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6년 미국의 리비아 공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6년 미국의 리비아 공습은 1986년 4월 15일 미국이 리비아의 군사 시설을 공격한 사건이다. 이 공습은 서베를린 나이트클럽 폭탄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리비아가 테러를 지원한다는 미국의 주장에 따른 것이었다. 미국은 리비아의 트리폴리와 벵가지의 군사 목표물을 공격했고, 영국이 이를 지원했다. 이 작전은 엘도라도 캐니언 작전으로 명명되었으며, 카다피 암살 시도라는 비판과 국제법 위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공습 이후, 미국과 리비아의 관계는 악화되었으며, 국제 사회는 미국의 행동에 대해 찬반으로 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리비아 - 토요타 전쟁
    토요타 전쟁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차드에서 벌어진 내전으로, 도요타 픽업트럭을 개조한 테크니컬을 사용한 점에서 유래되었으며, 리비아의 지원을 받는 GUNT와 서방의 지원을 받는 하브레 정부 간의 갈등과 차드군의 리비아군 축출, 그리고 아프리카 분쟁에서 비정규군의 역할과 무기 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전쟁이다.
  • 토벌 - 남한 대토벌 작전
    남한 대토벌 작전은 1909년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 항일 의병 투쟁을 진압하기 위해 전라남도 지역에서 실시한 3단계 초토화 작전이다.
  • 토벌 - 원술 토벌전
    원술 토벌전은 190년대 후반 원술이 황제를 칭하며 자립하려 하자 조조, 손책 등 군벌들이 연합하여 원술을 공격한 전투로, 손책의 강동 정복을 배경으로 원술의 제위 찬탈 시도가 발단이 되어 여포의 배신과 패배, 원술의 종말을 가져왔으며 후한 말 군벌들의 복잡한 관계와 세력 다툼을 보여준다.
  • 1986년 분쟁 - 토요타 전쟁
    토요타 전쟁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차드에서 벌어진 내전으로, 도요타 픽업트럭을 개조한 테크니컬을 사용한 점에서 유래되었으며, 리비아의 지원을 받는 GUNT와 서방의 지원을 받는 하브레 정부 간의 갈등과 차드군의 리비아군 축출, 그리고 아프리카 분쟁에서 비정규군의 역할과 무기 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전쟁이다.
  • 1986년 분쟁 - 난민촌 전쟁
    난민촌 전쟁은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레바논에서 아말 운동과 팔레스타인 난민촌 민병대 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로,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내고 난민촌 파괴와 시아파 세력 분열을 심화시켰다.
1986년 미국의 리비아 공습 - [전쟁]에 관한 문서
작전 개요
분쟁 명칭1986년 미국의 리비아 공습 (엘도라도 캐니언 작전)
냉전의 일부
1986년 4월 리비아 공습에 참가하기 위해 RAF 레이큰히스에서 이륙하는 미국 48 전술 전투 비행단 F-111F 항공기.
1986년 4월 리비아 공습에 참가하기 위해 RAF 레이큰히스에서 이륙하는 미국 48 전술 전투 비행단 F-111F 항공기.
날짜1986년 4월 15일
장소리비아
결과지상 목표물 파괴
무아마르 카다피 암살 시도 실패
리비아의 스커드 미사일 대응 실패
영토 변경리비아가 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에서 대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로 국명 변경
교전 세력
교전국 1미국
지원 세력영국
교전국 2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지휘관
미국로널드 레이건
캐스퍼 와인버거
리비아무아마르 카다피
전력
미국미국 공군
F-111 전투기 24기
EF-111 레이더기 5기
공중 연료 보급기 28기
SR-71 고공 정찰기 1기
미국 해군
항공모함 코럴해
항공모함 아메리카
A-6 공격기
A-7 공격기
F-18 전투기
리비아리비아군 전체
미라주, MiG-21, MiG-23 등 전투기 535기
다수의 전차
미국제 무기 및 군사 장비
중무장 부대 다수
고성능 방범 장비
다수의 요격 미사일
사상자
미국F-111 1대 격추
항공기 승무원 2명 사망
리비아 주장: 항공기 3대 격추
리비아군인 및 관리 45명 사망
민간인 15~30명 사망
IL-76 수송기 3~5대 파괴
MiG-23 전투기 14대 파괴
헬리콥터 2대 파괴
대형 지상 레이더 5기 파괴
프랑스 대사관 1곳 피격
사건 원인
직접적인 원인1986년 서베를린 디스코텍 폭탄 테러 사건에 대한 보복

2. 배경

1970년대부터 미국리비아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갈등 관계에 있었다. 1973년 리비아의 최고 지도자 무아마르 알 카다피반미, 반이스라엘 노선을 추구하며,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등 무장 단체를 지원했다. 또한, 리비아는 시드라 만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미국과 마찰을 빚었다.[9][10] 카다피는 북위 32도 30분에 위치한 시드라 만의 해안선을 "죽음의 선"으로 명명하고, 이 해역에 대한 리비아의 절대적인 주권을 주장했다. 이 해안선은 서쪽의 미스라타에서 동쪽의 벵가지까지 62해리에 달했다.

