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민권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4년 민권법은 인종, 피부색, 종교, 성별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하는 미국의 중요한 법률이다. 이 법은 1963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제안을 바탕으로,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끈기 있는 추진과 초당파적 협력을 통해 1964년 7월 2일에 제정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유권자 등록, 공공 시설, 학교, 고용 등에서의 차별 금지, 미국 시민권 위원회 확대 등이 포함된다. 이 법은 미국의 양대 정당의 지지층에 장기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1990년 미국 장애인법 등 후속 법률에도 영향을 미쳤다. 2020년 연방 대법원은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을 이유로 한 고용 차별도 이 법에 따라 금지된다고 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88대 미국 의회 - 통킹만 결의
통킹만 결의는 1964년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 대통령에게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하여 베트남 전쟁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확대하는 법적 근거가 되었으나, 논란 속에 1971년 폐지되었다. - 미국의 민권 - 스트롬 서먼드의 1957년 민권법 필리버스터
스트롬 서먼드의 1957년 민권법 필리버스터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 상원 의원 스트롬 서먼드가 1957년 민권법 통과를 막기 위해 24시간 18분 동안 진행한 기록적인 필리버스터였다. - 1964년 법 - 미국 수정 헌법 제24조
미국 수정 헌법 제24조는 인두세나 기타 조세 납부를 이유로 미국 시민의 투표권을 제한하는 것을 금지하는 헌법 조항으로, 특히 흑인 투표를 막기 위한 남부의 인두세 폐지를 목표로 하며 연방 및 주 선거에서 투표권 제한을 금지한다. - 1964년 법 - 보면 안다
보면 안다는 포터 스튜어트 미국 대법관이 하드코어 포르노그래피를 정의하며 사용한 표현으로, 명확히 정의하기 어렵지만 직접 보면 알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음란물 규제의 모호성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시로 남아있다.
1964년 민권법 | |
---|---|
법률 정보 | |
이름 | 1964년 민권법 |
전체 이름 | 선거권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집행하고, 공공 시설에서 차별에 대한 금지 명령 구제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지방 법원에 관할권을 부여하고, 법무 장관에게 공공 시설 및 공립 교육에서 헌법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하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민권위원회를 확장하고,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 프로그램에서 차별을 방지하고, 평등 고용 기회 위원회를 설립하고, 기타 목적을 위한 법률 |
제정 | 제88대 미국 의회 |
발효일 | 1964년 7월 2일 |
공법 URL | 공법 URL |
공법 인용 | 88-352 |
법령집 인용 | USStat 78 241 |
수정된 법률 | 1957년 민권법 1960년 민권법 |
수정된 제목 | 제목 42—공중 보건 및 복지 |
발의 기관 | 하원 |
발의 법안 | H.R. 7152 |
발의자 | Emanuel Celler(민주당–NY) |
발의일 | 1963년 6월 20일 |
위원회 | 사법위원회 |
통과 기관 1 | 하원 |
통과일 1 | 1964년 2월 10일 |
찬반 투표 1 | 290–130 |
통과 기관 2 | 상원 |
통과일 2 | 1964년 6월 19일 |
찬반 투표 2 | 73–27 |
합의 기관 3 | 하원 |
합의일 3 | 1964년 7월 2일 |
찬반 투표 3 | 289–126 |
서명 대통령 | 린든 B. 존슨 |
서명일 | 1964년 7월 2일 |
수정 사항 | 1972년 평등 고용 기회법 임신 차별법 1987년 민권 회복법 1991년 민권법 No Child Left Behind Act Lilly Ledbetter Fair Pay Act of 2009 |
미국 대법원 판례 | Heart of Atlanta Motel v. United States 캐천백 대 매클렁 사건 Alexander v. Holmes County Board of Education Griggs v. Duke Power Co. Ricci v. DeStefano |
관련 항목 | |
주제 | 미국 흑인 민권 운동 |
관련 주제 | 워싱턴 D.C.의 민권 운동 |
2. 역사적 배경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선거권 등 평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에 대항하는 경찰의 폭력으로 부상자를 동반한 폭동이 남부에서 일어나는 등의 상황을 겪자, 1963년 2월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는 강력한 새 시민권법을 제정하도록 연방 의회에 요청했다.[103]
이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으나, 상원에서는 남부 의원들이 500번 이상의 수정안을 제출하고[103], 필리버스터 등의 방법으로 방해했다.[105] 하지만, 같은 해 11월 22일 케네디 대통령 암살 이후 대통령직을 승계한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법안 통과를 끈기 있게 추진했고,[104] 민주당과 공화당의 북부 의원들의 초당파적 협력으로 법안이 성립되었다.[105]
2. 1. 재건 시대와 뉴딜 시대
1883년 시민권 소송의 중요 판례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의회가 민간 부문 차별을 금지할 권한이 없다고 판결하여, 1875년 시민권 법의 시민권 보호 능력을 크게 약화시켰다.[7]1930년대 뉴딜 시대에 대법원 판사 다수는 통상 조항에 따라 민간 부문에 대한 정부 규제를 더 허용하는 방향으로 법리 해석을 점진적으로 바꾸어, 연방 정부가 통상 조항을 근거로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차별을 금지하는 시민권 법을 제정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흑인 내각 고문들과 워싱턴 행진 운동의 영향으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직전 최초의 연방 반차별 행정 명령인 행정 명령 8802를 발령하고 공정고용실천위원회를 설립했다.[8] 루스벨트의 후임인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대통령 시민권 위원회를 임명하고 20세기 최초의 포괄적인 시민권 법안을 제안했으며, 연방 정부와 군대 전체에 공정한 고용과 통합을 제공하는 행정 명령 9980 및 행정 명령 9981을 발령했다.[9]
2. 2. 1957년 민권법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1957년 9월 9일에 서명한 1957년 민권법은 1875년 민권법 이후 처음으로 법률이 된 연방 민권 법안이었다. 미국 대법원이 1954년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사건''에서 학교의 인종 차별이 위헌이라고 판결한 후, 남부 민주당은 인종 차별 철폐에 대한 "대규모 저항" 운동을 시작했고, 심지어 소수의 온건한 백인 지도자들조차 공개적으로 인종 차별적인 입장을 보였다.[10][11] 아이젠하워는 더 광범위한 개혁 요구를 무마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흑인 투표권 보호를 강화하는 민권 법안을 제안했다.[12]흑인 유권자 등록이 다수인 흑인 카운티임에도 불구하고 0%(11개 카운티)에서 5% 미만(97개 카운티)으로 증가하는 등 흑인 유권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지만,[13] 1957년 민권법은 미국 민권 위원회와 미국 법무부 민권국을 설립했다. 1960년까지 흑인 투표율은 3%만 증가했고,[14] 의회는 1957년 법이 남긴 특정 허점을 제거하는 1960년 민권법을 통과시켰다.
