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32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1조와 9조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진출팀을 결정했다. 1조에서는 불가리아가 벨기에를 꺾고, 9조에서는 스페인이 아일랜드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서독, 프랑스, 포르투갈, 스위스, 헝가리, 소련, 이탈리아, 스페인이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으며, 포르투갈의 에우제비우가 7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6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6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월드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과정에서 아프리카 팀들의 기권과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결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는 이변을 낳았다.
  •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196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총 9개국이 참가하여 2라운드에 걸쳐 진행되었고, 멕시코, 코스타리카, 자메이카가 최종 라운드에서 경쟁한 결과 멕시코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진출팀을 가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2003년 12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개최국 독일을 제외한 51개 팀이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적으로 1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196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1966년 FIFA 월드컵 예선 (UEFA)
연도1965년
날짜1965년 5월 9일 - 1965년 12월 29일
참가팀 수31
참가 연맹 수1
경기 수82
총 득점250
총 관중2982508
득점왕에우제비우 (7 골)
이전 대회1962년 FIFA 월드컵 예선 (UEFA)
다음 대회1970년 FIFA 월드컵 예선 (UEFA)
기타 정보
비고시리아는 FIFA가 아프리카 팀에 직접 진출권을 주지 않은 것에 항의하여 모든 아프리카 팀을 지지하기 위해 기권함.

2. 조별 예선

총 32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1조와 9조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진출팀을 결정했다.[1]

2. 1. 1조

벨기에, 불가리아, 이스라엘이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벨기에와 불가리아가 승점 동률을 이루어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에서 불가리아가 벨기에를 2-1로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순위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1벨기에4301113+86
1불가리아430196+36
3이스라엘4004112-110


  • 벨기에와 불가리아는 승점이 같아 중립 지대에서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 플레이오프 결과 불가리아벨기에를 2-1로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
1965년 5월 9일 브뤼셀
벨기에 1 – 0 이스라엘
1965년 6월 13일 소피아
불가리아 4 – 0 이스라엘
1965년 9월 26일 소피아
불가리아 3 – 0 벨기에
1965년 10월 27일 브뤼셀
벨기에 5 – 0 불가리아
1965년 11월 10일 라마트간
이스라엘 0 – 5 벨기에
1965년 11월 21일 라마트간
이스라엘 1 – 2 불가리아


2. 2. 2조

FRG|서독de, SWE|스웨덴sv, CYP|키프로스el가 2조에 속했다. 서독이 3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순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득실승점
1서독4310142+127
2스웨덴4211103+75
3키프로스4004019−190


2. 3. 3조

France|프랑스프랑스어, Norge|노르웨이no, Jugoslavija|유고슬라비아sh, Lëtzebuerg|룩셈부르크lb가 3조에 속했다. 프랑스가 5승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순위경기득점실점골 득실차승점
1프랑스650192+710
2노르웨이6312105+57
3유고슬라비아6312108+27
4룩셈부르크6006620−140


2. 4. 4조

포르투갈,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 터키가 4조에 속했다. 포르투갈이 4승 1무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순위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 득실승점
1포르투갈641194+59
2체코슬로바키아6312124+87
3루마니아630397+26
4터키6105419−152


2. 5. 5조

순위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1스위스641173+49
2북아일랜드632195+48
3네덜란드622264+26
4알바니아6015212-101



스위스가 4승 1무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2. 6. 6조

순위경기득점실점골 득실차승점
1헝가리431083+57
2동독41215504
3오스트리아401316-51



헝가리는 3승 1무의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96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2. 7. 7조

순위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1소련6501196+1310
2웨일스6303119+26
3그리스62131014-45
4덴마크6114718-113



소련이 5승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2. 8. 8조



8조에는 이탈리아, 스코틀랜드, 폴란드, 핀란드가 속했다. 경기 결과 이탈리아가 4승 1무 1패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1]

2. 9. 9조

스페인es과 아일랜드ga가 같은 조에 속했다. (시리아ar는 기권하였다.) 스페인과 아일랜드는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에서 스페인이 아일랜드를 1-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다.[1]

순위경기 수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득실승점
1=style="text-align:left"|210142+22
1=style="text-align:left"|210124−22
style="text-align:left"|기권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아일랜드2-4스페인|1-0|1-4


3. 플레이오프 (1조, 9조)

1조와 9조는 승점 동률인 팀 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결정했다. 1조에서는 불가리아(1948년)벨기에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1] 9조에서는 스페인(1945년)아일랜드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3. 1. 1조 플레이오프

1965년 12월 29일,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벨기에불가리아(1948년)의 플레이오프 경기가 열렸다. 불가리아가 벨기에를 2-1로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다.[1]

순위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1벨기에4301113+86
1불가리아(1948년)430196+36
3이스라엘4004112-110


3. 2. 9조 플레이오프

스페인es과 아일랜드ga는 1, 2차전 합계 2-2로 동률을 이루어 중립 지역인 프랑스 파리에서 플레이오프를 진행했다. 1965년 11월 10일에 열린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스페인es이 아일랜드ga를 1-0으로 꺾고 196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4. 본선 진출팀

1966년 FIFA 월드컵 본선에는 다음과 같은 9개 팀이 진출했다.

