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은 1920년대 후반의 투기적 호황 이후 발생한 세계적인 주가 대폭락 사건이다. 1929년 10월, 주식 시장은 연이은 폭락을 겪으며 '검은 목요일', '검은 월요일', '검은 화요일'로 불리는 시기를 거쳤고,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929년 9월 최고점 대비 89% 하락했다. 이 사건은 세계 대공황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으며, 미국과 전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다. 대폭락의 원인으로는 투기적 과열, 레버리지, 과도한 신용 대출, 농산물 가격 폭락 등이 지목되었으며, 이후 미국은 금융 규제를 강화하고, 주식 시장의 거래 중단 조치 등을 도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9년 10월 - 바르샤바 협약
바르샤바 협약은 국제 항공 운송인의 책임과 운송 서류 등에 관한 규칙을 규정하여 국제 항공 운송의 법적 환경을 만들었으나, 낮은 배상액 제한 등의 문제로 몬트리올 협약으로 대체되었다.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 |
다른 이름 | 1929년 주식 시장 붕괴 대폭락 검은 목요일 |
발생 시기 | |
날짜 | 1929년 10월 24일 (검은 목요일) ~ 1929년 10월 29일 (검은 화요일) |
장소 | 미국 뉴욕 월스트리트 |
원인 | |
주요 원인 | 주식 시장 투기 과열 대출을 통한 투자 증가 산업 생산 둔화 농업 부문 위기 |
결과 | |
주가 하락률 | 1929년 9월 최고점 대비 1932년 7월 최저점까지 89% 하락 |
영향 | 대공황 발발의 주요 원인 대규모 실업 발생 은행 파산 전 세계적인 경제 침체 경제 시스템에 대한 신뢰 상실 |
주요 사건 | |
검은 목요일 | 1929년 10월 24일, 주식 시장 급락 시작 |
검은 화요일 | 1929년 10월 29일, 주식 시장 사상 최악의 폭락 발생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허버트 후버 (미국 대통령) |
참고 자료 | |
관련 기사 | The beginner's guide to stock markets |
백과사전 | Stock Market Crash of 1929 |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광란의 20년대는 부가 넘쳐나는 시대였다.[35] 전후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농촌 지역의 미국인들은 도시로 이주하며 공업 부분의 급속한 팽창과 함께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였다.[36] 하지만 농산물 과잉생산으로 인해 10여년 간 미국 농촌에서는 광범위한 재정적 위기를 겪고 있었다.[36] 이러한 공업과 농업 부문의 극심한 차이는 1929년 월스트리트 붕괴의 원인 중 하나로도 지목된다.[37]
곳곳에서 투기에 대한 지적이 일어났지만 주식 시장은 영원히 상승할 것이란 생각에 빠졌다. 1929년 3월 25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과도한 투기세를 지적하자 투자자들이 빠르게 주식을 매도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의 불안한 기반을 드러내며 작은 폭락 사태가 일어났다.[38] 이틀 후 내셔널 시티 뱅크의 사장인 은행가 찰스 E. 미첼은 시장 불황세를 막기 위해 신용 2,500만 달러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38] 미첼의 이같은 움직임은 금융 위기를 일시적으로 막았으며 콜머니는 20%에서 8%로 급감하였다.[38] 하지만 미국 경제는 계속 불안한 모양세를 보여줬다. 강철 생산량이 줄어들었고 건설업도 부진했으며 자동차 판매량도 줄어든 대다가 소비자들은 쉬운 대출로 매우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었다.[38]
1929년 3월에서 5월 사이 일어난 경제 불황 신호와 소규모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6월부터는 다시 주식 시장이 상승세를 기록하여 1929년 6월에서 9월 초 사이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20% 가까이 급등하는 등 떨어지지 않고 상승세를 이어갔다. 1929년 9월 3일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당시 신기록이었던 381.17 포인트를 기록하며 9년만에 대략 10배 정도나 상승하였다.[38] 대폭락 직전 경제학자 어빙 피셔는 "주식 가격은 영원히 높은 고원에 있는 듯 하늘에 닿았다"라고 말했다.[39] 이러한 주식 호황세와 재정 증가세에 대한 낙관은 9월 5일 금융 전문가 로저 뱁슨(Roger W. Babson)이 발표한 "대폭락이 다가오고 있다"라는 논설로 큰 충격을 받았다.[40] 이 다음 날 주식 시장이 3% 정도 폭락하면서 9월 초 폭락세는 "뱁슨 대폭락"이라 부르기도 했다.[41][42] 이는 대폭락으로 이어지는 전조였지만 10월 대폭락 전까진 9월의 "뱁슨 대폭락"을 "건강한 시장 조정세"라 생각하고 기회라 생각해 사들였다.[43]
9월 20일, 런던 증권거래소가 영국 최대의 투자자였던 클라렌스 해트리(Clarence H. Hatry) 및 그의 동료 다수가 사기 및 위조죄로 투옥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폭락했다.[44] 런던의 대폭락은 미국의 해외 시장 투자에 대한 낙관론을 악화시켰다.[44] 대폭락으로 이어지는 날에도 시장은 심하게 불안정했다. 단기간의 대량 매도세로 인한 하락과 대량 매수세로 인한 상승 구도가 계속 반복되었다.