2. 3. 1963년 케네디 민권 법안

케네디는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표의 70%를 얻었다.[15] 그러나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고, 의회에서 민주당이 근소한 다수를 차지했기 때문에 남부의 지지를 잃을까 봐 민권 법안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것을 꺼렸다.[15] 밀러 센터에 따르면, 그는 두 번째 임기에 민권 법안을 의회에 제출하길 원했다.[16] 그러나 1963년 봄 버밍햄 시위와 같은 인종적 긴장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시위가 거세지면서 케네디는 민권에 대해 행동해야 함을 깨달았다.[17][18]
케네디는 1963년 6월 11일 국민에게 보내는 민권에 관한 보고에서 1964년 법안을 처음 제안했다.[19] 그는 "모든 미국인에게 대중에게 공개된 시설, 즉 호텔, 레스토랑, 극장, 소매점 및 이와 유사한 시설에서 서비스를 받을 권리"와 "투표권에 대한 더 큰 보호"를 부여하는 법안을 추진했다. 7월 말, 전미 자동차 노동조합의 회장인 월터 로이터는 만약 의회가 케네디의 민권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한다면 국가는 또 다른 내전을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20]
1875년 민권법을 본떠서, 케네디의 민권 법안은 공공 시설에서의 차별을 금지하고, 미국 법무부 장관이 분리된 학교 시스템을 운영하는 주 정부에 대한 소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포함했다. 그러나 이 법안에는 경찰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 사적인 고용에서의 차별 종식, 그리고 법무부에 통합 또는 고용 차별 소송을 제기할 권한을 부여하는 등 민권 지도자들이 필수적이라고 여겼던 많은 조항이 포함되지 않았다.[21]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선거권 등 평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에 대항하는 경찰의 폭력으로 부상자를 동반한 폭동이 남부에서 일어나는 등의 상황을 겪자, 1963년 2월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는 강력한 새 시민권법을 제정하도록 연방 의회에 요청했다.[103]
법안은 연방 하원을 통과한 후, 상원에서는 500번 이상의 수정안이 제출되었으며,[103] 당시 최장 기록을 갱신하는 필리버스터 등의 방해를 남부 의원들로부터 받았지만,[105] 같은 해 11월 22일 케네디를 대신하여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인종 차별에 부정적이었던 린든 B. 존슨이 이를 끈기 있게 추진하여,[104] 민주당·공화당의 북부 의원들의 초당파적 협력으로 성립되었다.[105]
3. 입법 과정
1960년대 초,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평등한 권리 요구와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경찰의 폭력과 폭동이 남부에서 일어나는 등 사회적 혼란이 커졌다. 이에 1963년 2월,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강력한 새 시민권법 제정을 연방 의회에 요청했다.[103]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지만, 상원에서는 남부 의원들이 500번 이상의 수정안을 제출하고[103], 당시 최장 기록을 갱신하는 필리버스터를 하는 등 거세게 저항했다.[105] 그러나 1963년 11월 22일 케네디 대통령 암살 이후 대통령직을 승계한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인종 차별에 부정적인 입장이었고, 법안 통과를 위해 끈기 있게 노력했다.[104] 결국 민주당과 공화당 북부 의원들의 초당파적 협력으로 법안은 성립되었다.[105]
3. 1. 하원
1963년 6월 11일,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그날 저녁 국민을 상대로 한 TV 연설에 앞서 공화당 지도자들과 만나 이 법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틀 뒤, 상원 소수 대표 에버렛 디르크센과 상원 다수 대표 마이크 맨스필드는 공공 편의 시설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는 조항을 제외하고 대통령의 법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22][23] 이로 인해 여러 공화당 하원 의원들이 절충안을 작성하여 검토하게 되었다. 6월 19일, 대통령은 입법 조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하며 원래 작성된 대로 법안을 의회에 보냈다.[22][23] 대통령의 법안은 먼저 미국 하원에 회부되었고, 하원은 미국 하원 법사위원회로 보내졌으며, 위원장은 뉴욕주 민주당 소속 이매뉴얼 셀러였다. 법안에 대한 일련의 청문회 후, 셀러 위원회는 법안을 강화하여 고용에서의 인종 차별 금지, 흑인 유권자 보호 강화, 모든 공공 시설(학교뿐 아니라)에서의 차별 철폐, 그리고 런치 카운터와 같은 공공 시설에 대한 차별 금지 조항 강화를 위한 조항을 추가했다. 또한 법무장관이 헌법 또는 미국 법률에 의해 보장된 권리를 침해당한 개인을 보호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1957년 민권법과 1960년 민권법에서 삭제되었던 논란의 여지가 있는 "타이틀 III"이었다. 시민 단체들은 평화 시위자와 흑인 유권자를 경찰의 폭력과 언론의 자유 억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조항을 강력하게 추진했다.[21]3. 2. 존슨의 의회 설득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1963년 11월 22일에 암살당하면서 정치 상황이 바뀌었다.[27] 케네디의 후임인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법안 통과를 위해 대통령직을 활용한 불리 설교대와 자신의 입법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존슨은 1963년 11월 27일 미국 의회 합동 회의에서 "케네디 대통령이 그토록 오랫동안 노력했던 시민권 법안을 가능한 한 빨리 통과시키는 것보다 더 웅변적으로 그의 기억을 기릴 수 있는 방법은 없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27]하원 사법 위원회 위원장 셀러는 규칙 위원회에서 법안을 발의하기 위한 청원을 제출했으며, 법안을 본회의로 넘기려면 하원 의원 과반수의 지지가 필요했다.[21] 처음에는 많은 하원 의원들이 의안 발의를 통한 일반적인 절차 위반을 우려하여 서명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1963년 겨울 휴회 때까지 50개의 서명이 더 필요했다.
그러나 의회가 겨울 휴회를 마치고 돌아온 후, 여론이 법안을 지지하면서 청원이 필요한 서명을 얻을 것이 분명해졌다. 결국 스미스 위원장은 의안 발의로 인한 굴욕을 피하고자 법안이 규칙 위원회를 통과하도록 허용했다.[21]
1963년 2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선거권 등 평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에 대한 경찰의 폭력으로 부상자를 동반한 폭동이 남부에서 일어나는 상황에서,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는 연방 의회에 강력한 새 시민권법 제정을 요청했다.[103]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지만, 상원에서는 남부 의원들이 500번 이상의 수정안을 제출하고[103] 당시 최장 기록을 갱신하는 필리버스터를 하는 등 방해했다.[105] 그러나 케네디를 대신하여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인종 차별에 부정적이었던 린든 B. 존슨이 끈기 있게 추진하여,[104] 민주당과 공화당의 북부 의원들의 초당파적 협력으로 법안이 성립되었다.[105]
3. 3. 상원

일반적으로 법안은 미국 상원 법사위원회로 회부되는데, 위원장은 미시시피 출신의 민주당원 제임스 O. 이스트랜드였다. 그는 민권법에 완강히 반대하여 법안이 상원 본회의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였다. 상원 다수당 대표 마이크 맨스필드는 법사위원회가 법안을 유보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취했다. 그는 처음 읽은 직후 법사위원회로 보내야 할 두 번째 읽기를 유예하고, 1964년 2월 26일 전례 없는 방식으로 두 번째 읽기를 실시하여 법사위원회를 우회하고 즉시 토론을 위해 상원 본회의로 보냈다.