미국은 시드라 만 연안에서 12해리까지만 리비아의 영해로 인정했으나, 리비아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81년 8월, 지중해의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미국 해군 F-14 톰캣 전폭기 2대가 "죽음의 선"을 넘어 시드라 만에 진입했고, 이에 리비아의 수호이(SU-22) 전폭기가 비상 발진하여 공중전이 벌어져 리비아 전투기 2대가 격추되었다. (1981년 시드라만 사건)

미국은 1981년 12월에 미국 국민의 리비아 여행 제한 조치를 내렸고, 1982년 3월에는 리비아산 원유 수입 금지 조치를, 1983년 2월에는 리비아와 국경을 접한 이집트에 조기경보통제기를 배치하고 시드라 만 해역에 항공모함 니미츠 호를 배치하는 등 리비아에 대한 경제 제재와 군사적 압력을 강화했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리비아를 "국제 테러 조직의 본거지"로 비난하며 서방권 언론을 동원해 국제 여론을 조장했다. 미국은 서방 국가들에 공동 대응을 요구했지만, 영국마거릿 대처 정부만이 이에 동조하고 나머지 국가들은 미국의 요구를 거절했다.

1984년 4월, 영국 주재 리비아 대사관에서 반(反)리비아 시위대에 공포탄을 발사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영국은 리비아와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유럽 공동체 회원국들도 리비아에 대한 제재 조치를 취했다.

1986년 3월, 리비아는 자국이 영해라고 주장하는 시드라 만에서 훈련 중이던 미국 전투기들에 대해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 그러나 이는 미국이 의도한 바로, 미국은 리비아 측의 도발을 유도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서 기동 훈련을 실시했던 것이다. 결국 미국은 시드라 만 일대의 리비아 해군 함정과 미사일 기지를 공격했고, 카다피는 미국과 미국을 지원하는 국가들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며 보복 테러를 선언했다.

2. 1. 1980년대 미국-리비아 관계 악화

1981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은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이끄는 리비아를 테러 지원국으로 규정하고 제재를 강화했다. 미국은 리비아가 아부 니달 등의 테러 집단을 지원하고 있으며, 시드라만에서 200해리의 영해 주장은 국제법에 위배된다고 비난했다.[9][10]

1981년 8월, 시드라 만 상공에서 미국 해군 F-14 톰캣 전폭기와 리비아 공군 수호이(SU-22) 전폭기 간의 공중전 (1981년 시드라만 사건)이 발생하여 리비아 전투기 2대가 격추되었다. 리비아는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선언했다.

1981년 12월, 미국은 미국 국민의 리비아 여행을 금지했다. 1982년 3월, 미국은 리비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했다. 1983년 2월, 미국은 리비아와 국경을 접한 이집트에 조기경보통제기를 배치하고, 시드라 만 해역에 항공모함 니미츠 호를 배치하는 등 군사적 압력을 강화했다.

1985년 10월 이탈리아 여객선 아킬레 라우로 호 납치 사건과 12월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로마 공항 테러 사건이 발생하자, 미국 정부는 리비아가 배후 세력이라고 주장하면서 군사적 보복 조치를 공언하기 시작했다.

1986년 1월,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리비아와의 모든 경제 관계를 단절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리비아에 거주하던 미국인들에 대한 전원 철수 명령을 내렸다.

2. 2. 테러 사건 발생과 미국의 대응

1985년 10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소속 무장 조직이 이탈리아의 여객선 아킬레 라우로 호를 납치했고, 1985년 12월에는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로마에서 공항 테러가 발생했다. 미국 정부는 리비아가 이 사건들의 배후 세력이라고 주장하면서 군사적 보복 조치를 공언했다.[16]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1986년 1월에 리비아와의 모든 경제 관계를 단절하고 리비아에 거주하던 미국인들에게 전원 철수 명령을 내렸다. 또한 지중해에 주둔하던 미국군 전력을 증강시켰다.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엘도라도 캐니언 작전(Operation El Dorado Canyon)에 대한 브리핑을 받고 있다.

2. 3. 서베를린 디스코텍 폭탄 테러 (1986년)

1986년 4월 5일, 서독 서베를린의 한 디스코텍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미군 2명을 포함한 3명이 사망하고 229명이 부상당했다.[23] 미국은 이 사건에 리비아가 개입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주장하며, 리비아에 대한 군사적 보복을 결정했다.[22]

3. 미국의 리비아 공습 (엘도라도 캐니언 작전)

1986년 4월 15일, 미국은 리비아의 수도 트리폴리벵가지 등 주요 도시를 공습했다. 이 작전은 엘도라도 캐니언 작전(Operation El Dorado Canyon)으로 명명되었다.

미국은 이 공습이 "리비아가 서베를린 디스코텍 폭발 사건의 배후이며, 외국에 있는 미국인 및 시설물에 대해 추가 테러 공격을 계획하고 있다는 정보에 따른 사전 예방적 조치"라고 발표했다.[22] 그러나 미국의 입장을 지지한 국가는 미국 국내 여론, 영국, 캐나다, 이스라엘, 차드 등 극소수에 불과했고, 소련, 아랍 세계 국가들은 물론 서방권 국가들까지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와 국제 여론은 미국을 규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테러 계획에 대한 사전 예방 조치'라는 미국의 주장과는 달리, 리비아의 국가 원수였던 무아마르 알 카다피에 대한 살해 기도가 명백했던 기습이었다. '세계의 경찰, 세계의 재판관'을 자처하는 미국이 명백한 증거나 확실한 증거 없이 리비아를 '테러 집단'으로 단정하면서 자행한 강대국의 힘의 과시에 지나지 않는 명백한 범죄 행위였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4월 14일 공격 명령을 내렸다. 공격에는 영국의 레이컨히스 공군기지에 배치된 F-111, EF-111과 지중해에 전개된 미국 해군 제6함대 소속 항공모함 (미국, 코럴 씨, 사라토가)에 탑재된 함재기(A-6, A-7, F/A-18, EA-6B)가 참가했다. 영국에서 투입된 부대는 프랑스스페인으로부터 영공 통과를 거부당했기 때문에, 공중급유를 하면서 대서양·지브롤터 해협을 경유하는 우회로를 택해야 했다. 이 때문에 비행 경로는 2,000km 이상 늘어났다.

