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6년 월드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6년 월드 시리즈는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4:0으로 꺾고 우승한 대회이다. 오리올스는 뛰어난 투수력을 바탕으로 다저스를 압도하며, 월드 시리즈 역사상 두 번째로 낮은 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이 시리즈는 다저스 왕조의 마지막을 장식했으며, 오리올스는 이후 아메리칸 리그를 대표하는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대회는 NBC를 통해 중계되었으며,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10월 - 1966년 일본 시리즈
    1966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난카이 호크스를 4승 2패로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시바타 이사오가 MVP를 수상했다.
  • 1966년 10월 - 조선로동당 제2차 대표자회
    조선로동당 제2차 대표자회는 국방·경제 병진정책을 채택하고 경제난 극복을 위해 인민경제발전 7개년 계획을 연장했으며, 김일성을 총비서로 선출하여 권력 집중을 강화했다.
  • 1966년 야구 - 브룩스 로빈슨
    브룩스 로빈슨은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3루수로 활약하며 1964년 아메리칸 리그 MVP, 1970년 월드 시리즈 MVP, 1966년 올스타전 MVP를 수상하고,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야구 선수이다.
  • 1966년 야구 - 1966년 일본 시리즈
    1966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난카이 호크스를 4승 2패로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시바타 이사오가 MVP를 수상했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오리올 파크 앳 캠던 야즈
    오리올 파크 앳 캠던 야즈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위치한 메이저 리그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홈구장으로, 레트로 회귀 콘셉트와 B&O 창고를 통합한 독특한 설계로 신고전주의 구장 건설 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로이드 스트리트 그라운즈
    1895년 개장한 로이드 스트리트 그라운즈는 밀워키 브루어스의 홈구장으로 웨스턴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 밀워키 크림스가 사용했으며 1904년 철거 후 현재는 주거 지역이다.
1966년 월드 시리즈
월드 시리즈 정보
연도1966년
국가세계
우승 팀볼티모어 오리올스 (4)
우승 팀 리그AL
우승 팀 약칭BAL
우승 횟수22년 만의 2번째 우승
우승 팀 감독행크 바우어
우승 팀 게임97승 63패, 승률 .606, GA: 9
우승 팀 선수 분배금선수 1인당 1만 1683.04달러
준우승 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0)
준우승 팀 리그NL
준우승 팀 약칭LAD
준우승 횟수2년 연속 13번째
준우승 팀 감독월터 앨스턴
준우승 팀 게임95승 67패, 승률 .586, GA: 1 1/2
준우승 팀 선수 분배금선수 1인당 8189.36달러
날짜10월 5일 ~ 10월 9일
경기장다저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스타디움 (볼티모어)
MVP프랭크 로빈슨 (볼티모어)
텔레비전 방송사NBC
방송 해설커트 가우디
빈 스컬리 (로스앤젤레스)
척 톰슨 (볼티모어)
라디오 방송사NBC
라디오 해설밥 프린스
척 톰슨 (로스앤젤레스)
빈 스컬리 (볼티모어)
심판빌 자코스키 (NL)
네스터 칠락 (AL)
크리스 펠레코다스 (NL)
조니 라이스 (AL)
멜 스타이너 (NL)
칼 드러먼드 (AL)
명예의 전당 헌액자심판: 네스터 칠락
볼티모어: 루이스 아파리시오, 짐 파머, 브룩스 로빈슨, 프랭크 로빈슨
다저스: 월트 앨스턴(감독), 돈 드라이스데일, 샌디 코팩스
총 관중4경기 합계: 22만 791명, 경기당 평균: 5만 5198명

2. 배경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돈 드라이스데일과 샌디 쿠팩스라는 당대 최고의 선발 투수들을 보유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비해 투수력이 열세일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실제 시리즈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볼티모어 투수진은 시리즈 4경기 동안 단 2점만을 허용하며 팀 평균자책점 (ERA) 0.50이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월드 시리즈 역사상 두 번째로 낮은 기록이었다. 오리올스는 1차전 1회에 이미 다저스가 시리즈 전체에서 기록한 득점보다 더 많은 3점을 뽑아내며 기선을 제압했다.