1964년 3월 30일, 법안이 상원 전체 회의에 상정되어 토론이 시작되자, 18명의 남부 민주당 상원 의원들과 텍사스 출신의 공화당 의원 존 타워로 구성된 "남부 블록"이 리처드 러셀 (조지아주, 민주당)의 주도로 통과를 막기 위해 필리버스터를 시작했다.[29] 러셀은 "우리는 우리나라[남부] 주에서 사회적 평등과 인종 간의 혼합 및 통합을 가져오려는 어떠한 조치나 움직임에도 끝까지 저항할 것입니다."라고 선언했다.[30][31]
이 법안에 대한 강력한 반대는 당시 민주당 상원 의원이었던 스트롬 서먼드로부터도 나왔다. 그는 "대통령이 법제화를 위해 국회의사당에 보낸 이른바 민권 법안은 위헌적이고, 불필요하며, 현명하지 못하며, 이성의 영역을 벗어난다. 이것은 의회에 제시된 최악의 민권 패키지이며, 미국 재건 시대의 제안과 급진 공화당 의회의 행동을 연상시킨다."라고 말했다.[32]
필리버스터가 54일 동안 계속되자 맨스필드, 휴버트 험프리, 에버렛 디르크센, 토머스 쿠첼 상원 의원들은 충분한 수의 공화당원과 핵심적인 자유주의 민주당원을 결합하여 필리버스터를 극복하고자 하는 대체 법안을 제출했다. 이 타협안은 민간 기업의 행동을 규제하는 정부의 권한에 관해서는 하원 버전보다 약했지만, 하원이 재고할 정도로 약하지는 않았다.[33]
로버트 버드 상원 의원은 1964년 6월 10일 아침, 14시간 13분 동안의 필리버스터를 끝내고 법안에 반대했다. 그때까지 이 법안은 60일(토요일 6일 포함) 동안 상원을 점유했다. 그 전날, 법안 관리자인 험프리는 당시 토론과 필리버스터를 종료하는 데 필요한 67표를 확보했다고 결론 내렸다. 6명의 흔들리는 상원 의원들이 4표 차의 승리를 거두면서 최종 결과는 71대 29였다. 상원은 민권 법안에 대한 필리버스터를 무너뜨릴 만큼 충분한 표를 얻은 적이 역사상 한 번도 없었고, 1927년 이후 37년 동안 어떤 조치에 대해서도 토론 종결에 동의한 것은 한 번뿐이었다.[34]
토론 종결 투표에서 가장 극적인 순간은 클레어 엥글 (캘리포니아주, 민주당) 상원 의원이 회의장으로 휠체어를 타고 들어왔을 때였다. 말기 뇌종양으로 고통받아 말을 할 수 없었던 그는 왼쪽 눈을 가리키며 그의 이름이 호명될 때 긍정적인 "찬성" 투표를 의미했다.[35] 그는 7주 후에 사망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선거권 등 평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에 대항하는 경찰의 폭력으로 부상자를 동반한 폭동이 남부에서 일어나는 등의 상황을 겪자, 1963년 2월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는 강력한 새 시민권법을 제정하도록 연방 의회에 요청했다.[103]
법안은 연방 하원을 통과한 후, 상원에서는 500번 이상의 수정안이 제출되었으며,[103] 당시 최장 기록을 갱신하는 필리버스터 등의 방해를 남부 의원들로부터 받았지만,[105] 같은 해 11월 22일 케네디를 대신하여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인종 차별에 부정적이었던 린든 B. 존슨이 이를 끈기 있게 추진하여,[104] 민주당·공화당의 북부 의원들의 초당파적 협력으로 성립되었다.[105]
3. 4. 최종 통과
1964년 6월 19일, 수정안은 상원에서 73 대 27로 통과되었고, 조정 위원회를 신속히 통과했다. 조정 위원회는 상원 버전의 법안을 채택한 후 양원에서 모두 통과되어 1964년 7월 2일 린든 B. 존슨 대통령에 의해 법으로 서명되었다.[36]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선거권 등 평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에 대항하는 경찰의 폭력으로 부상자를 동반한 폭동이 남부에서 일어나는 등의 상황을 겪자, 1963년 2월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F. 케네디는 강력한 새 시민권법 제정을 연방 의회에 요청했다.[103]
법안은 연방 하원을 통과한 후, 상원에서 500번 이상의 수정안이 제출되었으며[103], 남부 의원들은 당시 최장 기록을 갱신하는 필리버스터 등으로 방해했다.[105] 하지만 같은 해 11월 22일 케네디를 대신하여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인종 차별에 부정적이었던 린든 B. 존슨이 이를 끈기 있게 추진하여[104], 민주당·공화당의 북부 의원들의 초당파적 협력으로 성립되었다.[105]
4. 투표 결과
1964년 민권법은 의회에서 다음과 같은 투표 결과를 통해 통과되었다.[2][3]
구분 | 정당 | 찬성 | 반대 | 총계 |
---|---|---|---|---|
하원[1] | 민주당 | 152 | 96 | 248 |
공화당 | 138 | 34 | 172 | |
하원 전체 | 290 | 130 | 420 | |
상원[2] | 민주당 | 46 | 21 | 67 |
공화당 | 27 | 6 | 33 | |
상원 전체 | 73 | 27 | 100 |
상원에서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미국 남부 연합을 구성했던 11개 주 출신을 남부, 나머지를 북부로 구분했을 때, 남부 출신 의원 중에서는 텍사스 출신 랠프 야보로가 유일하게 찬성표를 던졌다.[2]
하원에서는 남부 민주당 의원 중 8명(텍사스 출신 의원 4명(잭 브룩스, 앨버트 토머스, J. J. 피클, 헨리 B. 곤잘레스), 테네시 출신 의원 2명(리처드 풀턴, 로스 배스), 플로리다 출신 클로드 페퍼, 조지아 출신 찰스 L. 웰트너)이 찬성했고, 남부 공화당 의원은 전원이 반대했다. 북부 민주당 의원은 대부분 찬성했고(145-8), 북부 공화당 의원도 다수가 찬성했다(136-24).[3]
상원에서는 남부 민주당 의원 중 1명(텍사스 출신 랠프 야보로)만 찬성했고, 남부 공화당 의원은 전원이 반대했다. 북부 민주당 의원은 대부분 찬성했고(45-1, 웨스트버지니아 출신 로버트 버드만 반대), 북부 공화당 의원도 다수가 찬성했다(27-5, 노리스 코튼(뉴햄프셔), 배리 골드워터(애리조나), 버크 히켄루퍼(아이오와), 에드윈 L. 메컴(뉴멕시코), 밀워드 심슨(와이오밍) 반대).[2]
상원의원 | 정당 | 주(州) | 투표 |
---|---|---|---|
공 | 버몬트 | 찬성 | |
공 | 콜로라도 | 찬성 | |
민 | 뉴멕시코 | 찬성 | |
민 | 알래스카 | 찬성 | |
민 | 인디애나 | 찬성 | |
공 | 메릴랜드 | 찬성 | |
공 | 유타 | 찬성 | |
민 | 네바다 | 찬성 | |
공 | 델라웨어 | 찬성 | |
민 | 메릴랜드 | 찬성 | |
민 | 노스다코타 | 찬성 | |
민 | 버지니아 | 반대 | |
민 | 웨스트버지니아 | 반대 | |
민 | 네바다 | 찬성 | |
공 | 캔자스 | 찬성 | |
공 | 뉴저지 | 찬성 | |
민 | 아이다호 | 찬성 | |
민 | 펜실베이니아 | 찬성 | |
공 | 켄터키 | 찬성 | |
공 | 뉴햄프셔 | 반대 | |
공 | 네브래스카 | 찬성 | |
공 | 일리노이 | 찬성 | |
민 | 코네티컷 | 찬성 | |
공 | 콜로라도 | 찬성 | |
민 | 일리노이 | 찬성 | |
민 | 미시시피 | 반대 | |
민 | 오클라호마 | 찬성 | |
민 | 루이지애나 | 반대 | |
민 | 캘리포니아 | 찬성 | |
민 | 노스캐롤라이나 | 반대 | |
공 | 하와이 | 찬성 | |
민 | 아칸소 | 반대 | |
공 | 애리조나 | 반대 | |
민 | 테네시 | 반대 | |
민 | 알래스카 | 찬성 | |
민 | 미시간 | 찬성 | |
민 | 인디애나 | 찬성 | |
민 | 애리조나 | 찬성 | |
공 | 아이오와 | 반대 | |
민 | 앨라배마 | 반대 | |
민 | 플로리다 | 반대 | |
공 | 네브래스카 | 찬성 | |
민 | 미네소타 | 찬성 | |
민 | 하와이 | 찬성 | |
민 | 워싱턴 (주) | 찬성 | |
공 | 뉴욕 (주) | 찬성 | |
민 | 사우스캐롤라이나 | 반대 | |
공 | 아이다호 | 찬성 | |
민 | 노스캐롤라이나 | 반대 | |
공 | 뉴욕 (주) | 찬성 | |
민 | 매사추세츠 | 찬성 | |
공 | 캘리포니아 | 찬성 | |
민 | 오하이오 | 찬성 | |
민 | 루이지애나 | 반대 | |
민 | 미주리 | 찬성 | |
민 | 워싱턴 (주) | 찬성 | |
민 | 몬태나 | 찬성 | |
민 | 미네소타 | 찬성 | |
민 | 아칸소 | 반대 | |
민 | 와이오밍 | 찬성 | |
민 | 사우스다코타 | 찬성 | |
민 | 뉴햄프셔 | 찬성 | |
민 | 미시간 | 찬성 | |
공 | 뉴멕시코 | 반대 | |
민 | 몬태나 | 찬성 | |
공 | 아이오와 | 찬성 | |
민 | 오클라호마 | 찬성 | |
민 | 오리건 | 찬성 | |
공 | 켄터키 | 찬성 | |
민 | 유타 | 찬성 | |
공 | 사우스다코타 | 찬성 | |
민 | 메인 | 찬성 | |