공격은 15분간 진행되었으며, 레이저 유도 폭탄을 포함한 300발의 폭탄과 48발의 미사일이 발사되었다. 이 공격으로 미국 공군 페르난도 L. 리바스-도미니치 대위와 폴 F. 로렌스 대위가 탑승한 F-111 전투폭격기(호출부호 Karma-52)가 시르테 만 상공에서 격추되었다.[41][42]

리비아는 민간인 15명과 카다피의 15개월 된 양녀 한나가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카다피 정권이 붕괴되면서 양녀 한나가 생존해 의사가 된 사실이 밝혀졌다.

3. 1. 공격 목표

미국은 리비아의 수도 트리폴리벵가지에 있는 여러 목표물을 공격했다.

도시목표물공격 기종투하 폭탄결과
트리폴리카다피 거주지 (바브 알 아지지야 막사)9대 F-111GBU-10 페이브웨이 II 3대 명중[22]F-111 1대, 폭탄 빗나가 트리폴리 외교 및 민간 시설 타격, 프랑스 대사관 간신히 비껴감[22]
무라트 시디 빌랄 해군 기지F-111 3대GBU-10 모두 명중[22]
트리폴리 공항F-111 6대 (1대 지형추종 레이더 고장으로 중단)BSU-49 고항력 폭탄일류신 Il-76 수송기 2대 파괴[22]
벵가지자마히리야 수비대 막사아메리카호 A-6E TRAM 인트루더 6대MK 82 폭탄MiG 조립 창고 피해, MiG 운송 상자 4개 파괴[22]
베니나 공군 기지코럴 시호 A-6 5대(CBU-59 APAM 집속탄 장착)와 A-6 1대(Mk 82 폭탄 장착)CBU-59 APAM, Mk 82MiG 3~4대, 밀 Mi-8 헬리콥터 2대, 포커 F27 프렌드십 수송기 1대, 소형 직선익 항공기 1대 파괴[22], 보잉 727 파괴[29]



공격은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과 A-6 인트루더가 수행했다. 특히 F-111은 원거리 기지에서 출격해야 했지만, 임무 성공에 필수적이었다. 왜냐하면 항공모함 과 에 배치된 18대의 A-6으로는 선정된 5개 목표물에 동시에 원하는 수준의 피해를 입히기에 충분한 폭탄을 탑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22]

3. 2. 공격 부대

미국은 1986년 리비아 공습 작전(엘도라도 캐니언 작전)에 제너럴 다이내믹스 F-111과 A-6 인트루더 등 야간 정밀 공격 능력을 갖춘 전술 항공기를 투입했다.

RAF 레이컨히스에서 출격한 제48전투비행단(48th Tactical Fighter Wing) 소속 F-111F 전투폭격기 24대와 RAF 어퍼 헤이포드에서 출격한 제20전투비행단(20th Tactical Fighter Wing) 소속 EF-111A 레이븐 5대가 투입되었다. F-111 6대와 EF-111 1대는 예비기로 지정되어 첫 번째 공중급유 후 기지로 복귀했다.[22] 이들은 프랑스스페인의 영공 통과 거부로 대서양, 지브롤터 해협을 경유하는 우회로를 택해야 했고, 맥도넬 더글러스 KC-10 익스텐더와 보잉 KC-135 스트래토탱커의 공중급유를 받으며 목표물까지 왕복 비행했다.[23]

지중해에 배치된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 ''아메리카''(USS ''America'')와 ''코럴 시''(USS ''Coral Sea'')에서도 함재기가 출격했다. ''아메리카''는 A-6E TRAM 인트루더 공격기 6대와 A-7 코르세어 II 공격 지원기 6대를, ''코럴 시''는 A-6E TRAM 인트루더 8대와 F/A-18 호넷 6대를 발진시켰다.[22] 이들은 벵가지 시내와 외곽의 목표물을 공격하고, 미 공군 폭격기들을 지원했다.[24]

작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33][29]

작전 결과
목표계획실제
항공기폭격항공기명중빗나감
바브 알 아지지야 막사9× F-111F36× GBU-10 LGB3× 폭격
1× 빗나감
4× 중단
1× 손실
133
무라트 시디 빌랄 캠프3× F-111F12× GBU-10 LGB모두 폭격12
트리폴리 비행장
(구 휠러스 공군기지)
6× F-111F72× Mk 82 RDB5× 폭격
1× 중단
60
자마히리야(벵가지) 막사7× A-6E TRAM VA-3484× Mk 82 RDB6× 폭격
1× 이륙 중단
702
베니나 비행장8× A-6E TRAM VA-5572× Mk 20 CBU
24× Mk 82 RDB
6× 폭격
2× 중단
60× Mk 20
12× Mk 82
방공망트리폴리A-7E8× 슈라이크
16× 하암
모든 항공기 발사8× 슈라이크
16× 하암
벵가지24× F/A-18A VFA-131, VFA-132, VMFA-314, VMFA-32320× 하암모든 항공기 발사20× 하암
합계45대의 항공기300개의 폭탄
48개의 미사일
35대 폭격
1대 빗나감
1대 손실
8대 중단
227개 명중
5개 빗나감
48개 유도 미사일
지원 항공기
방공망트리폴리5대의 EF-111AALQ-991× 부분 중단
1대의 EA-6B VMAQ-2ALQ-99없음
벵가지3대의 EA-6B (2대 VAQ-135/1대 VMAQ-2)ALQ-99없음
3대의 EA-3B VQ-2전자전/공중급유없음
조기 경보2대의 E-2C VAW-123없음
2대의 E-2C VAW-127없음


