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은 1952년 11월 5일에 발생한 규모 9.0의 초대형 지진으로, 캄차카반도 동쪽 해역에서 일어났다. 이 지진으로 인해 최대 18m 높이의 쓰나미가 발생하여 캄차카 지방과 쿠릴 열도 해안을 덮쳤으며, 세베로쿠릴스크에서는 2,336명이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쓰나미는 태평양 전역으로 번져 하와이 제도, 미국 서부 해안 등에서도 피해가 발생했으며, 지진 관측을 통해 지구의 자유진동 현상이 확인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지진 - 도카치 해역 지진
도카치 해역 지진은 도카치 해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지진을 통칭하며, 1952년, 1968년, 2003년 지진은 쓰나미를 동반하여 피해를 발생시켰고, 2003년 지진은 대한민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 1952년 지진 - 1952년 평양-강서 지진
1952년 평양-강서 지진은 1952년에 평양과 강서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기원과 한국에서의 영향, 사회적 영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가 존재한다. - 1952년 소련 - 의사들의 음모
의사들의 음모는 1952년 소련에서 일부 의사들이 소련 지도부 암살 음모 혐의로 체포 및 기소된 정치적 사건으로, 스탈린 시대 반유대주의 정책 및 권력 투쟁의 배경 속에서 발생했으며, 스탈린 사후 조작으로 밝혀져 관련자들이 복권되었지만 소련 사회에 큰 파장을 남겼다. - 1952년 소련 - 레닌그라드 사건
레닌그라드 사건은 1949년부터 소련에서 발생한 정치적 숙청으로, 레닌그라드 시 정부와 지역 당국을 중심으로 2천 명 이상이 체포 및 처형되었으며, 전후 경제 재건 과정의 갈등, 스탈린의 경계심, 권력 암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소련의 지진 -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은 1988년 12월 7일 아르메니아 SSR에서 발생한 규모 6.8의 지진으로, 최소 2만 5천 명 이상이 사망하고 40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사회 기반 시설과 건물 붕괴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 소련의 지진 - 1977년 브란체아 지진
1977년 브란체아 지진은 1977년 3월 4일 루마니아 브란체아 지역에서 발생하여 1,578명이 사망하고 부쿠레슈티 등에서 큰 피해를 입힌 지진이다.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지진 정보 | |
이름 |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현지 시각 | 1952년 11월 5일 오전 4시 58분 30초 (캄차카 시간) |
발생 시각 (UTC) | 1952년 11월 4일 16시 58분 30초 |
규모 | 모멘트 규모 9.0 |
규모 종류 | 모멘트 규모 |
기타 규모 | 표면파 규모 Ms 8.5 |
깊이 | 21.6 km |
진앙 | 당시 소련 캄차카 반도 동쪽 해역 |
좌표 | 52.3° N, 161.0° E |
최대 진도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XI (캄차카 반도) |
여진 | 11월 4일에서 10일까지 총 507차례 여진 |
최대 여진 | 알 수 없음 |
피해 정보 | |
사망자 | 2,336명 |
피해액 | 8,500만 달러 이상 |
쓰나미 높이 | 최대 18 m |
관련 재해 | 지진해일 |
추가 정보 | |
USGS | https://earthquake.usgs.gov/earthquakes/eventpage/official19521104165830_30/executive |
NOAA | https://www.ngdc.noaa.gov/hazel/view/hazards/tsunami/event-more-info/1829 |
2. 진앙 주변 지질
이 지진은 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이 만나는 쿠릴-캄차카 해구의 캄차카반도 동쪽 해역에서 발생했다.[15][16] 더 오래되고 밀도가 높은 태평양판이 캄차카반도에서 오호츠크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해구라고 부르는 수렴 경계가 만들어졌다.[15][16] 섭입대에서는 지진이 빈발하며,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지진은 주로 해구형 지진(메가스러스트 지진)에 해당한다.[16]
