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197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진행되었다. 4라운드로 구성되었으며, 각 라운드에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녹아웃 경기를 통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을 결정했다. 최종 라운드에서는 자이르가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97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32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어 각 조 1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9조 1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진출 여부를 결정했으며, 이탈리아, 동독, 폴란드 등 8개국이 본선에 진출하고 소련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1974년 FIFA 월드컵 예선 -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974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은 15개 팀이 참가하여 A조는 대한민국에서, B조는 조별 리그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197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97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총 5라운드의 홈 앤 어웨이 토너먼트를 통해 튀니지가 최종 라운드에서 우승하여 197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197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197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개최 연도1974년
이전 대회1970년
다음 대회1978년
통계
참가 팀 수25개 팀
경기 수미확인
총 득점미확인
최다 득점자윌리엄 오우마
켐보 우바 켐보 (6골)

2. 경기 방식

총 4라운드로 진행된다.


  • '''1라운드''', '''2라운드''' 및 '''3라운드''': 각 라운드에서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녹아웃 경기를 치른다. 승자는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며, 3팀이 남을 때까지 진행된다.
  • '''결선 라운드''': 3팀은 서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조 1위가 197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3. 1라운드

197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1라운드는 1972년에 진행되었다. 총 24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경기에서 승리한 팀들과 부전승으로 올라간 팀들은 2라운드에 진출했다.

3. 1. 경기 결과

(플레이오프 0-3)레소토1-6잠비아0-01-6나이지리아3-2{{lang2-11-1{{lang1-10가나0-51-5토고0-4자이르0-00-4모리셔스부전승마다가스카르없음없음카메룬부전승가봉없음없음


각 경기의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1결과팀 2장소날짜
모로코0-0세네갈라바트1972년 11월 19일
세네갈1-2모로코다카르1972년 12월 3일
모로코가 합계 2-1로 2라운드 진출.
알제리1-0기니알제1972년 3월 2일
기니5-1알제리코나크리1972년 3월 12일
기니가 합계 5-2로 2라운드 진출.
{{lang2-1튀니지카이로1972년 12월 8일
튀니지2-0{{lang튀니스1972년 12월 17일
튀니지가 합계 3-2로 2라운드 진출.
시에라리온0-1코트디부아르프리타운1972년 10월 15일
코트디부아르2-0시에라리온아비장1972년 10월 29일
코트디부아르가 합계 3-0으로 2라운드 진출.
케냐2-0수단나이로비1972년 7월 16일
수단1-0케냐하르툼1972년 7월 23일
케냐가 합계 2-1로 2라운드 진출.
탄자니아1-1에티오피아다르에스살람1972년 11월 25일
에티오피아0-0탄자니아아디스아바바1972년 12월 3일
에티오피아3-0탄자니아아디스아바바1972년 12월 10일
에티오피아가 합계 4-1로 2라운드 진출.
레소토0-0잠비아마세루1972년 4월 30일
잠비아6-1레소토은돌라1972년 6월 4일
잠비아가 합계 6-1로 2라운드 진출.
나이지리아2-1{{lang이바단1972년 8월 5일
{{lang1-1나이지리아브라자빌1972년 8월 15일
나이지리아가 합계 3-2로 2라운드 진출.
{{lang0-5가나코토누1972년 6월 18일
가나5-1{{lang쿠마시1972년 7월 2일
가나가 합계 10-1로 2라운드 진출.
토고0-0자이르로메1972년 6월 6일
자이르4-0토고킨샤사1972년 6월 20일
자이르가 합계 4-0으로 2라운드 진출.


3. 2. 플레이오프 (탄자니아 vs 에티오피아)

1972년 11월 25일,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의 탄자니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탄자니아와 에티오피아의 1차전은 1-1 무승부였다. 탄자니아의 마쇼토가 후반 13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에티오피아의 게브레메딘이 전반 30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1972년 12월 3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하이레 셀라시에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 역시 0-0 무승부였다.

두 경기 합계 1-1로 동률을 이루어, 1972년 12월 10일 아디스아바바에서 플레이오프 경기가 열렸다. 에티오피아가 잉다워크의 두 골(전반 5분, 12분)과 테스파예의 골(전반 44분)로 3-0 승리했다.