이러한 오리올스의 압도적인 승리 배경에는 베테랑 스카우트 짐 루소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소는 시즌 막바지 다저스의 상승세 기간 동안 팀을 면밀히 관찰하며 상세한 분석 보고서를 작성했고, 이는 오리올스가 다저스를 효과적으로 공략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프랭크 로빈슨 역시 내셔널 리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팀의 전략 수립에 기여했다.[1]

한편, 이 시리즈에서는 오리올스의 부그 파웰과 다저스의 짐 바비에리가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와 메이저 리그 월드 시리즈에 모두 출전한 최초의 선수들이라는 흥미로운 기록이 세워지기도 했다. 두 선수는 1954년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맞붙은 경험이 있었다.[2]

2. 1. 볼티모어 오리올스

1965년 시즌 3위를 기록한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오프시즌에 선발 투수 밀트 파파스를 신시내티 레즈로 보내고, 훗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프랭크 로빈슨을 영입했다. 로빈슨은 타격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고 아메리카 리그(AL) MVP를 수상하는 맹활약을 펼치며 오리올스를 미네소타 트윈스에 9경기 차로 앞선 아메리카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다.

월드 시리즈를 앞두고 오리올스는 돈 드라이스데일과 샌디 쿠팩스라는 강력한 선발 투수를 보유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비해 투수력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실제 시리즈에서는 오리올스 투수진이 단 2점만을 허용하며 팀 평균자책점 (ERA) 0.50을 기록했는데, 이는 월드 시리즈 역사상 두 번째로 낮은 기록이었다. 오리올스는 1차전 1회에 이미 다저스가 시리즈 전체에서 기록한 득점보다 더 많은 점수를 뽑아냈다.

이러한 성공에는 베테랑 스카우트 짐 루소의 역할이 컸다. 루소는 9월 첫 2주 동안 다저스가 14경기 중 12승을 거두는 과정을 면밀히 관찰했고, 그의 16페이지 분량 보고서는 오리올스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했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다저스 타자들이 게이로드 페리와 래리 디어커를 상대로 패스트볼 공략에 어려움을 겪는다.
  • 모리 윌스만이 유일하게 번트 위협이 되는 선수이다.
  • 좌완 투수를 기용하면 다저스의 스위치 타자들을 우타석에 서게 만들고 론 페어리를 라인업에서 제외시켜 불리하게 만들 수 있다.
  • 오리올스 타자들은 쿠팩스의 스트라이크 존 위로 떠오르는 패스트볼에 스윙하지 말아야 한다.


프랭크 로빈슨 역시 시리즈 시작 하루 전 팀의 스카우팅 보고서 검토 회의에서 내셔널 리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을 더했다.[1]

한편, 오리올스의 부그 파웰과 다저스의 짐 바비에리는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와 메이저 리그 월드 시리즈에 모두 출전한 최초의 선수들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두 선수는 1954년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맞붙은 경험이 있다.[2] 바비에리는 이번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다저스 구원 투수 조 뫼러를 대신해 대타로 출전했으나 삼진을 당했고, 이는 그의 짧은 선수 경력 마지막 타석이 되었다.