2. 1. 광란의 20년대와 투기 광풍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광란의 20년대는 부가 넘쳐나는 시대였다.[35] 전후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농촌 지역의 미국인들은 도시로 이주하며 공업 부분의 급속한 팽창과 함께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였다.[36] 하지만 농산물 과잉생산으로 인해 10여년 간 미국 농촌에서는 광범위한 재정적 위기를 겪고 있었다.[36] 이러한 공업과 농업 부문의 극심한 차이는 1929년 월스트리트 붕괴의 원인 중 하나로도 지목된다.[37]곳곳에서 투기에 대한 지적이 일어났지만 주식 시장은 영원히 상승할 것이란 생각에 빠졌다. 1929년 3월 25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과도한 투기세를 지적하자 투자자들이 빠르게 주식을 매도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의 불안한 기반을 드러내며 작은 폭락 사태가 일어났다.[38] 이틀 후 내셔널 시티 뱅크의 사장인 은행가 찰스 E. 미첼은 시장 불황세를 막기 위해 신용 2,500만 달러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38] 미첼의 이같은 움직임은 금융 위기를 일시적으로 막았으며 콜머니는 20%에서 8%로 급감하였다.[38] 하지만 미국 경제는 계속 불안한 모양세를 보여줬다. 강철 생산량이 줄어들었고 건설업도 부진했으며 자동차 판매량도 줄어든 대다가 소비자들은 쉬운 대출로 매우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었다.[38]
1929년 3월에서 5월 사이 일어난 경제 불황 신호와 소규모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6월부터는 다시 주식 시장이 상승세를 기록하여 1929년 6월에서 9월 초 사이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20% 가까이 급등하는 등 떨어지지 않고 상승세를 이어갔다. 1929년 9월 3일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당시 신기록이었던 381.17 포인트를 기록하며 9년만에 대략 10배 정도나 상승하였다.[38] 대폭락 직전 경제학자 어빙 피셔는 "주식 가격은 영원히 높은 고원에 있는 듯 하늘에 닿았다"라고 말했다.[39] 이러한 주식 호황세와 재정 증가세에 대한 낙관은 9월 5일 금융 전문가 로저 뱁슨(Roger W. Babson)이 발표한 "대폭락이 다가오고 있다"라는 논설로 큰 충격을 받았다.[40] 이 다음 날 주식 시장이 3% 정도 폭락하면서 9월 초 폭락세는 "뱁슨 대폭락"이라 부르기도 했다.[41][42] 이는 대폭락으로 이어지는 전조였지만 10월 대폭락 전까진 9월의 "뱁슨 대폭락"을 "건강한 시장 조정세"라 생각하고 기회라 생각해 사들였다.[43]
9월 20일, 런던 증권거래소가 영국 최대의 투자자였던 클라렌스 해트리(Clarence H. Hatry) 및 그의 동료 다수가 사기 및 위조죄로 투옥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대폭락했다.[44] 런던의 대폭락은 미국의 해외 시장 투자에 대한 낙관론을 악화시켰다.[44] 대폭락으로 이어지는 날에도 시장은 심하게 불안정했다. 단기간의 대량 매도세로 인한 하락과 대량 매수세로 인한 상승 구도가 계속 반복되었다.
2. 2. 국제 정세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광란의 20년대는 부가 넘쳐나는 시대였다.[35] 전후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농촌 지역의 미국인들은 도시로 이주하며 공업 부분의 급속한 팽창과 함께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였다.[36]1929년 9월 20일, 런던 증권거래소는 영국의 주요 투자자인 클라렌스 해트리와 그의 동료들이 사기 및 위조 혐의로 투옥되면서 큰 폭락을 겪었다.[44] 런던 증권거래소의 붕괴는 미국 시장의 해외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켰다.[44] 대폭락으로 이어지는 기간 동안 시장은 매우 불안정한 상태를 보였다. 대량 매도로 인한 주가 하락과 일시적인 회복세가 반복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경제학자이자 저술가인 주드 와니스키는 당시 미국 의회에서 논의 중이던 스무트-홀리 관세법의 통과 가능성이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9]
3. 전개
10월 중순 경부터는 매도세가 격렬해지기 시작했다. 검은 목요일이라 부르는 10월 24일에는 개장하자마자 이뤄진 대량의 주문으로 11% 하락으로 시작했다. 대량의 주문으로 인해 미국 전역의 증권사 사무실에서 시세표 가격보고가 매우 늦어졌으며 투자자들은 대부분의 주식이 실제로 그 시각에 거래되고 있는지 알지 못했으며 시장의 공포감이 늘어났다. 주요 월가 은행가들은 거래 현장의 공포와 혼돈을 잠재우기 위해 오후 1시경 회동을 가졌다.[45] 이 회의에는 모건 은행의 대표대행인 토마스 W. 래몬트, 체이스 국립은행 대표 알버트 H. 위긴, 뉴욕 국립 씨티은행 총재 찰스 E. 미첼 등이 있었다. 이들은 뉴욕 증권거래소 부이사장 리차드 위트니를 대신하여 행동했다.
위트니는 배후의 은행가의 재정 지원을 통해 US 스틸의 대규모 주식을 시장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매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매매가들의 대동 하에 위트니는 기타 다른 우량주에 대해서도 유사한 매입을 시도했다. 이는 1907년 공황을 끝낸 전술과도 일치했다. 이러한 매입으로 하락세는 진정되었다.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복구되어 마감할 시점에는 6.38 포인트 하락한 299.47 포인트로 마감하였다. 이날에만 대략 1,290만 주가 거래되었다. 이같은 장세는 10월 25일 금요일과 10월 26일 토요일 오전까지 이어졌으나 1907년과 다르게 이같은 임시방편은 일시적으로만 해결할 수 있었다.
