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자전은 적의 전투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군사 작전이다. 초기에는 통신 도청이나 방해가 주를 이루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이더 기술 발전과 함께 중요성이 커졌다. 전자전은 전자 공격, 전자 보호, 전자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며, 통신 방해, 레이더 교란, 스텔스 기술 등이 포함된다. 현대전에서 전자전은 전자기 환경에서의 작전을 의미하며, 정보전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각국 군대는 전자전 부대를 운용하며, 전자전기 및 관련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전 - 전자기 펄스
전자기 펄스는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의 급증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여 전자 기기를 손상시킬 수 있어 전자기적합성 연구를 통해 제어한다. - 전자전 - 전자전기
전자전기는 전자 공격, 전자 방호, 전자전 지원을 통해 적의 레이더 및 통신을 교란하고 아군 장비를 보호하며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항공기 또는 전자 장비이다. - 군사학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군사학 - 오시포프 방정식
오시포프 방정식은 두 군의 병력과 그들이 상대에게 입히는 피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 공식으로, p와 K라는 상수를 사용하여 표현되며 란체스터 법칙과 관련이 깊다. - 전자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 전자공학 -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PN 접합을 이용해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반도체 소자로, 진공관 다이오드와 반도체 다이오드로 나뉘며, 정류, 검파, 신호 처리 등 다양한 전자 회로 및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정류 다이오드, 쇼트키 다이오드, LED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전자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주요 특징 | |
개요 | 전자 장비 및 지향성 에너지 사용을 포함하는 군사적 행동. |
분류 | |
주요 분류 | 전자 공격 (EA) 전자 보호 (EP) 전자전 지원 (ES) |
전자 공격 (EA) | |
목표 | 적의 전자 시스템을 무력화, 교란 또는 파괴하는 것. |
주요 활동 | 전파 방해 기만 지향성 에너지 무기 사용 |
예시 | 레이더 방해 통신 방해 미사일 방해 |
전자 보호 (EP) | |
목표 | 아군의 전자 시스템이 적의 전자 공격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 |
주요 활동 | 주파수 도약 암호화 차폐 재밍 내성 장비 사용 |
예시 | 레이더의 간섭 방지 기능 강화 통신 보안 강화 |
전자전 지원 (ES) | |
목표 | 적의 전자 방어 능력 분석 및 평가, 전장 환경 인지. |
주요 활동 | 신호 정보 (SIGINT) 전자 정보 (ELINT) 통신 정보 (COMINT) 레이더 정보 (RADINT) |
예시 | 적 레이더의 작동 주파수 및 유형 분석 적 통신 시스템의 암호 분석 |
기술 | |
주요 기술 | 레이더 통신 시스템 위성 시스템 지향성 에너지 무기 |
응용 분야 | 사이버전 로켓 기술 우주 작전 |
역사 | |
기원 | 2차 세계 대전 중 레이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작. |
냉전 시기 | 전자전 기술이 급속히 발전. |
현대 | 네트워크 중심전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 |
기타 | |
관련 분야 | 정보전 사이버전 우주전 비밀 작전 |
2. 역사
전자전의 역사는 전파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주요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원시적인 형태의 전자전은 적의 유선 통신 케이블을 절단하거나 도청하는 것이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러시아는 전자전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방공 레이더와 통신을 방해하여 지상 기반 방공 시스템을 교란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재밍은 자체 통신에도 영향을 미쳐 노력이 축소되었고, 우크라이나의 SAM이 효과를 회복하여 러시아 항공기에 상당한 손실을 입히기 시작했다.[21] 전쟁 초기 러시아의 빠른 진격은 전자전 부대가 진격 부대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게 했지만, 2022년 3월 말과 4월까지 광범위한 재밍 인프라가 배치되었다. 전자전 시스템은 돈바스에 21km 당 최대 10개 시스템의 밀도로 설치되었다. GPS 및 무선 신호의 전자적 억제로 우크라이나 무인 항공기가 큰 손실을 입어 정보와 정밀 포병 사격 발견이 어려워졌다. 소형 쿼드콥터의 평균 수명은 약 3회 비행이었고, 바이락타르 TB2와 같은 더 큰 고정익 무인 항공기는 약 6회 비행이었다. 2022년 여름까지 우크라이나 무인 항공기 임무의 3분의 1만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었는데, 전자전으로 인해 우크라이나는 침공 초기 보유했던 수천 대의 드론 중 90%를 잃었다.[22]