민 | 위스콘신 | 찬성 | |
민 | 오리건 | 찬성 | |
민 | 로드아일랜드 | 찬성 | |
공 | 캔자스 | 찬성 | |
민 | 로드아일랜드 | 찬성 | |
공 | 버몬트 | 찬성 | |
민 | 위스콘신 | 찬성 | |
민 | 웨스트버지니아 | 찬성 | |
민 | 코네티컷 | 찬성 | |
민 | 버지니아 | 반대 | |
민 | 조지아 | 반대 | |
공 | 매사추세츠 | 찬성 | |
공 | 펜실베이니아 | 찬성 | |
공 | 와이오밍 | 반대 | |
민 | 플로리다 | 반대 | |
공 | 메인 | 찬성 | |
민 | 앨라배마 | 반대 | |
민 | 미시시피 | 반대 | |
민 | 미주리 | 찬성 | |
민 | 조지아 | 반대 | |
민 | 사우스캐롤라이나 | 반대 | |
공 | 텍사스 | 반대 | |
민 | 테네시 | 반대 | |
공 | 델라웨어 | 찬성 | |
민 | 뉴저지 | 찬성 | |
민 | 텍사스 | 찬성 | |
공 | 노스다코타 | 찬성 | |
민 | 오하이오 | 찬성 |
5. 법안의 주요 내용
'''Title I'''은 유권자 등록 요건의 불평등한 적용을 금지했다. 그러나 흑인 유권자, 기타 인종 소수자 및 남부의 가난한 백인들에게 장벽으로 작용했던 문맹 테스트를 제거하거나, 비백인 유권자에 대한 경제적 보복, 경찰 탄압 또는 물리적 폭력을 해결하지는 못했다.[65][66][67] 이 법은 투표 규칙과 절차가 모든 인종에게 동등하게 적용되도록 요구했지만, 시민이 자동적으로 투표할 권리가 있는 것이 아니라 시민권 외에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였다. 1965년 투표권법은 시민권 외의 대부분의 투표 자격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제거했다.[65]
'''Title II'''는 인종, 피부색, 종교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호텔, 모텔, 식당, 극장 및 주간 상거래에 종사하는 모든 기타 공공 편의 시설에서의 차별을 금지했다. Title II는 "공공 편의 시설"을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정의했다. 이 조항은 "사적"이라는 용어를 정의하지 않고 사립 클럽 또는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기타 시설을 면제했다.[68]
'''제3편'''은 주 및 지방 정부가 인종, 피부색, 종교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공공시설 이용을 거부하는 것을 금지했다.
'''Title IV'''는 공립 학교의 통합을 시행하고 미국 법무장관이 해당 법률을 시행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
'''타이틀 V'''는 이전 1957년 민권법에 의해 설립된 미국 시민권 위원회에 추가적인 권한, 규칙 및 절차를 부여하여 확대했다.
'''Title VI'''는 연방 기금을 받는 프로그램 및 활동의 차별을 방지한다. 연방 기금을 받는 자가 Title VI를 위반한 것으로 밝혀지면 해당 수혜자는 연방 기금을 잃을 수 있다.
'''일반'''
이 제목은 연방 재정 지원을 받는 프로그램 및 활동과 관련하여 인종, 피부색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차별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미국의 정책을 선언하고, 관련 연방 부처 및 기관이 이 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지시한다. 이 제목은 대외 원조 프로그램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제601조는 미국 내 어떤 사람도 연방 재정 지원을 받는 프로그램 또는 활동에서 인종, 피부색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참여가 배제되거나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일반 원칙을 명시한다.
제602조는 보조금, 계약 또는 대출을 통해 연방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각 연방 기관이 지원을 승인하는 법률의 목표 달성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제601조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 일반 적용 가능성이 있는 규칙, 규정 또는 명령에 따라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한다. 이 조항에 따라 부과된 요건을 준수하도록 하기 위해, 기관은 해당 프로그램의 요건을 준수하지 못했다는 청문회를 통해 명시적으로 결정된 수혜자에 대해 해당 프로그램에 따른 지원을 종료하거나, 거부하거나, 계속 제공하지 않을 권한을 가지며, 법으로 허용된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각 기관은 먼저 자발적인 수단을 통해 요건을 준수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제603조는 제602조에 따라 취해진 모든 기관 조치는 해당 기관의 다른 사유로 인한 유사한 조치에 대해 이용 가능한 사법 심사에 종속된다고 규정한다. 기관의 조치가 제602조에 따라 부과된 기관의 요건을 수혜자가 준수하지 못했다는 결정으로 인해 재정 지원을 종료하거나, 거부하거나, 계속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되며, 해당 기관의 조치가 기존 법률에 따라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행정 절차법 제10조에 규정된 바에 따라 불만을 제기한 모든 사람에게 사법 심사가 제공된다. 또한 이 조항은 후자의 경우, 그러한 기관의 조치가 제10조의 의미 내에서 심사 불가능한 기관 재량에 위임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명시적으로 밝힌다. 이 조항의 목적은 제603조가 제10조에 따라 심사를 제공하지만, 제10조 자체에는 "기관 재량에 위임된" 조치에 대한 예외가 있어, 다른 경우에는 제603조로 이월될 수 있다는 주장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제603조의 조항은 행정 절차법 제10조(e)에 현재 규정된 사법 심사의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행정 명령'''
2019년 12월 11일, 행정 명령은 반유대주의와 싸우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명시했다. "Title VI는 종교에 따른 차별을 다루지 않지만, 인종, 피부색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차별에 직면한 개인은 공통된 종교적 관행을 공유하는 그룹의 구성원이라는 이유만으로 Title VI에 따른 보호를 잃지 않습니다. 유대인에 대한 차별은 개인의 인종, 피부색 또는 출신 국가에 근거한 차별일 경우 Title VI 위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반유대주의에 뿌리를 둔 금지된 형태의 차별에 대해 Title VI가 다른 모든 형태의 차별과 마찬가지로 강력하게 시행되도록 하는 것이 행정부의 정책이 될 것입니다." 이 명령은 Title VI 시행을 담당하는 기관이 2016년 5월 26일 국제 홀로코스트 기억 연합(IHRA)에서 채택한 (법적 구속력이 없는) 반유대주의의 실무적 정의와 IHRA의 현대 반유대주의의 예시 목록을 "어떤 예시가 차별적 의도의 증거로 유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고려"하도록 명시한다.[69]
'''Title VII'''는 법률로 제정되어 '''미국 법전 제42편 제21장 제6절'''로 규정되어 있으며, 적용 대상 고용주가 인종, 피부색, 종교, 성별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한다.[70] Title VII은 "현재 또는 전년도에 20주 이상 각 주에 대해 15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한" 고용주에게 적용된다. Title VII은 또한 인종, 피부색, 종교, 성별 또는 출신 국가가 다른 개인과의 연관성, 예를 들어 인종 간 결혼을 한 개인에 대한 차별을 금지한다.[71] Title VII은 또한 임신, 나이, 장애 차별을 금지하는 법률로 보완되었다. (''1978년 임신 차별 금지법'', 고용상 연령 차별 금지법,[72] 1990년 미국 장애인법 ''참조'').
