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정규 시즌, 포스트시즌, 개인 타이틀, 수상, 주요 사건 등으로 구성되었다. 정규 시즌에서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치열한 경쟁 끝에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 우승을 차지했고,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각 지구에서 우승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승리했다. 월드 시리즈에서는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로베르토 클레멘테가 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개인 타이틀은 타율, 홈런, 타점, 승리, 평균자책점, 탈삼진, 세이브, 도루 부문에서 각 리그별 1위를 기록한 선수들에게 돌아갔다. 주요 수상으로는 MVP, 사이 영 상, 신인상, 골드 글러브 등이 있었으며, 피츠버그 파이리츠는 메이저 리그 최초로 흑인 선수들로만 라인업을 구성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 201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201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30개 팀이 참가하여 162경기의 정규 시즌과 포스트시즌으로 진행되었고,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규칙 변경 및 경기 일정 변경, 선수들의 뛰어난 활약 등 여러 사건들이 있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 201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201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은 3월 29일에 시작하여 보스턴 레드삭스가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경기 시간 단축을 위한 규정 도입과 다양한 유니폼 및 기념 행사가 진행되었다.
197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 |
---|---|
시즌 정보 | |
리그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
스포츠 | 야구 |
기간 | 1971년 4월 5일 – 1971년 10월 17일 |
경기 수 | 162 |
팀 수 | 24 |
TV 중계 | NBC |
드래프트 | |
드래프트 링크 | 197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
최고 선수 | 대니 굿윈 |
최고 선수 링크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전체 1순위 드래프트 선수 목록 |
지명팀 | 시카고 화이트삭스 |
시즌 | |
시즌 종류 | 정규 시즌 |
MVP | AL: 비다 블루 (OAK) |
내셔널 리그 MVP | NL: 조 토리 (STL) |
MVP 링크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우수 선수상 |
포스트시즌 | |
포스트시즌 링크 | 197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포스트시즌 |
컨퍼런스 1 | AL |
컨퍼런스 1 링크 | 1971년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
컨퍼런스 1 챔피언 | 볼티모어 오리올스 |
컨퍼런스 1 준우승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컨퍼런스 2 | NL |
컨퍼런스 2 링크 | 1971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
컨퍼런스 2 챔피언 | 피츠버그 파이리츠 |
컨퍼런스 2 준우승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파이널 | 월드 시리즈 |
파이널 링크 | 1971년 월드 시리즈 |
파이널 챔피언 | 피츠버그 파이리츠 |
파이널 준우승 | 볼티모어 오리올스 |
월드 시리즈 MVP | 로베르토 클레멘테 (PIT) |
월드 시리즈 MVP 링크 | 월드 시리즈 최우수 선수상 |
시즌 목록 | |
시즌 목록 링크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목록 |
이전 시즌 링크 | 197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
이전 시즌 | 1970년 |
다음 시즌 링크 | 1972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
다음 시즌 | 1972년 |
2. 정규 시즌
197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정규 시즌은 4개 지구 중 3개 지구에서 비교적 일찍 우승팀의 윤곽이 드러났으나,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에서는 시즌 마지막 날까지 치열한 순위 경쟁이 펼쳐졌다.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에서는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강력한 투수진을 앞세워 3년 연속 지구 우승 및 100승 이상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아메리칸 리그 서부 지구에서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투타의 조화를 이루며 창단 첫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내셔널 리그 동부 지구에서는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강타선을 바탕으로 2년 연속 지구 정상에 올랐다. 가장 극적인 승부가 펼쳐진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에서는 숙명의 라이벌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간의 경쟁이 시즌 막판까지 이어졌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9월 초 큰 경기 차로 앞서 나갔으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맹렬히 추격하며 승차를 좁혔다. 하지만 시즌 마지막 날 두 팀 모두 승리하면서 자이언츠가 1경기 차이로 힘겹게 지구 우승을 확정지었다.
2. 1. 아메리칸 리그
1971년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동부 지구의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서부 지구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동부 지구의 오리올스는 4명의 20승 투수를 배출하는 등 강력한 전력을 바탕으로 3년 연속 지구 우승 및 100승 이상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서부 지구에서는 딕 윌리엄스 감독이 이끄는 애슬레틱스가 캣피시 헌터, 신인 바이더 블루 등의 활약에 힘입어 창단 첫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경험에서 앞선 오리올스가 애슬레틱스를 꺾고 리그 3연패를 달성하며 월드 시리즈 진출권을 따냈다. 그러나 오리올스의 주축 타자들이 점차 노쇠화의 기미를 보인 반면, 젊고 유망한 선수들이 포진한 애슬레틱스는 다음 시즌부터 시작될 황금기를 예고했다.
개인 타이틀 부문에서는 미네소타 트윈스의 토니 올리바가 부상에도 불구하고 통산 3번째 타격왕(.337)에 올랐고, 같은 팀의 하먼 킬브루는 타점왕(119타점)을 차지했다. 홈런왕은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빌 멜튼(33홈런)에게 돌아갔으며,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아모스 오티스는 빠른 발을 앞세워 도루왕(52도루) 타이틀을 획득했다. 투수 부문에서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즈의 미키 로리치가 다승(25승)과 탈삼진(308개) 부문 1위에 올랐고, 애슬레틱스의 신인 바이더 블루는 평균자책점 1위(1.82)와 함께 리그 MVP와 사이 영 상까지 동시에 수상했다.