3. 3. 공격 결과

미국 공군 페르난도 L. 리바스-도미니치 대위와 폴 F. 로렌스 대위가 탑승한 F-111 전투폭격기(호출부호 Karma-52)가 시르테 만 상공에서 격추되었다.[41][42] 격추 직후 미군은 전투폭격기 격추 여부에 대해 추측을 거부했으며, 캐스퍼 와인버거 국방장관은 무선 장비 고장이나 다른 비행장으로 우회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43] 다음 날, 국방부는 리비아 미사일로 추정되는 격추된 F-111을 더 이상 수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44] 1988년 12월 25일, 카다피는 요한 바오로 2세를 통해 로렌스의 시신을 그의 가족에게 인도하겠다고 제안했다. 1989년에 돌려받은 시신은 치과 기록을 통해 리바스-도미니치의 시신으로 확인되었다. 스페인에서 실시된 부검 결과, 시르테 만 상공에서 비행기가 격추된 후 익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리비아는 로렌스의 시신을 보관하고 있다는 것을 부인했다. 그러나 로렌스의 형제는 자신과 어머니가 리비아인이 "로렌스"라고 쓰인 흰색 헬멧을 들고 있는 TV 영상을 보았다고 말했다.[45] 또한 바브 알 아지지야 막사를 방문했던 윌리엄 C. 체이지는 "로렌스"와 "리바스-도미니치"라는 이름이 새겨진 두 개의 비행복과 헬멧, 그리고 F-111 잔해를 보았다고 주장했다.[46]

미군 항공기 카메라에 촬영된 리비아 군사 시설과 군용기에 대한 폭격 장면


공격은 15분간 진행되었으며, 레이저 유도 폭탄을 포함한 300발의 폭탄과 48발의 미사일이 발사되었다. 리비아군 사망자 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리비아는 민간인 15명과 카다피의 1살 3개월 된 양녀 하나가 사망했다고 발표하고 대규모 추도식을 거행했다.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카다피 정권이 붕괴되면서 양녀 하나가 생존해 의사가 된 사실이 밝혀졌다.

미군도 F-111 전폭기 1대가 시드라 만 상공에서 격추되어 승무원 2명이 실종되었다. 이 중 1명의 유해는 나중에 미국으로 송환되었다.

4. 국제 사회의 반응

미국은 "리비아가 서베를린 디스코텍 폭발 사건의 배후이며 외국에 있는 미국인 및 시설물에 대해 추가 테러 공격을 계획하고 있음이 밝혀짐에 따라 취해진 사전 예방적 조치"라고 발표했다. 그렇지만 미국의 입장을 지지한 것은 미국의 국내 여론, 영국, 캐나다, 이스라엘, 차드 등 극소수에 불과했으며 소련, 아랍 세계 국가는 물론 서방권 국가들까지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와 국제 여론은 미국을 규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테러 계획에 대한 사전 예방 조치'라는 미국의 주장과는 달리, 이 기습은 무아마르 알 카다피 리비아 국가 원수에 대한 살해 기도가 명백했다. 이는 '세계의 경찰, 세계의 재판관'을 자처하는 미국이 명백한 증거나 확실한 증거 없이 리비아를 '테러 집단'으로 단정하면서 자행한 강대국의 힘 과시에 지나지 않는 명백한 범죄 행위였다.

미국의 행동은 영국 등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 대한 대규모 군사 행동으로 각국의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국가 간 외교 관계의 근본적인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고, 미국과 소련 간의 외교 관계에도 큰 영향은 없었다.

4. 1. 미국의 동맹국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는 영국 공군 기지 사용을 승인하여[67] 미국의 공습을 지원했고, 미국과 영국 간의 오랜 특별 관계는 강화되었다.[68][69] 그 외에 캐나다, 이스라엘도 미국의 입장을 지지했다.

4. 2. 비동맹 국가 및 제3세계

유엔 총회는 찬성 79표, 반대 28표, 기권 33표로 결의안 41/38을 채택하여 "1986년 4월 15일 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에 대한 군사 공격을 규탄하며, 이는 유엔헌장 및 국제법 위반을 구성한다"고 밝혔다.[63]

비동맹 운동 회의는 "대담하고 노골적이며 도발되지 않은 침략 행위"를 규탄했다.[64] 아랍연맹은 미국의 침략에 분노를 표하고 국제 관계에 무질서 요소를 강화했다고 말했다.[64]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의는 리비아인을 살해하려는 고의적인 시도가 국제법 원칙을 위반했다고 밝혔다.[64] 이란 정부는 이 공격이 침략 정책, 함포 외교, 전쟁 행위를 구성한다고 주장하며 미국의 광범위한 정치적, 경제적 보이콧을 촉구했다.[64] 다른 이들은 미국의 동기를 리비아 혁명을 종식시키려는 시도로 보았다.[64]

4. 3.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미국의 입장을 이해하면서도, 국제법 준수와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강조했다.[63] 당시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있었기 때문에, 국제 테러에 대한 우려가 높았던 상황이었다.

