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4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4 조약은 동·서독과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등 6개국이 독일 통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990년 5월부터 9월까지 4차례에 걸쳐 개최한 2+4 회담의 결과로, 1990년 9월 12일 서명되었다. 이 조약은 통일 독일의 국제적 지위를 결정하고, 영토 및 군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독일의 완전한 주권 회복, 군대 규모 제한, 핵무기 포기, 소련군의 1994년까지 철수, 폴란드와의 국경 확정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NATO의 동진 확장에 대한 논란과 러시아의 입장이 대두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배상 문제와 관련하여 그리스가 독일을 상대로 배상을 청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프랑스 - 생태주의 시대
    생태주의 시대는 프랑스에서 생태주의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인물들을 지칭하며, 이브 피에트라산타, 델핀 바토 등이 이끌었고 프랑수아 가메르와 브리스 라롱드 또한 관련 활동을 했다.
  • 1990년 프랑스 - 1990년 칸 영화제
    1990년 5월 10일부터 21일까지 프랑스 칸에서 개최된 1990년 칸 영화제는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광란의 사랑》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경쟁 부문, 주목할 만한 시선, 비경쟁 부문 등 다양한 섹션에서 여러 국가의 영화들이 상영되고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등 다양한 독립 부문 수상도 이루어졌다.
  • 1990년 정치 - 3당 합당
    1990년 노태우 정부 주도로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한 3당 합당은 안정적인 국정 운영 도모, 각 당 총재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내각제 개헌 조건 등의 배경 속에서 거대 여당 탄생 및 정국 주도권 확보를 가져왔으나, 지역주의 심화 및 민주 진영 분열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1990년 정치 - 독일의 재통일
    독일의 재통일은 냉전 종식과 동독 주민들의 민주화 요구, 서독 정부의 통일 정책에 힘입어 동독이 서독에 흡수 통합되면서 45년 만에 이루어진 사건으로, 경제, 화폐, 정치 제도의 통합과 국제적인 승인을 통해 분단을 극복한 상징적인 사례이지만, 동서독 간 경제적 격차와 사회·문화적 이질감이라는 과제도 남겼다.
  • 1990년 소련 - 검은 1월
    1990년 1월 20일, 소련군이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침공하여 인민 전선당을 진압한 검은 1월은 아제르바이잔의 민주화 및 독립운동과 소련의 무력 진압 간의 대립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아제르바이잔 독립의 계기가 되었다.
  • 1990년 소련 - 소련의 붕괴
    소련의 붕괴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정치적, 경제적 체제가 붕괴된 사건으로, 고르바초프의 개혁 정책과 민족주의 운동, 경제 위기, 체르노빌 사고 등이 원인이 되어 각 공화국의 독립 선언 후 1991년 12월 26일 공식 해체되었고 냉전 종식과 새로운 국제 관계 구도를 형성했다.
2+4 조약
조약 정보
이름독일 최종 해결 조약
원어 이름 (독일어)Vertrag über die abschließende Regelung in Bezug auf Deutschland
원어 이름 (프랑스어)Traité sur le règlement final en ce qui concerne l'Allemagne
원어 이름 (러시아어)Договор об окончательном урегулировании в отношении Германии
별칭2+4 조약
원어 별칭 (프랑스어)Accord Deux Plus Quatre
원어 별칭 (러시아어)Соглашение «Два плюс четыре»
조약 유형독일 통일 합의 후 재통일 독일과 연합국 관계 규정
초안 작성일1990년 2월 13일
서명일1990년 9월 12일 (모스크바 시간)
서명 장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효력 발생일1991년 3월 15일
보관 기관독일 연방 공화국 정부
사용 언어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서명 당사국
조약 당사국

2. 배경

1945년 5월 8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무조건 항복한 후, 연합국은 베를린 선언을 통해 독일 중앙 정부가 존재하지 않음을 선언했다. 같은 해 8월 1일 포츠담 회담에서 공포된 포츠담 협정은 연합국이 독일을 통치할 초기 조건을 설정했다. 이 협정에 따라 독일은 연합국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고, 오데르-나이세 선이 임시 독일-폴란드 국경으로 설정되면서 독일의 옛 동부 영토 대부분이 폴란드소련에 할당되었다. 이 지역의 독일인들은 추방되었다.[7]

전후 냉전이 심화되면서 독일은 서독(독일 연방 공화국)과 동독(독일 민주 공화국)으로 분단되었고, 통일된 독일 정부 수립은 요원해졌다. 연합국과 독일 사이에는 정식 평화 조약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이로 인해 독일은 완전한 주권을 갖지 못했다.[7] 오데르-나이세 국경 문제에 대해 동독은 1950년 즈고젤레츠 조약을 통해 이를 수용했지만, 서독은 할슈타인 독트린에 따라 이를 인정하지 않다가 1970년 바르샤바 조약에서 임시적으로만 인정하며 최종적인 국경 확정은 미래의 평화 조약으로 미루었다. 이처럼 "독일 문제"는 냉전 시대의 중요한 국제 현안으로 남았다.