매우 좁게 정의된 상황에서, 고용주는 해당 특성이 해당 특정 사업 또는 기업의 정상적인 운영에 합리적으로 필요한 선의의 직업 자격 (BFOQ)인 경우 보호된 특성을 기반으로 차별하는 것이 허용된다. BFOQ 방어를 하기 위해 고용주는 세 가지 요소를 입증해야 한다. 즉, 특성과 직무 수행 능력 간의 직접적인 관계, BFOQ가 "고용주의 사업의 본질" 또는 "중앙 임무"와 관련이 있다는 것, 그리고 덜 제한적이거나 합리적인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BFOQ는 보호된 특성에 따른 차별에 대한 일반적인 금지에 대한 극히 좁은 예외이다. 특정 종교를 가진 개인에 대한 고용주 또는 고객의 선호도는 BFOQ를 확립하기에 충분하지 않다.[73]
Title VII은 고용주, 노동 단체, 공동 노사 위원회 또는 고용 기관이 미국 공산당 또는 1950년 파괴 활동 통제법에 따라 파괴 활동 통제 위원회의 최종 명령에 의해 공산주의 활동 또는 공산주의 전선 조직으로 등록해야 하는 다른 조직과 관련된 모든 개인에 대한 "불법 고용 관행"을 우회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74]
Title VII에는 네 가지 유형의 고용주에 대한 부분적 및 전체적인 예외가 있다.
- 연방 정부; (Title VII에 따른 고용 차별 금지 조항은 이제 특정 연방 정부 사무소에 적용됨)
- 연방 정부가 인정한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75]
- 단체의 활동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종교 단체, 관련 교육 기관 포함;
- 선의의 비영리 민간 회원 단체
베넷 수정안은 Title VII의 미국 노동법 조항으로, 임금과 관련된 성 차별 청구를 1963년 동일 임금법의 규칙으로 제한한다. 이 법은 고용주가 동일 임금법에 "의해 그러한 차별이 허가된 경우" 임금을 지급할 때 "성별을 기준으로 차별화"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동등 고용 기회 위원회(EEOC)와 특정 주 공정 고용 관행 기관(FEPA)은 Title VII을 시행한다.[4] EEOC와 주 FEPA는 직원을 대신하여 소송을 조사, 중재하고 제기할 수 있다. 주법이 연방법에 위배되는 경우, 연방법이 우선한다.[76] 아칸소와 미시시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는 주 FEPA를 유지하고 있다. Title VII은 또한 개인이 사적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차별을 알게 된 날로부터 180일 이내에 EEOC에 차별에 대한 불만을 제기해야 소송을 제기할 권리를 잃지 않는다. Title VII은 현재 또는 전년도에 20주 이상 15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는 고용주에게만 적용된다.
2012년, 미국 평등고용기회위원회(EEOC)는 성 정체성 또는 트랜스젠더 신분을 근거로 한 고용 차별은 타이틀 VII에 의해 금지된다고 판결했다.[77][78] 2014년, EEOC는 성 정체성을 근거로 한 차별에 대해 사기업을 상대로 두 건의 소송을 제기했으며, 추가 소송을 검토 중이다.[79]
2014년 12월 15일, 미국 법무부 장관 에릭 홀더가 발령한 각서에 따라, 미국 법무부(DOJ)는 EEOC와 입장을 같이하여 타이틀 VII에 따른 성 차별 금지가 성 정체성 또는 트랜스젠더 신분에 따른 차별 금지를 포함한다고 밝혔다. DOJ는 이미 연방 트랜스젠더 직원이 제기한 차별 소송에 대한 반대를 중단했다.[82] 2015년, EEOC는 성적 지향이 타이틀 VII에 의해 보호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는 또 다른 구속력 없는 각서를 재발행했다.[83]
2017년 10월, 제프 세션스 법무부 장관은 홀더 각서를 철회했다.[84] 세션스는 타이틀 VII을 "남성과 여성" 간의 차별을 다루도록 좁게 해석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세션스는 법률상 "타이틀 VII은 성 정체성에 따른 차별 자체를 금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85] 그러나 EEOC는 입장을 바꾸지 않아 특정 사건에서 DOJ와 대립하게 되었다.[83]
'''타이틀 VIII'''은 미국 시민권 위원회에서 지정한 지역의 유권자 등록 및 투표 데이터의 수집을 요구했다.
'''Title IX'''는 민권 사건을 미국 주 법원에서 연방 법원으로 이전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이는 주 법원에서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시민권 운동가들에게 매우 중요했다.
'''타이틀 X'''는 차별 혐의와 관련된 지역 사회 분쟁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지역 사회 관계 서비스를 설립했다.
'''Title XI'''은 이 법의 Title II, III, IV, V, VI 또는 VII에 따라 발생하는 특정 범주의 형사 모욕 혐의를 받는 피고에게 배심 재판을 받을 권리를 부여한다. 유죄 판결을 받으면 피고는 1,000달러 이하의 벌금이나 6개월 이하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6. 주요 수정
1964년 민권법은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쳤다. 하원과 상원에서 수정안이 제출되고 표결에 부쳐졌는데,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찬성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북부 출신 의원들의 찬성률이 압도적이었다.[3] 상원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남부 출신 의원 중에서는 텍사스 출신의 랠프 야보로만이 찬성표를 던졌다.[2]
주목할 만한 수정은 차별 금지 대상에 '성별'을 추가한 것이다. 이 수정안은 법안에 반대하던 하워드 W. 스미스 하원의원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그의 의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41][42][43][44]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법안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수정안을 제안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그가 여성의 권리를 지지했다고 주장한다. 스미스 의원은 전미 여성당과 앨리스 폴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동등 권리 수정안을 지지해왔다.[49] 마사 그리피스 하원의원도 이 수정안을 지지하며, 백인 여성에 대한 차별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47][48] 결국 이 수정안은 공화당과 남부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로 통과되었다.[52]
법안 통과 과정에서 인종 할당량을 달성하기 위한 강제적인 스쿨버스 통학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53] 그러나 휴버트 험프리 등 법안 지지자들은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스쿨버스 통학을 금지하는 수정안을 제출했다.[53]
6. 1. 1972년 평등고용기회법
1972년, 미국 의회는 평등고용기회법을 통과시켰다.[86] 이 법은 1964년 민권법의 Title VII을 개정하여 동등 고용 기회 위원회(EEOC)에 자체적으로 시행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EEOC는 이제 민권 관련 법률에 대한 사법적 해석을 이끄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87]1965년부터 1972년까지 Title VII은 강력한 시행 조항이 없었다. EEOC는 외부의 차별 혐의를 조사할 권한만 있었고, 합리적인 사유가 발견되면 소송을 위해 법무부에 사건을 회부할 수 있었다. EEOC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차별적인 고용 관행의 성격과 규모를 문서화했다.
7. 미국 연방 대법원 판례
1964년 민권법 통과 후, 연방 대법원은 의회가 주 간의 상업을 규제할 권한이 있다는 근거로 이 법의 사적 부문에 대한 적용을 지지했다. ''Heart of Atlanta Motel v. United States'' 판례는 이 법의 합헌성을 확립했다.
1974년 ''라우 대 니콜스'' 판례에서, 샌프란시스코 교육구가 영어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한 편의를 제공하지 않은 것은 1964년 법에 따른 권리 침해라고 판결했다.[88]
1971년 ''필립스 대 마틴 마리에타 공사'' 판례는 법의 성별 조항에 관한 것으로, 회사가 미취학 아동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잠재적인 여성 직원을 차별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44] 연방 법원은 여성이 25파운드를 들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는 직업을 얻는 것을 금지하는 오하이오 주법을 뒤집었다.[44] ''피츠버그 프레스 회사 대 피츠버그 인권 위원회'' 판례에서는 남녀 별도의 구인 광고를 게재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판결했다. 미국 연방 공무원 위원회는 연방 정부 직위를 "여성 전용" 또는 "남성 전용"으로 지정하는 관행을 종료했다.[44]
''TWA 대 하디슨'' 판례는 사용자가 토요일에 성경적 안식일을 지키기 위해 근무를 거부하는 직원을 해고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메리터 저축 은행 대 빈슨'' 판례는 성희롱이 성별에 따른 차별로 간주된다고 판결했다.[89]
''Price Waterhouse v. Hopkins'' 판례는 성 고정관념에 따르지 않는 것에 대한 차별은 타이틀 VII에 따라 허용되지 않는다고 확립했다.