2. 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5년 중 4번째로 치열한 페넌트 레이스를 치르고 있었다. 시즌 마지막 필라델피아 원정 더블헤더 경기를 앞두고, 다저스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2경기 차로 앞서 있었다. 만약 피츠버그에서 경기를 치르는 자이언츠가 승리하고 다저스가 두 경기를 모두 패배한다면, 자이언츠는 이전에 우천으로 취소된 경기를 치르기 위해 신시내티로 이동해야 했고, 그 경기에서 승리할 경우 공동 1위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더블헤더 1차전에서 다저스는 8회 말에 나온 두 개의 실책으로 인해 3–2의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4–3으로 역전패했다. 같은 시간, 피츠버그에서는 자이언츠가 9회에 동점을 만들고 연장 11회에 4점을 뽑아 7–3으로 승리하며 우승 경쟁의 불씨를 살렸다. 이로 인해 다저스는 더블헤더 2차전에서 반드시 승리해야만 페넌트 우승을 확정지을 수 있었다. 에이스 샌디 쿠팩스가 마운드에 올라 팀의 6–3 승리를 이끌며 페넌트 우승을 확정지었다. 하지만 이 경기는 쿠팩스의 정규 시즌 마지막 등판이었고, 이로 인해 월드 시리즈 1차전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월드 시리즈에서 다저스는 돈 드라이스데일과 샌디 쿠팩스라는 스타 투수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마운드를 전혀 공략하지 못했다. 오리올스 투수진은 시리즈 4경기 동안 다저스 타선을 단 2점으로 묶었고, 팀 평균자책점 0.50이라는 월드 시리즈 역사상 두 번째로 낮은 기록을 세웠다. 이는 오리올스가 1차전 1회에 뽑아낸 득점(3점)보다도 적은 수치였다.

오리올스가 다저스를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베테랑 스카우트 짐 루소의 상당한 도움이 있었다. 그는 9월 첫 2주 동안 다저스가 14경기 중 12경기를 승리하며 상승세를 탈 때 다저스를 따라다녔고, 16페이지에 달하는 상세한 스카우팅 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다저스 타자들은 게이로드 페리와 래리 디어커 같은 투수들의 강속구(패스트볼)에 약점을 보인다.
  • 번트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는 타자는 모리 윌스뿐이다.
  • 좌완 투수를 등판시키면 다저스의 스위치 히터들이 상대적으로 약한 우타석에 들어서게 되고, 론 페어리 같은 좌타자가 라인업에서 제외될 수 있어 다저스 타선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 샌디 쿠팩스를 상대할 때는 그의 주무기인 스트라이크 존 위쪽으로 떠오르는 패스트볼에 속지 말고 스윙을 자제해야 한다.


내셔널 리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프랭크 로빈슨 또한 시리즈 시작 하루 전에 팀이 스카우팅 보고서를 검토할 때 제안을 했다.[1]

한편, 이 시리즈에서는 흥미로운 기록도 나왔다. 오리올스의 부그 파웰과 다저스의 짐 바비에리는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와 월드 시리즈에 모두 출전한 최초의 선수들이었다. 둘은 1954년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서로 맞붙었다.[2] 바비에리는 시리즈 1차전에서 다저스 구원 투수 조 뫼러를 대신해 대타로 나섰다. 바비에리는 짧은 선수 경력의 마지막 등판에서 삼진을 당했다.

3. 시리즈 결과

1966년 월드 시리즈는 아메리카 리그 챔피언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내셔널 리그 챔피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상대로 4승 0패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볼티모어 오리올스 구단 창설 66년 만의 첫 월드 시리즈 우승이었다. 시리즈는 10월 5일부터 10월 9일까지 총 4경기로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요약'''
경기날짜최종 점수장소경기 시간관중 수
1차전10월 5일볼티모어 오리올스 5 – 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다저 스타디움2시간 56분55,941명 [3]
2차전10월 6일볼티모어 오리올스 6 – 0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다저 스타디움2시간 26분55,947명 [4]
3차전10월 8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0 – 1 볼티모어 오리올스메모리얼 스타디움1시간 55분54,445명 [5]
4차전10월 9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0 – 1 볼티모어 오리올스메모리얼 스타디움1시간 45분54,458명 [6]



'''시리즈 전체 기록'''