러시아의 GPS 신호 교란 능력은 우크라이나의 하이마스 및 JDAM 폭탄 사용 성공률 감소에 기여했다. GPS 유도 실패는 특히 JDAM과 같은 무기에 관성 항법 시스템을 사용하게 하여 정확도가 약 4.6m에서 약 27m로 감소했다.[23]
2007년 작전명 오차드 (또는 작전명 아웃사이드 더 박스) 동안 이스라엘은 시리아의 의심되는 원자력 시설을 공격하면서 전자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리아 방공 시스템을 교란했다.[15][16] 목표는 북한 원자로를 모델로 하고 이란의 지원을 받아 건설 중인 유프라테스 강 근처의 의심 원자로였다. 일부 보고에 따르면 이스라엘 전자전 시스템은 공습 기간 동안 시리아의 모든 방공 시스템을 비활성화했다고 한다.[16]
2010년 12월 러시아군은 소즈베즈디예가 개발한 보리소글렙스크 2로 알려진 최초의 지상 기반 다기능 전자전 시스템을 배치했다. 이 시스템의 개발은 2004년에 시작되었고 2010년 12월에 평가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보리소글렙스크-2는 단일 시스템에 네 가지 유형의 재밍 스테이션을 사용하며, 9대의 MT-LB 장갑차에 장착되어 이동식 위성 통신 및 위성 기반 항법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17] 이 전자전 시스템은 전자 정찰과 무선 주파수 원천 억제를 수행하도록 개발되었다.[18]
2023년 5월 19일 왕립합동군사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전자전으로 인해 한 달에 약 1만 대의 드론을 잃고 있었다. 이는 하루 평균 300대의 드론에 해당한다. 러시아는 전선에서 약 9.7km마다 전자전 기지를 설치했는데, 전선에서 약 6.4km 뒤에 있다.[24] 2023년 10월 ''이코노미스트''는 전자전이 전선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소형 전장 무인 항공기 활동을 방해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전차와 포병과 같은 고가 장비에 비디오 피드백 및 제어 재머를 설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25] 2024년 3월 11일 우크라이나는 자포리자주에서 러시아 팔란틴 전자전 시스템을 파괴했다고 보고했는데,[26] 이 시스템은 "접촉선 전체와 우크라이나 대부분 지역에서 위성 무선 항법을 억제하고 위성 무선 항법 필드(스푸핑)를 대체한다"고 한다.[27] 약 3개의 팔란틴 시스템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된다 (2022년 6월, 2023년 2월, 2024년 3월).[26] 팔란틴 외에도 자포리자에서 레이어 전자전 시스템이 파괴되었다.[28]
2. 1. 초기의 전자전
1895년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무선 전신을 성공시킨 이후, 전자파를 이용한 통신이 전쟁에 활용되기 시작했다. 보어 전쟁 (1899-1902)에서 영국군이 탐조등을 이용한 모스 부호 신호를 방해받은 사례가 있었다. 러일 전쟁 (1904-1905)에서 일본 해군은 러시아 함대의 무선 통신을 방해하고, 블라디보스토크 함대의 무선을 도청하여 작전에 활용했는데, 이는 현대적인 전자전의 시작으로 평가된다.[13]2. 2. 발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레이더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국 본토 항공전과 마리아나 해전에 영향을 주었고, 전자전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은 지대공 미사일로 방공 체계를 갖춘 북베트남군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적인 전파 방해를 실시했다. 1965년에 전파 방해 장치가 실전에 투입되어 효과를 발휘했다.[14]2. 3. 걸프전
걸프전에서 다국적군은 고도의 전자전을 전개하여 이라크군의 통신 및 방공 체계를 무력화했다. 다국적군은 방공 지휘소, 정보기관 본부, 군 사령부, 배전소 등을 공습했는데, 이때 전자전 지원기가 지대공 미사일을 무력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3]2. 4. 현대전
1904년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 함대가 일본의 사격 지휘 정보의 무선 통신을 방해하면서 현대적인 전자전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레이다 기술이 발전했고, 영국 본토 항공전과 마리아나 해전에 영향을 주었다. 걸프전에서 다국적군의 전자전 공격으로 이라크군의 방어시스템과 지대공 미사일을 무력화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2. 5. 북한