''온케일 대 선다우너 오프쇼어 서비스 사건''은 동성 간 성희롱도 제7편에 따라 차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
2006년 ''Burlington Northern & Santa Fe Railway Co. v. White'' 판례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후 무급 정직 처분을 받은 것이 보복적 차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90]
2020년 ''Bostock v. Clayton County'' 판례에서 대법원은 성을 근거로 한 직장 내 차별에 LGBT 개인에 대한 차별도 포함된다는 판결을 내렸다.[94]
''Bostock'' 사건은 ''Altitude Express, Inc. v. Zarda'' 사건과 병합되었다.[99]
''R.G. & G.R. Harris Funeral Homes Inc. v.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는 트랜스젠더 지위를 포함하여 제목 VII이 성 정체성을 다룬다고 판결했다.[96][99]
8. 영향
1964년 민권법은 미국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치, 사회, 그리고 다른 법률 제정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정치적 영향: 1964년 민권법은 미국의 양대 정당, 즉 민주당과 공화당의 지지 기반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케네디 대통령은 이 법안이 민주당의 전통적인 지지 기반이었던 남부 백인 유권자들의 지지를 잃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54] 존슨 대통령 역시 이러한 위험을 인지했지만, 결국 법안을 강력하게 지지했고, 이는 1964년 대선에서 큰 승리를 가져왔다.[55] 하지만, 이 법안으로 인해 남부는 이후 공화당의 텃밭이 되었다.[56]
법안 통과 과정에서 배리 골드워터와 같은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개인의 자유와 주의 권리 침해를 이유로 반대하기도 했다.[57] 남부 출신 민주당 의원들 역시 필리버스터를 통해 법안 통과를 저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58]
하원과 상원의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3][2]
남부 민주당 | 남부 공화당 | 북부 민주당 | 북부 공화당 | |
---|---|---|---|---|
하원 | 8–83 (9–91%) | 0–11 (0–100%) | 145–8 (95–5%) | 136–24 (85–15%) |
상원 | 1–20 (5–95%) | 0–1 (0–100%) | 45–1 (98–2%) | 27–5 (84–16%) |
지속적인 저항: 민권법 통과 이후에도 일부 백인 사업주들은 공공 시설에서의 차별 금지에 저항했다.[59] 대법원은 ''Heart of Atlanta Motel v. United States''(1964) 판결을 통해 이러한 주장을 기각했지만,[59] 남부에서는 여전히 저항이 계속되었다.[60] 오렌지버그 학살과 같이 폭력적인 사건도 발생했으며,[61] 학교 통합은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가 되어서야 실질적인 진전을 보였다.[62]
LGBT 권리에 대한 영향: 2020년, 미국 대법원은 ''Bostock v. Clayton County'' 판결에서 1964년 민권법의 성차별 금지 조항이 성적 지향 및 성 정체성에 따른 차별도 포함한다고 판결했다.[63][94] 이는 LGBT 권리 보호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고용뿐만 아니라 교육, 의료, 주택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64]
1990년 미국 장애인법에 대한 영향: 1990년 미국 장애인법은 1964년 민권법의 구조와 내용을 상당 부분 차용하여 만들어졌다.[100] 장애인 차별 금지라는 개념은 1964년 민권법 이전에는 미국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 법은 장애인 권리 보호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100]
기타 민권 관련 법률: 1964년 민권법 외에도 1866년 민권법, 1871년 민권법, 1991년 민권법 등 다양한 민권 관련 법률이 존재한다.
8. 1. 정치적 영향
1964년 민권법은 미국의 양대 정당을 분열시켰고, 각 정당 지지층의 인구 통계에 장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케네디 대통령은 이 법안 지지가 민주당에 대한 남부의 압도적인 지지를 잃게 할 위험이 있음을 인지했다. 로버트 F. 케네디 법무장관과 존슨 부통령은 민권 법안 도입을 추진했다. 존슨은 케네디 보좌관 테드 소렌슨에게 "위험이 크고 남부를 잃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지만, 어차피 그런 주들은 잃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54] 리처드 러셀 주니어 상원의원은 훗날 존슨 대통령에게 민권 법안에 대한 강력한 지지가 "남부를 잃게 할 뿐만 아니라 선거에서도 패배하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55] 그러나 존슨은 1964년 선거에서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격차로 승리했다. 1964년에 5개 주가 공화당으로 기울었던 남부는 1990년대까지 공화당의 텃밭이 되었다.[56]양당 모두 다수가 법안에 찬성했지만, 주목할 만한 예외도 있었다. 강제적인 인종 차별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57] 애리조나 출신 공화당 1964년 대통령 후보인 배리 골드워터 상원의원은 "도덕성을 법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며 법안에 반대했다. 골드워터는 1957년과 1960년에 민권 법안 통과를 위한 이전 시도와 제24차 수정안에 찬성하여 인두세를 불법화했다. 그는 1964년 법안에 반대한 이유가 개인의 자유와 주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생각한 타이틀 II 때문이라고 밝혔다. 남부 출신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들은 법안에 반대했고, 앨버트 고어 시니어(D-TN) 상원의원, J. 윌리엄 풀브라이트(D-AR) 상원의원, 그리고 14시간 동안 개인적으로 필리버스터를 한 로버트 버드(D-WV) 상원의원을 포함하여 60일간 필리버스터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58]
하원과 상원의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3][2]
남부 민주당 | 남부 공화당 | 북부 민주당 | 북부 공화당 | |
---|---|---|---|---|
하원 | 8–83 (9–91%) (텍사스 출신 잭 브룩스, 앨버트 토머스, J. J. 피클, 헨리 B. 곤잘레스, 테네시 출신 리처드 풀턴, 로스 배스, 플로리다 출신 클로드 페퍼, 조지아 출신 찰스 L. 웰트너 찬성) | 0–11 (0–100%) | 145–8 (95–5%) | 136–24 (85–15%) |
상원 | 1–20 (5–95%) (텍사스 출신 랠프 야보로만 찬성) | 0–1 (0–100%) (당시 유일한 남부 공화당원인 존 타워 반대) | 45–1 (98–2%) (웨스트버지니아 출신 로버트 버드만 반대) | 27–5 (84–16%) (뉴햄프셔 출신 노리스 코튼, 애리조나 출신 배리 골드워터, 아이오와 출신 버크 히켄루퍼, 뉴멕시코 출신 에드윈 L. 메컴, 와이오밍 출신 밀워드 심슨 반대) |
8. 2. 지속적인 저항
백인 사업주들은 의회가 공공 시설에서의 차별을 금지할 헌법적 권한이 없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모텔 소유주인 모턴 롤스턴은 흑인 여행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하며, "근본적인 질문은 [...] 의회가 고객 선택에 있어서 자신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할 개인의 자유를 빼앗을 권한이 있는지 여부"라고 말했다.[59] 롤스턴은 1964년 민권법이 수정 헌법 제14조를 위반했으며, "적법 절차 없이 자유와 재산을 박탈"하여 수정 헌법 제5조와 수정 헌법 제13조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59] 대법원은 ''Heart of Atlanta Motel v. United States''(1964)에서 의회가 헌법의 통상 조항에서 권한을 얻었으며, 롤스턴의 주장을 기각했다.공공 시설 조항에 대한 저항은 특히 남부에서 수년간 지속되었다.[60] 1968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오렌지버그의 지역 대학생들이 볼링장을 통합하려 하자 폭력적인 공격을 받았고, 이는 폭동으로 이어져 "오렌지버그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61] 교육 위원회의 저항은 다음 10년까지 이어졌으며, 흑백 학교 분리의 가장 현저한 감소는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 ''Green v. County School Board of New Kent County''(1968) 법원 판결 이후에야 발생했다.[62]
2020년 6월, 미국 연방 대법원은 세 건의 사건(''보스톡 대 클레이턴 카운티'', ''알티튜드 익스프레스, Inc. 대 자르다'', 그리고 ''R.G. & G.R. 해리스 장례식장 대 평등고용기회위원회'')에서, 고용주가 성별을 이유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한 민권법 제7편이 고용주가 성적 지향 또는 성 정체성을 이유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판결했다.[63] 이후, ''USA 투데이''는 LGBTQ 고용 차별 외에도 "[법원의 판결이] 교육, 의료, 주택 및 금융 신용에서 성차별을 금지하는 연방 민권법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64]
8. 3. LGBT 권리에 대한 영향