주말동안 검은 목요일 사건은 미국 전역의 신문에 다뤄졌다. 10월 28일 월요일(검은 월요일)[46]에는 수많은 마진 콜이 들어오며 투자자들은 시장을 뜨기를 결정했고, 다우 지수는 이날에도 하락을 계속해 이날 하루에만 38.33 포인트(약 13%)가 폭락하였고 폐장 시점에선 260.64 포인트로 마감하였다.[47]
다음 날인 10월 29일 화요일(검은 화요일) 공포가 절정에 달해 매도세가 가장 컸을 때 이날에만 대략 1,640만 주가 거래되었다.[48] 이날에만 다우 존스는 추가로 30 포인트(약 12%) 더 하락한 230.07 포인트로 폐장하였다.[49][50][51][52] 이날 하루에 거래된 주식량은 대략 40여년간 깨지지 않았다.[50]
한편 10월 29일 윌리엄 C. 듀란트는 록펠러 가와 기타 금융계 거물들과 만나 대중에게 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기 위해 대량의 주식을 구매하러 했으나 이들의 노력도 주가 폭락을 막진 못했다. 이날 거래된 엄청난 양의 주식으로 인해 오후 7시 45분까지 시세 표시기의 시세가 계속 바뀌었다. 시장은 이틀동안 시가총액이 300억 달러가 증발했으며 10월 29일 하루에만 140억 달러가 증발하였다.[53]
다음 날인 10월 30일에는 다우 지수가 약간 복귀되어 28.40 포인트(약 12%) 상승한 258.47 포인트로 마감했지만, 이후에는 다시 하락세로 전환하여 1929년 11월 13일에는 다우 존스가 최저점인 198.69 포인트까지 하락하였다.[47] 이후 11월 14일부터는 시장이 다시 회복되어 11월 14일엔 다우 지수가 18.59 포인트(약 10%) 오른 217.28 포인트로 마감하였고, 계속해서 약간씩 보합세를 보이며 1930년 4월 17일에는 2차 고점인 294.07 포인트(1929년 9월 최고점의 70%)로 마감하였지만 이후부턴 다시 약세장으로 돌입하였다.[55] 이듬해 다우 지수는 지속적으로 폭락장으로 향하며 1931년 4월부터 1932년 7월 8일까지 수 %씩 하락하였다. 결국 1932년 7월 8일 20세기 주가 최저점인 41.22 포인트를 달성하였고 주가 지수는 1929년 9월 최고점 대비 총 89% 하락하였다.
1933년 3월 15일부터야 다우 존스 지수는 1929년 이후 3년간 폭락했던 지수를 천천히 회복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 초중반엔 다우 존스 지수가 가장 큰 퍼센트로 회복하였다. 1937년 말 주식 시장은 다시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 당시 가격도 1932년 최저점을 상회했다. 1929년 9월 3일 달성했던 다우 존스 최고점은 1954년 11월 23일이 되어서야 다시 돌파한다.[56][57][58]
3. 1. 검은 목요일 (1929년 10월 24일)
1929년 10월 중순부터 매도세가 격렬해지기 시작했다. '검은 목요일'이라 불리는 10월 24일, 개장 직후 대량 주문으로 주가는 11% 하락하며 시작되었다.[45] 대량 주문으로 인해 미국 전역 증권사 사무실에서는 시세표 가격 보고가 지연되었고, 투자자들은 시장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공포감이 커졌다. 이러한 혼란을 막기 위해 당일 오후 1시경 월가의 주요 은행가들이 긴급 회동을 가졌다.[13] 이 회의에는 모건 은행의 대표 대행 토마스 W. 래몬트, 체이스 국립은행 대표 알버트 H. 위긴, 뉴욕 국립 씨티은행 총재 찰스 E. 미첼 등이 참석했다.[45] 이들은 뉴욕 증권거래소 부이사장 리차드 위트니를 대리인으로 내세웠다.은행가들의 재정 지원을 받은 위트니는 US 스틸 주식을 시장가보다 높은 가격에 대량 매입하도록 하였다. 또한, 다른 우량주에도 유사한 매입을 시도하여, 1907년 공황을 종식시킨 전술과 유사한 방식으로 시장의 안정을 꾀했다. 이 결과, 하락세는 일시적으로 진정되었고,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99.47 포인트로 마감하며 6.38 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45] 이날 하루 동안 약 1,290만 주가 거래되었다. 이러한 안정세는 10월 25일 금요일과 10월 26일 토요일 오전까지 이어졌으나, 1907년과 달리 일시적인 효과에 그쳤다.
3. 2. 검은 월요일 (192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월요일(검은 월요일)[46]에는 더 많은 투자자들이 마진 콜을 받으며 시장을 떠나기로 결정했고, 다우 지수는 이날 하루에만 38.33 포인트(약 13%)가 폭락하며 260.64 포인트로 마감하였다.[47] 이는 기록적인 하락폭이었다.[14] 주말 동안 검은 목요일 사건이 미국 전역의 신문에 보도되면서, 투자 심리가 더욱 악화된 결과였다.
