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3년형 엔필드 강선머스킷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53년형 엔필드 강선 머스킷은 1853년 영국군 제식 소총으로 채택된 전장식 소총이다. 미니에 탄을 사용하며, 세포이 항쟁, 크림 전쟁, 미국 남북 전쟁 등에서 사용되었다. 3조 강선과 엔필드 탄약통을 사용하여 정확성과 장전의 용이성을 높였다. 19세기 후반 후장식 소총의 등장으로 구식화되었으며, 일본에서는 보신 전쟁과 세이난 전쟁에서 사용되었고, 이후 스나이더 소총으로 개조되었다. 현재는 복제품이 제작되어 수집가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의 무기 - 달그렌 포
달그렌 포는 존 A. 달그렌이 설계하여 19세기 중반 미국 해군의 주력 함포로 사용된, 포미가 두껍고 포구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독특한 외형을 가진 대포이다. - 강선머스킷 - 스프링필드 소총
- 영국의 무기 - PIAT
PIAT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영국군이 사용한 휴대용 대전차 발사기로, 성형 작약탄을 사용하여 적 전차를 공격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과 강력한 화력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 영국의 무기 - SA80
SA80은 영국에서 개발된 불펍 소총 시스템으로, 잦은 고장으로 비판받았으나 헤클러&코흐사의 개량을 거쳐 영국군의 제식 소총으로 사용되고 있다.
1853년형 엔필드 강선머스킷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강선 머스킷 |
설계 | RSAF 엔필드 |
설계 년도 | 1853년 |
제조사 | 엔필드 조병창 런던 버밍엄 리에주 기타 다수 |
생산 기간 | 1853년–1867년 |
생산 수량 | 약 1,500,000정 |
단위 비용 (1861년) | 20달러 |
사용 국가 | 대영제국 및 식민지 미국 북부 미국 남부 프랑스 브라질 제국 도쿠가와 막부 일본 제국 코스타리카 청나라 |
사용 기간 | 1853년–1867년 |
참전 | 크림 전쟁 필리버스터 전쟁 인도 세포이 항쟁 제2차 아편 전쟁 뉴질랜드 전쟁 미국 남북 전쟁 태평천국의 난 보신 전쟁 사쓰마 전쟁 파라과이 전쟁 페니언 습격 레드 강 반란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
제원 | |
무게 (장전되지 않은 상태) | 9.5 파운드 (4.3 kg) |
전체 길이 | 55 인치 (1,397 mm) |
총열 길이 | 39 인치 (990 mm) |
구경 | .577 인치 (14.66 mm) |
탄약 | .550 확장 원뿔형 탄환 |
작동 방식 | 뇌관식 |
발사 속도 | 사용자 의존적, 보통 분당 3-4발 |
총구 속도 | 1250 ft/s (381 m/s) |
사거리 | 300 야드 (274 m) |
최대 사거리 | 1250 야드 (1143 m) |
급탄 방식 | 전장식 |
강선 | 3조, 1:78 비틀림 |
조준 장치 | 조절 가능한 램프 후방 조준기, 고정 블레이드 전방 조준기 |
파생형 | |
종류 | 카빈 |
2. 역사
1847년 프랑스에서 미니에 탄이 개발되면서 구미 각국에서 미니에 총 생산이 시작되었다. 특히 영국에서 개발된 엔필드 총은 우수하여 1853년 영국군의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었다.[1] 크림 전쟁, 세포이 항쟁, 태평천국의 난, 뉴질랜드 마오리족 진압 등에 사용되어 높은 완성도를 증명했다.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북군의 표준이었던 스프링필드 총의 생산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고, 민간 군수품 제조업자들이 품질이 떨어지는 제품을 납품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세계의 공장’이었던 영국에서 대량생산되어 신뢰성이 높은 엔필드 총을 수입하게 되었다. 공업 기반이 미숙한 남군 또한 개전 초기부터 수입 무기에 의존했으며, 그 중에서도 엔필드 총은 명중률과 위력이 높아 남군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다. 영국 정부는 남부의 열세가 분명해지자 남부에 수출을 금지했지만, 무기상인에 의해 최종적으로 90만 정이 수출되었다.
엔필드 총이 역사적으로 유명해진 계기는 전용 종이 탄피가 세포이 항쟁의 원인이 되었다는 점이다. 종이탄피는 흑색 화약을 한 발 분량으로 작게 나누어 그리스(주로 동물성 소, 돼지기름)를 바른 총알과 함께 종이에 싸서 만들었다. 그 표면에는 밀랍과 쇠기름 혼합물을 튀겼다.
이 탄약은 총신과 총알 사이에 종이를 물려 총알이 총신과 마찰할 때 발생하는 고열로 납이 달라붙는 것을 막았다. 표면에 바른 밀랍과 우지는 마찰을 줄이는 윤활유 역할을 했다. 또한 습기를 머금어 점화하기 어려워진 흑색 화약을 보호하기 위해 화약 포장지(약포) 표면을 코팅하여 방습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사용된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탄약 장전 시에는 먼저 입으로 약포 끝을 물어뜯어 화약을 총구에 붓고, 약포가 포장된 상태에서 총알을 총신 안쪽 끝까지 램로드(Ramrod)라는 봉으로 밀어 넣은 후 니플에 뇌관을 씌워 사격 준비를 했다.
하지만 소나 돼지기름으로 감싼 종이포를 이빨로 물어뜯는 과정은 힌두인과 이슬람교인 모두에게 금기였다. 이는 오랜 견원지간이었던 세포이(인도인 용병)들 속 힌두인과 이슬람교인이 힘을 합쳐 영국이라는 공통의 적에 맞서 싸우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세포이 항쟁의 원인이 되었다.
"강선 머스킷"이라는 용어는 원래 활강포를 강선으로 대체한 머스킷을 지칭한다. 포신 길이는 변하지 않아 병사들이 일제 사격을 할 수 있었다. 긴 소총은 두 번째 열의 병사들이 앞 열 병사들의 얼굴 밖으로 총구를 내밀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무기는 총검을 장착했을 때 기병에 대항하여 효과적일 만큼 충분히 길었다.