2. 1. 1.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팀 | 경기 | 승 | 패 | 승률 | 승차 | 홈 | 원정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58 | 101 | 57 | .639 | --- | 53 - 24 | 48 - 33 |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 162 | 91 | 71 | .562 | 12.0 | 54 - 27 | 37 - 44 |
보스턴 레드삭스 | 162 | 85 | 77 | .525 | 18.0 | 47 - 33 | 38 - 44 |
뉴욕 양키스 | 162 | 82 | 80 | .506 | 21.0 | 44 - 37 | 38 - 43 |
워싱턴 새너터스 | 159 | 63 | 96 | .396 | 38.5 | 35 - 46 | 28 - 50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62 | 60 | 102 | .470 | 43.0 | 29 - 52 | 31 - 50 |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마이크 퀘이어(21승), 데이브 맥낼리(20승), 짐 파머(20승)에 더해, 시즌 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이적해 온 팻 도브슨(20승)까지 총 4명의 투수가 20승을 달성하는 막강한 투수진을 앞세웠다. 타선에서도 브룩스 로빈슨(타율 .272, 20홈런, 92타점), 프랭크 로빈슨(타율 .281, 28홈런, 99타점), 부그 파웰(타율 .256, 22홈런, 92타점) 등 주축 선수들이 건재함을 과시하며 101승 57패(승률 .639)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지구 3연패를 달성했다. 이는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1929년부터 1931년까지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이후 처음 나온 3년 연속 100승 이상 기록으로, 뉴욕 양키스의 전성기 시절에도 없었던 대기록이다.
2. 1. 2. 아메리칸 리그 서부
팀 | 경기 | 승 | 패 | 승률 | 승차 | 홈 | 원정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161 | 101 | 60 | .627 | --- | 46 - 35 | 55 - 25 |
캔자스시티 로열스 | 161 | 85 | 76 | .565 | 16.0 | 44 - 37 | 41 - 39 |
시카고 화이트삭스 | 162 | 79 | 83 | .488 | 22.5 | 39 - 42 | 40 - 41 |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 162 | 76 | 86 | .469 | 25.5 | 35 - 46 | 41 - 40 |
미네소타 트윈스 | 160 | 74 | 86 | .463 | 26.5 | 37 - 42 | 37 - 44 |
밀워키 브루어스 | 161 | 69 | 92 | .429 | 32.0 | 34 - 48 | 35 - 44 |
이 해에 신임 감독으로 부임한 딕 윌리엄스의 지휘 아래, 침체기를 벗어난 애슬레틱스는 팀 역사상 처음으로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투수진에서는 전년도에 18승을 거두며 두각을 나타낸 캣피시 헌터가 21승을 기록했고, 21세의 신인 바이더 블루 역시 21승을 거두며 강력한 원투펀치를 형성했다. 타선에서는 레지 잭슨(타율 .277, 홈런 32개, 타점 80)과 살 반도(타점 94) 등이 활약하며 투타의 조화를 이루었다. 특히 바이더 블루는 뛰어난 성적(평균 자책점 1.08)을 바탕으로 리그 MVP와 사이 영 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2. 2. 내셔널 리그
내셔널 리그 동부 지구에서는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로베르토 클레멘테, 윌리 스타젤 등 강타선을 앞세워 2년 연속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는 조 토레가 최고의 시즌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2위에 만족해야 했다.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에서는 시즌 막판까지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맹추격을 뿌리치고 단 1경기 차로 극적인 지구 우승을 확정지었다. 윌리 메이즈, 윌리 맥코비 같은 베테랑들의 활약은 예전만 못했지만, 바비 본즈와 투수 게이로드 페리, 후안 마리샬 등이 팀 우승에 기여했다.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꺾고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개인 타이틀 부문에서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조 토레가 타율과 타점 1위를 석권하며 리그 MVP의 영예를 안았다.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윌리 스타젤은 홈런왕,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루 브록은 도루왕을 차지했다. 투수 부문에서는 시카고 컵스의 퍼거슨 젠킨스가 다승왕과 사이 영 상을 동시에 수상했고, 뉴욕 메츠의 톰 시버는 2년 연속 평균자책점과 탈삼진 부문 1위에 올랐다.
2. 2. 1. 내셔널 리그 동부
팀 | 경기 | 승 | 패 | 승률 | 승차 | 홈 | 원정 |
---|---|---|---|---|---|---|---|
피츠버그 파이리츠 | 162 | 97 | 65 | .599 | --- | 52 - 28 | 45 - 37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162 | 90 | 72 | .556 | 7.0 | 45 - 36 | 45 - 36 |
시카고 컵스 | 162 | 83 | 79 | .512 | 14.0 | 44 - 37 | 39 - 42 |
뉴욕 메츠 | 162 | 83 | 79 | .512 | 14.0 | 44 - 37 | 39 - 42 |
몬트리올 엑스포스 | 161 | 71 | 90 | .441 | 25.5 | 36 - 44 | 35 - 46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62 | 67 | 95 | .414 | 30.0 | 34 - 47 | 33 - 48 |
피츠버그 파이리츠는 로베르토 클레멘테(타율 .341, 홈런 13개, 타점 86), 알 올리버(타율 .282, 홈런 14개, 타점 64), 윌리 스타젤(타율 .295, 홈런 48개, 타점 125) 등 타선의 활약과 도그 엘리스(16승), 스티브 블래스(15승), 데이브 저스티(30세이브) 등 투수진의 활약을 바탕으로 내셔널 리그 동부 지구 2연패를 달성했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는 1969년 올랜도 세페다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영입한 조 토레(타율 .363, 홈런 27개, 타점 137)가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지구 2위를 차지했다.