  • 총 득점: 볼티모어 13, 로스앤젤레스 2
  • 총 안타: 볼티모어 24, 로스앤젤레스 17
  • 총 실책: 볼티모어 0, 로스앤젤레스 6
  • 총 관중 수: 220,791명
  • 평균 관중 수: 55,198명
  • 승리팀 선수 배당금: 11683USD [11]
  • 패배팀 선수 배당금: 8189USD [11]

3. 1. 1차전 (10월 5일, 다저 스타디움)

홈런BAL프랭크 로빈슨 (1회 2점), 브룩스 로빈슨 (1회 1점)   LAD – 짐 리페브레 (2회 1점) [3]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1회 초, 프랭크 로빈슨이 다저스 선발 돈 드라이즈데일을 상대로 2점 홈런을 치고, 이어 브룩스 로빈슨이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3점을 먼저 앞서 나갔다. 다저스는 2회 말 짐 리페브레의 솔로 홈런으로 1점을 따라갔다. 볼티모어의 구원 투수 모 드라보스키는 3회 말 1사 만루 위기 상황에 등판하여 이후 6타자 연속 삼진을 포함한 뛰어난 투구를 선보이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선발 라인업'''
볼티모어 오리올스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선수수비 위치타순선수수비 위치
1루이스 아파리시오 (우타)유격수1모리 윌스 (양타)유격수
2러스 스나이더 (좌타)중견수2윌리 데이비스 (좌타)중견수
3프랭크 로빈슨 (우타)우익수3루 존슨 (우타)우익수
4브룩스 로빈슨 (우타)3루수4토미 데이비스 (우타)좌익수
5부그 파월 (좌타)1루수5짐 리페브레 (양타)2루수
6커트 블레파리 (좌타)좌익수6웨스 파커 (양타)1루수
7데이비 존슨 (우타)2루수7짐 길리엄 (양타)3루수
8앤디 에체바렌 (우타)포수8존 로즈보로 (좌타)포수
9데이브 맥널리 (우타)투수9돈 드라이즈데일 (우타)투수
선발 투수: 데이브 맥널리 (좌투)선발 투수: 돈 드라이즈데일 (우투)

3. 2. 2차전 (10월 6일, 다저 스타디움)

홈런: 없음
관중: 55,947명    경기 시간: 2시간 26분 [4]
심판: [HP] 네스터 차일락(AL), [1B] 크리스 페레코다스(NL), [2B] 존 라이스(AL), [3B] 멜 스타이너(NL), [LF] 칼 드럼몬드(AL), [RF] 빌 자코스키(NL)
상세 정보: [https://www.mlb.com/gameday/orioles-vs-dodgers/1966/10/06/67585 MLB.com Gameday]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boxes/LAN/LAN196610060.shtml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mlb.com/video/jim-palmer-finishes-off-shutout MLB.com: 짐 파머, 9회말 무실점 완봉승 영상 (1분 30초)]



선발 라인업
볼티모어 오리올스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타순선수수비 위치타순선수수비 위치
1루이스 아파리시오SS1모리 윌스SS
2커트 브레파리LF2짐 길리엄3B
3프랭크 로빈슨RF3윌리 데이비스CF
4브룩스 로빈슨3B4론 페어리RF
5부그 파웰1B5짐 라피버2B
6데이비 존슨2B6루 존슨LF
7폴 블레어CF7존 로즈보로C
8앤디 에체바렌C8웨스 파커1B
9짐 파머 (우투)P9샌디 쿠팩스 (좌투)P


3. 3. 3차전 (10월 8일, 메모리얼 스타디움)

1966년 10월 8일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1966년 10월 8일 토요일 — 메모리얼 스타디움'''
123456789RHE
로스앤젤레스 다저스000000000060
볼티모어 오리올스00001000X130
colspan="13" style="text-align:left;" |