2. 1. 개발 배경
1847년 프랑스에서 미니에 탄이 개발되면서, 유럽 각국에서 미니에 총 생산이 시작되었다. 영국에서 개발된 엔필드 총은 특히 우수하여 1853년 영국군의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었다.[1]1849년 프랑스의 클로드-에티엔 미니에가 미니에 탄을 발명하면서, 서구 각국에서 미니에 탄과 강선 머스킷 생산이 시작되었다. 영국은 1851년 프랑스와 벨기에제 미니에 탄을 복제한 .702구경의 1851년형 라이플 머스킷을 채용했지만, 1852년 초에는 이미 구식이었다.[1]
소구경 탄환[15]이 대구경 탄환보다 더 빠른 초속, 더 낮은 탄도[16], 더 높은 정밀도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7][18] 1852년 초, 당시 병기 총감(Master-General of the Ordnance)은 더 가볍고 효과적인 군용 총기 개발을 위해[19] 영국 내 유명 총기 제조업체를 초청하여 시험을 실시했다.[20] 또한, 병기 총감은 영국의 소화기 위원회에 미니에 탄의 철제 컵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시했다.[21]
시험에는 7정의 총이 참가했는데, 5정은 유명 총기 제조업체가 제작했고,[22] 6번째는 엔필드 조병창에서 만든 .635구경 총신을 가진 1851년형 라이플 머스킷, 7번째는 일반적인 1851년형 라이플 머스킷이었다.[23][24][25] 소화기 위원회는 각 총기 제조업체의 아이디어와 자체 연구를 조합하여 1852년 8월 엔필드 조병창에서 2정의 프로토타입 라이플 머스킷을 완성했다.[26] 이 총은 시험 보고서에서 "'''신형 엔필드 총(THE NEW ENFIELD MUSQUET)'''"이라고 불렸다.[26]
항목 | 내용 | 비고 |
---|---|---|
무게 | 총검 포함 약 4.1kg | 1851년식 라이플 머스킷(총검 포함 약 4.7kg)보다 12% 가벼웠다.[27] |
구경 | .577구경 (약 14.7mm) | |
총신 길이 | 약 99.06cm | |
총신의 무게 | 약 2kg | |
강선 수・꼬임 | 3조[28][29], 1:78인치 꼬임[30][31] | |
잠금 방식 | 스위블 방식 | |
밴드 | 3개의 밴드로 총신을 고정. | |
조준기 | 리프식 조준, 래더식 조준의 2종 | 1정에는 100, 200야드에 조정 가능한 리프 조준, 2정에는 800야드까지 조정 가능한 웨스트리 리차즈 특허의 래더식 조준이 탑재. |
1852년, 리-메트포드 강선을 개발한 윌리엄 엘리스 메트포드는 장거리 소총 사격 연구 중 철제 컵이 삽입된 미니에 탄환에 불만을 품고, 자신의 "완벽한 소총 머스킷 탄환" 구상을 시작했다. 메트포드의 아이디어는 흑색 화약 연소 가스 압력으로 확장되는, 얕은 공동을 가진 탄환이었다.[32]
1852년 봄 또는 여름, 메트포드는 총기 제조업체인 로버트 테일러 프리체트와 만나 새로운 탄환 개념을 구상했다. 메트포드는 탄환 아이디어를, 프리체트는 시제품 총기와 탄주형을 제공했다.[33]
프리체트는 메트포드의 아이디어("미니에 탄환"과 같은 깊은 공동이 아닌, 얕은 공동을 탄환 바닥에 갖는 도토리 탄환)를 바탕으로 '''프리체트 탄환(Pritchett bullet)'''을 개발했다.[33] 이 탄환은 얕은 공동으로 무게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켰다.
프리체트 탄환의 확장 구조는 가스 압력으로 탄환 전체, 특히 어깨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켜[34] 강선에 밀착시키는 것이었다. 최대 약 0.01cm~약 0.01cm까지 확장되어[35] 총열 내 틈새를 없애고, 장거리 사격에서 높은 정밀도를 발휘했다.[36]
1852년 8월, 소화기 위원회가 2정의 프로토타입 엔필드 총을 만들자, 프리체트는 .577구경 총열용 프리체트 탄환을 제조하도록 의뢰받았다.[37] 무게 520그레인(약 33.7그램), 높이 약 2.44cm, 구경 568구경(약 1.4센티미터)의 프리체트 탄환을 위원회에 제출했다. 탄환은 전체 길이의 3분의 1 깊이의 얕은 탄환 바닥을 가졌고, 탄환 측면에 홈(타미시에 그루브)이 없어 종이 탄약통(종이 패치)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38]
1852년 12월 2일, 프리체트 탄환은 엔필드에서 프로토타입 엔필드 총으로 처음 사격되었다.[38] 61.5gr의 F.G. 파우더가 들어간 탄약통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1851년식 라이플 머스킷 탄약통 내 흑색 화약보다 10% 적었다. 약 731.52m 거리에서 12×12피트 사각 표적에 20발 중 19발이 명중했고, 세로 약 3.05m, 가로 약 1.52m의 탄착군을 형성했다.[39] 이는 당시 놀라운 성능이었다.[40]
소화기 위원회는 새로운 탄약통을 만들었지만, 활강총신 머스킷 총과 비슷한 장전 방식을 유지했다.[41] 그러나 총신이 금방 파울링을 일으켰는데,[42] 이는 탄약통 종이가 아닌 탄환에 그리스를 바른 것이 원인이었다. 프랑스에서 발명된 신형 탄약통[43]은 탄환이 아닌 탄약통 종이가 그리스에 담겨 있어 파울링을 막았다.[44][45][46]
결국, 소화기 위원회는 프랑스식 탄약통 구조를 채택했다.[47] 초기 엔필드 탄약통은 1851년식 라이플 머스킷용 탄약통과 동일한 디자인이었다. 장전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 탄약통 선단을 입으로 찢어 흑색 화약을 총구에 넣는다.
# 탄약통을 뒤집어 탄환 부분을 총구에 끼운다.
# 불필요한 화약 내장 부분을 찢고 램 로드로 탄환을 총신 바닥까지 밀어 넣는다.
초기 탄약통은 .568구경 프리체트 탄환을 감쌌을 때 직경이 .576인치가 되어, 엔필드 총 .577구경 총신과 약 0.00cm 차이로 꽉 끼었다. 탄약통 두께는 약 0.02cm 이상 커지지 않도록 제조되었다.[48] 탄약통은 동물성 지방과 밀랍이 6:1로 배합된 그리스에 담가져 파울링 방지에 도움을 주었다.[49]
프리체트 탄환은 왕립 무기창의 존 앤더슨이 제조한 앤더슨 탄환 제조기로 압축 성형이 가능해[50][51] 소화기 위원회는 매우 만족했다. 프리체트 탄환은 전장식 라이플의 문제를 모두 해결한 탄환이었다.[52]
1852년 12월 31일, 소화기 위원회는 ".577구경 총신과 .568구경 프리체트 탄환 추천"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 프리체트는 영국 의회로부터 1,000파운드(약 2,700만 엔)를 받았다.[53] 그러나 보고서에는 어떤 강선을 채택할지는 언급되지 않았다.[54]
1853년경, 로열 스몰 암스 팩토리는 엔필드 소총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여 버밍엄 하청업체에 22,500정을 주문했다. 그러나 하청업체는 일주일에 400정밖에 생산하지 못해, 1855년 3월 말에야 모든 소총 운송이 완료되었다.[65]
크림 전쟁 중 탄약통 수송 문제로, 엔필드 탄약통은 크림 반도에 늦게 도착했다.[67]
1854-1855년 겨울 이후, 엔필드 소총은 크림 반도 전장에 빠르게 전달되었다. 제1 라이플 연대가 1855년 2월 24일 1851년식 미니에 소총에서 엔필드 소총으로 교체했다.[68] 같은 해 여름 일반 보병 연대도 엔필드 소총을 장비했지만, 곧바로 전투에 투입되어 훈련받지 못했다.
크림 전쟁에서 엔필드 소총의 두 가지 문제가 드러났다.
첫째, 지약협 문제였다. 병사에게 주어진 60발 탄약통 중 50발은 몸통 가방에, 10발은 파우치[69]에 넣었다. 소총 장전 시 파우치에서 탄약통을 꺼내고, 파우치 탄약통이 없어지면 몸통 가방에서 10발을 꺼내 파우치에 넣었다.[70] 훈련에서는 좋았지만, 전장에서는[71] 품질 편차 있는 탄약통이 분해되어 흑색 화약이 새어 나왔다.[72][73][74]
또한, 전장에서 엔필드 소총이 몇 발 사격으로 파울링을 일으켰지만, 총이나 탄약통 문제가 아닌 "병사 부주의로 총신이 녹슬거나 탄약통이 더러워졌다"고 판단했다.[75]
문제 원인은 크림 반도 날씨와 탄약통 취급이었지만, 근본 원인은 엔필드 탄약통이었다. 왕립 연구소 울리치는 탄약통 종이 크기를 축소하고 두께를 종이 한 장 분으로 줄였지만, 이는 화약 누출, 그리스 침투 문제를 일으켰다.[76]
찰스 크로포드 헤이 대령은 탄약통 종이 길이를 연장하고, 끝을 종이 두 장 두께로 꼬아 화약 누출을 방지했다. 이 지약협은 1855년 채용되어 1859년까지 사용되었다.[76]
둘째, 프리쳇탄 문제였다. 1855년 봄 왕립 연구소에서 발생했지만, 하이스 영국에서 엔필드 소총과 후장식 소총 비교 테스트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1855년 4월 13일, 엔필드 소총 정밀도가 매우 떨어졌다. 지약협 직경 측정 결과, 기본 직경보다 작았다.[76] 프리쳇탄 크기가 작았던 것은 왕립 연구소가 크림 전쟁을 위해 24시간 계속 제조했기 때문이었다.