3. 3. 검은 화요일 (1929년 10월 29일)
1929년 10월 29일 화요일(검은 화요일)은 공포가 절정에 달해 매도세가 가장 컸던 날로, 이날에만 대략 1,640만 주가 거래되었다.[48] 다우 존스는 이날 추가로 30 포인트(약 12%) 하락한 230.07 포인트로 폐장하였다.[49][50][51][52] 이날 하루에 거래된 주식량은 이후 약 40여년간 깨지지 않는 기록이었다.[50]윌리엄 C. 듀란트는 록펠러 가를 비롯한 금융계 거물들과 함께 대중에게 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기 위해 대량의 주식을 구매했으나, 이러한 노력도 주가 폭락을 막지 못했다.[19] 엄청난 양의 주식 거래로 인해 오후 7시 45분까지 시세 표시기의 시세가 계속 바뀌었다.[53] 이틀 동안 시가총액 300억 달러가 증발했으며, 10월 29일 하루에만 140억 달러가 사라졌다.[53]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이 소비한 금액보다 훨씬 많은 금액이었다.[19]
3. 4. 이후의 주가 변동
1929년 10월 30일에는 다우 지수가 28.40 포인트(약 12%) 상승한 258.47 포인트로 마감했지만, 이후 다시 하락세로 전환하여 1929년 11월 13일에는 최저점인 198.69 포인트를 기록했다.[47] 11월 14일부터 시장은 다시 회복되어 이날 다우 지수는 18.59 포인트(약 10%) 오른 217.28 포인트로 마감했고, 1930년 4월 17일에는 2차 고점인 294.07 포인트(1929년 9월 최고점의 70%)를 기록했다.[55] 그러나 이후 다시 약세장으로 돌입, 1931년 4월부터 1932년 7월 8일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세기 주가 최저점인 41.22 포인트를 기록, 1929년 9월 최고점 대비 총 89% 하락했다.1933년 3월 15일부터 다우 존스 지수는 3년간 폭락했던 지수를 천천히 회복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 초중반은 다우 존스 지수가 가장 큰 퍼센트로 회복한 시기였다. 1937년 말 다시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 당시 가격도 1932년 최저점을 상회했다. 1929년 9월 3일의 다우 존스 최고점은 1954년 11월 23일이 되어서야 다시 돌파했다.[56][57][58]
4. 원인과 분석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은 1920년대 후반 투기적 호황세 직후 일어났다. 철강 생산, 건물 건설, 소매 매출, 자동차 판매, 철도 운송량 등 여러 분야에서 기록적인 성장을 보이며 수십만 명의 미국인이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주식 호황세로 이어졌다.[63] 많은 이들이 더 많은 주식을 사기 위해 대출을 끼고 신용매매를 하였고, 1929년 8월까지 주식 브로커들은 구입하는 주식 액면가의 2/3 이상을 소액투자자들에게 대출해 주었다. 당시 85억 달러가 넘는 금액이 대출되었는데,[64] 이는 당시 미국 내에서 유통되던 통화량 전체보다 더 많았다.[53][65]
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은 주가가 더 오를 것이라 기대하며 거품 경제를 만들어냈다. 마진 거래로 인해 투자자들은 시장이 하락하거나, 심지어는 빠르게 상승하지 못하면 많은 돈을 잃게 되는 구조였다. S&P 종합지수의 주가수익률(P/E)은 1929년 9월 기준 32.6으로[66] 역사상 어떤 때보다도 더 높았다.[67]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는 당시 주식 투기세가 심각하여 골드만삭스의 '블루 릿지 트러스트'나 '셰넌도 트러스트'와 같은 레버리지 투자상품에 저축이나 돈을 투자한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 상품들도 1929년 말에는 폭락하여 은행이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68]
1929년 8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의 밀 대호황과 호주의 밀 생산량 증가로 세계 밀 가격이 폭락하였다. 월가 주식도 이에 하락하였으나 싼 주식이 아마추어 투기꾼과 투자자를 몰리게 만들었다. 전 세계적인 공급 과잉으로 10월이 되면 밀은 부셸당 1.31달러까지 하락하였다.[69]
1931년, 미국 상원에 페코라 위원회가 설립되어 붕괴 원인을 조사하게 되었다. 미국 의회는 1933년에 글래스-스티걸법을 제정하여 예금과 대출을 취급하는 상업은행과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의 인수, 발행 및 배포를 하는 투자은행의 분리를 결정했다 (은행-증권 분리).