경기는 5회 말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폴 블레어가 터뜨린 솔로 홈런이 유일한 득점이 되어 볼티모어가 1-0으로 승리했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6안타를 치고도 득점하지 못했다. 볼티모어의 선발 투수 월리 벙커는 완봉승을 거두며 승리 투수가 되었고, 다저스의 선발 클로드 오스틴은 패전 투수가 되었다. 경기 시간은 1시간 55분이었고, 54,445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5] 상세 정보는 [https://www.mlb.com/gameday/dodgers-vs-orioles/1966/10/08/67586 MLB.com Gameday]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boxes/BAL/BAL196610080.shtml Baseball-Referenc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판'''



'''선발 라인업'''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볼티모어 오리올스
타순선수수비 위치타순선수수비 위치
1모리 윌스유격수1루이스 아파리시오유격수
2웨스 파커1루수2커트 블레파리좌익수
3윌리 데이비스중견수3프랭크 로빈슨우익수
4론 페어리우익수4브룩스 로빈슨3루수
5짐 라피버2루수5부그 파월1루수
6루 존슨좌익수6데비 존슨2루수
7존 로즈보로포수7폴 블레어중견수
8존 케네디3루수8앤디 에체바렌포수
9클로드 오스틴투수9월리 벙커투수


3. 4. 4차전 (10월 9일, 메모리얼 스타디움)

1966년 10월 9일,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열린 4차전 경기이다.

10월 9일 – 메모리얼 스타디움
123456789RHE
로스앤젤레스000000000040
볼티모어00010000X140
승리 투수: 데이브 맥널리 (1-0)    패전 투수: 돈 드라이즈데일 (0-2)
홈런: 프랭크 로빈슨 (2) (4회 1점)



4차전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데이브 맥널리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돈 드라이즈데일을 선발 투수로 내세웠다. 경기의 유일한 득점은 4회말 프랭크 로빈슨이 드라이스데일을 상대로 친 솔로 홈런이었다.[6] 이 홈런은 시리즈의 결승점이 되었다.

맥널리는 4개의 안타만을 내주며 완봉승을 거두었고, 오리올스는 4연승으로 시리즈를 마무리하며 구단 역사상 첫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6] 다저스는 2차전 6회 이후 단 한 점도 얻지 못하며, 시리즈 마지막 33이닝 동안 무득점이라는 부진한 기록을 남겼다.

경기 시간은 1시간 45분이었고, 관중은 54,458명이었다.[6]

선발 라인업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볼티모어 오리올스
타순선수수비 위치타순선수수비 위치
1몰리 윌스유격수1루이스 아파리시오유격수
2윌리 데이비스중견수2러스 스나이더중견수
3루 존슨우익수3프랭크 로빈슨우익수
4토미 데이비스좌익수4브룩스 로빈슨3루수
5짐 래피버2루수5부그 파월1루수
6웨스 파커1루수6커트 블레파리좌익수
7존 로즈보로포수7데이비 존슨2루수
8존 케네디3루수8앤디 에체바렌포수
9돈 드라이즈데일투수9데이브 맥널리투수


4. 기록

오리올스는 돈 드라이스데일과 샌디 쿠팩스라는 스타 투수를 보유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비해 투수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시리즈 전체에서 단 2점만 허용하며 팀 평균자책점 (ERA) 0.50이라는 월드 시리즈 역사상 두 번째로 낮은 기록을 세웠다. 오리올스는 1차전 1회에 다저스가 시리즈 전체에서 기록한 점수보다 더 많은 점수를 얻었다.