앤더슨 탄환 제조기는 프리쳇탄을 24시간 압축 제조하여 다이스가 마모되어 커지면서, 직경이 큰 탄환을 제조했다. 장전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져 폐기되었다.[77]
크림 전쟁으로 군수품 수요가 높아졌지만, 앤더슨 탄환 제조기 다이스는 수제였고, 다이스 제작 장인은 충분히 빠르게 만들 수 없었다. 다이스 직경을 작게 하여 마모를 늦췄지만, 이는 새 다이스가 .565구경이나 .566구경 프리쳇탄을 제조했을 가능성을 의미했다. 왕립 연구소는 프리쳇탄 정밀도는 약 0.01cm~약 0.01cm 정도 탄환 직경 수축으로 손상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77]
1855년 5월 5일, 1854년산과 1855년산 프리쳇탄을 모아 5월 6일 테스트 결과, 프리쳇탄은 앤더슨 탄환 제조기에서 제조될 때부터 문제가 있었다. 탄환은 기준 직경 .568구경으로 제조된 품질 좋은 것과, 직경이 약 0.01cm~약 0.01cm 작은 품질 좋지 않은 것이 혼합되어, 병사에게 주어진 탄약 성능에 편차가 생겼다.[78][79]
버밍엄 등 하청업체는 총신 구경을 .577구경에서 최대 약 0.01cm 크게 제조할 공차가 있었지만, 탄환이 기준보다 약 0.01cm 크거나 작으면 장전 불가능, 정밀도 저하 문제가 발생했다.[79] 기준 .568구경 프리쳇탄 약 548.64m 성능 지수[80][81]는 약 0.91m, 최적 환경에서는 약 0.61m 이하였지만, 직경이 약 0.00cm~약 0.01cm 작으면 최대 약 0.01cm~약 0.01cm밖에 확장되지 않아, 총신 구경 .58구경 엔필드 소총에 .566구경 프리쳇탄을 약 0.02cm 두께 지약협 종이로 감아 장전해도 .576구경까지밖에 확장되지 않아 총신 구경에 약 0.00cm 부족, 강선에 충분히 물리지 않았다. 정밀도, 사거리 저하, 파울링을 일으켰다. 당시 총신 구경 최대 약 0.01cm, 탄환 약 0.00cm 공차 조건에서 제조했지만, 이 조건으로 제조를 계속하기 어려웠다.[82]
정확히 측정된 .568구경 프리쳇탄 수십 발을 탄약통에 내장, 하이스에서 사격했다. 약 548.64m 성능 지수는 약 0.87m로 양호했고, 탄약통 문제가 탄환 직경 수축으로 발생한다는 증거였다. 그러나 "많은 탄약통이 좋을 가능성이 높지만, 좋고 나쁨 구별, 분별 불가, (그런 상황에서) 탄약통은 군대에 부적합"하다고 보고되었다.[83]
헤이 대령은 프리쳇탄을 미니에 소총처럼 철제 컵 삽입 개량 제안했다. 철제 컵 압입으로 큰 확장을 통해, 기준 직경에서 약 0.01cm~약 0.01cm 작게 제조된 탄환의 강선 불충분 물림 방지 목적이었다. 프리쳇탄 사용 중지, 철제 컵 삽입 "'''엔필드 탄'''[84]" 채용이었다.[85]
이 제안에 따라, 프리쳇탄은 철제 컵 삽입 위해 빈 공간 대형화, 빈 공간 확대로 탄환 무게 변동 방지 위해 전장 약 2.67cm 연장.[86] 엔필드 탄 개발.
철제 컵 삽입 엔필드 탄은 1855년 5월 12일 즉시 테스트, 5월 17일 성능 매우 좋다는 보고. 철제 컵 모양 반구형, 테스트 위해 급조, 불완전 모양. 그러나 기준 직경 미제조 프리쳇탄, 그렇지 않은 프리쳇탄보다 성능 좋음.[87]
1855년 5월, 영국 울리치 왕립 연구소 울리치에서 골무 (재봉 도구)형 철제 컵[88] 삽입 .568구경 엔필드 탄 제조 시작. 존 그린필드에게 골무형 철제 컵 5,000만 개 생산 주문.[87] 엔필드 탄 즉시 크림 반도 전달, 세바스토폴 공방전 (1854년-1855년) 사용.[89] 현대, 세바스토폴에서 철제 컵 삽입 상태로 발굴.[90]
엔필드 탄 채용, 사용으로 프리쳇탄 군사적 사용 완전 종료. 프리쳇탄 평시 공차 매우 작은 조건, 기준 직경 생산 가능. 기준 직경 제조 엔필드 소총 총포신 확실 장전, 발사 시 확장, 총신 강선 반드시 물림, 높은 사격 정밀도 발휘. 그러나 전시 수요 증가, 대량 생산, 유지 불가 커진 공차, 프리쳇탄 기준 직경보다 크거나 작은 사이즈 생산, 탄환 탄약통 종이 감아도 직경 .572인치나 .573인치, 프리쳇탄 약 0.01cm 이상 확장 불가, 커진 공차 조건 생산 .58구경 엔필드 소총 등 사격, 강선 불충분 물림, 성능 나쁜 탄환. 당시 가공 정밀도, 기술, 프리쳇탄 대량 생산 불충분.
2. 2. 기술적 특징
왕립 소화기 공장(Royal Small Arms Factory)은 1850년대에 1853년형 엔필드를 개발했다. 약 99.06cm 포신은 세 개의 홈이 있었고, 1:78 강선 비틀림을 가지고 있었으며, 세 개의 금속 밴드로 개머리판에 고정되어 있어 이 소총은 종종 "3밴드" 모델이라고 불렸다. 소총의 탄약에는 드람, 또는 [3]의 화약이 들어 있었고, 탄환은 일반적으로 였으며, 로버트 테일러 프리쳇(Robert Taylor Pritchett)과 윌리엄 엘리스 메트포드(William Ellis Metford) 또는 미니에 탄환의 복서(Boxer) 변형이었으며, 초당 약 로 발사되었다.[4]1852년 봄이나 여름에 메트포드가 프리체트&선(Pritchett & son)을 경영하는 총기 제조업체인 로버트 테일러 프리체트(영: Robert Taylor Pritchett)와 만나면서 두 사람은 새로운 탄환의 컨셉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메트포드는 탄환의 아이디어를, 프리체트는 시제품 총기를 생산할 수 있는 총기 공장과 탄환을 만들 수 있는 탄주형을 가지고 있었다[33].
프리체트는 메트포드의 아이디어인 "미니에 탄환과 같은 깊은 공동이 아닌, 얕은 공동을 탄환 바닥에 갖는 도토리 모양의 탄환"을 기반으로 새로운 탄환 개발을 시작하여, '''프리체트 탄환(영: Pritchett bullet)'''을 개발한다[33]. 이 프리체트 탄환은 미니에 탄환과 달리 얕은 공동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탄환의 후단을 전단보다 가볍게 하여 무게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프리체트 탄환의 확장 구조는 화약 연소로 발생하는 가스 압력이 탄환의 선단 부분의 관성을 이기기 전에 이 가벼운 탄환 후단 부분의 공동을 무거운 탄환 전방으로 약간 밀어 넣어, 탄환을 찌그러뜨리듯이 탄환의 원통형 부분 전체, 특히 어깨 부분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34], 그리고 강선에 밀착시키는 것이었다. 이것에 의해 가스의 압력으로 최대 0.003-4인치까지 확장되어[35], 총열 내에 틈새를 남기지 않았다. 그리고 탄환은 매우 균형 잡혀 있었기 때문에 장거리 사격에서 높은 정밀도를 발휘했다[36].