1929년 대폭락을 교훈 삼아 세계 각국의 주식시장은 급격한 하락 시에는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는 조치를 결정하고, 1929년과 같은 공황적인 매도를 방지하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반세기 후인 1987년 10월 19일의 블랙 먼데이에서는 하루 동안의 폭락이었지만 1929년 대폭락보다 훨씬 큰 주가 폭락이 발생하여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2.6% 하락했다.[14]
4. 1. 경제적 요인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은 1920년대 후반 투기적 호황세 직후 일어났다. 철강 생산, 건물 건설, 소매 매출, 자동차 판매, 철도 운송량 등 여러 분야에서 기록적인 성장을 보이며 수십만 명의 미국인이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주식 호황세로 이어졌다.[63] 많은 이들이 더 많은 주식을 사기 위해 대출을 끼고 신용매매를 하였고, 1929년 8월까지 주식 브로커들은 구입하는 주식 액면가의 2/3 이상을 소액투자자들에게 대출해 주었다. 당시 85억 달러가 넘는 금액이 대출되었는데[64] 이는 당시 미국 내에서 유통되던 통화량 전체보다 더 많았다.[53][65]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은 주가가 더 오를 것이라 기대하며 거품 경제를 만들어냈다. 마진 거래로 인해 투자자들은 시장이 하락하거나, 심지어는 빠르게 상승하지 못하면 많은 돈을 잃게 되는 구조였다. S&P 종합지수의 주가수익률(P/E)은 1929년 9월 기준 32.6으로[66] 역사상 어떤 때보다도 더 높았다.[67]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는 당시 주식 투기세가 심각하여 골드만삭스의 '블루 릿지 트러스트'나 '셰넌도 트러스트'와 같은 레버리지 투자상품에 저축이나 돈을 투자한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 상품들도 1929년 말에는 폭락하여 은행이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68]
1929년 8월,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의 밀 대호황과 호주의 밀 생산량 증가로 세계 밀 가격이 폭락하였다. 월가 주식도 이에 하락하였으나 싼 주식이 아마추어 투기꾼과 투자자를 몰리게 만들었다. 전세계적인 공급 과잉으로 10월이 되면 밀은 부셸당 1.31달러까지 하락하였다.[69]
4. 2. 정책적 요인
1929년 월가 대폭락은 1920년대 후반 투기적 호황세 직후 일어났다. 철강 생산, 건물 건설, 소매 매출, 자동차 판매, 철도 운송량 등이 매 기록을 경신하며 최대를 돌파하였고, 536개 제조업 기업 및 무역회사는 1929년 상반기 순이익이 1928년과 비교하여 36.6%가 증가하였다.[63] 이런 기록적인 수치는 수십만명의 미국인이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주식 호황세로 이어졌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더 많은 주식을 사기 위해 대출을 끼고 신용매매를 하였다. 1929년 8월까지 주식 브로커들은 구입하는 주식 액면가의 2/3 이상을 소액투자자들에게 대출해 주었고, 당시 85억 달러가 넘는 금액이 대출되었는데[64] 이는 당시 미국 내에서 유통되던 통화량 전체보다 더 많았다.[53][65]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은 주식이 이보다 더 오를 것이라 기대하고 사람들이 몰리게 되었고, 이러한 생각과 추정이 가면 갈수록 심해지면서 거품 경제를 만들어냈다. 마진 거래로 인해 투자자들은 시장이 하락하거나, 심지어는 빠르게 상승하지 못하면 많은 돈을 잃게 되는 구조에 있었다. S&P 종합지수의 주가수익률(P/E)은 1929년 9월 기준 32.6으로[66] 그 당시 역사상 어떤 때보다도 더 높았다.[67]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는 당시 주식 투기세가 심각하여 골드만삭스의 '블루 릿지 트러스트'나 '셰넌도 트러스트'와 같은 레버리지 투자상품에 저축이나 돈을 투자한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 상품들도 1929년 말에는 폭락하여 은행이 2010년 달러 기준 대략 4,750억 달러(2018년 기준 5,458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다고 말했다.[68]
1929년의 작황 대호황도 이에 영향을 미쳤다. 1929년 8월이 되면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의 밀 대호황과 호주의 밀 생산량 증가로 세계 밀 가격이 폭락하였다. 월가 주식도 이에 하락하였으나 싼 주식이 스태그(Stag)라 부르는 아마추어 투기꾼과 투자자를 몰리게 만들었다. 미 의회는 밀값 안정을 위해 1억 달러에 달하는 농민 구호금을 편성하여야 했다. 전세계적인 공급 과잉으로 10월이 되면 밀은 부셸당 1.31달러까지 하락하였다.[69]
4. 3. 사회적 요인
1929년 월가 대폭락은 1920년대 후반 투기적 호황세 직후 일어났다. 철강 생산, 건물 건설, 소매 매출, 자동차 판매, 철도 운송량 등이 매 기록을 경신하며 최대를 돌파하였고, 536개 제조업 기업 및 무역회사는 1929년 상반기 순이익이 1928년과 비교하여 36.6%가 증가하였다.[63] 이런 기록적인 수치는 수십만명의 미국인이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주식 호황세로 이어졌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더 많은 주식을 사기 위해 대출을 끼고 신용매매를 하였다. 1929년 8월까지 주식 브로커들은 구입하는 주식 액면가의 2/3 이상을 소액투자자들에게 대출해 주었고, 당시 85억 달러가 넘는 금액이 대출되었는데[64] 이는 당시 미국 내에서 유통되던 통화량 전체보다 더 많았다.[53][65]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은 주식이 이보다 더 오를 것이라 기대하고 사람들이 몰리게 되었고, 이러한 생각과 추정이 가면 갈수록 심해지면서 거품 경제를 만들어냈다. 여기에 마진 거래로 인해 투자자들은 시장이 하락하거나, 심지어는 빠르게 상승하지 못하면 많은 돈을 잃게 되는 구조에 있었다. S&P 종합지수의 주가수익률(P/E)은 1929년 9월 기준 32.6으로[66] 그 당시 역사상 어떤 때보다도 더 높았다.[67]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는 당시 주식 투기세가 심각하여 골드만삭스의 '블루 릿지 트러스트'나 '셰넌도 트러스트'와 같은 레버리지 투자상품에 저축이나 돈을 투자한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 상품들도 1929년 말에는 폭락하여 은행이 2010년 달러 기준 대략 4,750억 달러(2018년 기준 5,458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다고 말했다.[68]
1929년의 작황 대호황도 이에 영향을 미쳤다. 1929년 8월이 되면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의 밀 대호황과 호주의 밀 생산량 증가로 세계 밀 가격이 폭락하였다. 월가 주식도 이에 하락하였으나 싼 주식이 스태그(Stag)라 부르는 아마추어 투기꾼과 투자자를 몰리게 만들었다. 미 의회는 밀값 안정을 위해 1억 달러에 달하는 농민 구호금을 편성하여야 했다. 전세계적인 공급 과잉으로 10월이 되면 밀은 부셸당 1.31달러까지 하락하였다.[69]
5. 여파
1929년 월가 대폭락과 세계 대공황은 20세기 "최대의 금융 위기"였다고 할 수 있다.[24] 1929년 10월의 공황은 그 후 10년간 세계를 뒤덮은 경기 침체의 상징으로 기능했다.[25] 월가 대폭락은 미국과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고, 그 직후부터 현재까지 역사학, 경제학 및 정치학 분야에서 격렬한 논쟁의 씨앗이 되어 왔다.