4. 4. 일본

제공된 소스에는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나 반응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따라서 요약문의 내용("일본 정부는 미국의 공습에 대해 공식적인 지지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테러에 대한 국제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은 소스에서 확인할 수 없는 내용입니다. 주어진 소스만을 기반으로 섹션을 작성해야 하므로, 해당 요약 내용을 삭제하고, 소스에 나타난 다른 국가들의 반응과 유사한 방식으로 일본 관련 내용을 찾거나, 섹션 내용을 비워두어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소스에 일본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4. 5. 소련

소련은 표면적으로 리비아와 우호적인 관계였지만, 리비아 공습 당시에는 리비아에 대해 점차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카다피는 소련의 정책 의제와 이념을 언어적으로 공격했고, 소련의 목표와 상충되는 국제적 개입을 하기도 했다. 소련은 세계적 지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던 중이었기에, 카다피와의 긴밀한 관계는 부담이 되었다.

소련은 이 위기에서 기본적인 무기와 탄약 재공급 외에 리비아에 추가적인 도움을 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시드라만에서의 미국의 지속적인 작전과 미국의 공격 가능성을 사전에 알고 있었음에도, 소련은 미국을 군사적으로 위협하려 하지 않았다. 다만, 소련은 미국의 이 '범죄적' 행위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70]

공습 이후, 모스크바는 외무장관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의 미국 방문을 취소했다. 그러나 동시에 미국과 소련 간의 예정된 여름 정상 회담과 새로운 군비 통제 협정 계획에는 영향을 주고 싶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5. 결과 및 영향

미국의 리비아 공습은 영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국제 사회에서 대규모 군사 행동으로 간주되어 광범위한 비난을 받았다.[50][51] 그러나 이러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국가 간의 외교 관계에는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특히 미국과 소련 간의 외교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엔 총회는 결의안 41/38을 채택하여 리비아에 대한 군사 공격을 유엔헌장 및 국제법 위반으로 규탄했다.[63] 비동맹 운동, 아랍 연맹, 아프리카 연합 등도 미국의 행동을 비판하며 국제법 원칙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이란 정부는 이 공격을 침략 정책이자 전쟁 행위로 규정했다.[64]

일부에서는 유엔 헌장 51조에 따른 정당한 자기방위권 행사에 대한 무력 사용 제한을 근거로 미국을 비판했다.[65] 반면, 미국은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등 25개국의 지지를 받았다.

무아마르 카다피는 이 공습을 "미국에 대한 획기적인 군사적 승리"라고 선언하고, 국가 이름을 "대 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로 변경했다.[47] 그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을 비난하며, 레이건이 자신을 죽이려 했다고 주장했다.[48]

5. 1. 미국-리비아 관계

리비아는 스커드 미사일 2발을 람페두사섬의 미국 해안경비대 기지에 발사했지만, 섬에 미치지 못하고 바다에 떨어졌다.[50][51] 미국의 행동은 영국 등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게 대규모 군사 행동으로 비난받았다. 그러나 국가 간 외교 관계의 근본적인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고, 미국과 소련 간의 외교 관계에도 큰 영향은 없었다.

5. 2. 국제 테러리즘

리비아 관련 테러는 제한적으로만 변화가 있었다.[47]

1986년 9월 5일, 리비아 정부가 파키스탄에서 발생한 파나메리칸항공 73편 납치 사건을 지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이 사건으로 20명이 사망했다. 이 주장은 영국의 토니 블레어 수상이 트리폴리를 방문한 지 며칠 후, ''선데이 타임스''에 보도되기 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다.[52]

1986년 10월, 무아마르 카다피는 시카고의 흑인 갱단인 올마이티 블랙 P. 스톤 네이션의 알-룩 파벌인 제프 포트에게 자금을 지원하여 반미 무장 혁명 운동을 벌이도록 했다.[53] 알-룩 구성원들은 미국 정부 건물 폭파 및 항공기 추락 등 리비아를 대신하여 공격을 준비한 혐의로 체포되었고, 1987년 "리비아의 자금으로 미국 영토에서 폭탄 테러 및 암살을 하겠다고 제안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53]

1987년 5월, 오스트레일리아는 리비아가 오스트레일리아와 오세아니아에서 폭력을 조장하려 한다는 주장으로 리비아 외교관들을 추방하고 리비아와의 관계를 단절했다.[54][55]

1987년 말, 프랑스 당국은 리비아에서 아일랜드 공화군(IRA)으로 150톤의 소련 무기를 운반하려던 MV ''엑스쿤드''호를 나포했다.[56][57] 이는 부분적으로 미국 전투기를 배치한 영국에 대한 보복 조치였다.[58]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리비아의 지원을 받는 아부 니달 조직이 억류하고 있던 영국 인질 리 도글러스와 필립 패드필드, 그리고 미국인 피터 킬번이 살해되었다. 또한, 언론인 존 맥카시가 납치되었고, 관광객 폴 애플비가 예루살렘에서 살해되었다. 알렉 콜렛이라는 또 다른 영국 인질도 리비아 폭격에 대한 보복으로 살해되었다. 콜렛은 비디오테이프에서 교수형을 당하는 모습이 보였고 그의 시신은 2009년 11월에 발견되었다.[59]