진출 자격진출 날짜이전 FIFA 월드컵 출전 횟수[1]
불가리아1조 우승팀1965년 12월 29일1 (1962년)
서독2조 우승팀1965년 11월 14일4 (1934년, 1938년, 1954년, 1958년)
프랑스3조 우승팀1965년 11월 6일5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포르투갈4조 우승팀1965년 11월 21일0 (첫 출전)
스위스5조 우승팀1965년 11월 14일5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62년)
헝가리6조 우승팀1965년 10월 9일5 (1934년, 1938년, 1954년, 1958년, 1962년)
소련7조 우승팀1965년 10월 27일3 (1958년, 1962년, 1966년)
이탈리아8조 우승팀1965년 12월 5일4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62년)
스페인9조 우승팀1965년 11월 10일3 (1934년, 1950년, 1962년)



5. 주요 득점 선수

주요 득점 선수
순위선수득점
1에우제비우7
2미미스 파파이오아누6
3폴 판 힘스트5
3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5
3산드로 마촐라5
3조니 크로산5
3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5
3아나톨리 바니셰프스키5
4니콜라 코트코프4
4프란티셰크 크네보르트4
4로이 버넌4
4밀란 갈리치4
5조니 티오3
5카롤 요클3
5유하니 펠토넨3
5네스토르 콤뱅3
5필리프 곤데3
5요르고스 시데리스3
5파올로 바리손3
5루이 파일럿3
5제르지 사데크3
5발렌틴 코즈미치 이바노프3
5슬라바 메트레벨리3
5추스 페레다3
5쾨비 쿤3
5이보르 올처치3
5루돌프 브루넨마이어3
6이반 므라즈2
6올레 프리츠센2
6올레 마드센2
6페터 두케2
6위르겐 뇔드너2
6야노시 파르카스2
6마테 페네시2
6자친토 파케티2
6브루노 모라2
6지안니 리베라2
6헤니 판 네2
6조지 베스트2
6하랄 베르그2
6에리크 요한센2
6에르네스트 폴2
6니콜라에 게오르게스쿠2
6비오렐 마테이아누2
6존 그레이그2
6데니스 로2
6블라디미르 바르카야2
6라르스 그란스트룀2
6보 라르손2
6아그네 시몬손2
6토르비에른 욘손2
6르네피에르 캥턴2
6페브지 젬젬2
6베르너 크래머2
6볼프강 오베라트2
6클라우스디터 질로프2
6드라간 자이치2
7멕히트 하지우1
7로베르트 야샤리1
7에리히 호프1
7아르망 쥐리옹1
7빌프리트 피위스1
7자크 스톡먼1
7스토얀 키토프1
7이반 페트코프 콜레프1
7알렉산데르 호르바트1
7두샨 카바트1
7안드레이 크바슈냐크1
7모겐스 베르그1
7카이 폴센1
7토미 트로엘센1
7에베르하르트 포겔1
7마르티 휘바리넨1
7세미 누오라넨1
7마르셀 아르텔레사1
7앙드레 귀1
7앙젤 람베르1
7안드레아스 파파엠마누일1
7페렌츠 베네1
7칼만 메쇠이1
7데죄 노바크1
7귤러 라코시1
7앤디 맥에보이1
7라하밈 탈비1
7자코모 불가렐리1
7에치오 파스쿠티1
7에르네스트 브레너1
7에디 더블린1
7아디 슈미트1
7프란스 헤르첸1
7테오 라서롬스1
7베니 뮐러1
7단 스흐레이버스1
7윌리 어바인1
7테리 닐1
7페르 크리스토페르센1
7올라브 닐센1
7아르네 페데르센1
7핀 세만1
7카이 쇠베르그1
7올레 스타브룸1
7로만 렌트너1
7마리우 콜루나1
7자이메 그라사1
7소린 아브람1
7알렉산드루 바데아1
7단 코에1
7카롤 크레니체아누1
7이온 파르칼라브1
7스티비 챌머스1
7데이비드 깁슨1
7빌리 맥닐1
7데이비 윌슨1
7보리스 카자코프1
7갈림잔 후사노프1
7미하일 메스키1
7요제프 사보1
7발레리 보로닌1
7카를로스 라페트라1
7호세 우파르테1
7쿠르트 함린1
7오베 킨드발1
7안톤 알레만1
7로베르트 호스프1
7아이한 엘마스타스올루1
7네딤 도안1
7론 데이비스1
7윈 데이비스1
7마이크 잉글랜드1
7로니 리스1
7알프레트 하이1
7우베 젤러1
7하인츠 슈트렐1
7호르스트 시마니악1
7드라잔 예르코비치1
7블라디차 코바체비치1
7제말루딘 무쇼비치1
7벨리보르 바소비치1



'''자책골'''


  • 이반 부초프 (상대: 벨기에)
  • 코스타스 파나요투 (상대: 서독)
  • 스티그 홀름크비스트 (상대: 이탈리아)
  • 호세 안헬 이리바르 (상대: 아일랜드)
  • 그레이엄 윌리엄스 (상대: 소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