오리올스의 성공에는 베테랑 스카우트 짐 루소의 기여가 컸다. 그는 9월 첫 2주 동안 다저스가 14경기 중 12경기를 승리하는 과정을 면밀히 관찰했다. 그의 16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에는 다저스 타자들이 게이로드 페리와 래리 디어커의 패스트볼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 모리 윌스만이 유일한 번트 위협이라는 점, 좌완 투수를 활용해 스위치 타자들을 우타석으로 유도하고 론 페어리를 라인업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다저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오리올스 타자들이 쿠팩스의 스트라이크 존 위로 떠오르는 패스트볼에 스윙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 등이 담겨 있었다. 프랭크 로빈슨 역시 시리즈 시작 하루 전, 팀의 스카우팅 보고서 검토 회의에서 내셔널 리그 경험을 바탕으로 조언을 더했다.[1]

오리올스의 부그 파웰과 다저스의 짐 바비에리는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와 메이저 리그 월드 시리즈에 모두 출전한 최초의 선수들이 되었다. 두 선수는 1954년 리틀 리그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맞붙은 경험이 있다.[2] 바비에리는 이번 시리즈 1차전에서 다저스 구원 투수 조 뫼러를 대신해 대타로 나섰으나 삼진을 당했고, 이는 그의 짧은 선수 경력의 마지막 타석이 되었다.

프랭크 로빈슨


스윕을 눈앞에 둔 4차전은 1차전의 재대결로, 젊은 투수 데이브 맥낼리와 베테랑 돈 드라이스데일이 맞붙었는데, 둘 다 이전 등판에서는 고전했다. 그러나 이번 경기에서 두 투수 모두 뛰어난 투구를 펼쳐 각각 4안타만 허용했다. 다시 한번, 득점은 홈런에서 나왔는데, 이번에는 프랭크 로빈슨의 홈런이었다. 다저스의 윌리 데이비스는 2차전의 수비 실수를 만회하려는 듯 4회에 부그 파웰의 홈런성 타구를 잡아냈지만, 8회에 오리올스의 폴 블레어가 짐 르페브르의 타구를 똑같이 호수비로 막아내며 상쇄되었다. 결국 다저스는 3경기 연속 무득점, 월드 시리즈 기록인 33이닝 연속 무득점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4차전에서 1-0으로 승리하면서 오리올스는 시리즈를 스윕하고 구단 역사상 첫 번째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오리올스는 1948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이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한 아메리카 리그 팀이 되었으며, 아메리카 리그 창립 8개 팀 중 마지막으로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팀이 되었다. 오리올스는 1944년 월드 시리즈에서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시절에 가을 클래식에 출전했는데, 당시 그들은 마지막 원년 AL 팀이었고, 1903년부터 1960년까지 메이저 리그를 구성했던 16개 팀 중 마지막으로 월드 시리즈에 '참여'한 팀이었다. 그들은 또한 16개 원년 MLB 팀 중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한 마지막에서 두 번째 팀이 되었는데, 1980년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1980년 월드 시리즈에서 14년 후에 마지막으로 그 기록을 세웠다.

아이러니하게도, 시리즈 전체에서 볼티모어의 선발 로테이션이 역사적인 지배력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월드 시리즈 MVP는 외야수 프랭크 로빈슨이 수상했다. 그는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한 팀 소속으로는 최초로 MVP를 수상한 포지션 플레이어가 되었다. (바비 리처드슨은 1960년 월드 시리즈에서 상을 받은 최초의 포지션 플레이어였지만, 그의 뉴욕 양키스피츠버그 파이리츠에게 패했다.)

오리올스는 월드 시리즈 역사상 두 번째로 (1937년 뉴욕 양키스가 최초), 어떤 길이의 시리즈에서도 실책을 범하지 않았으며, 141개의 총 기회 (108개의 아웃, 33개의 어시스트)에서 실책 없이 완벽한 수비를 보여주었다.

2024년 현재, 이것은 다저스가 월드 시리즈에서 스윕을 당한 유일한 경우이다.