미국·일본 자유 진영에 비해 열등한 공군 장비를 가진 북한은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대항할 수가 없다. 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 공군기는 출동 후 평균 100초 만에 미국 공군기에게 격추당했는데, 이는 항전장비의 격차 때문이었다. 북한은 이 당시의 이라크보다 나은 공군기가 없다. 북한이 선택한 방법은 전파 교란 능력을 키워서 저항하는 것이었다. 북한은 꾸준히 GPS 교란 및 전자전 능력을 육성했고 실제로 이 능력으로 도발한 경우가 수차례 존재한다.[38] 2010년 이후 휴전선 부근에서 전파교란을 시도하였다.[39] 열등한 공군력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북한은 꾸준히 적국의 공군 정보를 탈취하려 시도하고 있다. 2021년, 북한으로 추정되는 해커에게 한국형 전투기, 한국형 로켓 등의 기술 정보가 해킹되는 사태가 발생했다.[40][41][42]3. 세분화
전자전은 크게 전자 공격(EA), 전자 보호(EP), 전자 지원(ES)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뉜다.[2]
분야 | 약어 | 설명 |
---|---|---|
전자 공격 | EA | 적의 전투 능력을 저하, 무력화 또는 파괴할 목적으로 전자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행위 |
전자 보호 | EP | 적의 전자 공격으로부터 아군을 보호하고, 아군의 전자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활동 |
전자 지원 | ES | 아군의 전자기 스펙트럼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적의 전자기 스펙트럼 에너지를 수집, 도청, 분석하여 위협을 인식하고 전자전 활동을 지원하는 행위 |
현대전에서 레이더와 무선 통신이 중요해짐에 따라, 각국의 군대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한다.[29]
3. 1. 전자 공격 (Electronic Attack, EA)
전자 공격(Electronic Attack, EA)은 전자 방해책(ECM)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적의 전투 능력(인명 포함)을 저하, 무력화 또는 파괴할 목적으로 전자기 에너지 무기, 유도에너지 무기 또는 대레이더 미사일을 사용하여 인원, 시설 또는 장비를 공격하는 공격적인 행위이다.[7] 전자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행위는 일반적으로 "교란"이라고 하며, 통신 시스템이나 레이다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 레이더 무기의 경우, 특정 신호(무선 또는 레이더)를 추적하여 직접 충돌 지점까지 따라가 시스템을 파괴하는 미사일이나 폭탄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전자 공격의 예로는 통신 방해, 레이다 교란, 지향성에너지 무기/레이저 공격, 소모성 유인체(플래어 및 채프) 등이 있다.[7]

2021년 11월, 이스라엘 항공 우주 산업은 함선, 무인 항공기, 미사일의 레이더와 통신을 동시에 그리고 다양한 거리에서 교란할 수 있는 스코르피우스라는 새로운 전자전 시스템을 발표했다.[7]
2024년 9월 8일, 러시아 드론이 루마니아와 라트비아 영공에 진입했다. 루마니아는 드론의 진행 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F-16 두 대를 출격시켰고, 드론은 루마니아 국방부에 따르면 페리프라바 근처 "무인 지역"에 착륙했다. 벨라루스에서 라트비아 영공으로 진입한 드론은 레제크네 근처에서 추락했다. 이는 ISW가 러시아 드론에 대한 우크라이나 전자전의 성공률 증가를 지적한 것과 관련이 있으며, "최근 알 수 없는 이유로 목표물에 도달하지 못한 러시아 샤헤드 드론 여러 대"가 그 결과라고 언급했다. 또한 Kh-58 두 대도 목표물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8][9][10]
전자전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33][34]
- 전자방해(ECM)
- * 재밍
- * 기만 방해
- * 유인탄
- ** 채프
- * 스텔스 기술[35]
- 대전파 방사원 무기(ARW)
- 유도에너지 무기(DEW)
3. 2. 전자 보호 (Electronic Protection, EP)
전자보호(Electronic Protection; EP영어)는 적의 전자 공격으로부터 아군을 보호하고, 아군의 전자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11] 이전에는 전자방호수단(EPM) 또는 전자 방해 방어책(ECCM)이라고 불렸다.전자 방호는 능동적인 것과 수동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 능동적 전자 방호: 주파수 확산과 같은 기술[2]
- 수동적 전자 방호: 운용자 교육, 작전 및 전술
전자 방해 방어책에는 확산 스펙트럼 기술, 제한된 주파수 목록 사용, 방출 제어(EMCON), 저관측성(스텔스) 기술 등이 있다.[2]
섬광탄은 종종 적외선 유도 미사일을 교란하여 목표물을 놓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적외선 유도 미사일의 유도 장치(탐색기 헤드)에서 적의 섬광탄 사용에 대응하기 위한 섬광탄 거부 논리를 사용하는 것은 EP의 한 예이다.