1988년 12월 21일, 리비아는 파나메리칸항공 103편 폭파 사건을 일으켜, 스코틀랜드 로커비 마을에 폭탄이 터진 후 추락하여 기내 승객 259명과 로커비 주민 11명이 사망했다. 처음에는 이란이 USS ''빈센스''호가 이란항공 655편을 격추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폭탄 테러를 저질렀다고 여겨졌지만, 1991년 두 명의 리비아인이 기소되었고, 그중 한 명은 2001년 1월 31일 논란이 많은 판결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60] 리비아 정부는 2002년 5월 29일 파나메리칸항공 103편 폭파 사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270명의 희생자 유족에게 27억달러의 보상을 제안했다.[61] 유죄 판결을 받은 리비아인 압델바셋 알 메그라히는 2009년 8월 스코틀랜드 정부에 의해 인도적인 사유로 석방되었고 2012년 사망했다. 2014년 5월, 로커비 희생자 유족들은 알 메그라히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사건 재조사를 요구하는 운동을 계속했다.[62]

5. 3. 국제법 논쟁

유엔 총회는 찬성 79표, 반대 28표, 기권 33표로 결의안 41/38을 채택하여 "1986년 4월 15일 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에 대한 군사 공격을 규탄하며, 이는 유엔헌장 및 국제법 위반을 구성한다"고 밝혔다.[63]

비동맹 운동 회의는 "대담하고 노골적이며 도발되지 않은 침략 행위"를 규탄했다. 아랍 연맹은 미국의 침략에 분노를 표하고 국제 관계에 무질서 요소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의는 리비아인을 살해하려는 고의적인 시도가 국제법 원칙을 위반했다고 밝혔다. 이란 정부는 이 공격이 침략 정책, 함포 외교, 전쟁 행위를 구성한다고 주장했다.[64]

일부 관찰자들은 유엔 헌장 51조가 침략 행위가 없는 경우 정당한 자기방위권 행사에 있어 무력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으며, 리비아의 그러한 행위는 없었다고 보았다. 미국이 분쟁 해결을 위한 헌장 33조에 따른 조항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비난받았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다른 국가들이 미국처럼 무분별하게 51조를 적용한다면 "미국이 자국 영토에 대한 공격을 계획하고 있다고 매우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니카라과 정부는 워싱턴을 폭격할 권리가 있다"고 항의했다. 영국의 외무부 장관직 서기관 데니스 힐리는 ABC 뉴스에 "미래의 공격에 대한 방어라는 동일한 논리에 따라 영국은 아일랜드 공화군에 돈과 군수품을 보내는 사람들이 있는 것을 근거로 뉴욕시카고의 아파트 건물을 폭격할 수 있다"고 말했다.[65]

반면, 미국은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이스라엘 및 기타 25개국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5. 4. 대한민국에 대한 시사점

카다피는 "미국에 대한 획기적인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다"고 발표했으며, 국가 이름을 공식적으로 "대 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로 변경했다.[47]

카다피는 레이건이 백악관에 있는 한 리비아와 미국 간의 화해는 불가능하다고 말했고, 미국 대통령에 대해 "그는 미쳤다. 그는 어리석다. 그는 이스라엘의 개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나 미국 목표물을 공격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레이건이 자신을 죽이려 했다고 주장하며 "레이건이 나를 죽이려고 했는가? 물론이다. 공격은 내 집에 집중되었고 나는 내 집에 있었다"라고 말했고, 자신의 가족을 구출한 방법도 설명했다.[48]

권좌에서 몰락할 위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는 "정말, 이러한 보도와 기사들은 사실이 아닙니다. 보시다시피 저는 괜찮고, 우리나라에 아무런 변화도 없었습니다."라고 답했다.[48]

6. 평가 및 논란

유엔 총회는 적어도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매년 이 사건에 대한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선언을 상정했으나,[71] 2005년에 공식적으로 보류될 때까지 매년 논의를 체계적으로 연기했다.[72]

미국의 리비아 공습은 무아마르 카다피 암살 시도, 국제법 위반, 공습의 효과 등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미국은 "리비아가 서베를린 디스코텍 폭발 사건의 배후이며 추가 테러 공격을 계획하고 있어 사전 예방적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지만, 대부분의 국가와 국제 여론은 미국을 비난했다.[74] 일부 전문가들은 공습 이후 리비아의 테러 활동이 오히려 증가했다고 주장하며, 실제로 2008년 10월, 리비아는 여러 테러 사건의 미국인 희생자들과 1986년 미국의 트리폴리벵가지 폭격의 리비아 희생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77]

6. 1. 카다피 암살 시도 논란

미국의 리비아 공습은 '테러 계획에 대한 사전 예방 조치'라는 주장과는 달리, 리비아의 국가 원수였던 무아마르 카다피를 암살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미국이 '세계의 경찰, 세계의 재판관'을 자처하며 리비아를 '테러 집단'으로 단정하고, 명백한 증거나 확실한 증거 없이 강대국의 힘을 과시한 명백한 범죄 행위였다는 것이다.[34]

무아마르 카다피와 그의 가족은 폭탄이 떨어지기 직전 바브 알 아지지야 군사 시설의 거주지에서 급히 대피했다. 이는 말타 총리 카르메누 미프수드 보니치가 이탈리아 총리 베티노 크락시로부터 미국의 공격 부대 존재를 알게 된 후 전화로 통보했기 때문이었다. 이탈리아는 시칠리아 서해안에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항공기가 발견되자 F-104 스타파이터를 출격시켜 요격했고, 공격 부대의 존재를 확인하고 미국식 영어를 구사하는 조종사들로부터 경고를 받았다.[34]