1985년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취임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추진한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 그리고 신사고 외교 및 시나트라 독트린(동유럽 국가들에 대한 내정 불간섭 선언)은 동유럽권의 민주화 운동을 촉진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1989년 동독에서는 Die Wende|디 벤데de(변화)와 평화 혁명으로 불리는 민주화 요구가 거세졌고, 같은 해 10월 강경파인 에리히 호네커 정권이 퇴진했다. 마침내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면서 독일 통일의 가능성이 열렸다.

1990년 3월 14일, 외무부에서 열린 2+4 회담 1차 회의 참가자들. 한스디트리히 겐셔 외무장관 등이 보인다.


1990년 3월 18일 동독에서 실시된 최초의 자유 총선에서 조속한 통일을 주장하는 정당 연합이 승리하면서 통일 과정은 급물살을 탔다.[7][6] 1990년 7월 1일에는 동서독 간의 화폐 통합이 이루어졌고, 8월 31일에는 독일 재통일 조약이 체결되어 동독이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 제23조에 따라 서독에 편입되는 방식의 통일이 결정되었다.[7]

동서독 통일이 가시화되자 통일 독일의 국제적 지위, 영토 확정, 군사 문제 등 제2차 세계 대전 전승국들의 권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동독과 서독, 그리고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등 4개 전승국 대표가 참여하는 2+4 회담이 개최되었다. 이 회담은 1990년 2월 9일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미국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의 모스크바 회담에서 처음 제안되었으며,[4][5] 같은 해 5월 5일부터 9월 12일까지 총 4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 회담을 통해 마련된 조약이 바로 '''2+4 조약'''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45년간 지속된 독일 문제를 최종적으로 마무리하고 통일 독일의 완전한 주권을 회복시키는 법적 토대가 되었다. 이 조약은 사실상 연합국과 통일 독일 간의 평화 조약에 준하는 성격을 가지지만, 독일 연방 공화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이를 평화 조약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43]

3. 주요 내용

2+4 조약의 결과로 독일은 1991년 3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4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으로부터 베를린을 포함한 완전한 주권을 회복했다.[7][8] 이 조약은 통일 독일이 스스로의 동맹 관계를 자유롭게 결정할 권리를 부여했으며,[7] 이에 따라 독일은 NATO유럽 공동체(현 EU)에 잔류하기로 결정했다.[9] 이는 2+4 회담 당시 소련과의 주요 쟁점 중 하나였던 독일의 NATO 잔류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합의였다.

조약은 통일 독일의 군사력에 대한 주요 제한 사항을 포함했다. 독일군의 총 병력 규모는 37만 명으로 제한되었고,[10] 핵무기, 생물학 무기, 화학무기의 생산, 보유, 통제를 포기하며 핵확산 금지 조약(NPT)을 준수할 것을 재확인했다.[7] 또한 구 동독 지역과 베를린에는 외국 군대나 핵무기, 핵무기 운반 시스템의 배치가 금지되어 사실상 비핵 지대가 되었다.[7]

2+4 조약 최종 서명 문서. 프랑스, 소련, 영국, 미국 외무장관의 서명이 보인다. (독일어·영어·프랑스어·러시아어)


미래의 영토 분쟁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통일 독일의 국경을 명확히 규정한 것도 조약의 핵심 내용이다. 독일의 영토는 동독, 서독, 그리고 베를린의 영역으로 한정되었으며,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옛 독일 동부 영토에 대한 모든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 이는 1990년 11월 14일 폴란드와 체결한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을 통해 재확인되었다.[7] 더 나아가 기본법을 개정하여, 현재 정의된 영토 외의 다른 지역이 독일에 합병을 요청하는 것을 헌법적으로 금지하도록 했다.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45년간 지속된 연합국의 독일에 대한 권한을 종식시키고, 통일 독일에 완전한 주권을 부여한 역사적인 합의로 평가받는다. 이는 냉전 종식과 유럽의 새로운 질서 형성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3. 1. 소련군 철수 및 독일군 감축