엔필드의 조절식 사다리식 후방 조준기는 (첫 번째 위치) , , 의 단계가 있었다. 그 이상의 거리에서는 조절식 플립업 블레이드 조준기가 에서 까지 눈금이 매겨져 있었다(모델 및 제조 날짜에 따라 다름).
2. 3. 주요 전쟁에서의 활약
1853년형 엔필드 강선머스킷(강선총)은 여러 주요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크림 전쟁 (1853-1856):''' 엔필드 소총은 크림 전쟁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영국군은 1851년형 미니에 소총에서 엔필드 강선 머스킷으로 주력 소총을 교체하는 과정에 있었다.[6] 1853년 말, 엔필드 강선 머스킷이 육군에 의해 승인되어 생산에 들어갔고, 1854년부터 1856년까지 크림 전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1855년 2월부터 병사들에게 최초의 엔필드 소총이 지급되었다.[6]
- '''세포이 항쟁 (1857):''' 엔필드 소총은 세포이 항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1856년, 엔필드 P53은 영국 통치 하의 인도 군대에 도입되었다.[8] 새로운 소총의 탄약통(종이로 싼 화약과 발사체)이 쇠기름, 돼지 지방 또는 둘의 조합으로 윤활 처리되었다는 소문이 퍼졌고, 이는 힌두교 및 이슬람교 군인들에게 종교적 신념에 따라 혐오스러운 상황이었다.[9] 당시 영국 군사 훈련은 군인들이 탄약통을 물어뜯어 열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종교적 금기를 어기는 행위는 세포이들의 반발을 샀다.
- '''미국 남북 전쟁 (1861-1865):''' 엔필드 강선 머스킷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과 남군 모두 사용했으며, 스프링필드 모델 1861 강선 머스킷 다음으로 전쟁에서 두 번째로 널리 사용된 보병 무기였다. 남군은 다른 어떤 소화기보다 많은 엔필드를 수입했으며, 사설 계약업체와 총기 밀매업자로부터 구매하여 봉쇄 돌파를 통해 남부 항구로 밀수했다. 90만 정 이상의 P53 엔필드가 미국으로 수입되어 샤일로 전투(1862년 4월)와 빅스버그 공방전(1863년 5월)부터 1865년의 마지막 전투까지 모든 주요 교전에 투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 '''뉴질랜드 전쟁 (1845-1872):''' 1853년형 엔필드 강선머스킷은 영국 육군 연대, 식민지 민병대, 자원부대에 지급되었으며, 이후 뉴질랜드 무장 헌병대에 지급되어 뉴질랜드 전쟁 중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최초의 엔필드 소총은 1858년, 뉴질랜드에 주둔한 제58연대와 제65연대에 지급되었다.[11] 엔필드는 길이와 무게 때문에 뉴질랜드의 빽빽한 수풀이 우거진 언덕에서 사용하기에 이상적인 무기는 아니었지만, 와이카토 내륙의 더 넓은 고사리 및 억새 덮인 지역에서 많은 영국 정규 연대에 의해 계속 사용되었다.[12] 마오리족도 엔필드 머스킷을 입수하여 사용했다.
2. 4. 후장식 소총으로의 전환
19세기 중반, 마티니-헨리 소총이나 드라이제 소총과 같이 일체형 탄피를 사용하는 후장식 소총들이 등장하면서 엔필드 소총은 점차 구식화되기 시작했다.[2] 이에 영국 육군은 기존에 많이 보유하고 있던 엔필드 소총을 후장식으로 개조하는 방안을 모색했다.미국의 야코브 스나이더가 고안한 새로운 브리치 로딩(breech loading, 총기 뒤쪽에서 장전하는 방식) 방식을 채택하여, 엔필드 소총의 총신 후미를 절단하고 격침(총알을 발사시키는 장치)을 조합한 접철식 브리치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개조했다. 이 방식은 577구경의 일체형 탄피에 복서 파트론(센터파이어 뇌관)을 사용한 실탄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스나이더 총은 엔필드 소총의 총신과 개머리판 등 주요 부품을 그대로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였다. 스나이더-엔필드 소총은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브리치 로딩 방식의 문제점이었던 가스압에 의한 브리치 폭발 위험이 적어 영국 군부에 의해 제식 채용되었다.
1866년, 영국은 대량으로 보유한 엔필드 소총을 저렴한 가격에 후장식으로 개조하여 스나이더 소총을 제식 채용하였다.
3. 엔필드 소총이 가져온 변화
이 시기 엔필드 소총을 비롯한 강선 소총의 대량 도입은 보병 전술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엔필드 소총은 높은 명중률과 함께 약 914.40m까지 늘어난 사정거리를 실현하면서 보병 운용의 기본 개념을 크게 바꾸었다.
3. 1. 보병 전술의 변화
이 시기 엔필드 소총을 비롯한 강선 소총의 대량 도입은 보병 전술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엔필드 소총은 높은 명중률과 함께 약 914.40m까지 늘어난 사정거리를 실현하면서 보병 운용의 기본 개념을 크게 바꾸었다. 기존 머스킷 소총의 유효 사거리가 약 91.44m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엔필드 소총은 훨씬 먼 거리에서 적을 공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거리 증가는 전장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다. 머스킷 소총을 사용하는 부대는 약 91.44m까지 접근해야 유효한 사격을 할 수 있었지만, 엔필드 소총 부대는 그보다 훨씬 먼 거리에서 적을 제압할 수 있었다. 머스킷 소총 부대가 엔필드 소총 부대와 교전하려면 최대 약 822.96m에 달하는 거리를 적의 사격에 노출된 채 이동해야 했다.
당시 주력 병과였던 전열보병의 전진 속도가 분당 60m였을 때, 약 822.96m를 전진하는 데 13분 이상이 소요된다. 이 시간 동안 엔필드 소총은 30~40회의 사격이 가능했다. 즉, 1,000명의 머스킷 소총병을 상대할 경우, 이론상 25명의 엔필드 소총 부대로도 아무 피해 없이 적을 전멸시킬 수 있다는 의미였다.
엔필드 소총은 탄환의 형태도 기존 머스킷 소총과 달랐다. 엔필드 소총은 복잡한 형태의 탄환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인체에 명중시켰다. 이 탄환은 착탄과 동시에 인체에 파고들어 극단적인 형태 변화를 일으키며, 머스킷 소총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처참하고 치명적인 상처를 입혔다.
그러나 당시 각국 군 지휘관들은 이러한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무시했다.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군, 세포이 항쟁에서 세포이들이 엔필드 소총에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미국 남북전쟁, 일본의 보신 전쟁까지 18세기식 전열보병 밀집 대형 전술을 고집했다. 이는 결국 병사들의 엄청난 피해와 대량의 부상자를 낳는 결과를 초래했다.
운 좋게 치명상을 피한 병사들도 엔필드 소총 탄환에 발라진 동물성 지방과 열악한 야전병원의 환경 때문에 감염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 의료 수준으로는 이러한 총상과 감염을 치료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팔다리를 절단하는 일이 흔하게 벌어졌다.
이처럼 엔필드 소총은 미니에총과 함께 세계 각국의 군비 혁신과 전장의 패러다임을 바꾸었으며, 19세기 여러 전쟁에서 전장식 소총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3. 2. 전장의 패러다임 변화
엔필드 소총은 높은 명중률과 1,000야드(약 914m)까지 늘어난 사거리를 통해 보병 운용 방식을 크게 바꾸었다. 이전의 머스킷총으로는 100야드(약 91m) 내에서만 유효 사격을 가할 수 있었지만, 엔필드 소총은 훨씬 먼 거리에서 적을 제압할 수 있게 되었다. 머스킷총을 든 부대가 엔필드 소총 부대와 교전하려면 900야드(약 823m)에 달하는 '죽음의 길'을 통과해야 했으며, 이는 엄청난 피해를 감수해야 함을 의미했다.[2]전열보병의 전진 속도가 분당 60m일 때 900야드를 전진하려면 13분 이상이 소요된다. 이 시간 동안 엔필드 소총은 30~40회 사격이 가능하므로, 이론상 25명의 엔필드 소총 부대는 1,000명의 머스킷총 부대를 피해 없이 전멸시킬 수 있었다.