근처 병원 의료진에 따르면 군복을 입은 24명과 군복을 입지 않은 2명 등 총 26명의 사상자가 병원으로 이송되었다고 한다. 폭격을 받은 공군기지의 사상자를 포함하여 리비아 측 총사상자는 60명으로 추산된다. 사상자 중에는 유아도 포함되었는데, 시신은 미국 기자들에게 공개되었고 카다피가 최근에 입양한 딸 하나라고 알려졌다.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해서는 당시에도, 지금도 많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35][36] 하나는 사망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입양이 사후에 이루어졌을 수도 있으며, 혹은 카다피가 첫 번째 딸이 사망한 후 두 번째 딸을 입양하여 같은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도 있다.[37][38][39][40]

6. 2. 국제법 위반 논란

미국은 1986년 4월 15일 새벽 영국과 함께 리비아의 트리폴리, 벵가지 주변 군사 시설을 기습 공격했다. 미국은 "리비아가 서베를린 디스코텍 폭발 사건의 배후이며 추가 테러 공격을 계획하고 있어 사전 예방적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주장은 국내 여론과 영국, 캐나다, 이스라엘, 차드 등 극소수의 지지만을 받았을 뿐, 소련, 아랍 세계 국가들은 물론 서방 국가들까지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와 국제 여론은 미국을 비난했다.[74]

이는 '세계의 경찰, 세계의 재판관'을 자처하는 미국이 리비아를 '테러 집단'으로 단정하고, 무아마르 알 카다피에 대한 살해 기도를 명백히 한, 강대국의 힘을 과시한 범죄 행위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9년 6월, 무아마르 알 카다피는 이탈리아 방문 중 미국의 외교 정책을 비판하며, 알카에다 공격과 1986년 미국의 트리폴리 폭격을 비교하며 "만약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이 국가도 없고 불법적인 존재라면, 미국은 국제 규칙을 준수하는 국가이다."라고 말했다.[74]

6. 3. 효과 논란

미국의 공습이 리비아의 테러 지원을 억제하는 데 실질적인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공습 이후 리비아의 테러 활동이 오히려 증가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2008년 10월, 리비아는 로커비 폭파 사건, 1986년 서베를린 나이트클럽 폭탄 테러, 1989년 유에이에이 772편 폭파 사건의 미국인 희생자들과 1986년 미국의 트리폴리벵가지 폭격의 리비아 희생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77] 이는 리비아가 미국의 공습 이후에도 테러 활동에 연루되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미국의 리비아 공습은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미국과 소련 간의 관계는 물론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에서도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