독일 주둔 소련군은 1994년 말까지 독일 영토에서 철수해야 했다.[7] 철수가 완료되기 전까지 독일은 구 동독 지역에 NATO와 같은 동맹 구조에 통합되지 않은 영토 방위 부대만을 배치할 수 있었으며, 이 지역의 독일군은 소련군 주둔 지역에 배속되었다. 소련군이 철수한 후에는 핵무기를 제외하고 해당 지역에 독일군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 소련군 주둔 기간 동안 연합군 병력은 독일의 요청에 따라 베를린에 주둔할 수 있었다.[7]

1991년 12월 소련의 붕괴 이후, 독일 주둔 소련군의 지휘권은 러시아 연방으로 이전되었다. 독일 정부는 러시아를 소련의 승계 국가로 인정하여 1994년 말까지 군대 주둔 권리를 인정했다. 그러나 소련 붕괴 후 러시아가 겪은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독일 주둔 러시아군의 규모를 조약에서 허용한 수준보다 훨씬 낮게 줄이도록 명령했다. 마지막 러시아군은 조약에서 정한 기한보다 4개월 앞선 1994년 8월 말에 독일을 떠났다.

조약에 따라 독일은 군대 규모를 37만 명 이하로 감축하기로 합의했으며, 이 중 육군공군에 속하는 인원은 34만 5천 명 이하여야 했다.[10] 이러한 병력 제한은 유럽 재래식 무기 제한 조약이 발효되는 시점부터 적용될 예정이었다.[10] 또한 독일은 핵무기, 생물학 무기, 화학 무기의 제조, 소유 및 통제를 포기한다는 기존의 약속을 재확인했으며, 특히 핵확산 금지 조약이 통일된 독일(독일 연방 공화국)에 완전히 적용될 것임을 확인했다.[7] 구 동독 지역(베를린과 구 동독 지역 6개 주)에는 어떠한 외국 군대, 핵무기 또는 핵무기 운반체도 주둔하거나 배치될 수 없으며, 이 지역은 영구적인 핵무기 없는 지역이 되었다. 독일군은 순수한 재래식 역할을 위해 장착되고 설계된 경우에 한해 비재래식 능력을 갖춘 재래식 무기 체계를 배치할 수 있었다. 독일은 또한 유엔 헌장의 원칙에 따라서만 군사력을 사용하기로 동의했다.[7]

21세기 첫 10년 동안 독일 연방군은 완전한 직업 군대로 점진적인 변화를 겪었다. 독일이 자발적으로 징병제를 중단한 2011년 7월 1일까지, 독일 연방군은 25만 명 미만의 현역 병력을 유지했는데, 이는 조약상 제한 인원인 37만 명의 3분의 2에 불과한 수준이었다.[11][12] 당시 국방부 장관 카를-테오도어 추 구텐베르크는 병력을 18만 5천 명으로 감축하는 방안이 예상된다고 밝혔다.[11][12]

4. NATO 확장 논란과 러시아의 입장

유럽 내 NATO 확장의 역사를 보여주는 지도


2+4 조약 자체는 독일 영토 외 다른 국가의 NATO 가입 가능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20] 이는 해당 국가들이 조약 당사국이 아니었고, 당시 NATO 회원국 15개국 중 4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서독)만이 조약 서명국이었기 때문이다.

NATO 확장 논란은 1990년 2월 미하일 고르바초프 당시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 제임스 베이커 미국 국무장관의 회담에서 시작되었다. 이 회담 기록에 따르면 베이커 장관은 통일 독일에서 NATO가 "동쪽으로 1인치도 확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언했으며,[33][4][5] 이는 초기에는 통일 독일의 동독 지역에 NATO 군대를 주둔시키지 않겠다는 의미로 구체화되었다.[5]

그러나 이 발언의 해석을 둘러싸고 지속적인 논쟁이 이어졌다. 일부 평론가들은 이 약속이 동유럽 전체에 적용된다고 주장했으나,[21][22][23] 2014년 고르바초프 자신은 해당 약속이 동독에만 국한되었으며 NATO가 그 약속을 지켰다고 밝혔다.[24][25][26] 당시 협상에 참여했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역시 NATO가 동유럽 국가들에 대해 비확장 약속을 한 적이 없으며, 독일 통일 회담에서 "그 문제는 결코 제기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27][28] 이는 당시 동유럽 국가들이 여전히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이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29][30]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르바초프와 후임자 보리스 옐친은 이후 NATO의 동유럽 확장이 과거 합의의 '정신'을 위반한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다.[25][31][32]