엔필드 소총은 탄환의 형태도 바꾸었다. 머스킷총의 구형 탄환과 달리, 엔필드 소총은 복잡한 형태의 탄환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인체에 명중시켰다. 이 탄환은 착탄과 동시에 인체에 파고들어 극심한 형태 변화를 일으켜 머스킷총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치명적인 상처를 입혔다.
그러나 당시 군 지휘관들은 이러한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무시했다. 크림 전쟁과 세포이 항쟁에서 많은 병사들이 희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국 군대는 18세기식 전열보병 밀집대형 전술을 고집했다. 이는 남북 전쟁과 보신 전쟁에서 엄청난 사상자를 낳는 결과를 초래했다.
운 좋게 치명상을 피한 병사들도 엔필드 소총 탄환에 발라진 동물성 지방과 열악한 야전병원 환경 때문에 감염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 의료 수준으로는 감염을 치료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총상을 입은 팔다리를 절단하는 일이 빈번했다.
이처럼 엔필드 소총은 미니에총과 함께 세계 각국의 군비 혁신을 가져왔고, 전장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19세기 여러 전장에서 엔필드 소총은 전장식 소총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4. 일본에서의 엔필드 소총
1865년 남북 전쟁이 끝나자, 남북 양군이 사용하던 대량의 군수품이 민간 업자에게 불하되었다. 여기에는 미국에 수출된 90만 정 가까운 엔필드 총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은 시장을 찾아 태평천국의 난이 계속되고 있던 중국(상하이・홍콩)으로 모였다. 막말의 일본에도 1864년(분큐 3~4년)경부터 외국 상인[250] 등에 의해 수입되었으며, 보신 전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14][251]
이 무렵부터 프랑스제 미니에 소총과 구별하기 위해 '''엔피르 총''', '''도바 미니에'''[252]라는 호칭이 붙여졌으며, 메이지 초기 일본 육군에서도 이 명칭을 계승했다.
당초 엔필드 총은 1정당 15량 정도에 구입되었지만, 후장식 총기의 보급으로 가격이 급락했다. 스나이더식 총미 장치를 이용해 엔필드 총을 후장식으로 개조하는 방법이 전해져 국내에서 개조가 유행했다.
개조된 엔필드 총의 대부분은 기관부가 전방으로 열리는 방식이었는데, 이는 측면 개방형인 스나이더식보다 개조가 용이했기 때문이다. 전방 개방형은 '''활엄식'''으로 불렸으며, 더 정확하게는 전방 추축형 활엄식이라고 불렸다.
신생 육군 발족 후, 육군의 주력 소총은 후장식으로 통일되었다. 스나이더 소총(금속 탄피식)이 주력 소총, 드라이제 소총(종이 탄피식)이 후방 장비로 사용되었다.[253][254]
폐번치현 후 신정부로 이관된 엔필드 총은 1874년(메이지 7년)경부터 스나이더 소총으로 개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879년(메이지 10년) 사이고 다카모리를 수괴로 하는 사학교도가 가고시마의 화약고에 있던 엔필드 총을 강탈하여 세이난 전쟁이 발발한다.
세이난 전쟁 전적에서는 엔필드 탄과 프리체트 탄이 다수 출토되었으며, 탄환 길이가 짧은 권총탄으로 보이는 것도 출토되었다. 신정부군의 것으로 추정되는 프리체트 탄은 밑단이 현저하게 얇다.[255]
탄환 소재인 납이 부족해지자 주석, 청동, 철도 사용되었다.[256]
엔필드 탄약포와 엔필드 탄은 도쿄 조병사에서 제조되어 세이난 전쟁 때 사용되었다. 엔필드 탄은 나무 플러그가 삽입되었고, 직경 .56인치 (14.5mm), 길이 1.1인치 (27.9mm), 무게는 463그레인 (30.06그램)이었다.[257] 이는 남북 전쟁에서 남부가 제조했던 엔필드 탄과 치수가 유사하다.
탄약포는 1859년형 엔필드 탄약포와 달리 직사각형 종이가 없고, 3장의 종이로 구성되었다. 치수는 길이 2.64인치 (67cm), 직경 .57인치 (14.5mm), 화약량은 73그레인 (4.75그램)이며, 탄약포 하부는 밀랍에 담가져 있다. 탄환 밑바닥에 구멍이 없는 엔필드 탄을 사용하므로 탄약포 하부는 끈으로 졸여져 있다.[257] 탄약포 모양은 1857년형 엔필드 탄약포와 유사하지만, 구조는 크림 전쟁에서 사용된 초기 엔필드 탄약포와 같다.
엔필드 총으로 무장한 사학교도에 대해 정부군은 스나이더 소총을 주력으로 하는 진대병을 파견하여 싸웠다. 연사 속도 차이로 사이고 군은 많은 손해를 입었고, 일본 최후의 내전은 전장식 총의 시대와 함께 끝났다.[258]
정부는 세이난 전쟁 이후 1878년(메이지 11년)부터 엔필드 총을 모아 스나이더 총으로 개조했다.[259] 노후화로 개조되지 않은 것은 군 사격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폐기되었고, 민간에 불하되었다.
민간에 불하된 엔필드 총은 멧돼지나 곰 사냥용 사냥총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았으며, 현대에도 지방 창고 정리 중 잔해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260]
4. 1. 엔필드 소총의 도입
사쓰마번은 사영 전쟁 이후 군제 개혁의 일환으로 엔필드 소총 4,300정을 구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입 초기에는 탄환의 외형과 구조 때문에 미니에 소총의 일종으로 오인되어 '''영국 미니에'''라고 불렸다.[249]1864년경부터 외국 상인[250] 등을 통해 엔필드 소총이 일본에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보신 전쟁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4][251] 이 시기부터 엔필드 소총은 프랑스제 미니에 소총과 구별하기 위해 '''엔피르 총''', '''토바 미니에'''[252]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메이지 초기 일본 육군에서도 이 명칭이 사용되었다.
4. 2. 보신 전쟁과 세이난 전쟁에서의 활약
일본에서 엔필드 총을 가장 먼저 도입한 것은 사쓰마 번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영 전쟁 이후 군제 개혁으로 4,300정을 구입했다고 전해진다. 수입 당시에는 탄환의 외형과 구조 때문에 미니에 소총(''Minié rifle'')의 일종으로 오해받아 '''영국 미니에'''라고 불렸다.[249]
1865년 미국에서 남북 전쟁이 끝나자, 남북 양군이 사용하던 대량의 군수품이 민간 업자에게 불하되었다. 여기에는 미국에 수출된 90만 정 가까운 엔필드 총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은 시장을 찾아 태평천국의 난이 계속되고 있던 중국(상하이・홍콩)으로 모였다. 막말의 일본에도 1864년(분큐 3~4년)경부터 외국 상인[250] 등에 의해 수입되었으며, 보신 전쟁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14][251]
이 무렵부터 프랑스제 미니에 소총과 구별하기 위해 '''엔피르 총''', '''도바 미니에'''[252]라는 호칭이 붙여졌으며, 메이지 초기 일본 육군에서도 엔피르 총이라는 호칭이 계승되었다.
엔필드 총은 처음에는 1정당 15량 정도에 구입되었지만, 후장식 총기의 보급으로 가격이 폭락했다. 스나이더식 총미 장치를 이용해 엔필드 총을 후장식으로 개조하는 방법이 전해져 국내에서 개조가 유행했다.