참조

[1] 서적 Victory in War: Foundations of Modern Military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Dealing with Terrorism: Stick Or Carrot?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Incorporated
[3] 학술지 https://journals.sag[...]
[4] 웹사이트 The sad story of 'Karma 52', the only F-111 lost during Operation El Dorado Canyon https://theaviationg[...] 2019-04-14
[5] 웹사이트 The Libyan Scud Attack on Lampedusa and the Italian Retaliation against Gaddafi that never was https://theaviationg[...] 2019-09-21
[6] 서적 Arabs at War: Military Effectiveness 1948–199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7] 서적 Sandstorm: Libya in the Time of Revolution Faber and Faber
[8] 뉴스 Gaddafi's daughter Hana: dead or a practising doctor? https://www.theguard[...] 2016-06-07
[9] 학술지 Libya Has Trouble Building the Most Deadly Weapons http://www.wisconsin[...] 1995-12-01
[10] 웹사이트 1968 to 1990: Program Beginnings http://www.nti.org/e[...] NTI
[11] 뉴스 Target Qaddafi https://www.nytimes.[...] 1987-02-22
[12] 학술지 Libyan terrorism: the case against Gaddafi 1992-12-01
[13] 뉴스 1986: Berlin disco bombed http://news.bbc.co.u[...] 1986-04-05
[14] 서적 The American Pageant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15] 뉴스 Flashback: The Berlin disco bombing http://news.bbc.co.u[...] 2001-11-13
[16] 잡지 To the Bay and Back Key Publishing 2010-05-01
[17] 인터뷰 interview with members of D-flight 23rd BMS/5BMW
[18] 서적 Overseas Basing of U.S. Military Forces: An Assessment of Relative Costs and Strategic Benefits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19] 웹사이트 El Dorado Canyon http://www.airforce-[...] Air Force Association 2011-07-28
[20] 뉴스 French Say They Favored Stronger Attack on Libya https://www.nytimes.[...] 2015-06-16
[21] 서적 The Twilight War: The Secret History of America's Thirty-Year Conflict with Iran https://books.google[...] Penguin
[22] 학술지 Crossing the Line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3] 문서 Parks specifies times of events with the time in Washington DC where the attack was coordinated. Parks's times have been adjusted to reflect the time observed where the battle took place.
[24] 학술지 Air War with Libya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5] 웹사이트 1986 Year in Review: Strike on Qaddafi http://www.upi.com/A[...] 2014-10-28
[26] 서적 At the Helm of USS America: The Aircraft Carrier and Its 23 Commanders, 1965–1996 https://books.google[...] McFarland
[27] 서적 Encyclopedia of United States National Security https://books.google[...] Sage
[28] 보고서 Raid on Libya: Operation Eldorado Canyon https://media.defens[...] U.S. Department of Defense 2023-09-17
[29] 서적 Libyan Air Wars – Part 3 : 1986–1989 Helion & Company Limited
[30] 서적 Libya :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23-09-18
[31] 뉴스 U.S. Jets Hit 'Terrorist Centers' in Libya; Reagan Warns of New Attacks If Needed https://www.nytimes.[...] 1986-04-15
[32] 웹사이트 Libya – Encounters with the United States http://www.country-d[...] 2016-06-07
[33] 논문 Airpower Versus Terrorism: Three Case Studies https://research.max[...] 2003-06-01
[34] 뉴스 Italy's Prime Minister saved Gaddafi's Life by Warning of Operation El Dorado Canyon https://theaviationg[...] 2023-03-05
[35] 학술지 NBC's Mitchell Regurgitates Gaddafi Lies http://www.aim.org/a[...] 2016-06-07
[36] 뉴스 Gaddafis Kinder – Totgesagte leben länger https://www.welt.de/[...] 2015-06-07
[null] 뉴스 Hana Gaddafi, Libyan Leader's Presumed Dead Daughter, May Be Still Alive http://www.huffingto[...] 2011-08-09
[37] 학술지 Gaddafi's daughter Hana: dead or a practising doctor? https://www.theguard[...] 2016-06-07
[38] 학술지 Enigmatic in Power, Qaddafi Is Elusive at Large https://www.nytimes.[...] 2016-06-07
[39] 학술지 Dental records for Hana Gaddafi reopen mystery of Libyan leader's daughter https://www.telegrap[...] 2016-06-07
[40] 학술지 Exclusive: Gaddafi's 'dead' daughter Hana alive and well in family video https://www.telegrap[...] 2016-06-07
[41] 서적 Reagan Diaries Volume 2: November 1985 – January 1989 HarperCollins
[42] 서적 El Dorado Canyon Naval Institute Press
[43] 뉴스 One plane missing after raid. https://news.google.[...] 2014-10-28
[44] 뉴스 Air Raid Toll Comes Home to Gaddafi https://news.google.[...] 1986-04-17
[45] 뉴스 Lost Over Libya http://www.aiipowmia[...] Associated Press 2006-04-29
[46] 서적 Pan Am 103: The Lockerbie Cover-Up
[47] 서적 Qaddafi, terrorism, and the origins of the U.S. attack on Libya. https://archive.org/[...] Praeger Publishers
[48] 웹사이트 Gadhafi: Reagan Tried To Kill Me http://articles.sun-[...] 2014-10-28
[4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libyan-st[...] 2009-05-03
[50] 뉴스 Italian isle, site of U.S. base, is fearful of Qaddafi's anger https://www.nytimes.[...] 1986-05-27
[5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the Cold War, 1962–19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20-09-24
[52] 뉴스 Revealed: Gaddafi's air massacre plot http://www.timesonli[...] 2010-04-26
[53] 서적 Target America & the West: Terrorism Today https://archive.org/[...] S.P.I. Books
[54]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03 Eur.
[55] 웹사이트 A Rogue Returns http://www.aijac.org[...] AIJAC 2003-02
[56] 서적 The dirty war: covert strategies and tactics used in political conflicts.
[57] 웹사이트 news.bbc.co.uk/2/hi/[...]
[58] 뉴스 Libya will not arm IRA again, Gaddafi aide says https://www.independ[...] 2011-09-01
[59] 웹사이트 Body of Lost British Reporter Found in Lebanon http://english.cri.c[...] 2016-06-07
[60] 뉴스 UN monitor decries Lockerbie judgement http://news.bbc.co.u[...] BBC 2002-03-14
[61]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lifts sanctions imposed on Libya after terrorist bombings of Pan Am Flight 103 and UTA Flight 772 https://www.un.org/N[...]
[62] 뉴스 BBC News – Lockerbie bombing: Megrahi conviction review sought by families https://www.bbc.co.u[...] 2014-05-10
[63] 문서 A/RES/41/38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64] 웹사이트 UN Chronicle, August 1986 http://findarticles.[...] 2014-10-28
[65] 뉴스 Bombing Libya 1986-04-17
[66] 서적 United Nations Yearbook, 1986, Volume 40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United Nations
[67] 학술지 Using Process Tracing to Investigate Elite Experience Accrual: Explaining Margaret Thatcher's Support for US Air Strikes Against Libya http://journals.sage[...] 2023
[68] 서적 The Iron Lady: Margaret Thatcher, from Grocer's Daughter to Prime Minister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69] 서적 Margaret Thatcher: At Her Zenith: In London, Washington and Moscow
[70] 웹사이트 The sharp Soviet reaction to the U.S. attack on Lybia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1986-04-15
[71]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Session 49 meeting 93 http://www.undemocra[...] 1994-12-20
[72]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Session 59 meeting 117 http://www.undemocra[...] 2005-09-12
[73] 웹사이트 US-Libya Relations / Bombing Anniversary http://tvnews.vander[...]
[74] 뉴스 Students protest at Gaddafi visit http://news.bbc.co.u[...] 2010-01-02
[75] 뉴스 Libya, Italy to sign compensation deal: Gaddafi son https://www.reuters.[...] 2011-02-25
[76] 뉴스 Libya, US Sign Compensation Agreement http://tripolipost.c[...] 2011-02-25
[77] 뉴스 Libya compensates terror victims http://news.bbc.co.u[...] 2011-02-25
[78] 뉴스 Shady Dealings Helped Qaddafi Build Fortune and Regime https://www.nytimes.[...] 2011-03-29
[79] 웹사이트 Libyan Claims Resolution Act http://thomas.loc.go[...]
[80] 웹사이트 Significant Events in U.S.-Libyan Relations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8-09-02
[81] 서적 リビ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6-08-15
[82] 웹사이트 35年経て明かされた米軍の対テロ「極秘暗殺ミッション」 敵地攻撃たった12分 しかし相手を怒らせた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3-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