이 지진은 쿠릴-캄차카 해구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캄차카 반도의 동쪽 해안에서 발생했다. 이곳은 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이 수렴하는 지역으로, 태평양판이 더 오래되었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해구를 따라 섭입하여 오호츠크해판 위에 위치한 캄차카 반도 아래로 들어간다. 이 두 판은 수렴 경계를 따라 만나며, 이 경계는 해구로 표시된다. 이 섭입대는 지진 발생 지역이며, 때때로 쓰나미를 발생시키는 캄차카 지진을 일으킨다. 쿠릴-캄차카 섭입대와 관련된 지진은 거대 지진 유형이다.[3]
쓰나미는 캄차카 해안에서 130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여, 세베로쿠릴스크를 높이 15m 에서 18m의 세 파도로 강타했다.[6] 지진 발생 후 세베로쿠릴스크 주민 대다수는 주변 언덕으로 피신하여 첫 번째 파도를 피했다. 그러나 그들 중 대부분은 마을로 돌아왔다가 두 번째 파도에 의해 사망했다.[6]
캄차카의 섭입대에서는 계기 관측 이전 1737년과 1841년 최소 2차례 Mw9.0 규모의 초거대지진이 일어난 적이 있었다.[17] 1737년 캄차카 지진은 규모 Mw9.0-9.3으로 추정되며 최대 높이 60 m의 쓰나미가 발생했다.[18] 1841년 5월 17일에는 규모 Mw9.0 정도의 지진이 다시 발생하여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VIII-IX에 달하는 진동과 최대 15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19]
쿠릴 해구 부근에서 발생한 해구형 지진으로, 규모(모멘트 규모)는 '''9.0'''의 초대형 지진이다.
3. 지진
지진 단층은 오네코탄섬 북부에서 시푼스키 곶까지 약 700km에 달하는 섭입대 일부에서 파열되었다. 파열 폭은 150~200km로 추정되며, 파열된 부분의 미끄러짐은 쿠릴-캄차카 해구에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20-30 km 사이로 추정된다. 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Mw9.0으로 측정되었다.
본진 2년 전에는 진앙 근처와 단층 파열 영역 남쪽 끄트머리에서 일련의 전진이 일어났다. 또한 본진 이후 1달간 단층 파열 영역 북쪽 끄트머리에서는 여진이 꾸준하게 일어났다.[3] 11월 4일부터 10일까지 6일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의 지진 관측소에서 총 507차례의 여진이 관측되었다.
이 지진은 쿠릴 해구 부근에서 발생한 해구형 지진으로, 규모는 '''9.0'''의 초대형 지진이다.순위 명칭 발생일 (UTC) 규모 (Mw) 1 칠레, 발디비아 1960년 5월 22일 9.5 2 알래스카, 프린스 윌리엄 만 1964년 3월 28일 9.2 3 수마트라 섬 · 안다만 제도 2004년 12월 26일 9.1 동일본 대지진 2011년 3월 11일 5 캄차카 반도 동쪽 해역 1952년 11월 5일 9.0 6 칠레, 비오비오 2010년 2월 27일 8.8 에콰도르-콜롬비아 1906년 1월 31일 8 알류샨 열도, 랫 제도 1965년 2월 4일 8.7 9 알류샨 열도, 유니마크 섬 1946년 4월 1일 8.6 아삼-티베트 1950년 8월 15일 알류샨 열도, 안드레아노프 제도 1957년 3월 9일 수마트라 섬 북부 2005년 3월 28일 수마트라 섬 북서 해역 2012년 4월 11일 규모는 미국 지질 조사소에 의한 것
4. 쓰나미
캄차카반도 연안 130 km 떨어진 해역에서 지진해일이 발생했고, 15-18 m에 달하는 3차례의 파도가 세베로쿠릴스크를 덮쳤다.[20]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쓰나미 최대 높이는 9-10 m이고, 목격자들의 진술에 따르면 최대 12-15 m에 달했다. 다만 소련 과학 학회 지진학위원회 전문가들은 목격자들의 진술이 실제보다 과장된 경우가 많았다고 지적했다. 진원과의 거리에 따라 지진 발생 후 15분에서 40분 안에 캄차카반도와 쿠릴 열도 동부 해안에 쓰나미가 덮쳤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제2파가 가장 높은 높이를 기록했다. 니코고프는 진원역의 북단과 남단에서 가장 높은 해일을 기록했는데, 이는 대규모 해저 산사태와 같이 지진과 함께 지각 변동이 일어나 쓰나미 높이를 더 키웠다고 말했다.