개조된 엔필드 총의 대부분은 기관부가 전방으로 열리는 방식이었는데, 이는 측면 개방형인 스나이더식보다 개조가 용이했기 때문이다. 전방 개방형은 '''활엄식'''으로 불렸으며, 더 정확하게는 전방 추축형 활엄식이라고 불렸다.
신생 육군 발족 후, 육군의 주력 소총은 후장식으로 통일되었다. 스나이더 소총(금속 탄피식)이 주력 소총, 드라이제 소총(종이 탄피식)이 후방 장비로 사용되었다.[253][254]
폐번치현 후 신정부로 이관된 엔필드 총은 1874년(메이지 7년)경부터 스나이더 소총으로 개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879년(메이지 10년) 사이고 다카모리를 수괴로 하는 사학교도가 가고시마의 화약고에 있던 엔필드 총을 강탈하여 세이난 전쟁이 발발한다.
세이난 전쟁 전적에서는 엔필드 탄과 프리체트 탄이 다수 출토되었으며, 탄환 길이가 짧은 권총탄으로 보이는 것도 출토되었다. 신정부군의 것으로 추정되는 프리체트 탄은 밑단이 현저하게 얇다.[255]
탄환 소재인 납이 부족해지자 주석, 청동, 철도 사용되었다.[256]
엔필드 탄약포와 엔필드 탄은 도쿄 조병사에서 제조되어 세이난 전쟁 때 사용되었다. 엔필드 탄은 나무 플러그가 삽입되었고, 직경 .56인치 (14.5mm), 길이 1.1인치 (27.9mm), 무게는 463그레인 (30.06그램)이었다.[257] 이는 남북 전쟁에서 남부가 제조했던 엔필드 탄과 치수가 유사하다.
탄약포는 1859년형 엔필드 탄약포와 달리 직사각형 종이가 없고, 3장의 종이로 구성되었다. 치수는 길이 2.64인치 (67cm), 직경 .57인치 (14.5mm), 화약량은 73그레인 (4.75그램)이며, 탄약포 하부는 밀랍에 담가져 있다. 탄환 밑바닥에 구멍이 없는 엔필드 탄을 사용하므로 탄약포 하부는 끈으로 졸여져 있다.[257] 탄약포 모양은 1857년형 엔필드 탄약포와 유사하지만, 구조는 크림 전쟁에서 사용된 초기 엔필드 탄약포와 같다.
엔필드 총으로 무장한 사학교도에 대해 정부군은 스나이더 소총을 주력으로 하는 진대병을 파견하여 싸웠다. 연사 속도 차이로 사이고 군은 많은 손해를 입었고, 일본 최후의 내전은 전장식 총의 시대와 함께 끝났다.[258]
정부는 세이난 전쟁 이후 1878년(메이지 11년)부터 엔필드 총을 모아 스나이더 총으로 개조했다.[259] 노후화로 개조되지 않은 것은 군 사격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폐기되었고, 민간에 불하되었다.
민간에 불하된 엔필드 총은 멧돼지나 곰 사냥용 사냥총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았으며, 현대에도 지방 창고 정리 중 잔해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260]
4. 3. 스나이더 소총으로의 개조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엔필드 소총을 스나이더 소총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추진했다. 이는 엔필드 소총이 구식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1877년 세이난 전쟁 이후 불평 사족이나 자유 민권 운동 세력에 의해 엔필드 소총이 악용될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이다.[259] 개조되지 않은 엔필드 소총은 군의 사격 훈련용으로 사용되거나 민간에 불하되어 수렵용으로 사용되었다.[260]1877년 세이난 전쟁에서 사이고 다카모리가 이끄는 사학교도들은 가고시마현의 화약고에 남아 있던 엔필드 소총을 강탈하여 봉기했다.[258]
참조
[1]
서적
Purchase of arms
https://books.google[...]
House Documents
1861
[2]
서적
The Rifle Musket in Civil War Combat: Reality and My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ansas
[3]
서적
Arms and Ammunition of the British Service
Royal Artillery, London
1872
[4]
서적
Text Book on the Theory of the Motion of Projectiles, the History, Manufacture, and Explosive Force of Gunpowder, the History of Small Arms, the Method of Conducting Experiments; and on Ranges: For the Use of Officers Sent to the Schools of Musketry
https://books.google[...]
[5]
서적
Arms and Ammunition of the British Service
Royal Artillery, London
1872
[6]
문서
Diary entry of 23 February 1855 - Well Done the 68th, The Durhams in the Crimea and New Zealand, 1854–1866
[7]
간행물
Coronel Henry Theodore Titus: Antebellum Soldier of Fortune and Florida Pioneer
https://play.google.[...]
University f south Carolina Press
2016
[8]
서적
For All the Tea in China
Penguin Books, New York
2010
[9]
문서
Instruction of Musketry
1856
[10]
문서
Field Exercises and Evolutions of Infantry
1861
[11]
문서
ms Diary of the 65th Regiment, 1858 entry
[12]
문서
Forest Rangers
Hamilton
1996
[13]
문서
The Pattern 1853 Enfield Rifle
Osprey Publishing
[14]
웹사이트
エンフィールド銃
null
2020-01-30
[15]
문서
当時、.60口径以下は小口径という扱いだった。
[16]
문서
発射された弾丸は、弾道が低ければ低いほど、危険界(発射された弾丸の飛行高度が、歩兵や騎兵の平均背丈を決して越えない距離のことを指す)が長くなるため、実質、命中率が高くなる。例えば、エンフィールド銃の300ヤードにおいての危険空間は、歩兵なら145ヤード、騎兵なら300ヤードである。
[17]
문서
他にも、[[弾丸]]が軽量化されていることによって、より多くの[[弾薬]]を所持できる様になるなどの利点もあった。
[18]
서적
The English Cartridge
[19]
문서
[20]
문서
Reports of Experiments with Small Arms, Carried on at the Royal Manufactory at Enfield in 1852
[21]
문서
1852年当時の[[1851年式ライフルマスケット|1851年型ライフルマスケット]]の[[ミニエー銃|ミニエー弾]]に挿入されている鉄製カップは、単に弾丸が複雑になる(コストがかかる)だけでなく、空洞内から抜け落たり、弾丸空洞内にしっかりと圧入しないなどの問題があった。
[22]
문서
名はそれぞれ、パーディー、ウェストリー・リチャーズ、ランカスター、ウィルキンソン、ウィリアムグリーナー、であった。
[23]
문서
Reports
[24]
문서
Reports
[25]
문서
Reports
[26]
문서
Reports
[27]
문서
THE PATTERN 1853 ENFIELD RIFLE
Osprey Publishing
[28]
문서
前の[[1851年型ライフルマスケット]]の4条のライフリングから3条に減少しているが、3条のライフリングは4条のそれよりも、射撃の正確さと水平方向の弾道に関して優れていることが判明した。
[29]
문서
Reports
[30]
문서
[[1852年]][[8月6日]]にトライアルを行い、様々なライフルを射撃したところ、その中の1:78インチのねじれを持つ.635口径の砲兵用[[カービン]][[小銃|ライフル]]はとても高精度で、800ヤード先のターゲットに20発中18発命中した。このため1:78インチのねじれが採用された。
[31]
서적
The British Soldier's Firearm, 1850-1864 From Smooth-bore to Small-bore
[32]
문서
[33]
문서
[34]
서적
The Rifle-musket
[35]
문서
すなわち、弾丸の直径が.568口径で、銃の口径が.577口径の場合、0.006インチの厚さの弾薬包紙ならば、紙巻き弾丸と銃身の直径の差がちょうど0.003インチなので、拡張時にライフリングに十分に吻合する。
[36]
서적
Gibbons,94ページ
[37]
서적
Gibbons,94-95ページ
[38]
서적
Gibbons,95ページ
[39]
서적
Roads,56ページ
[40]
서적
Gibbons,96ページ
[41]
Youtube
滑腔銃身のマスケット銃の装填方式
https://www.youtube.[...]