다양한 연구와 해석도 존재한다. 2017년 톰 블랜튼과 스베틀라나 사브란스카야는 기밀 해제 문서를 근거로 서방 지도자들이 소련 내 변화를 고려해 동유럽 확장을 보류했으며, 논의가 동독에만 국한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4][33] 반면 하네스 아도마이트는 2018년 이 문서들이 새롭지 않으며 비공식 대화와 구속력 있는 약속은 구분해야 한다고 반박했다.[34] 마크 트라첸버그(2021)는 "러시아 주장이 근거 없지는 않지만… 소련이 의도적으로 오해받은 것은 아니다"라고 분석했고,[35][36] 메리 엘리스 사로테(2021)는 러시아의 배신 주장이 법적 사실은 아니나 심리적 진실을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37]

2022년 2월, 독일 슈피겔지는 1991년 3월 6일자 영국 비밀 메모를 인용하며, 당시 서독 외무부 대표 위르겐 크로보그가 "2+4 협상 동안 우리는 [독일]이 NATO를 엘베강 너머로 확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명확히 했다"고 발언했다고 보도했다.[38][39][40] 그러나 슈피겔은 크로보그가 오데르강엘베강으로 혼동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서독 정부가 NATO를 대신해 구속력 있는 발언을 할 위치도 아니었다고 지적했다.[24][38][39]

이러한 논란 속에서 NATO는 동유럽으로 확장을 지속했다. 1999년 체코, 헝가리, 폴란드를 시작으로 2024년 스웨덴까지 총 16개국이 추가 가입했으며, 이 중 5개국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1997년 체결된 러시아-NATO 기본 조약에도 불구하고[13] 양측 관계는 2004년 우크라이나 오렌지 혁명 이후 악화일로를 걸었다. 러시아는 유럽 재래식 무기 제한 조약 참여 중단(2007) 및 완전 탈퇴(2015),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에 대한 반발과 러시아-조지아 전쟁(2008), 에너지 헌장 조약 비준 거부(2009) 등으로 NATO와 대립했다.[14][15]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이후 NATO는 러시아와의 실질적 협력을 중단했다.[16]

러시아는 2021~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당시 NATO 비확장 약속 위반 주장을 다시 제기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 금지를 요구했으나 거부당했고, 이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이어졌다. 러시아는 이 주장을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 위반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했지만 NATO는 이를 부인했다.[41][42] 침공 이후 NATO 회원국들은 러시아-NATO 기본 조약이 러시아에 의해 파기된 것으로 간주하고, 2022년 NATO 마드리드 정상회의에서 러시아를 유로-대서양 안보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공식 선언했다.[19][24]

5. 전후 배상 문제

2015년, 그리스 경제 위기에 직면한 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 그리스 대통령은 독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독일을 상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생한 피해에 대한 배상 청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스 측이 추산한 배상 청구액은 약 2.787조유로에 달했다. 그러나 독일 정부는 2+4 조약에서 "독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을 종결한다"고 명시된 점과, 그리스를 포함한 당시의 유럽 안보 협력 회의(CSCE) 회원국들이 같은 해 채택한 파리 헌장에 동의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 독일은 이를 바탕으로 배상 문제가 "법적, 정치적으로 이미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며 그리스의 배상 요구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44]