지진 직후 세베로쿠릴스크 주민 대부분이 대피하여 본진 35-40분 후에 왔던 쓰나미 제1파의 피해는 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주민 대부분이 물이 빠지자 남은 재산을 건지기 위해 바로 마을로 돌아와 제1파가 닥친 지 20분 후 들어온 제2파 쓰나미에 목숨을 잃었다.[20] 제3파 쓰나미는 제2파보단 낮았지만 남은 잔해를 완전히 파괴했고 수많은 잔해가 해변으로 흩어졌다. 도시는 거의 대부분 파괴되었고 남은 건 고지대에 건설된 건물 몇 채뿐이었다.
쓰나미는 캄차카반도와 쿠릴 열도 연안 700 km 지점에 큰 영향을 줬다. 세베로쿠릴스크에 이어 가장 높은 쓰나미를 관측한 지역은 쓰나미 이후 측지 조사 결과 파라무시르섬 키토보이만의 18.4 m이며, 그를 이어 오네코탄섬 무셀만의 9.5-10 m이다. 또한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키토보이만 남쪽의 파라무시라 해변에 14 m의 쓰나미를, 캄차카의 피랏코바만에 10-15 m, 올가만에 10-13 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쓰나미는 태평양 너머 타국에도 영향을 주었다. 미드웨이 환초에서는 약 1 m의 쓰나미가 덮쳐 섬 전체가 물에 잠겼다. 그 외 미드웨이 환초 여러 섬에서 보트와 부두가 파괴되고 해변과 잔디밭이 침수되며 통신선이 끊기는 피해가 있었다. 그 외에 사모아(서사모아섬), 캐나다 서해안, 미국 알래스카주, 오리건주, 캘리포니아주, 페루, 칠레에서도 높은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칠레 탈카우아노에서는 최대 3.6 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쓰나미로 발생한 해수면 변동은 약 5일 반 동안 지속되었다.
5. 피해
5. 1. 소련
소련 정부 기록에 따르면 이 쓰나미로 국가보안부 사할린부 국장의 보고에서 세베로쿠릴스크의 인구 6천 명 중 1,200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되었다.[13] 남은 생존자들은 러시아 본토로 전부 이주했다. 이후 세베로쿠릴스크 마을은 더 높은 고지대로 이전되었다.[21] 그 외에도 쿠릴 열도 북부의 여러 마을도 황폐화되고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일부 마을은 완전히 사라진 경우도 있었다. 사할린주의 국가보안부 소속 경찰서 보고에 따르면 캄차카와 쿠릴 열도 지역의 총 사망자가 2,336명이라고 보고했다.
A. A. 니코노프는 사망자에 군인과 북한 출신 용병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정확한 사망자 수가 아닐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니코노프는 소련 과학 학회 캄차카 화산연구소장인 보리스 이바노비치 피프의 기록을 인용해 세베로쿠릴스크의 사망자 수를 최대 4천 명으로 추정했고, 지진으로 인한 총 사상자는 약 15,000명으로 추정했다. 캄차카 지역 공산당의 제2비서 기록에 따르면 200명가량이 사망했고 알려지지 않은 수가 실종자가 되었다. 현대 일부 추정치에 따르면 쓰나미의 총 사망자 수는 최대 14,000명까지로 추정된다.
소련에서 쓰나미로 발생한 재산 피해는 1952년 기준 2.85억러시아 루블로 추산되었지만,[22] 니코노프에 따르면 이 금액에는 군부대의 재산 피해와 주민 구출 작전 비용, 주민 대피 및 수용 비용 등 간접적인 피해액은 없다고 말했다.
이 지진으로 15~18m 규모의 쓰나미가 세 차례 발생하여 캄차카 지방에서 쿠릴 열도에 걸쳐 해안을 덮쳤다. 북쿠릴 열도의 중심지인 세베로쿠릴스크에서는 최초의 쓰나미로 고지대로 피난했던 주민들이 돌아왔을 때 두 번째 쓰나미에 휩쓸려, 공식 통계에 따르면 당시 인구 6,000명 중 2,336명이 사망했다.[11] 이 외에도 전화 등 통신 두절 등의 피해를 보았다.