전자전 자체 방호(EWSP)는 주로 항공기에 장착되어 호스트를 무기 사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응책 시스템의 모음이며,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방향성 적외선 대응책(DIRCM, 섬광탄 시스템 및 적외선 미사일 방호를 위한 기타 형태의 적외선 대응책)
- 채프(레이더 유도 미사일 방호)
- DRFM 유인 시스템(레이더 표적 대공 무기 방호)
전자전 전술 훈련장(EWTR)은 전자전에서 작전하는 인원을 위한 훈련을 제공하는 훈련장이다. 유럽에는 두 곳의 사례가 있는데, 하나는 잉글랜드 컴브리아주 북서부에 있는 RAF 스패데덤에 있고, 다른 하나는 독일과 프랑스 국경에 있는 다국적 항공기 전자전 전술 시설 폴리고네 훈련장이다. EWTR은 지상 장비를 갖추어 항공기가 임무 중에 만날 수 있는 전자전 위협을 시뮬레이션한다. 지상 및 해군 부대를 위한 다른 전자전 훈련 및 전술 훈련장도 이용 가능하다.
반취약성 전자전은 표준 EP를 넘어서는 단계로, 재밍 공격의 결과로 재밍되고 있는 통신 링크의 성능이 실제로 향상되는 경우 발생하지만, 이는 반응형 재밍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만 가능하다.[12]
3. 3. 전자 지원 (Electronic warfare Support, ES)
전자 지원(Electronic Support; ES영어)은 아군의 전자기 스펙트럼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적의 전자기 스펙트럼 에너지를 수집, 도청, 분석하여 위협을 인식하고 전자전 활동(위협 회피, 추적 등)을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2]전자전 지원(ES)은 작전 사령관이나 운영자가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방출되는 전자기(EM) 에너지원을 탐지, 요격, 식별, 위치 파악 및/또는 국지화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를 포함하는 전자전의 하위 분류이다. 이러한 전자 지원 측정(ESM)은 가장 전술적이고 험준하며 극한 환경에서도 군사 서비스 요구를 충족하는 데 중점을 둔 즉각적인 위협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은 종종 단순히 정찰로 불리지만, 오늘날 더 일반적인 용어는 ISR 또는 ISTAR이다. 그 목적은 전장 사령관에게 위협에 대한 즉각적인 인식, 우선 순위 지정 및 표적 지정을 제공하는 것이다.[2]
신호정보(SIGINT)는 ES와 중복되는 분야로, 무선 통신, 휴대전화, 레이더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통신과 같은 출처에서 가로채는 전송을 분석하고 식별하는 관련 프로세스이다. SIGINT는 전자 정보(ELINT)와 통신 정보(COMINT)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이러한 범주의 신호에서 측정되는 분석 매개변수에는 주파수, 대역폭, 변조 및 편광이 포함될 수 있다.