에티오피아가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

4. 2라운드

2라운드에서는 총 6경기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경기 1, 2차전 합계 점수를 통해 승리 팀을 결정했다.

4. 1. 경기 결과

2라운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Guinée|기니프랑스어1-3المغرب|모로코ar1-10-2
Tunisie|튀니지프랑스어2-3''Côte dIvoire|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1-11-2
Mauritius|모리셔스영어3-5Kenya|케냐sw1-32-2
ኢትዮጵያ|에티오피아am2-4Zambia|잠비아영어0-02-4
Nigeria|나이지리아영어0-2Ghana|가나영어0-2[4]0-0
Cameroun|카메룬프랑스어1-1Zaïre|자이르프랑스어0-11-0


  • 모로코, 코트디부아르, 케냐, 잠비아가 각각 2라운드에서 승리하여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가나는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몰수승을 거두며 3라운드에 진출했다.[2] 카메룬과 자이르는 합계 1-1로 동률을 이루어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자이르가 2-0으로 승리하여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3라운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Côte d'Ivoire|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2-5المغرب|모로코ar1-11-4
Zambia|잠비아영어4-2Kenya|케냐sw2-02-2
Ghana|가나영어2-4Zaïre|자이르프랑스어1-01-4


  • 모로코, 잠비아, 자이르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4. 2. 플레이오프 (카메룬 vs 자이르)

1973년 2월 4일 카메룬 두알라에서 열린 경기에서 자이르가 엔툼바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1973년 2월 25일 자이르 킨샤사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카메룬이 은동고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두 경기의 총 득점이 1-1 동률이 되어, 1973년 2월 27일 킨샤사에서 플레이오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자이르가 에테페와 친나부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3라운드에 진출하였다.

5. 3라운드

3라운드에서는 2라운드를 통과한 6개 팀이 맞대결을 펼쳐 최종 라운드 진출팀을 가렸다.

5. 1. 경기 결과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코트디부아르2-5모로코1-14-1
가나2-4자이르1-01-4
잠비아4-2케냐2-02-2


모로코가 합계 5-2로 승리하여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자이르가 합계 4-2로 승리하여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잠비아가 합계 4-2로 승리하여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6. 최종 라운드

1974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최종 라운드는 197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는 마지막 단계였다. 최종 라운드에서는 자이르, 잠비아, 모로코 3개국이 경기를 치렀다. 경기 결과 자이르가 4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했다.[5]

자이르는 잠비아와의 두 경기에서 각각 2-0(1973년 11월 4일, 원정), 2-1(1973년 11월 18일, 홈)로 승리했다. 모로코와의 홈 경기(1973년 12월 9일)에서는 3-0 완승을 거두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5]

한편, 모로코는 1973년 12월 9일 자이르 원정 경기에서 심판 판정에 불만을 품고 FIFA에 이의를 제기했으나 기각되었다. 이에 모로코는 1973년 12월 23일로 예정된 자이르와의 홈 경기를 보이콧했고, FIFA는 이 경기를 모로코의 0-2 몰수패로 처리했다.[5]

6. 1. 경기 결과

순위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1자이르440091+88
2잠비아410356-12
3모로코410329-72


  • ---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코트디부아르2–5모로코1–11–4
잠비아4–2케냐2–02–2
가나2–4자이르1–01–4


  • ---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1자이르8440091+8
2잠비아2410356-1
3모로코2410329-7


  • ---

최종 라운드 결과 '''자이르'''가 합계 4승으로 197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6. 2. 논란: 모로코 대 자이르 (1973년 12월 23일)

1973년 12월 9일 킨샤사에서 열린 자이르모로코의 경기에서 자이르가 3 – 0으로 승리하였다.[5] 모로코는 이 경기 결과에 대해 국제 축구 연맹(FIFA)에 이의를 제기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모로코는 1973년 12월 23일 테투안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자이르와의 경기를 기권하였고, FIFA는 해당 경기를 모로코의 0 – 2 몰수패로 처리하였다.[5]

7. 최종 결과

진출 자격진출 날짜FIFA 월드컵 출전 횟수
자이르결선 라운드 우승팀1973년 12월 9일0 (첫 출전)