5. 시리즈 이후

1966년 월드 시리즈는 한 시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마지막 영광이었다. 다저스는 1959년부터 1966년까지 8년 동안 네 차례 월드 시리즈에 진출하여 세 번의 우승을 차지하는 황금기를 보냈다. 하지만 이 시리즈 이후 팀의 주축 선수들이 대거 이탈했다. 에이스 샌디 쿠팩스는 최고의 기량을 뽐냈음에도 만성적인 팔꿈치 부상(관절염 및 활액낭염)으로 인해 시리즈 직후 은퇴를 선언했다. 1962년 MVP였던 유격수 모리 윌스는 시즌 후 피츠버그 파이리츠로 트레이드되었고, 두 차례 타격왕을 차지했던 토미 데이비스 역시 1965년 당한 발목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 뉴욕 메츠로 이적했다. 베테랑 3루수 짐 길리엄도 은퇴를 발표했다.

주요 선수들의 공백으로 다저스의 전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특히 공격력은 메이저 리그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 결과 1967년에는 8위, 1968년에는 7위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하지만 1969년부터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재건하기 시작했고, 이후 1988년까지 20년 동안 두 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1981년, 1988년), 다섯 번의 내셔널 리그 우승, 일곱 번의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강팀으로 발돋움했다.

한편,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이 시리즈 우승을 발판 삼아 이후 아메리칸 리그의 강자로 군림하게 된다.

5. 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다저스는 5년 중 4번째로 치열한 페넌트 레이스를 펼치고 있었다. 시즌 마지막 더블헤더 경기를 필라델피아에서 치르기 전, 다저스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 2경기 차로 앞서 있었다. 만약 자이언츠가 피츠버그와의 단일 경기에서 이기고 다저스가 더블헤더 두 경기를 모두 패배한다면, 자이언츠는 신시내티로 이동해 이전에 우천으로 취소되었던 경기를 치러야 했고, 거기서 승리하면 공동 1위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더블헤더 1차전에서 다저스는 8회 말에 나온 두 개의 실책으로 인해 3-2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4-3으로 패배했다. 한편, 피츠버그에서는 자이언츠가 9회에 동점을 만들고 연장 11회에 4점을 추가하며 7-3으로 승리해 희망을 이어갔다. 다저스는 반드시 더블헤더 2차전에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 경기에서 샌디 쿠팩스는 다저스를 6-3 승리로 이끌며 페넌트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 경기는 쿠팩스의 정규 시즌 마지막 등판이었으며, 이로 인해 그는 월드 시리즈 1차전에 등판할 수 없게 되었다.

5. 2. 볼티모어 오리올스

1965년 시즌 3위를 기록한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오프시즌에 선발 투수 밀트 파파스를 신시내티 레즈로 보내고, 훗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프랭크 로빈슨을 영입하는 중요한 트레이드를 단행했다. 로빈슨은 이적 첫해 타격 삼관왕을 달성하고 아메리칸 리그 MVP를 수상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팀을 이끌었다. 오리올스는 로빈슨의 활약에 힘입어 미네소타 트윈스를 9경기 차로 따돌리고 아메리칸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1966년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1966년 월드 시리즈 우승 이후,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 아메리칸 리그의 강팀으로 군림했다. 1967년에는 부상 여파로 잠시 주춤했지만, 1968년에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 이어 리그 2위를 기록했다. 이후 1969년부터 1971년까지 3년 연속으로 매 시즌 100승 이상을 거두며 아메리칸 리그 페넌트를 차지했고, 특히 1970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오리올스는 1973년과 1974년에도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 우승을 차지했지만, 당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왕조에 막혀 월드 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1979년 월드 시리즈에 다시 진출했으나 피츠버그 파이리츠에게 7차전 접전 끝에 패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리올스는 1968년부터 1983년까지 단 세 시즌을 제외하고 매년 90승 이상을 기록하는 꾸준한 강팀의 면모를 보였으며, 1983년 월드 시리즈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볼티모어 오리올스 주요 성과 (1966년 ~ 1983년)
구분횟수연도
월드 시리즈 우승3회1966, 1970, 1983
아메리칸 리그 우승 (페넌트)6회1966, 1969, 1970, 1971, 1979, 1983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 우승7회1969, 1970, 1971, 1973, 1974, 1979, 1983



이 시기는 구단 역사상 최고의 황금기로 평가받는다.