한편, 시카고 컵스의 퍼거슨 젠킨스는 24승으로 다승왕에 올랐고, 뉴욕 메츠의 톰 시버는 평균자책점 1.76과 289탈삼진으로 2년 연속 최우수 평균자책점 및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획득했다. 시즌 종료 후 리그 MVP는 조 토레에게, 사이 영 상은 퍼거슨 젠킨스에게 돌아갔다.
2. 2. 2. 내셔널 리그 서부
'''NL 서부'''팀 | 경기 | 승 | 패 | 승률 | 승차 | 홈 | 원정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162 | 90 | 72 | .556 | --- | 51 - 30 | 39 - 42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162 | 89 | 73 | .549 | 1.0 | 42 - 39 | 47 - 34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162 | 82 | 80 | .506 | 8.0 | 43 - 39 | 39 - 41 |
신시내티 레즈 | 162 | 79 | 83 | .488 | 11.0 | 46 - 35 | 33 - 48 |
휴스턴 애스트로스 | 162 | 79 | 83 | .488 | 11.0 | 39 - 42 | 40 - 41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161 | 61 | 100 | .379 | 28.5 | 33 - 48 | 28 - 52 |
1971년 메이저 리그 4개 지구 중 유일하게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에서 치열한 우승 경쟁이 펼쳐졌다. 숙명의 라이벌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마지막까지 접전을 벌였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9월 1일, 8.5경기 차로 앞서 있었으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맹렬히 추격했다. 9월 중순 다저스는 자이언츠와의 5경기를 포함해 8연승을 거두며 승차를 단 1경기로 좁혔다. 하지만 더 이상의 추격은 허용되지 않았고, 시즌 마지막 날 두 팀 모두 승리하면서 자이언츠가 1경기 차이로 극적인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자이언츠는 팀 평균자책점(리그 6위)이나 팀 타율(리그 7위)이 압도적이지는 않았지만, 시즌 개막부터 선두를 달리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40세의 베테랑 윌리 메이즈의 기량이 다소 하락하고 윌리 맥코비 역시 하향세를 보였으나, 바비 본즈(타율 .288, 홈런 33개, 타점 102)가 타선을 이끌었고, 투수진에서는 게이로드 페리(16승)와 후안 마리샬(18승)이 마운드를 지켰다.
3. 포스트시즌
3. 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ALCS)에서는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 3연패를 달성한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창단 첫 서부 지구 우승을 차지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맞붙었다.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마이크 퀘이어(21승), 데이브 맥낼리(20승), 짐 파머(20승), 그리고 파드리스에서 이적해 온 팻 도브슨(20승)까지 무려 4명의 20승 투수를 배출하며 강력한 선발진을 구축했다. 타선에서는 브룩스 로빈슨, 프랭크 로빈슨, 부그 파웰 등이 여전히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팀의 3년 연속 100승 이상(101승) 및 지구 우승을 이끌었다. 이는 아메리칸 리그 역사상 1929년부터 1931년까지의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이후 두 번째 기록이었다.
이에 맞서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딕 윌리엄스 감독 부임 첫해, 캣피시 헌터(21승)와 신인 바이더 블루(21승)가 에이스 역할을 했고, 타선에서는 레지 잭슨(32홈런)과 살 반도(94타점) 등이 활약하며 투타 조화를 이루어 구단 역사상 첫 지구 우승이라는 성과를 냈다.
챔피언십 시리즈는 경험과 전력에서 우위를 보인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를 상대로 3연승을 거두며 스윕승을 달성했다. 이로써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아메리칸 리그 3연패에 성공하며 1971년 월드 시리즈 진출을 확정지었다.
경기 | 날짜 | 스코어 | 장소 |
---|---|---|---|
1 | 10월 3일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3 – 5 볼티모어 오리올스 | 메모리얼 스타디움 |
2 | 10월 4일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 – 5 볼티모어 오리올스 | 메모리얼 스타디움 |
3 | 10월 5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 5 – 3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오클랜드–알라메다 카운티 콜리시엄 |
3. 2.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3승 1패로 꺾고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경기 | 결과 | 시리즈 전적 |
---|---|---|
1차전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5, 피츠버그 파이리츠 4 | 샌프란시스코 1승 |
2차전 | 피츠버그 파이리츠 9,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4 | 1승 1패 동률 |
3차전 | 피츠버그 파이리츠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 | 피츠버그 2승 1패 |
4차전 | 피츠버그 파이리츠 9,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5 | 피츠버그 3승 1패 |
3. 3. 월드 시리즈
1971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내셔널 리그 챔피언인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대부분 오리올스의 우세를 예상했고, 실제로 1차전에서는 데이브 맥낼리, 2차전에서는 짐 파머가 승리 투수가 되며 오리올스가 먼저 2승을 가져갔다. 하지만 3차전에서 파이리츠의 스티브 브라스 투수가 3안타 1실점으로 호투하며 분위기를 바꿨고, 파이리츠는 내리 3연승을 거두며 시리즈를 뒤집었다. 6차전에서는 브룩스 로빈슨의 끝내기 안타로 오리올스가 승리하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으나, 마지막 7차전에서는 마이크 퀘이어와 스티브 브라스의 팽팽한 투수전 끝에 로베르토 클레멘테의 선제 홈런 등에 힘입어 파이리츠가 2-1로 승리하며 최종 우승팀이 되었다.
시리즈 내내 타율 .414, 홈런 2개, 타점 4를 기록하며 맹활약한 로베르토 클레멘테가 월드 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이 월드 시리즈는 클레멘테가 선수로서 뛴 마지막 포스트시즌 무대가 되었다.