1929년의 폭락은 활황의 1920년대를 뒤흔들고 끝맺었다.[27] 이 대폭락은 미국에 있어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장기간 지속될 일련의 과정의 시작을 알렸다.
큰 문제는 1929년 대폭락이 세계 대공황을 일으켰는지[29], 아니면 신용 거래가 가속화된 버블 경제의 붕괴와 단순히 시기가 일치했는지이다. 주가 하락은 도산과 사업 폐쇄, 노동자 해고 등 경기 불황을 포함하여 심각한 거시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했다. 그 결과 발생한 실업률 상승과 불황은 대폭락의 직접적인 결과로 여겨지지만, 불황으로 이어진 단일 사건은 결코 아니다. 그 후 일어난 사건에 최대의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월가 대폭락은 세계 대공황을 시작한 경제 하강선을 알리는 것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다.
사실인지 여부를 떠나, 그 후의 경과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심각한 것이었다. 학계 전문가 대부분은 대폭락의 한 측면에는 동의하고 있다. 즉, 그것은 하루아침에 막대한 부를 상실하게 하고, 즉시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꺾었다는 것이다.[29]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미국 통화(즉, 달러)의 인출 사태가 발생했고, 연방준비제도는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 4,000여 개의 대부업체가 최종적으로 궁지에 몰렸다. 또한 1929년 대폭락 이후, 최근 체결 가격을 상회하는 수준이 아니면 공매도할 수 없도록 하는 업틱 룰[30]이 시행되어, 약세장에서는 공매도로 주가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다.[31]
1932년 미국 상원에서는 1929년의 대폭락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페코라 위원회를 설립했다.[59] 이듬해인 1933년에는 미국 의회가 예금을 받고 융자를 해주는 상업은행과 증권, 채권, 기타 유가증권을 인수, 발행, 배포하는 투자은행을 분리시키는 1933년 은행법을 통과시켰다.[60]
1929년 대폭락을 경험한 이후 전세계 주식시장은 급격한 폭락이 일어나는 경우 거래를 중지하는 조치를 제정하였으며, 이 조치가 공포 매수를 막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검은 월요일 때에는 다우 존스 지수가 하루만에 무려 22.6% 폭락하는 등 1929년 10월 28-29 양일 있었던 폭락을 합친 수치보다도 더 폭락하는 일이 일어났다.[61] 2020년 주가 대폭락 당시 일어난 2020년 3월 16일의 2차 검은 월요일엔 12.93% 하락을 기록하며 1929년 검은 화요일 당시의 폭락을 경신하였다.[62]
많은 학자들은 1929년 대폭락을 일시적 호황의 새로운 이론의 일부인 역사적 과정의 일부로 보고 있다. 요제프 슘페터(Joseph Schumpeter)와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Kondratiev) 등의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이 대폭락은 단지 경기 순환이라고 불리는 지속적인 과정에서 발생한 하나의 역사적 사건일 뿐이라고 한다. 대폭락의 영향은 단지 경기 순환이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속도를 빠르게 했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밀턴 프리드만(Milton Friedman)은 안나 슈워츠(Anna Schwartz)와의 공저 『미국의 금융사』에서 "대공황"을 심각하게 만든 것은 경기 순환의 하강선, 보호 무역주의 또는 1929년 주식 대폭락이 아니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 대신 국가를 심각한 불황에 빠뜨린 것은 1930년부터 1933년까지 이어진 3차례의 공황 동안 발생한 금융 시스템의 붕괴였다고 주장하고 있다.[32]
5. 1. 경제 대공황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은 20세기 최대의 금융 위기[24]이자, 10년간 세계를 뒤덮은 경제 대공황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25] 1932년 미국 상원은 대폭락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페코라 위원회를 설립했고,[59] 1933년에는 1933년 은행법을 통과시켜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분리시켰다.[60]대폭락 이후 전 세계 주식시장은 급격한 폭락 시 거래를 중지하는 조치를 도입했지만, 검은 월요일과 2020년 주가 대폭락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조치가 대규모 폭락을 완전히 막지는 못했다.[61][62]
대폭락이 경제 대공황을 일으켰는지, 아니면 단순히 시기가 일치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29] 주가 하락은 도산, 사업 폐쇄, 노동자 해고 등 심각한 거시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했다.[29] 이는 실업률 상승과 불황으로 이어졌지만, 대폭락이 불황의 단일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폭락은 경제 하강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대폭락으로 인해 막대한 부가 사라지고 소비 심리가 위축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미국 통화 인출 사태가 발생했다.[29] 연방준비제도는 금리를 인상해야 했고, 수많은 대부업체가 파산했다.[29] 또한, 공매도를 제한하는 업틱 룰이 시행되었다.[30][31]
요제프 슘페터와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 같은 경제학자들은 대폭락을 경기 순환 과정의 일부로 보았지만,[32] 밀턴 프리드만은 금융 시스템 붕괴가 대공황을 심화시켰다고 주장했다.[32]
5. 2. 금융 규제 강화