6. 중계

NBC는 1966년 월드 시리즈를 텔레비전과 라디오로 중계했다. 이전 해까지는 홈팀과 원정팀의 지역 아나운서들이 각 월드 시리즈 경기의 텔레비전 중계를 위한 플레이 바이 플레이를 분담했으나, 이 해부터 1976년까지는 홈팀 아나운서만 각 경기의 TV 중계를 맡았다. 홈팀 아나운서는 플레이 바이 플레이와 해설을 중립적인 NBC 아나운서와 분담했으며, 원정팀 아나운서는 라디오 중계를 도왔다. 이에 따라 1966년 NBC의 커트 고디는 (네트워크의 메인 야구 중계진으로 첫 시즌을 마쳤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경기는 빈 스컬리, 볼티모어에서 열린 경기는 척 톰슨과 함께 텔레비전 중계를 진행했다.[12] 반면, 밥 프린스는 톰슨(로스앤젤레스 경기) 및 스컬리(볼티모어 경기)와 함께 라디오 중계를 맡았다.

1966년 월드 시리즈는 양 팀 모두 이례적으로 낮은 득점을 기록했으며, 낮은 득점과 관련된 여러 지표에서 기록을 세웠다.



'''1966년까지 아메리카 리그 팀의 ''월드 시리즈'' 최저 평균자책점(ERA) 순위:'''

순위아메리카 리그 팀ERA연도
1볼티모어 오리올스0.501966
2클리블랜드 인디언스0.891920
3뉴욕 양키스1.221939
4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291911
5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471905
5보스턴 레드삭스1.471916
7시카고 화이트삭스1.501906
8보스턴 레드삭스1.701918
9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1.731930
10뉴욕 양키스1.801941


참조

[1] 웹사이트 The Reasons Why the Orioles Won https://vault.si.com[...] Sports Illustrated 1966-10-24
[2] 웹사이트 Baseball Almanac Little League World Series and Major League World Series https://www.baseball[...] 2022-11-01
[3] 웹사이트 1966 World Series Game 1 – Baltimore Orioles vs. Los Angeles Dodger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4] 웹사이트 1966 World Series Game 2 – Baltimore Orioles vs. Los Angeles Dodger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5] 웹사이트 1966 World Series Game 3 – Los Angeles Dodgers vs. Baltimore Oriole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6] 웹사이트 1966 World Series Game 4 – Los Angeles Dodgers vs. Baltimore Oriole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7] 서적 Baseball and the Blame Game: Scapegoating in the Major Leagues McFarland & Co Inc 2007
[8] 뉴스 Highlight on Sports https://www.newspape[...] Pittsburgh Post-Gazette 1966-10-07
[9] 웹사이트 Fifty Years Ago: Does Final Scouting Report On Koufax Provide Clue On His Decision To Retire At 30? http://jewishbasebal[...] Jewish Baseball Museum 2016-10-31
[10] 뉴스 Second Game Play-by-Play https://www.newspape[...] The Billings Gazette 1966-10-07
[11] 웹사이트 World Series Gate Receipts and Player Shares http://www.baseball-[...] Baseball Almanac 2009-06-14
[12] 웹사이트 The year Vin Scully was unhappy about his reduced role on network television coverage of the World Series https://awfulannounc[...] 2016-10-24
[13] 문서 No other series-winning team ever produced exactly 13 series runs, although the series loser has produced exactly 13 series runs on five occasions
[14] 웹사이트 World Series Gate Receipts http://www.baseball-[...] Baseball Almanac 2018-12-31
[15] 뉴스 Baltimore Orioles History: Orioles Complete Greatest World Series Pitching Run https://www.foxsport[...] FOX Sports 2017-06-30
[16] 웹사이트 The 10 worst postseason sweeps ever https://tht.fangraph[...] The Hardball Times 2012-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