4. 개인 타이틀
통계 | 아메리칸 리그 | 내셔널 리그 | ||
---|---|---|---|---|
타율 | 토니 올리바 (MIN) | .337 | 조 토레 (STL) | .363 |
HR | 빌 멜튼 (CWS) | 33 | 윌리 스타젤 (PIT) | 48 |
RBIs | 하먼 킬러브루 (MIN) | 119 | 조 토레 (STL) | 137 |
승리 | 미키 로리치 (DET) | 25 | 퍼거슨 젠킨스 (CHC) | 24 |
ERA | 비다 블루 (OAK) | 1.82 | 톰 시버 (NYM) | 1.76 |
SO | 미키 로리치 (DET) | 308 | 톰 시버 (NYM) | 289 |
SV | 켄 샌더스 (MIL) | 31 | 데이브 지우스티 (PIT) | 30 |
SB | 아모스 오티스 (KC) | 52 | 루 브록 (STL) | 64 |
4. 1. 아메리칸 리그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강력한 선발 투수진과 건재한 주축 타자들을 바탕으로 동부 지구 3연패를 달성했다. 특히 4명의 투수가 20승 이상을 기록하는 진기록을 세우며[1] 팀의 101승을 이끌었다. 이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두 번째 기록이었으며,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1931년 애슬레틱스 이후 40년 만의 3년 연속 100승 이상 기록이었다.서부 지구에서는 딕 윌리엄스 감독이 새로 부임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젊은 투수들과 타자들의 활약에 힘입어 창단 첫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경험 많은 오리올스가 애슬레틱스를 꺾고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그러나 시즌 후 오리올스는 주축 타자의 이적 등으로 변화를 맞이했고, 반면 애슬레틱스는 다음 시즌부터 리그를 제패하는 황금기를 열었다.
한편, 오리올스의 돈 뷰포드는 99득점으로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2년 후인 1973년에는 일본 프로야구 태평양 클럽 라이온스에 입단하기도 했다.
4. 1. 1. 타자
통계 | 아메리칸 리그 선수 | 기록 | 내셔널 리그 선수 | 기록 |
---|---|---|---|---|
타율 | 토니 올리바 (MIN) | .337 | 조 토레 (STL) | .363 |
홈런 | 빌 멜튼 (CWS) | 33 | 윌리 스타젤 (PIT) | 48 |
타점 | 하먼 킬러브루 (MIN) | 119 | 조 토레 (STL) | 137 |
도루 | 아모스 오티스 (KC) | 52 | 루 브록 (STL) | 64 |
=== 아메리칸 리그 ===
- 미네소타 트윈스의 토니 올리바는 타율 .337로 개인 통산 3번째 수위 타자 타이틀을 차지했다. 하지만 시즌 중 당한 오른쪽 무릎 부상으로 인해 최다 안타 기록은 달성하지 못했으며, 이 부상은 다음 해인 1972년 시즌까지 영향을 미쳐 단 10경기 출전에 그쳤다. 이 해의 타격왕이 그의 마지막 개인 타이틀이 되었다.
- 같은 팀의 하먼 킬러브루는 119타점으로 타점왕에 올랐으나, 그 역시 이 타이틀이 마지막이었다. 통산 500홈런을 넘긴 강타자였지만, 1969년 49개, 1970년 41개를 기록했던 홈런 수가 이 해에는 28개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빌 멜튼이 33홈런으로 홈런왕을 차지했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레지 잭슨은 32홈런으로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 창단 3년 차를 맞은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아모스 오티스는 52도루를 기록하며 생애 첫 도루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오티스는 이후 로열스의 중심 선수로 꾸준히 활약하며 팀의 1980년 리그 우승과 월드 시리즈 진출에 기여했다.
=== 내셔널 리그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조 토레는 타율 .363, 137타점을 기록하며 타율과 타점 부문에서 1위에 올라 2관왕을 달성했고, 시즌 MVP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윌리 스타젤은 48홈런을 기록하며 내셔널 리그 홈런왕에 올랐다.
- 카디널스의 루 브록은 64도루를 성공시키며 2년 만에 개인 통산 5번째 도루왕 타이틀을 되찾았다.
4. 1. 2. 투수
통계 | 아메리칸 리그 | 내셔널 리그 | ||
---|---|---|---|---|
다승 | 미키 로리치 (DET) | 25 | 퍼거슨 젠킨스 (CHC) | 24 |
평균자책점 | 비다 블루 (OAK) | 1.82 | 톰 시버 (NYM) | 1.76 |
탈삼진 | 미키 로리치 (DET) | 308 | 톰 시버 (NYM) | 289 |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미키 로리치가 25승과 308탈삼진으로 다승왕과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동시에 차지했다. 로리치는 1968년 월드 시리즈 MVP였지만, 정규 시즌 타이틀 획득은 이 해가 유일했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신인 비다 블루는 평균자책점 1.82로 이 부문 1위에 올랐으며, 리그 MVP와 사이 영 상까지 수상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블루 역시 이후 통산 209승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이틀 획득은 1971년이 마지막이었다.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마이크 퀘이어(21승), 데이브 맥낼리(20승), 짐 파머(20승), 그리고 파드리스에서 이적해 온 팻 도브슨(20승)까지 네 명의 투수가 20승 이상을 달성하는 "20승 투수 4인조"를 결성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서는 블루 외에도 캣피시 헌터가 21승을 기록하며 팀의 사상 첫 지구 우승에 기여했다.