1929년 대폭락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1932년 미국 상원은 페코라 위원회를 설립했다.[59] 1933년 미국 의회는 1933년 은행법(글래스-스티걸 법)을 통과시켜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분리했다.[60] 이 법은 예금을 받고 융자를 해주는 상업은행과 증권, 채권, 기타 유가증권을 인수, 발행, 배포하는 투자은행 업무를 분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929년 대폭락 이후, 전 세계 주식시장은 급격한 폭락이 일어나는 경우 거래를 중지하는 조치를 제정하여 공포 매수를 막고자 했다.[61] 또한, 최근 체결 가격을 상회하는 수준이 아니면 공매도할 수 없도록 하는 업틱 룰[30]이 시행되어, 약세장에서 공매도로 주가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다.[31]
5. 3. 1987년 검은 월요일과 2020년 주가 대폭락
1932년 미국 상원에서는 1929년의 대폭락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페코라 위원회를 설립했다.[59] 이듬해인 1933년에는 미국 의회가 예금을 받고 융자를 해주는 상업은행과 증권, 채권, 기타 유가증권을 인수, 발행, 배포하는 투자은행을 분리시키는 1933년 은행법을 통과시켰다.[60]1929년 대폭락을 경험한 이후 전세계 주식시장은 급격한 폭락이 일어나는 경우 거래를 중지하는 조치를 제정하였으며, 이 조치가 공포 매수를 막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검은 월요일 때에는 다우 존스 지수가 하루만에 무려 22.6% 폭락하는 등 1929년 10월 28-29 양일 있었던 폭락을 합친 수치보다도 더 폭락하는 일이 일어났다.[61] 2020년 주가 대폭락 당시 일어난 2020년 3월 16일의 2차 검은 월요일엔 12.93% 하락을 기록하며 1929년 검은 화요일 당시의 폭락을 경신하였다.[62]
6. 한국에 주는 교훈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은 한국 경제와 사회에 여러 교훈을 제시한다.
무엇보다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규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933년 은행법처럼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분리하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할 수 있다.[60] 또한, 급격한 주가 폭락 시 거래를 중지하는 조치와 검은 월요일의 사례에서 보듯이, 공매도 규제와 같은 시장 안정화 장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61]
경제 불평등 심화와 금융 시장 변동성이 취약 계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각심을 촉구한다. 대폭락 이후 발생한 대규모 실업과 경제 불황은 사회적 약자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한국 경제의 건전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 방향으로는 가계 부채 관리 강화, 금융 시장 감독 강화, 사회 안전망 확충 등이 필요하다. 특히, 밀턴 프리드만이 지적한 것처럼 금융 시스템의 붕괴는 심각한 불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32]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조
[1]
뉴스
Pyramid structures brought down by Wall Street Crash
http://business.time[...]
The Times
[2]
뉴스
Role of 'new Tinkerman' tailor-made for Benitez
http://www.timesonli[...]
The Times
[3]
서적
経済辞典
有斐閣
[4]
뉴스
Economics focus: The Great Depression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5]
뉴스
Reactions of the Wall Street slump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6]
뉴스
America gets depressed by thoughts of 1929 revisited
http://business.time[...]
The Sunday Times
[7]
웹사이트
The Bright Side of Bubbles - CFO.com
http://www.cfo.com/a[...]
Cfo.com
2007-05-01
[8]
서적
A History of Us: War, Peace and all that Jazz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9]
서적
The Way the World Works
Gateway Editions
1978
[10]
웹사이트
DJIA 1929 to Present
http://finance.yahoo[...]
Yahoo! Finance
[11]
뉴스
U.S. Industrial Stocks Pass 1929 Peak
The Times
1954-11-24
[12]
웹사이트
Timeline: A selected Wall Street chronology
http://www.pbs.org/w[...]
PBS
[13]
서적
The Great Depression
[14]
뉴스
The Panic of 2008? What Do We Name the Crisis?
http://blogs.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15]
웹사이트
NYSE, New York Stock Exchange > About Us > History > Timeline > Timeline
http://www.nyse.com/[...]
Nyse.com
[16]
웹사이트
History's Advice During A Panic? Don't Panic : NPR
http://www.npr.org/t[...]
Npr.org
[17]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 The Crash of 1929 | Timeline | PBS
http://www.pbs.org/w[...]
