 메이지 천황은 "적을 반드시 잡도록 하라"는 범인 체포를 독촉하는 이례적인 조칙을 내렸다.

히로사와 가의 가령과 에 대한 가혹한 수사 결과, 두 사람의 밀통과 히로사와 가의 사금 유용 사실도 밝혀졌다. 1875년 배심원 입회하에 재판이 열렸지만, 결국 두 사람은 무죄로 풀려났다.

기도 다카요시는 수사를 계속 독촉했다. 오가와 가즈토시, 구모이 다쓰오 등 80여 명이 암살 용의자로 심문을 받았지만, 범인을 특정하지 못하여 진상은 오늘날까지 불명이다.

4. 1. 암살 배후에 대한 여러 설

유신 정부를 좋게 생각하지 않는 불평 무사나 구 막부군 잔당에게 노려졌다는 설이 일반적이다.[5] 같은 조슈번 출신의 고관인 기도 다카요시와 히로사와가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도 다카요시나 그를 지원하는 오쿠보 도시미치 등이 암살의 배후라는 설도 있었다.[5]

하지만 당시 정부 주요 인사(기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 사이고 다카모리, 이타가키 다이스케,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폐번치현 준비를 위해 어친병을 도쿄에 모으고, 자번의 번정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참의 히로사와 사네오미 등에게 도쿄를 맡기고 자신들은 자번, 교토, 오사카 등지로 자주 이동했기 때문에, 히로사와와 기도 등 정부 고관들 사이에 불화가 있었다거나 히로사와를 살해하려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사건 수사 과정에서 신정부의 외교 방침 전환에 반발한 과격 양이파가 공가구루메번을 내세워 쿠데타를 계획했던 이경 사건도 발각되었다.

5. 평가


  • 기도 다카요시는 "왕정 일신 때, 오직 히로사와 한 사람만이 정부에서 나를 도왔다. 오늘의 일(암살)을 듣고, 실로 형제의 어려움을 만났더라도 이와 같은 슬픔을 느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 마쓰다이라 슈운가쿠는 "매우 훌륭한 인물이지만,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에 비할 바는 아니다. 그러나 지방의 일에는 매우 주의를 기울이고, 큰 공로가 있는 사람이다. 내가 보기에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 사이고 다카모리, 히로사와 네 사람이 없었다면, 이 왕정 일신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6] 그는 또 "히로사와 산기는 기도 다카요시 다음 가는 영웅이며, 매우 노련하고 덕망이 있다. 뭇 사람들의 기대를 받으며 위엄이 있으나 강맹하지 않고, 존왕의 뜻이 충분하며, 그 심오함은 누구도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기도 다카요시와 서로 비등하다."라고 평가했다.[6]
  • 사이고 다카모리는 "히로사와는 온후하고 독실한 군자이다. 타인을 위해 원한을 살 만한 일은 하지 않는다. 아마 오살일 것이다."라고 평가했다.[7]
  • 소에지마 다네오미는 "만약 히로사와가 당시 자객의 손에 쓰러지지 않고 기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 등과 묘당에 나란히 섰다면, 오쿠보 도시미치라고 해도, 혼자서 그 권위를 독차지하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6. 일족


  • 장남: 킨지로 (아내는 야마오 요조 자작의 딸)
  • * 손자: 신고 (아내 토요코는 오쿠마 시게노부 후작의 양자 노부츠네의 딸)
  • * 손녀: 나오코 (이케다 하야토와 결혼, 1929년 사망)
  • 형: 가시와무라 가즈마 (별명 신, 야마구치번 권대참사[8], 번주 모리 다카치카의 세자 모토노리의 측근[9])
  • 조카: 가시와무라 요노스케 (별명 요, 가즈마의 아들, 히로사와의 노력으로 병부성 육군병학료 파견 유학생으로 선발, 메이지 3년(1870년)부터 5년간 프랑스·벨기에 유학, 귀국 후 육군학교 교관, 재독 일본 공사관 부소령 역임, 현지 여성과 결혼 후 군에서 퇴역[10], 1888년 설립된 「유한회사 시나가와 유리 회사」 초대 사장, 만년에는 베를린에서 아내와 여관 운영[11][10])

7. 관련 작품


  • 가쓰 가이슈 (NHK대하드라마, 1974년) - 배우: 요코우치 마사시
  • 화신 (NHK 대하드라마, 1977년) - 배우: 모리카와 코야 (배역 이름: 히로사와 헤이스케)
  • 기병대 (니혼 TV연말 시대극 스페셜, 1989년) - 배우: 야마다 에이지 (배역 이름: 하타노 킨고)
  • 가쓰 가이슈 (니혼 TV 연말 시대극 스페셜, 1990년) - 배우: 타나카 류조 (배역 이름: 히로사와 헤이스케)

참조

[1]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広沢真臣」 https://kotobank.jp/[...] 2021-09-24
[2] 웹사이트 五代友厚 薩長国産貿易商社(2) http://godaidon.com/[...]
[3] 간행물 太政官中民部官ヲ置ク https://www.digital.[...] 国立公文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1869-05-19
[4] 뉴스 叙任及辞令 『官報』 1921-02-25
[5] 서적 近世日本国民史 西南の役(一) 講談社学術文庫
[6] 문서 『逸事史補』
[7] 문서 『維新百傑』
[8] 웹사이트 広沢真臣旧宅跡 http://oouchibunka.j[...] 山口市文化政策課
[9] 웹사이트 広沢真臣 ひろさわさねおみ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0] 서적 『国際結婚第一号』 講談社
[11] 웹사이트 日本のガラス/明治時代 http://www.tobu-glas[...] 一般社団法人東部硝子工業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