SIGINT와 ES의 차이는 수집 자산의 제어자, 제공되는 정보 및 정보의 의도된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전자전 지원은 사령관의 작전 통제하에 있는 자산에 의해 수행되어 전술 정보, 특히 위협 우선 순위 지정, 인식, 위치, 표적 지정 및 회피를 제공한다. 그러나 ES를 담당하는 동일한 자산과 자원은 더 전략적인 정보에 대한 수집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정보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다.[2]
전자전 지원(Electronic warfare Support, ES)이란 전장에서 수동적으로 전자기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아군 이외의 목표를 발견, 식별하고 잠재적 위협 또는 표적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활동이다. 적의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기 위해 적의 전자기 방사를 탐색, 수신, 분석하는 활동을 가리키며, 이전에는 전자지원 수단(electronic support measures, ESM)이라고 불렸다.
전자 지원은 적군의 전장 위치 확인에 사용되며, 전자 공격 및 전자 방호에도 사용된다. 전자 공격은 전자기파 방사를 수반하기 때문에 적에게 발각될 것을 전제로 하지만, 전자 지원은 적에게 존재나 행위, 의도를 알리지 않도록 노력하여 수행된다. 세계 여러 국가의 군대와 정보기관은 유사시 전자전에서 우위를 점할 전술 정보를 얻기 위해 평시부터 적성국의 전자기 방사를 수신, 분석하여 전자 장비 및 그 운용에 관한 정보 수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4. 전자기 환경
현대전에서는 전자기 스펙트럼을 활용하는 군사작전이 중요해짐에 따라, 전자기 환경(EME)에서의 작전이 필수적이다. 군은 전자기 환경에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이를 이용하여 작전을 지원해야 한다. 전자전은 정보전의 일부이며, 공격 및 방어 정보 제압을 포함한다.[2]
NATO는 전자전을 EME에서의 전쟁으로 간주하며, 전자 공격(EA), 전자 방어(ED), 전자 감시(ES)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전통적인 전자전 용어인 전자 대응책(ECM), 전자 보호 조치(EPM), 전자 지원 조치(ESM)도 여전히 사용된다. 전자전 외에도 정보, 감시, 표적 획득 및 정찰(ISTAR) 및 신호 정보(SIGINT)와 같은 EM 작전이 있다.[5]
전자전 활동은 물리학의 EM 에너지에 내재된 기회와 취약성을 활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여기에는 전기 광학, 적외선 및 무선 주파수 대응책, EM 호환성 및 기만, 전파 방해, 레이더 방해 및 기만, 전자 대 대응책, 전자 차폐, 탐색, 정찰 및 정보, 전자 보안, 전자전 재프로그래밍, 방출 제어, 스펙트럼 관리, 전시 예비 모드 등이 포함된다.[2][4]
현대전에서 레이더와 무선 통신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각국 군대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최신 전파 관련 군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29]
5. 관련 부대
; 일본
- 전자전 부대: 육상자위대 육상총대 예하 전자전 부대이다.
- 서부방면통신정보대: 육상자위대 서부방면정보대 예하 전자전 부대이다.
- 전자전군: 항공자위대 항공전술교도단 직할 전자전기 비행부대이다.
- 제81항공대: 해상자위대 항공집단 소속 전자전기 비행부대이다.
; 미국
- MDTF 전자전 부대: 미국 육군 특수작전사령부의 MDB(멀티도메인 전투) 개념에 대응하도록 편성된 특수부대이다. 전자전, 사이버 공격, 정보작전 및 미사일 능력을 보유한 부대로, 장거리 정밀 무기, 극초음속 미사일, 정밀 타격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다.
- 전자 공격 비행대: 각 미국 해군 항공모함 항공단의 전자전기 비행부대이다.
- 제1함대 정찰비행대: 미국 해군 제10초계·정찰항공단의 전자정찰기 부대이다.
; 중국
- 중국 관련 부대는 원문에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5. 1. 미국
- MDTF 전자전 부대
- *: 미국 육군 특수작전사령부의 MDB(멀티도메인 전투) 개념에 대응하도록 편성된 특수부대이다. 전자전, 사이버 공격, 정보작전 및 미사일 능력을 보유한 부대로, 장거리 정밀 무기, 극초음속 미사일, 정밀 타격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다.
- 전자 공격 비행대
- *: 각 미국 해군 항공모함 항공단의 전자전기 비행부대이다.