내셔널 리그에서는 시카고 컵스의 퍼거슨 젠킨스가 24승으로 다승왕을 차지하며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 뉴욕 메츠의 톰 시버는 평균자책점 1.76과 289탈삼진으로 2년 연속 평균자책점과 최다 탈삼진 타이틀을 석권하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는 도그 엘리스(16승)와 스티브 브라스(15승)가 선발진에서 활약했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는 게이로드 페리(16승)와 후안 마리샬(18승)이 마운드를 지켰다.
4. 2. 내셔널 리그
동부 지구에서는 파이리츠가 로베르토 클레멘테, 윌리 스타젤 등 강타선을 앞세워 2년 연속 지구 우승을 차지했다. 카디널스는 조 토레의 뛰어난 활약에 힘입어 2위를 기록했다.서부 지구에서는 자이언츠가 윌리 메이즈, 윌리 맥코비 등 베테랑 선수들의 활약 감소에도 불구하고 바비 본즈, 게이로드 페리, 후안 마리샬 등의 활약으로 시즌 초반부터 선두를 유지하며 지구 우승을 달성했다.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파이리츠가 자이언츠를 꺾고 내셔널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시즌 개인상 부문에서는 조 토레가 리그 MVP로, 시카고 컵스의 퍼거슨 젠킨스가 사이 영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4. 2. 1. 타자
통계 | 아메리칸 리그 | 내셔널 리그 | ||
---|---|---|---|---|
타율 | 토니 올리바 (MIN) | .337 | 조 토레 (STL) | .363 |
HR | 빌 멜튼 (CWS) | 33 | 윌리 스타젤 (PIT) | 48 |
RBIs | 하먼 킬러브루 (MIN) | 119 | 조 토레 (STL) | 137 |
SB | 아모스 오티스 (KC) | 52 | 루 브록 (STL) | 64 |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미네소타 트윈스의 토니 올리바가 .337의 타율로 개인 통산 3번째 수위 타자 자리에 올랐으나, 시즌 중 입은 무릎 부상으로 인해 최다 안타 타이틀은 놓쳤다. 같은 팀의 하먼 킬러브루는 119타점으로 타점왕을 차지했지만, 두 선수 모두 이 해가 마지막 타이틀 수상이 되었다.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빌 멜튼은 33개의 홈런으로 홈런왕에 올랐고, 애슬레틱스의 레지 잭슨은 32개로 아쉽게 2위에 머물렀다.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아모스 오티스는 52개의 도루로 첫 도루왕 타이틀을 획득했다.
내셔널 리그에서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조 토레가 타율(.363)과 타점(137)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리그 MVP에 선정되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윌리 스타젤은 48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홈런왕에 올랐고, 팀의 지구 우승에 기여했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루 브록은 64개의 도루를 성공시키며 2년 만에 통산 5번째 도루왕 타이틀을 되찾았다. 이 외에도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로베르토 클레멘테는 .341의 높은 타율을 기록했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바비 본즈는 33홈런 102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지구 우승을 이끌었다.
4. 2. 2. 투수
통계 | 아메리칸 리그 선수 | 기록 | 내셔널 리그 선수 | 기록 |
---|---|---|---|---|
다승 | 미키 로리치 (DET) | 25 | 퍼거슨 젠킨스 (CHC) | 24 |
평균자책점 | 비다 블루 (OAK) | 1.82 | 톰 시버 (NYM) | 1.76 |
탈삼진 | 미키 로리치 (DET) | 308 | 톰 시버 (NYM) | 289 |
세이브 | 켄 샌더스 (MIL) | 31 | 데이브 지우스티 (PIT) | 30 |
아메리칸 리그에서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미키 로리치가 다승(25승)과 탈삼진(308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신인 비다 블루는 평균자책점 1.82로 리그 최소 평균자책점 기록과 함께 리그 MVP와 사이 영 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또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는 마이크 퀘이어(21승), 데이브 맥낼리(20승), 짐 파머(20승), 팻 도브슨(20승)까지 4명의 투수가 20승 이상을 달성하는 "20승 투수 4인조"를 결성하기도 했다.
내셔널 리그에서는 시카고 컵스의 퍼거슨 젠킨스가 24승으로 다승왕에 올랐으며,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 뉴욕 메츠의 톰 시버는 평균자책점(1.76)과 탈삼진(289개) 부문에서 2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리그 최고의 투수 중 한 명임을 증명했다.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데이브 지우스티는 30세이브를 기록하며 내셔널 리그 세이브 1위에 올랐다.
5. 수상
5. 1. 최우수 선수 (MVP)
- '''아메리칸 리그''': 비다 블루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내셔널 리그''': 조 토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5. 2. 사이 영 상
- 아메리칸 리그: 비다 블루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내셔널 리그: 퍼거슨 젠킨스 (시카고 컵스)
5. 3. 올해의 신인
- 아메리칸 리그: 크리스 챔블리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내셔널 리그: 얼 윌리엄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5. 4. 골드 글러브
각 포지션별 최고의 수비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아메리칸 리그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6. 주요 사건
4개 지구 중 3개 지구의 우승 경쟁은 비교적 싱거웠으나,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에서는 숙명의 라이벌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간의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9월 1일 기준으로 8.5경기 차로 앞서 나갔지만,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맹추격했다. 9월 중순, 다저스는 자이언츠와의 5경기를 포함해 8연승을 거두며 승차를 단 1경기로 좁혔다. 하지만 더 이상의 추격에는 실패했고, 시즌 마지막 날 두 팀 모두 승리하면서 결국 자이언츠가 1경기 차로 지구 우승을 확정지었다.