[42]
문서
燃焼した[[火薬]]の残りカスや、[[弾丸]]の鉛で[[銃身]]が汚れること、これによって[[弾丸]]の装填が困難になったり、射撃精度が低下したりする。
[43]
문서
ミニエー式[[紙製薬莢|弾薬包]](Minie style cartridge)と呼ばれる[[紙製薬莢|弾薬包]]で、[[1845年]]に[[クロード=エティエンヌ・ミニエー]](英:[[:en:Claude-Étienne Minié|Claude-Étienne Minié]])によって発明された。[[紙製薬莢|弾薬包]]の上部に[[黒色火薬|火薬]]、下部には[[弾丸]]が内蔵されている。
[44]
서적
Reports,45-46ページ
[45]
Youtube
ミニエー式弾薬包の装填方式
https://www.youtube.[...]
[46]
문서
[[弾丸]]を[[グリース]]([[潤滑剤]])漬けにした紙で巻いた状態で発射すると、[[潤滑剤]]の効果によって[[弾丸]]と[[銃身]]との間で摩擦熱が発生せず、[[弾丸]]の鉛が[[銃身]]や[[ライフリング]]に付着して蓄積しない。
[47]
서적
Gibbons,96〜97ページ
[48]
서적
Hans Busk,『Hand-book for Hythe: Comprising a Familiar Explanation of the Law of Projectiles, and an Introd. to the System of Musketry, Now Adopted by All Military Powers : with Numerous Illustrations』88ページ
[49]
서적
Gibbons,105ページ
[50]
문서
この頃([[1849年|1849]]-[[1866年|1866]])の[[小銃|ライフル]]の[[弾丸]]は、[[鋳造]]のイメージがあるが、実際には[[圧縮製造]](英:[[:en:Swaging|Swaging]])を行うこともあった。[[圧縮製造]](英:[[:en:Swaging|Swaging]])された[[弾丸]]は、[[鋳造]]弾に見られる、[[弾丸]]重量のばらつきや、気泡などがないので、[[鋳造]]弾や、[[フランソワ・タミシエ|タミシエ・グルーヴ]]がある[[鋳造]]弾より弾道性、精度に優れる。
[51]
Youtube
圧縮製造の様子
https://www.facebook[...]
[52]
서적
Gibbons,97ページ
[53]
서적
Gibbons,98ページ
[54]
서적
Roads,58ページ
[55]
문서
しかし、[[銃]]を[[兵士]]に与える必要はあったので、[[1853年]]の[[8月5日]]に、[[滑腔砲|滑腔銃身]]のエンフィールド銃を20,000丁作る契約をした。[[滑腔砲|滑腔銃身]]であるのは、[[ライフリング]]が決定した後に[[銃身]]に彫り込めるからである。
[56]
문서
ランカスターの楕円形[[銃身]]には、[[ライフリング]]は彫られていないので、[[滑腔砲|滑腔銃身]]である。そのため、厳密には[[ライフル砲|ライフル]]とは呼べない。
[57]
서적
C.H.Roads, 『The British Soldier's Firearm, 1850-1864 From Smooth-bore to Small-bore』58-59ページ
[58]
서적
Roads,60-61ページ
[59]
문서
エンフィールド製楕円形[[銃身]]は、[[1852年]][[7月]]に作られており、.570[[口径]]で、エンフィールド銃の3条の[[ライフリング]]と同じ1:78のねじれを持つ。およそ1年後には.577[[口径]]に変更された。
[60]
서적
Roads,61ページ
[61]
문서
英語では「ストリップ(strip)」と呼ばれる。ライフルの大量発砲によって発生する現象であり、これが起こると、射撃精度が低下する。
[62]
서적
Roads,62ページ
[63]
서적
Herbert Jenkins LTD., 『The British Soldier's Firearm, 1850-1864 From Smooth-bore to Small-bore』64ページ
[64]
서적
Roads,66ページ
[65]
문서
[[1854年]]の[[5月12日]]から[[11月31日]]の間には、[[ロンドン]]のガンメーカーや、[[ロイヤル・スモール・アームズ・ファクトリー]]は、合計2500丁のエンフィールド銃を生産していた。
[66]
서적
Gibbons,102ページ
[67]
서적
Gibbons,105-107ページ
[68]
서적
Sir William Henry Cope『The History of the Rifle Brigade (the Prince Consort's Own) Formerly the 95th』332ページ
[69]
문서
「ボールバッグ(Ball bag)」と呼ばれた。
[70]
서적
Gibbons,107ページ
[71]
문서
1854年11月に起こった嵐がバラクラヴァの港を襲い、壊滅的な被害を与え、大量の紙製薬莢が海の底に沈んだ。嵐の後、港に船が寄港することはできたが、紙製薬莢を入れられる倉庫はなかった。つまり、バラクラヴァの港に届けられた紙製薬莢は、クリミア半島の過酷な気候に晒されてしまったことになる。
[72]
문서
この紙製薬莢の問題は、1852年のトライアルの時点で小火器委員会が発見しており、弾丸が銃口にキツく嵌ったり、緩く嵌ったり、黒色火薬を漏らしたりすると、精度の良さにバラつきが見られた。
[73]
서적
Gibbons
[74]
서적
Reports
[75]
서적
Gibbons
[76]
서적
Gibbons
[77]
서적
Gibbons
[78]
문서
2名の選抜射手に紙製薬莢を与え、射撃を行わせた場合、品質が良いプリチェット弾を内蔵したエンフィールド紙製薬莢を使用した選抜射手は、600ヤード先で騎兵の馬に10発中3-6発命中させたが、品質が悪いプリチェット弾を内蔵したエンフィールド紙製薬莢を使用した選抜射手は同距離で建物にすら命中させることができない。
[79]
서적
Gibbons
[80]
문서
ここでの「性能指数」は、19世紀にイギリス軍が採っていた銃の精度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を指す。測り方としては、20発の弾痕グループの中で最も中央にある弾痕を測定し、その中央の弾痕からグループ内にあるそれぞれの弾痕の距離を一発ずつ測定していき、平均を出す。数値が小さいほど、精度が高いことを示す。
[81]
웹사이트
性能指数と、性能指数の測り方について。
https://www.youtube.[...]
[82]
서적
The Rifle: Its Theory and Practice
[83]
서적
Gibbons
[84]
문서
このエンフィールド弾は、1849年に発明されたミニエー銃|ミニエー弾と同じく、鉄製カップの圧入によって拡張するため、ミニエー銃|ミニエー弾に分類される。
[85]
서적
Gibbons
[86]
서적
Rifle ammunition
[87]
서적
Gibbons
[88]
문서
指貫 (裁縫道具)|指貫型鉄製カップは、1851年〜1852年の間に発明され、1849年にフランスで発明された半球型の鉄製カップに比べ、発砲時に空洞内により深く、そして正確に食い込んだため、半球型の鉄製カップを挿入したミニエー銃|ミニエー弾より精度や信頼性が高かった。
[89]
문서
1855年夏には、荷物運搬用の列車の線路が引かれており、これはロシア帝国|ロシアが1854年9月9日に降伏する前に、鉄製カップが挿入されたエンフィールド弾がセヴァストポリ包囲戦 (1854年-1855年)|セヴァストポリ包囲戦中のイギリス軍に届いた可能性を示している。しかし、おそらくこれは降伏後にロシア帝国|ロシアを占領したイギリス軍が、歩兵の射撃練習として扱っていただけという可能性が高い。
[90]
서적
Gibbons
[91]
서적
Gibbons
[92]
서적
Gibbons
[93]
서적
Gibbons
[94]
서적
Gibbons
[95]
서적
Gibbons
[96]
문서
機械は手動ではなく、全自動であった。
[97]
서적
Gibbons
[98]
서적
Gibbons
[99]
문서
この木製プラグの採用によって、1849年にミニエー大尉が発明した鉄製カップで拡張するミニエー銃|ミニエー弾とは異なるものとなったため、木製プラグを挿入したエンフィールド弾はミニエー銃|ミニエー弾に分類することができない。
[100]
간행물
Instruction of musketry 1855
[101]
서적
A companion to the new rifle musket
[102]
웹사이트
弾薬包の作り方
https://www.youtube.[...]