2020년 6월 15일, 미국 대법원은 ''Bostock v. Clayton County'' 사건에서 성을 근거로 한 직장 내 차별에 LGBT 개인에 대한 차별도 포함된다는 판결을 6:3으로 내렸다.[94] 닐 고서치 대법관은 판결문에서 동성애자 또는 트랜스젠더 개인을 차별하는 기업은 "다른 성별의 구성원에게는 문제 삼지 않았을 특성이나 행동"을 이유로 차별하는 것이라고 썼다. 따라서 동성애자 및 트랜스젠더 직원에 대한 차별은 1964년 민권법 Title VII(민권법)에서 금지하는 성차별의 한 형태이다.[95]''Bostock'' 사건은 ''Altitude Express, Inc. v. Zarda'' 사건과 병합되었다.[99] 대법원의 결정 이전에는 두 사건[96][97]과 제11 순회 항소 법원의 ''Evans v. Georgia Regional Hospital'' 사건을 포함하여 순회 법원 사이에 의견 불일치가 있었다.[98]
''R.G. & G.R. Harris Funeral Homes Inc. v.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는 트랜스젠더 지위를 포함하여 제목 VII이 성 정체성을 다룬다고 판결했다.[96][99]
8. 4. 1990년 미국 장애인법
1990년 미국 장애인법은 1964년 민권법 이후 가장 중요한 연방법으로 불리며, 1964년 민권법의 구조와 내용에 영향을 받았다. 미국 장애인법은 획기적인 선례를 구조적으로 따라가며, 많은 동일한 제목과 법규를 활용했다.[100] 예를 들어, 장애를 이유로 사기업의 고용 차별을 금지하는 ADA의 제목 I은 법의 제목 VII과 유사하다.[100] 마찬가지로, 공공 편의 시설에서의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는 미국 장애인법의 제목 III은 1964년 법의 제목 II를 따르면서 적용되는 공공 편의 시설의 목록을 확장했다.[100] 미국 장애인법은 차별 금지의 원칙을 장애인에게까지 확대했으며,[100] 이는 1964년 민권법 통과 이전에는 미국에서 추구되지 않았던 개념이었다. 이 법은 1965년 투표권법, 1968년 민권법과 같은 후기 민권 관련 법률에도 영향을 미쳐 아프리카계 미국인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도움이 되었다.8. 5. 기타 민권 관련 법률
- 1866년 민권법
- 1871년 민권법
- 1991년 민권법
- 고용 차별 금지법
- 2015년 평등법
- 1870년 집행법
- 1871년 제1차 집행법
- 1871년 제2차 집행법
참조
[1]
웹사이트
H.R. 7152. Passage.
https://www.govtrack[...]
2013-10-03
[2]
웹사이트
HR. 7152. Passage.
https://www.govtrack[...]
2013-11-30
[3]
웹사이트
H.R. 7152. Civil Rights Act of 1964. Adoption of a Resolution (H. RES. 789) Providing for House Approval of the Bill As Amended by the Senate.
https://www.govtrack[...]
2013-11-30
[4]
Webarchive
Transcript of Civil Rights Act (1964)
https://www.ourdocum[...]
2012-07-28
[5]
웹사이트
U.S. Senate: Landmark Legislation: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s://www.senate.g[...]
2021-02-27
[6]
웹사이트
HR. 7152. Passage. Senate Vote #409 – Jun 19, 1964
https://www.govtrack[...]
2013-11-30
[7]
웹사이트
U.S. Reports: Civil Rights Cases, 109 U.S. 3 (1883)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1883-01-01
[8]
웹사이트
FDR on racial discrimination, 1942
https://www.gilderle[...]
Gilder Lehrman Institute of American History
2021-04-11
[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s 9980 and 9981: Ending segregation in the Armed Forces and the Federal workforce – Pieces of History
https://prologue.blo[...]
2014-05-19
[10]
웹사이트
Gillman on Klarman, 'From Jim Crow to Civil Rights: The Supreme Court and the Struggle for Racial Equality' {{!}} H-Law {{!}} H-Ne t
https://networks.h-n[...]
2020-03-31
[11]
웹사이트
Racism to Redemption
https://www.neh.gov/[...]
2020-03-31
[12]
서적
The Presidency of Dwight D. Eisenhower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1-01-01
[13]
웹사이트
Speeches and interviews: Federal Protection of Negro Voting Rights
https://www.jfklibra[...]
Duke University School of Law
1962-01-01
[14]
뉴스
An inside look at Eisenhower's civil rights record
http://articles.bost[...]
The Boston Globe
2007-11-21
[15]
웹사이트
Civil Rights Movement (The Election of 1960)
https://www.jfklibra[...]
2022-07-03
[16]
뉴스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 Miller Center
https://millercenter[...]
2016-12-27
[17]
웹사이트
The Kennedys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2-07-03
[18]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Eyes on the Prize.Transcript {{!}} PBS
http://www.pbs.org/w[...]
2017-03-26
[19]
웹사이트
Radio and television address on civil rights, 11 June 1963
http://www.jfklibrar[...]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13-11-23
[20]
서적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21-01-13
[21]
웹사이트
Civil Rights Movement History 1964 Jan-June: Civil Rights Bill Passes in the House (Feb)
https://www.crmvet.o[...]
Civil Rights Movement Archive
2020-05-31
[22]
서적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he Passage of the Law that Ended Racial Segreg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01-01
[23]
서적
JFK: Day by Day
Running Press
2010-01-01
[2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eadership Conference on Civil and Human Rights & The Leadership Conference Education Fund – The Leadership Conference on Civil and Human Rights
http://civilrights.o[...]
2017-06-30
[25]
웹사이트
Civil Rights Era (1950–1963) –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A Long Struggle for Freedom
https://www.loc.gov/[...]
2014-10-10
[26]
문서
President Kennedy: Profile of Power
1993-01-01
[27]
웹사이트
1963 Year In Review: Transition to Johnson
http://www.upi.com/A[...]
[28]
서적
Martin & Malcolm & America: A Dream or a Nightmare
https://archive.org/[...]
Orbis Books
[29]
웹사이트
A Case History: The 1964 Civil Rights Act
http://www.dirksence[...]
The Dirksen Congressional Center
2016-07-21
[30]
서적
Dred Scott's Revenge: A Legal History of Race and Freedom in America
https://archive.org/[...]
Thomas Nelson
2022-07-07
[31]
뉴스
The Civil Rights Act: What JFK, LBJ, Martin Luther King and Malcolm X had to say
http://www.latimes.c[...]
2014-06-28
[32]
Webarchive
1963 Year In Review – Part 1 – Civil Rights Bill
http://www.upi.com/A[...]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63-01-01
[33]
Webarchive
Civil Rights Act – Battle in the Senate
http://www.crmvet.or[...]
Civil Rights Movement Archive
[34]
Webarchive
Civil Rights Filibuster Ended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35]
웹사이트
Packed Senate Galleries Tense; 10-Minute Vote Makes History
https://www.nytimes.[...]
1964-06-11
[36]
서적
Lyndon B. Johnson: Portrait of a President
[37]
웹사이트
HR. 7152. PASSAGE.
https://www.govtrack[...]
2024-04-27
[38]
간행물
Closing The Deal: Negotiating Civil Rights Legislation
https://www.research[...]
2009-03-14
[39]
뉴스
Were Republicans Really..?
https://www.theguard[...]
2013-08-28
[40]
서적
Excerpt of the Engrossing Copy of H.R. 7152,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Showing Amendments
https://catalog.arch[...]