- 제1함대 정찰비행대
- *: 미국 해군 제10초계·정찰항공단의 전자정찰기 부대이다.
5. 2. 일본
6. 전자전기
각국은 전자전 수행을 위한 다양한 전자전기를 개발, 운용하고 있다.
미국은 EA-18G 그라울러와 EC-37B를 운용한다.[1][2] EA-18G 그라울러는 ALQ-99 전자전 포드를 탑재하여 최대 160km 거리에서 전파 간섭이 가능하다.
기종 | 전력 사용량 |
---|---|
EA-18G 그라울러 | 211kW |
EC-37B | 480kW |
일본은 YS-11EA, EC-1, RC-2 등을 운용한다.[1][2][3] YS-11EA는 J/ALQ-7 전파방해 포드를 무장하고 있으며, EC-1은 전자전 훈련기 명목으로 배치되었으나 사실상 전자전기이다. RC-2는 전파정보 수집기이다.
러시아는 Il-22PP라는 전파방해 능력을 가진 전자전기를 개발했다.
중국은 J-15를 개량한 전자전기 J-15D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km 거리의 전파 간섭을 할 수 있다.
6. 1. 미국
EA-18G 그라울러는 ALQ-99 전자전 포드를 탑재하며, 최대 160km 거리에서 전파 간섭이 가능하다.[1] EC-37B도 운용한다.[2]기종 | 전력 사용량 |
---|---|
EA-18G 그라울러 | 211kW |
EC-37B | 480kW |
6. 2. 일본
- YS-11EA: J/ALQ-7 전파방해 포드를 무장하고 있는 전자전기이다.[1]
- EC-1: 전자전 훈련기 명목으로 배치했으나 사실상 전자전기이다.[2]
- RC-2: 전파정보 수집기이다.[3]
6. 3. 러시아
Il-22PP는 러시아가 개발한 전파방해 능력을 가진 전자전기이다.6. 4. 중국
J-15D는 J-15를 개량한 전자전기이며, 200km 거리의 전파 간섭을 할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To Rule the Invisible Battlefield: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and Chinese Military Power
https://warontherock[...]
2021-01-22
[2]
간행물
Joint Publication 3-13.1 Electronic Warfare
https://fas.org/irp/[...]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CJCS) - Armed For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1-05-01
[3]
웹사이트
Russian Electronic Warfare. Page 20
https://www.foi.se/r[...]
2018-10-10
[4]
간행물
Electronic Warfare; Air Force Doctrine Document 2-5.1
http://www.dtic.mil/[...]
Secretary of the Air Force
2011-05-01
[5]
웹사이트
Electromagnetic warfare
https://www.nato.int[...]
2023-09-21
[6]
서적
Compressive Sensing Based Algorithms for Electronic Defence
Springer Cham
2017
[7]
웹사이트
Having a catch up with… Lynette Willoughby
https://leedscreativ[...]
2021-11-13
[8]
뉴스
NATO members Romania, Latvia report Russian drones breach airspace
https://www.reuters.[...]
2024-09-10
[9]
뉴스
Ukraine successfully adapting and developing capabilities to counter Russian UAVs – ISW
https://www.pravda.c[...]
2024-09-10
[10]
뉴스
RUSSIAN OFFENSIVE CAMPAIGN ASSESSMENT, SEPTEMBER 8, 2024
https://www.understa[...]
2024-09-10
[11]
웹사이트
Deconflicting Electronic Warfare in Joint Operations
https://apps.dtic.mi[...]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22-07-31
[12]
학술지
Antifragile Communications
2016-02
[13]
웹사이트
History of Electronic Warfare
http://ew30.blogspot[...]
2018-08-14
[14]
웹사이트
Electronic Warfare in Vietnam: Did We Learn Our Lessons?
http://apps.dtic.mil[...]
2018-08-14
[15]
웹사이트
And They Struck Them With Blindness
http://www.jpost.com[...]
2018-08-14
[16]
웹사이트
Israel Shows Electronic Prowess
http://aviationweek.[...]
2018-08-14
[17]
웹사이트
Borisoglebsk-2
http://www.deagel.co[...]