- 1월 31일 – 새로운 ''특별 베테랑 위원회''는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로 전직 선수 데이브 밴크로프트, 제이크 베클리, 칙 헤이피, 해리 후퍼, 조 켈리, 루브 마쿼드와 전직 임원 조지 웨이스를 선정했다.
- 2월 9일 – 전 니그로 리그 투수 새첼 페이지가 명예의 전당 후보로 지명되었다. 이후 6월 10일, 명예의 전당의 새로운 베테랑 위원회는 페이지를 공식 헌액자로 선정했다. 이는 니그로 리그 선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3월 7일 - 밀워키 브루어스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시범 경기에서 볼넷을 얻기 위해 공 3개만 던지는 규칙이 실험적으로 도입되었다. 애슬레틱스가 13–9로 승리한 이 경기에서는 총 19개의 볼넷이 나왔으나, 이 실험은 다시 시도되지 않았다.[78]
- 4월 6일 – 전 내셔널 리그 1루수 빌 화이트는 뉴욕 양키스의 시즌 개막전 중계를 맡으며, 메이저 리그 팀의 정규 방송진에 포함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해설자가 되었다. 이는 방송 분야에서의 인종 장벽을 허문 사례로 평가받는다.
- 4월 10일 –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몬트리올 엑스포스를 4–1로 꺾고 새로운 홈구장 베테랑스 스타디움에서의 첫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같은 날,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윌리 스타젤은 한 경기에서 3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개인 통산 200홈런을 달성했다.
- 4월 27일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행크 애런이 뉴욕 메츠를 상대로 통산 600호 홈런을 기록하며, 베이브 루스, 윌리 메이스에 이어 메이저 리그 역사상 세 번째로 600홈런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
- 5월 6일 – 커미셔너 보위 쿤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과 NBC 간의 7200만달러 규모 텔레비전 중계권 계약에 서명했다.
- 5월 17일 – 신시내티 레즈의 조니 벤치가 통산 100번째 홈런을 기록했다.
- 6월 3일 – 시카고 컵스의 투수 켄 홀츠먼이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며 개인 통산 두 번째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홀츠먼은 3회에 나온 상대 실책으로 인한 비자책점으로 유일한 득점을 올렸다.
- 6월 6일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윌리 메이스는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구원 투수 조 호어너를 상대로 연장전 홈런을 쳐내며, 개인 통산 22번째이자 마지막 연장전 홈런을 기록했다. 이는 메이저 리그 최다 기록이다.
- 6월 23일 –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투수 릭 와이즈는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4-0 노히트 노런을 달성하는 동시에, 타석에서는 2개의 홈런을 기록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노히트 경기에서 홈런을 친 투수는 얼 윌슨과 웨스 페렐에 이어 와이즈가 역대 세 번째였다. 이는 같은 달 리버프런트 스타디움에서 레즈를 상대로 나온 두 번째 노히트 경기였다.
- 7월 7일 – 보위 쿤 커미셔너는 이전에 니그로 리그 출신 선수들을 명예의 전당 내 별도 공간에 기리기로 했던 계획을 변경하여, 이들을 명예의 전당 정식 회원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새첼 페이지 등의 헌액과 맞물려 니그로 리그 선수들의 업적을 온전히 인정하는 중요한 조치였다.
- 7월 9일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를 상대로 연장 20회 접전 끝에 1-0으로 승리했다. 이는 아메리칸 리그 역사상 가장 긴 이닝의 완봉승 경기였다. 애슬레틱스의 선발 비다 블루는 11이닝 동안 17탈삼진을 기록했고, 에인절스의 빌리 코웬은 한 경기 6삼진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메이저 리그 기록을 세웠다. 양 팀 합계 43탈삼진 역시 새로운 메이저 리그 기록이었다.
- 7월 13일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홈구장 타이거 스타디움에서 열린 197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에서 아메리칸 리그가 내셔널 리그를 6-4로 꺾었다. 이 경기에서는 미래의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행크 애런, 조니 벤치, 로베르토 클레멘테, 레지 잭슨, 하몬 킬러브루, 프랭크 로빈슨이 모두 홈런을 기록했다. 특히 레지 잭슨은 약 약 158.50m짜리 초대형 홈런을 터뜨렸고, 프랭크 로빈슨이 MVP로 선정되었다. 이 승리는 1962년부터 1983년 사이 아메리칸 리그가 올스타전에서 거둔 유일한 승리였다.
- 8월 4일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투수 밥 깁슨이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7-2 승리를 거두며 개인 통산 200승을 달성했다.
- 8월 10일:
- 미네소타 트윈스의 하몬 킬러브루가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서 개인 통산 500호 홈런을 기록하며 역대 10번째 500홈런 클럽 가입자가 되었고, 같은 경기에서 501호 홈런까지 추가했다. 하지만 경기는 오리올스가 4-3으로 승리했다.
- 쿠퍼스타운에서 16명의 야구 연구가들이 모여 미국 야구 연구 협회(SABR)를 창립했으며, 로버트 데이비드가 초대 회장을 맡았다.
- 8월 14일 – 통산 200승 달성 열흘 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밥 깁슨은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상대로 11-0 완봉승과 함께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이는 쓰리 리버스 스타디움 개장 이후 첫 노히트 기록이었다. 깁슨은 10개의 탈삼진을 기록했으며, 그중 3개는 윌리 스타젤에게서 마지막 아웃을 포함하여 잡아냈다. 피츠버그에서 노히터가 나온 것은 64년 만의 일이었으며, 이전 구장인 포브스 필드에서는 62년 역사 동안 단 한 번도 노히트 경기가 기록되지 않았다.