5. 2. 미국
본진으로 입은 가장 큰 경제적 피해는 하와이까지 영향을 미친 쓰나미의 영향으로 발생했다. 하와이에서 쓰나미가 덮쳐 소 6마리가 폐사했으며, 1952년 기준 미화 80만달러에서 100만달러 상당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23] 쓰나미로 호놀룰루 항구에 있던 시멘트 바지선이 화물선과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고, 힐로에서는 요트 하우스가 파괴되었다. 힐로와 코코넛섬을 연결하는 다리가 일부 파손되었고, 주택 기초도 일부 무너졌다. 해안방위대의 부표도 찢어졌다.[23]
6. 지진학적 성과
이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휴고 베니오프는 약 57분의 주기를 가지는 지구의 자유진동을 자신이 발명한 지진계로 발견하였으나, 관측한 진동이 지구자유진동이 맞는지 논란이 이어졌다.[24] 하지만 이후 1960년 칠레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분명한 자유진동으로 보이는 지진파 자료가 관측되어 이후 지구자유진동이 실존함이 확인되었다.
쿠릴 해구 부근에서 발생한 해구형 지진으로, 규모(모멘트 규모)는 '''9.0'''의 초대형 지진이다.
7.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추가)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ore Info #1829
https://www.ngdc.noa[...]
NOAA
2022-09-19
[2]
웹사이트
M 9.0 – off the east coast of the Kamchatka Peninsula, Russi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0-10-05
[3]
저널
Tsunamis and earthquake mechanism in the island arc region
[4]
paper
Two great kamchatka tsunamis, 1737 and 1952
https://web.archive.[...]
IUGG Tsunami Commission
2000
[5]
저널
Recurrence of Kamchatka strong earthquakes on a scale of moment magnitudes
http://www.emsd.ru/~[...]
2004
[6]
웹사이트
1952 Kamchatka Tsunami
https://www.wsspc.or[...]
2020-10-05
[7]
웹사이트
Сливное землетрясение (цунами) 1952 года
https://web.archive.[...]
Sakhalin Regional Museum of Local Lore and the Sakhalin Branch of the All-Russian Cultural Fund
2020-10-17
[8]
웹사이트
Засекреченное цунами
http://repo.kscnet.r[...]
2023-02-06
[9]
웹사이트
M 9.0 – 89 km ESE of Petropavlovsk-Kamchatsky, Russia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2-08-02
[10]
서적
理科年表 2022年 802ページ
[11]
웹사이트
Сливное землетрясение (цунами) 1952 года.
https://web.archive.[...]
2022-05-19
[12]
웹인용
More Info #1829
https://www.ngdc.noa[...]
NOAA
2022-09-19
[13]
웹인용
Сливное землетрясение (цунами) 1952 года
https://web.archive.[...]
Sakhalin Regional Museum of Local Lore and the Sakhalin Branch of the All-Russian Cultural Fund
2020-10-17
[14]
웹인용
M 9.0 - off the east coast of the Kamchatka Peninsula, Russia
https://earthquake.u[...]
2020-10-05
[15]
웹아카이브
Kamchatka: Edge of the Plate
https://web.archive.[...]
2007-08-07
[16]
논문
Does Kamchatka belong to North America? An extruding Okhotsk block revealed by coastal neotectonics of the Ozernoi Peninsula, Kamchatka, Russia
2006
[17]
저널
Tsunamis and earthquake mechanism in the island arc region
[18]
paper
Two great kamchatka tsunamis, 1737 and 1952
https://web.archive.[...]
IUGG Tsunami Commission
2021-07-08
[19]
저널
Recurrence of Kamchatka strong earthquakes on a scale of moment magnitudes
http://www.emsd.ru/~[...]
2004
[20]
웹인용
1952 Kamchatka Tsunami
https://www.wsspc.or[...]
2020-10-05
[21]
웹인용
Засекреченное цунами
http://repo.kscnet.r[...]
2023-02-06
[22]
서적
1952 North Kuril Tsunami: New Data from Archives
http://link.springer[...]
Dordrechts
2001
[23]
웹인용
M 9.0 - 89 km ESE of Petropavlovsk-Kamchatsky, Russia
https://earthquake.u[...]
USGS
2022-08-02
[24]
웹인용
Benioff, Victor Hugo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
2023-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