[18]
웹사이트
Russian Army Units of Eastern District Have Received New Borisoglebsk-2 Electronic Warfare Vehicles
http://armyrecogniti[...]
2018-08-14
[19]
뉴스
Putins nya supervapen skrämmer Nato
http://www.svd.se/pu[...]
2015-08-16
[20]
웹사이트
Russian Military News in English
http://shokidriver.b[...]
2015-02-09
[21]
간행물
The Russian Air War and Ukrainian Requirements for Air Defence
https://static.rusi.[...]
Royal United Services Institute
2022-11-07
[22]
웹사이트
Russia's Electronic-Warfare Troops Knocked Out 90 Percent Of Ukraine's Drones
https://www.forbes.c[...]
2022-12-24
[23]
웹사이트
GPS-Guided Bombs Should've Been Ukraine's Ace in the Hole. Then, Russian Jamming Stepped In
https://www.popularm[...]
2023-04-21
[24]
웹사이트
Ukraine is losing 10,000 drones a month to Russian electronic-warfare systems that send fake signals and screw with their navigation, researchers say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2023-05-26
[25]
뉴스
Trenches and tech on Ukraine's southern front
https://www.economis[...]
2023-10-31
[26]
X(Twitter)
GMLRS strike
https://twitter.com/[...]
2024-03-11
[27]
웹사이트
'Big Win' For HIMARS! Russia’s 'Notorious' Palantin EW System, That Kept Spoofing Ukrainian Drones, Bites The Dust
https://www.eurasian[...]
2024-03-13
[28]
웹사이트
Ukraine Destroys Russia's New High-Tech Radar Jammer With US-Made HIMARS
https://www.newsweek[...]
[29]
일반
[30]
일반
[31]
일반
[32]
웹사이트
CHAPTER 6 - ELECTRONIC COMBAT SYSTEMS
http://www.dtic.mil/[...]
2013-07-11
[33]
서적
방위용 IT의 모두 (방위기술선서―병기와 방위기술 시리즈)
방위기술협회
[34]
서적
전자전의 기술 기초편
도쿄전기대학 출판국
[35]
일반
[36]
웹인용
美·日, '이지스함 탑재 레이더' 공동개발 나설듯…北·中 견제
http://www.newspim.c[...]
2021-08-19
[37]
웹인용
Japan designing 5th generation stealth fighter {{!}} Defence-Point.com
https://defence-poin[...]
2021-08-19
[38]
웹인용
北, GPS 교란 어떻게 막나
http://www.dongascie[...]
동아사이언스
2021-08-19
[39]
웹인용
해수부, 영국과 첨단기술협력 MOU 체결
https://news.nate.co[...]
2024-11-12
[40]
웹인용
[단독]KAI 두차례 해킹… ‘KF-21’ 설계도면 유출
https://www.donga.co[...]
2021-08-19
[41]
웹인용
첫 국산 전투기 기술 北에 해킹?…KAI, 경찰에 수사 의뢰
https://www.newsis.c[...]
NEWSIS
2021-08-19
[42]
웹인용
[단독] 北,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기술도 해킹했다
http://news.tvchosun[...]
2021-08-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전자전기' 개발 사업 개시…또 '네거티브' 꿈틀 [취재파일]
극초음속 미사일·무인포탑 전차…중국 ‘강군몽’ 미래로 줄달음
“한국·필리핀 유사시 대비…주일 미군에 복합전투부대 지휘부 설치 검토”
대한항공·LIG, 전자전쟁 대비 특수기 만든다
“적 레이다 마비시켜라”…대한항공·LIG넥스원, 전자파 무장 항공기 개발 나선다
대한항공·LIG 한국형 전자戰 항공기 출사표
대한항공, 1.8조 방산 사업 도전…‘전자전 비행기’ 협업개발 나서
[단독] 민간인 노상원 방위사업 개입 정황…군 관계자와 ‘무인기 예산’ 논의
대한항공, LIG 손잡고 1조8000억 특수임무기 개발 사업 수주 나선다
After N. Korea sent 9M shells to Russia, Moscow provided it with a mobile air defense system
스텔스 전투기가 ‘가상의 적’으로 활동…한·미 ‘프리덤 플래그’ 훈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