- 8월 28일 – 필리스의 투수 릭 와이즈는 더블헤더 두 번째 경기에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만루 홈런을 포함하여 2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6월 노히터 경기에서의 활약을 재현했다. 와이즈의 활약으로 필리스는 7-3으로 승리했다.
- 9월 1일 – 피츠버그 파이리츠는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로 선발 라인업 전원을 흑인 및 라틴 아메리카 출신 선수로 구성하고 경기를 치렀다.[79] 파이리츠는 이 경기에서 10-7로 승리했다. 역사적인 라인업은 레니 스텐넷(2루수), 진 클라인스(중견수), 로베르토 클레멘테(우익수), 윌리 스타젤(좌익수), 매니 산기옌(포수), 데이브 캐시(3루수), 알 올리버(1루수), 재키 에르난데스(유격수), 독 엘리스(투수)였다.[80] 이 경기는 메이저 리그의 다양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 9월 5일 –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신인 투수 J. R. 리처드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한 메이저 리그 데뷔전에서 15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칼 스푸너가 1954년에 세운 데뷔전 최다 탈삼진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 9월 13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프랭크 로빈슨이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상대로 홈런을 기록하며, 역대 11번째로 500홈런 클럽에 가입했다.
- 9월 26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투수 짐 파머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상대로 5-0 완봉승을 거두며 시즌 20승을 달성했다. 이로써 오리올스는 데이브 맥낼리(21승), 마이크 쿠엘라(20승), 팻 도슨(20승)에 이어 파머까지 한 시즌에 4명의 20승 투수를 배출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는 1920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이후 메이저 리그 역사상 두 번째 기록이다.
- 9월 30일 – 워싱턴 D.C.를 연고지로 하던 워싱턴 세네터스는 RFK 스타디움에서 열린 마지막 홈 경기에서 뉴욕 양키스에게 7-5로 앞서고 있었으나, 9회 초 2아웃 상황에서 흥분한 관중들이 경기장에 난입하는 소동이 벌어져 결국 몰수패를 당했다. 세네터스는 이듬해 댈러스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텍사스 레인저스로 팀명을 변경했으며, 워싱턴 D.C.는 2005년 워싱턴 내셔널스가 창단되기 전까지 메이저 리그 팀을 보유하지 못하게 되었다.
- 10월 17일 – 1971년 월드 시리즈 7차전에서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2-1로 꺾고 1960년 이후 11년 만에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선발 투수 스티브 블래스는 4안타 1실점 완투승을 거두었고, 로베르토 클레멘테는 결승점이 된 솔로 홈런을 포함해 시리즈 내내 맹활약하며 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 이 월드 시리즈의 4차전은 역사상 처음으로 야간 경기로 치러졌다.
- 11월 2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팻 도슨은 일본에서 열린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미일 야구 친선 경기에서 노히트 노런을 기록하며 2-0 승리를 이끌었다. 이는 미일 야구 교류 역사상 최초의 노히터였다. 오리올스는 이 일본 투어에서 12승 2무 4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 12월 1일 – 시카고 컵스는 팀의 상징적인 선수였던 어니 뱅크스를 방출했으나, 즉시 코치로 재계약하며 예우를 갖췄다.
- 12월 10일 –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는 팀의 주전 유격수였던 짐 프레고시를 뉴욕 메츠로 트레이드하고, 그 대가로 4명의 선수를 받았다. 이 트레이드를 통해 에인절스로 이적한 선수 중에는 훗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강속구 투수 놀란 라이언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트레이드는 결과적으로 메츠에게는 큰 손실로, 에인절스에게는 엄청난 이득으로 평가받게 된다.
- 커트 플러드 소송: 1969년 시즌 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로의 트레이드를 거부하며 보류 조항에 반발해 소송을 제기했던 커트 플러드는 1970년 시즌을 통째로 쉬었다. 1971년 4월 7일, 항소심에서도 패소한 플러드는 연방 대법원에 상고했다. 그는 1970년 11월 필리스에서 워싱턴 세네터스로 다시 트레이드되어 1971년 시즌에 복귀했으나, 13경기 출전에 그친 뒤 결국 은퇴를 선언했다. 플러드의 소송은 비록 법정에서는 패소했지만, 선수들의 권익 문제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시켰고, 훗날 FA 제도 도입에 영향을 미쳤다.
위원회 | 구분 | 이름 |
---|---|---|
특별 베테랑 위원회 | 선수 | 데이브 밴크로프트 |
제이크 베클리 | ||
칙 헤이피 | ||
해리 후퍼 | ||
조 켈리 | ||
루브 마쿼드 | ||
발전 기여자 | 조지 웨이스 | |
니그로 리그 위원회 | 선수 | 새첼 페이지 |
참조
[1]
웹사이트
Merle Anthony
http://www.retroshee[...]
2024-07-03
[2]
웹사이트
Nick Avants
http://www.retroshee[...]
2024-07-03
[3]
웹사이트
Larry Barnett
http://www.retroshee[...]
2024-07-03
[4]
웹사이트
Nestor Chylak
http://www.retroshee[...]
2024-07-03
[5]
웹사이트
Bill Deegan
http://www.retroshee[...]
2024-07-03
[6]
웹사이트
Don Denkinger
http://www.retroshee[...]
2024-07-03
[7]
웹사이트
Lou DiMuro
http://www.retroshee[...]
2024-07-03
[8]
웹사이트
Jim Evans
http://www.retroshee[...]
2024-07-03
[9]
웹사이트
Red Flaherty
http://www.retroshee[...]
2024-07-03
[10]
웹사이트
Art Frantz
http://www.retroshee[...]