1964-09-25
[41]
웹사이트
"How 'Sex' Got Into Title VII: Persistent Opportunism as a Maker of Public Policy," ''Law and Inequality: A Journal of Theory and Practice'', Vol. 9, No. 2, March 1991, pp 163–184
http://www.jofreeman[...]
[42]
서적
Divided Lives: American Women in the Twentieth Century
[43]
웹사이트
LBJ Champions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Part 2
https://www.archives[...]
Prologue Magazine, The National Archives
2004
[44]
서적
How We Got Here: The '70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45]
웹사이트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http://www.presidenc[...]
2016-05-29
[46]
논문
Conservative Outrage: the Defeat in 1966 of Representative Howard W. Smith of Virginia
[47]
웹사이트
A Tale of Two Amendments: The Reasons Congress Added Sex to Title VII and Their Implication for the Issue of Comparable Worth.
http://digitalcommon[...]
Faculty Publications – Collective Bargaining, Labor Law, and Labor History. Cornell
[48]
서적
Freedom's Daughters: The Unsung Heroines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49]
문서
Divided Lives: American Women in the Twentieth Century
[50]
논문
How 'Sex' Got into Title VII: Persistent Opportunism as a Maker of Public Policy
http://www.jofreeman[...]
1991-03
[51]
서적
On Account of Sex: The Politics of Women's Issues, 1945–1968
[52]
문서
[53]
서적
How We Got Here: The '70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54]
문서
Judgment Days: Lyndon Baines Johnson,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Laws that Changed America
[55]
문서
Pillar of Fire
[56]
웹사이트
For GOP, A Southern Exposure
http://www.nationalj[...]
2009-05-23
[57]
논문
Conservatism as Phoenix
http://www.thenation[...]
2001-05-25
[58]
웹사이트
U.S. Senate: Civil Rights Filibuster Ended
https://www.senate.g[...]
Senate.gov
2022-02-14
[59]
논문
Travelers, Strangers, and Jim Crow: Law, Public Accommodations, and Civil Rights in America
2005-01-01
[60]
웹사이트
1964: Civil Rights Battles
https://www.theatlan[...]
2014-05
[61]
서적
Race, Riots, and Roller Coasters: The Struggle over Segregated Recreation in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2-08-16
[62]
논문
60 Years After Brown: Trends and Consequences of School Segregation
https://cepa.stanfor[...]
2014-08-01
[63]
웹사이트
Justices rule LGBT people protected from job discrimination
https://www.arkansas[...]
2020-06-15
[64]
뉴스
Supreme Court grants federal job protections to gay, lesbian, transgender workers
https://www.usatoday[...]
2020-06-15
[65]
웹사이트
Civil Rights Movement History 1964 July-Dec. Here: Sections "Civil Rights Act of 1964 Signed into Law (July)" and "Effects of the Civil Rights Act"
https://www.crmvet.o[...]
Civil Rights Movement Archive – SNCC, SCLC, CORE, NAACP
[66]
웹사이트
Civil Rights Movement History 1964 Jan–June. Here: Sections "Civil Rights Bill Passes in the House (Feb)" and "Civil Rights Bill – Battle in the Senate (March–June)"
https://www.crmvet.o[...]
Civil Rights Movement Archive – SNCC, SCLC, CORE, NAACP
[67]
웹사이트
Major Features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www.congressl[...]
The Dirksen Congressional Center
[68]
웹사이트
Civil Rights Act of 1964 Title II
http://users.wfu.edu[...]
Wake Forest University
[6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on Combating Anti-Semitism
https://trumpwhiteho[...]
[70]
웹사이트
Civil Rights Act of 1964 – CRA – Title VII –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 42 US Code Chapter 21
http://finduslaw.com[...]
finduslaw
[71]
판례
Parr v. Woodmen of the World Life Insurance Company
1986
[72]
웹사이트
Ag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ct of 1967
https://web.archive.[...]
Finduslaw.com
2010-06-06
[73]
웹사이트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Plaintiff-appellant, v. Kamehameha Schools/bishop Estate
https://law.justia.c[...]
1993-05-10
[74]
웹사이트
H.R. 7152–16
https://www.archives[...]
2019-12-28
[75]
서적
Contemporary Employment Law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2017
[76]
간행물
"Chapter 2: Laws and Regulations with Implications for Assessments"
http://www.saylor.or[...]
1999
[77]
웹사이트
Macy v. Holder
http://www.eeoc.gov/[...]
2012-04-20
[78]
뉴스
EEOC rules job protections also apply to transgender people
https://www.latimes.[...]
2012-04-25
[79]
뉴스
U.S. government lawsuits target transgender discrimination in workplace
https://www.reuters.[...]
2014-09-09
[80]
웹사이트
What You Should Know about EEOC and the Enforcement Protections for LGBT Workers
http://www.eeoc.gov/[...]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2014-11-08
[81]
트윗
ICYMI – EEOC helping LGBT people get protection from discrimination under sex discrimination laws.
2014-11-06
[82]
뉴스
Justice Department Will Now Support Transgender Discrimination Claims In Litigation
https://www.buzzfeed[...]
2014-12-18
[83]
뉴스
Justice Department Says Rights Law Doesn't Protect Gays
https://www.nytimes.[...]
2017-07-27
[84]
뉴스
Jeff Sessions Just Reversed A Policy That Protects Transgender Workers From Discrimination
https://www.buzzfeed[...]
2017-10-05
[85]
뉴스
US Attorney General Jefferson Sessions Issues New Guidance On Transgender Employees
https://www.natlawre[...]
Dinsmore & Shohl LLP
2017-10-06
[86]
웹사이트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1972
http://www.eeoc.gov/[...]
2014-07-01
[87]
웹사이트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https://www.law.corn[...]
2015-05-28
[88]
서적
How We Got Here: The '70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89]
서적
Sexual Harassment and the Law: the Mechelle Vinson Case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4
[90]
웹사이트
""
https://www.oyez.org[...]
2023-12-01
[91]
웹사이트
Burlington Northern & Santa Fe Railway Co. v. White, 548 U.S. 53 (2006)
https://supreme.just[...]
2023-12-01
[92]
웹사이트
Title VII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s://www.eeoc.gov[...]
2023-12-01
[93]
웹사이트
Burlington N. & S. F. R. Co. v. White (Syllabus)
https://www.law.corn[...]
2006-06-22
[94]
웹사이트
Bostock v. Clayton County, 590 U.S. ___ (2020)
https://supreme.just[...]
2020-06-16
[95]
뉴스
Civil Rights Law Protects Gay and Transgender Workers, Supreme Court Rules
https://www.nytimes.[...]
2020-06-15
[96]
뉴스
Supreme Court Will Hear Cases On LGBTQ Discrimination Protections For Employees
https://www.npr.org/[...]
2019-04-22
[97]
웹사이트
Supreme Court clashes over meaning of 'sex' in LGBT discrimination cases
https://www.cnbc.com[...]
CNBC
2019-10-08
[98]
뉴스
U.S. high court turns away dispute over gay worker protections
https://www.reuters.[...]
2017-12-11
[99]
뉴스
Supreme Court rules existing civil rights law protects gay and lesbian workers
https://www.nbcnews.[...]
2020-06-15
[100]
학술지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Progeny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American Bar Association
2004-Summer
[101]
웹사이트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A Long Struggle for Freedom | Exhibitions -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102]
서적
基礎から学べるアメリカ法
[103]
논문
アメリカの公民権法=1世紀にわたる理性の戦い
https://doi.org/10.1[...]
1968
[104]
웹사이트
国務省出版物 米国の歴史と民主主義の基本文書大統領演説 公民権に関する声明(1964 年)
https://americancent[...]
[105]
뉴스
How LBJ Saved the Civil Rights Act -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
2014-04
[106]
웹사이트
https://www.govtrack[...]
[107]
웹사이트
https://www.govtrack[...]
[108]
웹사이트
https://www.govtrack[...]
[109]
웹사이트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1972
http://www.eeoc.gov/[...]
2014-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