[103]
서적
Gibbons
[104]
문서
ミニエー銃|ミニエー弾は、弾丸の空洞内に紙製薬莢|弾薬包の底の余った部分の紙をたたみ込むことができたので、紙製薬莢|弾薬包紙が剥がれることはなく、このような問題は起こらなかった。
[105]
문서
他にも、この問題によって、エンフィールド弾を銃身の底まで装填し、ラムロッドを銃身内から取り出した際に、紙製薬莢|弾薬包紙がラムロッドにくっ付いて出てくることが起こった。
[106]
간행물
The Journal of the United Service Institution, 第 2 巻
[107]
서적
Gibbons
[108]
문서
[109]
서적
Gibbons
[110]
서적
Gibbons
[111]
서적
Gibbons
[112]
서적
Hawes
[113]
서적
Gibbons
[114]
서적
Hawes
[115]
문서
[116]
문서
[117]
서적
Gibbons
[118]
서적
Text Book on the Theory of the Motion of Projectiles, the History, Manufacture, and Explosive Force of Gunpowder, the History of Small Arms, the Method of Conducting Experiments; and on Ranges For the Use of Officers Sent to the Schools of Musketry
[119]
문서
[120]
서적
Gibbons
[121]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Relative to the Mutinies in the East Indies Inclosures in Nos. 1, 3, 5 and 6 [and] Inclosures in Nos. 7 to 19 : Presented to Both House of Parliament by Command of Her Majesty, 1857
[122]
문서
[123]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24]
서적
Gibbons
[125]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26]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27]
서적
Gibbons
[128]
서적
Gibbons
[129]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30]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31]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32]
서적
Gibbons
[133]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34]
간행물
Appendix to Papers
[135]
서적
Gibbons
[136]
서적
Gibbons
[137]
서적
Gibbons
[138]
서적
Gibbons
[139]
서적
Havelock
[140]
서적
The history of the Indian revolt, and of the expeditions to Persia, China, and Japan, 1856-7-8 [signed G.D.]
[141]
서적
Cassell's Illustrated History of England
[142]
간행물
Forbes
[143]
간행물
Forbes
[144]
서적
With Havelock from Allahabad to Lucknow, 1857
[145]
서적
Memoirs of Major-General Sir Henry Havelock
[146]
문서
[147]
서적
Marshman
[148]
간행물
Forbes
[149]
서적
History of the Indian revolt
[150]
서적
Reminiscences of the Great Mutiny 1857-59: Including the Relief, Siege, and Capture of Lucknow, and the Campaigns in Rohilcund and Oude
[151]
서적
Mitchell
[152]
서적
Mitchell
[153]
서적
Mitchell
[154]
서적
Mitchell
[155]
서적
History of the Indian Mutiny 1857-1858: Vol. 2
[156]
서적
From Cadet to Colonel: The Record of a Life of Active Service, 第 2 巻
[157]
서적
Seaton
[158]
문서
[159]
서적
Narrative of the Indian Revolt
[160]
서적
Seaton
[161]
서적
Seaton
[162]
서적
Seaton
[163]
서적
Gibbons
[164]
문서
[165]
서적
Gibbons
[166]
문서
[167]
서적
Gibbons
[168]
문서
[169]
서적
Bulletins and Other State Intelligence Compiled and Arranged from the Official Documents Published in the London Gazette, 第 1 部
[170]
서적
Gibbons
[171]
서적
The arms and ammunition of the British service
[172]
문서
[173]
문서
[174]
서적
Gibbons
[175]
서적
Text book
[176]
서적
Gibbons
[177]
서적
Gibbons
[178]
서적
Gibbons
[179]
서적
Gibbons
[180]
서적
Gibbons
[181]
서적
Roads
[182]
서적
Hawes
[183]
서적
Gibbons
[184]
문서
[185]
문서
[186]
서적
Hand book
[187]
서적
Hawes
[188]
서적
Gibbons
[189]
문서
[190]
서적
Hawes
[191]
문서
[192]
서적
Gibbons
[193]
서적
Roads
[194]
서적
Match shooting with the Enfield rifle, by a man of many ways
[195]
문서
[196]
서적
Gibbons
[197]
문서
[198]
문서
[199]
서적
Gibbons
[200]
서적
Gibbons
[201]
서적
Gibbons
[202]
서적
Gibbons
[203]
서적
Gibbons
[204]
서적
Gibbons
[205]
서적
Gibbons
[206]
서적
Roads
[207]
문서
[208]
서적
Gibbons
[209]
논문
Round Ball to Rimfire: A History of Civil War Small Arms Ammunition Part Four
[210]
논문
Thomas
[211]
문서
エリーブラザーズ
[212]
서적
Thomas
[213]
서적
The Papers of Ulysses S. GrantApril 1-August 31, 1862 · 第 5 巻
[214]
문서
1859年型エンフィールド紙製薬莢
[215]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216]
서적
Thomas
[217]
문서
Rules to be observed in the laboratories of C.S arsenal and ordnance Depots.1862.
[218]
문서
Reports of Experiments with Small Arms for the Military Services: By Officers of the Ordnance Department, U. S. Army
[219]
웹인용
エンフィールド銃の装填方式と、スプリングフィールド銃の装填方式の比較動画
https://www.youtube.[...]
[220]
문서
ハーパーズフェリー弾
[221]
문서
ミニエー弾
[222]
문서
Reports(U.S.Army)
[223]
문서
Reports(U.S.Army)
[224]
서적
Gibbons
[225]
문서
バートン弾
[226]
서적
Thomas
[227]
서적
Thomas
[228]
서적
Thomas
[229]
서적
Thomas
[230]
서적
Gibbons
[231]
서적
Brett
[232]
서적
Gibbons
[233]
서적
Thomas
[234]
서적
Thomas
[235]
서적
Gibbons
[236]
웹사이트
Snider,Martini-Henry,Lee-Metford,History report.
https://www.research[...]
2021-11-23
[237]
서적
Snider-Enfield: Report of Ordnance Select Committee on Trials, The War Office
[238]
서적
Snider-Enfield: Report of Ordnance Select Committee on Trials, The War Office
[239]
서적
Snider-Enfield: Report of Ordnance Select Committee on Trials, The War Office
[240]
서적
2nd Trial Results, Royal Artillery, Report of Ordnance Select Committee on Trials, The War Office
[241]
서적
2nd Trial Results, Royal Artillery, Report of Ordnance Select Committee on Trials, The War Office
[242]
서적
2nd Trial Results, Royal Artillery, Report of Ordnance Select Committee on Trials, The War Office
[243]
웹인용
THE GUN: RIFLEMEN ALL
https://www.youtube.[...]
[244]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Imperialism, Colonialism, Colonies
https://www.britishe[...]
2021-12-12
[245]
서적
List of Changes in British War Materials: 1860-1886 v. 1
[246]
Youtube
エンフィールド銃の弾丸の歴史
https://www.youtube.[...]
[247]
Youtube
エンフィールド銃の1分間における発砲数計測動画
https://www.youtube.[...]
[248]
문서
[249]
서적
ピストルと銃の図鑑
池田書店
[250]
문서
[251]
문서
[252]
문서
[253]
문서
[254]
문서
[255]
논문
西南戦争の弾薬 小火器弾薬編
[256]
문서
[257]
문서
[258]
문서
[259]
문서
[26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