2024-07-03
[11]
웹사이트
Russ Goetz
http://www.retroshee[...]
2024-07-03
[12]
웹사이트
-Bill Haller
http://www.retroshee[...]
2024-07-03
[13]
웹사이트
Jim Honochick
http://www.retroshee[...]
2024-07-03
[14]
웹사이트
Bill Kunkel
http://www.retroshee[...]
2024-07-03
[15]
웹사이트
Ron Luciano
http://www.retroshee[...]
2024-07-03
[16]
웹사이트
George Maloney
http://www.retroshee[...]
2024-07-03
[17]
웹사이트
Larry McCoy
http://www.retroshee[...]
2024-07-03
[18]
웹사이트
Larry Napp
http://www.retroshee[...]
2024-07-03
[19]
웹사이트
Jerry Neudecker
http://www.retroshee[...]
2024-07-03
[20]
웹사이트
Jim Odom
http://www.retroshee[...]
2024-07-03
[21]
웹사이트
Jake O'Donnell
http://www.retroshee[...]
2024-07-03
[22]
웹사이트
Dave Phillips
http://www.retroshee[...]
2024-07-03
[23]
웹사이트
John Rice
http://www.retroshee[...]
2024-07-03
[24]
웹사이트
Hank Soar
http://www.retroshee[...]
2024-07-03
[25]
웹사이트
Marty Springstead
http://www.retroshee[...]
2024-07-03
[26]
웹사이트
Johnny Stevens
http://www.retroshee[...]
2024-07-03
[27]
웹사이트
Frank Umont
http://www.retroshee[...]
2024-07-03
[28]
웹사이트
Al Barlick
http://www.retroshee[...]
2024-07-03
[29]
웹사이트
Ken Burkhart
http://www.retroshee[...]
2024-07-03
[30]
웹사이트
Nick Colosi
http://www.retroshee[...]
2024-07-03
[31]
웹사이트
Shag Crawford
http://www.retroshee[...]
2024-07-03
[32]
웹사이트
Jerry Dale
http://www.retroshee[...]
2024-07-03
[33]
웹사이트
Satch Davidson
http://www.retroshee[...]
2024-07-03
[34]
웹사이트
Augie Donatelli
http://www.retroshee[...]
2024-07-03
[35]
웹사이트
Bob Engel
http://www.retroshee[...]
2024-07-03
[36]
웹사이트
Bruce Froemming
http://www.retroshee[...]
2024-07-03
[37]
웹사이트
Tom Gorman
http://www.retroshee[...]
2024-07-03
[38]
웹사이트
Doug Harvey
http://www.retroshee[...]
2024-07-03
[39]
웹사이트
John Kibler
http://www.retroshee[...]
2024-07-03
[40]
웹사이트
Stan Landes
http://www.retroshee[...]
2024-07-03
[41]
웹사이트
John McSherry
http://www.retroshee[...]
2024-07-03
[42]
웹사이트
Andy Olsen
http://www.retroshee[...]
2024-07-03
[43]
웹사이트
Chris Pelekoudas
http://www.retroshee[...]
2024-07-03
[44]
웹사이트
Paul Pryor
https://www.retroshe[...]
2024-07-03
[45]
웹사이트
Mel Steiner
http://www.retroshee[...]
2024-07-03
[46]
웹사이트
Dick Stello
http://www.retroshee[...]
2024-07-03
[47]
웹사이트
Ed Sudol
http://www.retroshee[...]
2024-07-03
[48]
웹사이트
Ed Vargo
http://www.retroshee[...]
2024-07-03
[49]
웹사이트
Tony Venzon
http://www.retroshee[...]
2024-07-03
[50]
웹사이트
Harry Wendelstedt
http://www.retroshee[...]
2024-07-03
[51]
웹사이트
Lee Weyer
http://www.retroshee[...]
2024-07-03
[52]
웹사이트
Bill Williams
http://www.retroshee[...]
2024-07-03
[53]
웹사이트
New York Met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54]
웹사이트
Los Angeles Dodger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55]
웹사이트
Boston Red Sox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56]
웹사이트
Chicago Cub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57]
웹사이트
St. Louis Cardinal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58]
웹사이트
Detroit Tiger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59]
웹사이트
Oakland Athletic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0]
웹사이트
Pittsburgh Pirate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1]
웹사이트
Cincinnati Red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2]
웹사이트
Washington National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3]
웹사이트
Cleveland Indian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4]
웹사이트
San Francisco Giant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5]
웹사이트
New York Yankee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6]
웹사이트
Baltimore Oriole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7]
웹사이트
Atlanta Brave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8]
웹사이트
Minnesota Twin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69]
웹사이트
Los Angeles Angel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0]
웹사이트
Oakland Athletic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1]
웹사이트
Kansas City Royal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2]
웹사이트
Chicago White Sox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3]
웹사이트
Milwaukee Brewer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4]
웹사이트
Texas Ranger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5]
웹사이트
Cleveland Indian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6]
웹사이트
San Diego Padres Attendance, Stadiums and Park Factors
https://www.baseball[...]
Baseball-Reference.com
2020-09-08
[77]
뉴스
Baseball Plog
http://www.timesonli[...]
The Beaver County Times
2006-08-14
[78]
웹사이트
Ball Three, Take Yer Base – Courtesy of Charlie Finley and Joe Cronin
http://www.baseballr[...]
2019-03-07
[79]
뉴스
Baseball Plog
http://www.timesonli[...]
The Beaver County Times
2006-08-14
[80]
뉴스
Honoring First All-Minority Lineup
2006-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