참조

[1] 웹사이트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https://treaties.un.[...] 1990-09-12
[2] 웹사이트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https://foothill.edu[...]
[3] 웹사이트 Legal Aspects of the Unification of the Two German States http://www.ejil.org/[...]
[4] 웹사이트 Newly Declassified Documents: Gorbachev Told NATO Wouldn't Move Past East German Border https://nationalinte[...] 2022-03-08
[5] 간행물 A Broken Promise: What the West Really Told Moscow about NATO Expansion 2014-09
[6] 서적 Dissolution: The Crisis of Communism and the End of East Germa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7] 서적 Germany Unified and Europe Transformed: A Study in Statecraft Harva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he Two plus Four Treaty http://www.auswaerti[...] Federal Foreign Office (Germany)
[9] 학술지 An 'Arm around the Shoulder': The United States, NATO and German Reunification, 1989-90 https://www.jstor.or[...] 1994
[10] 웹사이트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two plus four) https://usa.usembass[...] 1990-09-12
[11] 뉴스 German army 'to suspend' conscription in 2011 https://www.bbc.com/[...] 2024-11-18
[12] 뉴스 60 Year Anniversary of the German Compulsory Military Service Act | in Custodia Legis https://blogs.loc.go[...] 2016-07-21
[13] 웹사이트 Founding Act on Mutual Relations, Cooperation and Security between NATO and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ww.nato.int[...] NATO
[14] 뉴스 Russia gets tough on energy sales to Europe: No foreign access to pipelines, official say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6-12-12
[15] 웹사이트 Arbitration Panel Holds That the 1994 Energy Charter Treaty Protects Foreign Energy Sector Investments in Former Soviet Union https://www.skadden.[...] 2010-05-08
[16] 웹사이트 NATO-Russia Relations: The Background https://www.nato.int[...] NATO 2021-06-11
[17] 웹사이트 Lavrov Says Russia Wants Military Cooperation With NATO, 'Pragmatic' U.S. Ties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21-06-11
[18] 뉴스 Russian, NATO Diplomats Discuss Military Deployments in Baltic Sea Region The Wall Street Journal 2017-03-30
[19] 뉴스 NATO brands Russia the biggest 'direct threat' to Western security, as it eyes off 'serious challenges' posed by China https://www.abc.net.[...] 2022-06-30
[20] 학술지 Two plus four: The lessons of German unification https://is.cuni.cz/s[...] 2000-09-22
[21] 뉴스 Gorbachev's Lost Legacy http://www.thenation[...] 2005-02-24
[22] 뉴스 Gorbachev: US could start new Cold War https://www.telegrap[...] 2022-02-07
[23] 웹사이트 Memorandum of conversation between Baker, Shevardnadze and Gorbachev https://nsarchive.gw[...]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22-02-28
[24] 뉴스 Archivfund: Was die Notiz über die Nato-Osterweiterung bedeutet https://www.welt.de/[...] 2022-05-31
[25] 웹사이트 Mikhail Gorbachev: I am against all walls http://rbth.com/inte[...] 2022-01-31
[26] 웹사이트 Did The West Promise Moscow That NATO Would Not Expand? Well, It's Complicated https://www.rferl.or[...] 2022-10-01
[27] 학술지 NATO Enlargement—Was There a Promise? https://muse.jhu.edu[...] 2017-07-01
[28] 학술지 The Myth of a No-NATO-Enlargement Pledge to Russia https://ciaotest.cc.[...] 2009-04-01
[29] 웹사이트 Did NATO Promise Not to Enlarge? Gorbachev Says 'No'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14-11-06
[30] 웹사이트 NATO Expansion: Was There A Promise? http://jackmatlock.c[...] 2014-04-03
[31] 뉴스 NATO's Eastward Expansion: Is Vladimir Putin Right? https://www.spiegel.[...] 2022-04-23
[32] 웹사이트 Mikhail Gorbachev: I am against all walls https://www.rbth.com[...] 2022-02-07
[33] 웹사이트 NATO Expansion: What Gorbachev Heard https://nsarchive.gw[...]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17-12-12
[34] 학술지 NATO's Eastward Enlargement: What Western Leaders Said https://www.baks.bun[...] Federal Academy for Security Policy 2021-06-26
[35] 학술지 The United States and the NATO Non-extension Assurances of 1990: New Light on an Old Problem? http://www.sscnet.uc[...]
[36] 웹사이트 Article Review 151 on 'The United States and the NATO Non-extension Assurances of 1990' https://issforum.org[...] 2021-11-11
[37] 뉴스 Russia's belief in Nato 'betrayal' – and why it matters today https://www.theguard[...] 2022-01-12
[38] 뉴스 (S+) Nato-Osterweiterung: Aktenfund von 1991 stützt russische Version https://www.spiegel.[...] 2022-02-18
[39] 웹사이트 Treaties with Russia contained no pledge NATO would not expand – German Foreign Ministry https://tass.com/wor[...] 2022-05-14
[40] 웹사이트 Letter #45, 2022, Mon, Mar 7: Viganò https://insidethevat[...] 2022-05-14
[41] 웹사이트 Russia's accusations – setting the record straight, Fact Sheet – April 2014 http://www.nato.int/[...] 2014-05-12
[42] 간행물 NATO enlargement and Russia: myths and realities http://www.nato.int/[...] NATO 2014
[43] 논문 ナチス時代の強制労働者補償問題 ―『終わることのない責任』? https://aue.repo.nii[...] 愛知教育大学地域社会システム講座 2011
[44] 웹사이트 ドイツを揺さぶる戦後処理 財政危機のギリシャ賠償額36兆円と試算 独政府は「解決済み」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