8. 득점 선수

득점선수 (ISO 639-2 언어코드|원문표기|한국어 발음표기영어)
6골William Ouma|윌리엄 오우마영어, Kembo Uba Kembo|켐보 우바 켐보프랑스어
5골Kwasi Owusu|콰시 오우수영어, Ahmed Faras|아흐메드 파라스ar
4골Kakoko Etepé|카코코 에테페프랑스어, Jean-Kalala N'Tumba|장-칼라라 은툼바프랑스어
3골Tariku Inda-Work|타리쿠 잉다워크영어, Mustapha Choukri|무스타파 쇼크리ar, Freddie Mwila|프레디 므윌라영어, Moses Simwala|모세스 심왈라영어, Brighton Sinyangwe|브라이턴 시냥궤영어
2골Noël Kouamé|노엘 쿠아메프랑스어, Bernard N'Gasse|베르나르 은게산프랑스어, Mama Ouattara|마마 우아타라프랑스어, Abukari Gariba|아브와카리 가리바영어, Osei Kofi|오세이 코피영어, Ibrahim Sunday|이브라힘 선데이영어, Chérif Souleymane|셰리프 술레이만프랑스어, Daniel Jean Robert Imbert|다니엘 장 로베르 임베르프랑스어, Yakubu Mambo|야쿠부 맘보영어, Kenneth Olayombo|케네스 올라욤보영어, Ezzedine Chakroun|에제딘 샤크룬ar, Moheiddine Habita|모이에딘 하비타ar, Bernard Chanda|베르나르 찬다영어, Godfrey Chitalu|고드프리 치탈루영어, Joseph Mapulanga|조셉 마풀랑가영어
1골Rabah Gamouh|라바 가모ar, Mokhtar Khalem|모크타르 칼렘ar, Paul-Gaston NDongo|폴-가스통 은동고프랑스어, Jean-Michel MBono|장-미셸 음보노프랑스어, Noël Minga|노엘 밍가프랑스어, Kouman Kobinan|쿠만 코비남프랑스어, Laurent Pokou|로랑 포쿠프랑스어, Damien Camille|다미엔 카밀루프랑스어, Sayed Abdelrazek|세예드 압델라자크ar, Ali Khalil|알리 칼릴ar, Tekeste Gebremedhin|테케스테 게브레메딘영어, Kassahun Teka|카사훈 테카영어, Sheyum Tesfaye|세욤 테스파예영어, Acquah Armah|아쿠에테 아르마영어, Joseph Ghartey|조셉 가르테이영어, Clifford Odame|클리포드 오다메영어, Joseph Sam|조셉 샘영어, Maxime Camara|막심 카마라프랑스어, Smith Samuel|스미스 사무엘영어, Petit Sory|프티 소리프랑스어, Soriba Soumah|소리바 수마프랑스어, Daniel Anyanzwa|다니엘 아냔즈와영어, Peter Ouma|피터 오우마영어, John Chore|존 쇼어영어, Ramoselli Tiech|라모셀리 티에치영어, Anwar Zacharia|안와르 자카리아영어, Hassan Amcharrat|하산 암차라트ar, Chérif Fetoui|셰리프 페투이프랑스어, Maouhoub Ghazouani|마우홉 가즈아니ar, Mohamed Maghfour|모하메드 마그푸르ar, Sunday Oyarekhua|선데이 오야레콰영어, Louis Gomis Diouf|루이 고미스 디오프프랑스어, Adam Mohamed Izz El-Din|이즈엘딘 오스만ar, Nassoro Mashoto|나소로 마쇼토영어, Abdesselam Adhouma|압데셀람 아두마ar, Mbungu Ekofa|음붕구 에코파프랑스어, Mavuba Mafuila|마부바 마푸일라프랑스어, Mayanga Maku|마양가 마쿠프랑스어, Kamunda Tshinabu|카문다 친아부프랑스어, Obby Kapita|오비 카피타영어, Simon Kaushi|시몬 카우시영어, Burton Mugala|버튼 무갈라영어, Boniface Simutowe|보니페이스 시무토우영어


참조

[1] 경기기록
[2] 경기기록 FIFA
[3] 경기기록 FIFA
[4] 경기기록 FIFA
[5] 경기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