Pbs.org
[18]
간행물
The Cause and Consequences of the Great Depression, Part 1: What Made the Roaring '20s Roar
The Intellectual Activist
2004-06
[19]
비디오
New York: A Documentary Film
http://www.pbs.org/w[...]
pbs.org
[20]
웹사이트
Historical Index Data – Market Data Center
http://online.wsj.co[...]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1]
웹사이트
Liquid Markets
http://www.liquidmar[...]
[22]
웹사이트
Crashes, Bangs & Wallops
http://www.ft.com/cm[...]
フィナンシャル・タイムズ
[23]
웹사이트
Irrational Exuberance, Second Edition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03-17
[24]
뉴스
Paulson affirms Bush assessment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5]
뉴스
The Market Turmoil: Past lessons, present advice; Did '29 Crash Spark The Depressi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7-10-21
[26]
뉴스
Death of the Brokerage: The Future of Wall Street
http://www.npr.org/t[...]
National Public Radio
[27]
뉴스
Kaboom!...and bust. The crash of 2008
http://www.timesonli[...]
The Times
[28]
뉴스
Crashes, Bangs & Wallop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9]
뉴스
The Market Turmoil: Past lessons, present advice; Did '29 Crash Spark The Depress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30]
뉴스
Practice has plenty of historical precedents - Financial Time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31]
뉴스
Funds want ‘uptick’ rule back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32]
뉴스
Panic control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33]
뉴스
The beginner's guide to stock markets
http://www.timesonli[...]
The Times
2012-01-29
[3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012-01-29
[35]
뉴스
America gets depressed by thoughts of 1929 revisited
http://business.time[...]
The Sunday Times
[36]
웹사이트
The Great (Farm) Depression of the 1920s
http://www.americanh[...]
American History USA
2013-11-10
[37]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3-11-05
[38]
웹사이트
Timeline: A selected Wall Street chronology
https://www.pbs.org/[...]
PBS
2008-09-30
[39]
웹사이트
The Bright Side of Bubbles
http://www.cfo.com/a[...]
2007-05-01
[40]
서적
The Great Crash, 1929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41]
웹사이트
Babson's Warning
https://internationa[...]
2014-09-15
[42]
웹사이트
The Man Who Predicted the Crash of "˜29
https://www.newswise[...]
[43]
뉴스
Babson Talk Called Factor in Price Drop
https://chicagotribu[...]
시카고 트리뷴
1929-09-06
[44]
서적
The Causes of the 1929 Stock Market Crash: A Speculative Orgy or a New Era?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04
[45]
서적
The Great Depression
[46]
뉴스
The Panic of 2008? What Do We Name the Crisis?
https://blogs.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47]
웹사이트
Sizzlers and Fizzlers
https://us.spindices[...]
Spiji.com
[48]
웹사이트
Market crash of 1929: Some facts of the economic downturn
https://economictime[...]
Times Inernet
2017-10-22
[49]
웹사이트
Timeline
https://www.nyse.com[...]
NYSE
[50]
웹사이트
History's Advice During A Panic? Don't Panic
https://www.npr.org/[...]
NPR
[51]
웹사이트
The Crash of 1929
https://www.pbs.org/[...]
PBS
[52]
간행물
The Cause and Consequences of the Great Depression, Part 1: What Made the Roaring '20s Roar
The Intellectual Activist
2004-06
[53]
웹아카이브
New York: A Documentary Film
https://www.pbs.org/[...]
PBS
2011-02-20
[54]
뉴스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All-Time Largest One Day Gains and Losses
https://online.wsj.c[...]
The Wall Street Journal
[55]
웹사이트
1998/99 Prognosis Based Upon 1929 Market Autopsy
http://www.gold-eagl[...]
Gold Eagle
[56]
웹사이트
DJIA 1929 to Present
https://finance.yaho[...]
Yahoo! Finance
[57]
뉴스
U.S. Industrial Stocks Pass 1929 Peak
The Times
1954-11-24
[58]
뉴스
LES GRANDS CHOCS DU XXE SIÈCLE (3) - En 1929, six jours de panique à Wall Street annoncent le pire, à venir
https://www.letemps.[...]
Le Temps
2011-07-23
[59]
웹사이트
The Man Who Busted the ‘Banksters’
https://www.smithson[...]
[60]
웹사이트
What Is The Glass-Steagall Act?
https://www.thestree[...]
2019-04-18
[61]
웹사이트
The End of Optimism? The Great Depression in Europe
https://www.dhr.hist[...]
[62]
웹사이트
Dow drops nearly 3,000 points, as coronavirus collapse continues; worst day since '87
https://www.cnbc.com[...]
2020-03-16
[63]
뉴스
Broad Facts of, USA Crisis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29-11-01
[64]
뉴스
Crashes, Bangs & Wallops
http://www.ft.com/cm[...]
2008-07-19
[65]
서적
Facing the facts: an economic diagnosis
https://books.google[...]
[66]
웹사이트
Irrational Exuberance, Second Edition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03-17
[67]
뉴스
The Stock Market's Valuation Rarely Gets This High
http://www.businessi[...]
2013-04-03
[68]
서적
The Great Crash, 1929
Houghton Mifflin
[68]
뉴스
The great American bubble machine
https://www.rollings[...]
2010-04-05
[69]
뉴스
Grain Plunges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29-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