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인도에서 개최된 여자 U-19 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마르가오의 파토르다 스타디움과 바스코다가마의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일본이 중화 타이베이를 꺾고 우승했으며, 일본과 중화 타이베이는 2002년 FIFA U-19 세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청소년 축구 - 200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0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스위스에서 개최되었으며, 체코가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02년 청소년 축구 - 2002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2002년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되어 대한민국이 우승했으며, 대한민국, 예멘, 중국이 2003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 자격을 얻었다. - 2002년 4월 -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대통령 임기 단축 후 처음 치러졌으며, 자크 시라크가 장마리 르펜을 꺾고 당선되었다. - 2002년 4월 -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는 2002년 김해국제공항 착륙 중 돗대산에 추락하여 129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기장의 부적절한 조종과 승무원 자원 관리 미흡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 2002년 여자 축구 - 슈팅 라이크 베컴
슈팅 라이크 베컴은 2002년 개봉한 영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영국계 인도인 소녀가 축구에 대한 열정을 가족과 사회적 편견 속에서 펼쳐나가는 이야기를 다루며,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 2002년 여자 축구 -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
2002년 CONCACAF 여자 골드컵은 2003년 FIFA 여자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을 겸하여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우승하고 미국과 캐나다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002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개최 연도 | 2002년 |
개최 기간 | 2002년 4월 19일 – 2002년 4월 28일 |
개최국 | 인도 |
참가 팀 수 | 12개국 |
경기장 수 | 2개 |
도시 수 | 2개 |
결과 | |
우승 횟수 | 1회 |
통계 | |
총 경기 수 | 22경기 |
총 득점 수 | 161골 |
득점왕 | 쩡슈어 |
대회 관련 | |
다음 대회 | 2004년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2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인도에서 개최되었으며, 두 도시가 경기를 주최했다.
2. 1. 경기장
마르가오의 파토르다 스타디움과 바스코다가마의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열렸다.3. 조별 예선
2002년 4월 19일부터 4월 24일까지 해당 대회의 조별 예선이 진행되었다. 각 조 1위 팀과 각 조 2위 팀 중 가장 성적이 좋은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조별 예선은 A조, B조, C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A조에서는 일본이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 B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와 중국이 각각 2승 1무(승점 7점)를 기록했지만, 골득실차에서 중화 타이베이가 앞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조 2위로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는 다음과 같으며, 중국이 준결승에 진출하고, 대한민국과 미얀마는 탈락하였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B | 중국 | 3 | 2 | 1 | 0 | 32 | 0 | +32 | 7 | 준결승전 진출 |
A | 대한민국 | 3 | 2 | 0 | 1 | 17 | 7 | +10 | 6 | 조별 예선 탈락 |
C | 미얀마 | 3 | 2 | 0 | 1 | 7 | 8 | -1 | 6 | 조별 예선 탈락 |
3.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31 | 0 | +31 | 9 |
대한민국 | 3 | 2 | 0 | 1 | 17 | 7 | +10 | 6 |
인도 | 3 | 1 | 0 | 2 | 6 | 13 | -7 | 3 |
괌 | 3 | 0 | 0 | 3 | 0 | 34 | -34 | 0 |
경기 (2002년) | 결과 | width=200 | |
---|---|---|
4월 19일 | 대한민국 4–0 인도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4월 19일 | 일본 15–0 괌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4월 21일 | 일본 7–0 대한민국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4월 21일 | 괌 0–6 인도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4월 23일 | 일본 9–0 인도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4월 23일 | 괌 0–13 대한민국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3. 2. B조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02년 4월 20일 | 중국 | 15 – 0 | 싱가포르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2002년 4월 20일 | 중화 타이베이 | 15 – 0 | 홍콩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2002년 4월 22일 | 중국 | 0 – 0 | 중화 타이베이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2002년 4월 22일 | 싱가포르 | 2 – 1 | 홍콩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2002년 4월 24일 | 중국 | 17 – 0 | 홍콩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2002년 4월 24일 | 싱가포르 | 0 – 18 | 중화 타이베이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3. 3.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0 | 0 | 18 | 0 | +18 | 9 |
미얀마 | 3 | 2 | 0 | 1 | 7 | 8 | -1 | 6 |
태국 | 3 | 1 | 0 | 2 | 2 | 12 | -10 | 3 |
우즈베키스탄 | 3 | 0 | 0 | 3 | 1 | 8 | -7 | 0 |
경기 | 결과 | 경기 |
---|---|---|
2002년 4월 2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0–0 태국 |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 바스코다가마 |
2002년 4월 20일 | 우즈베키스탄 1–5 미얀마 |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 바스코다가마 |
2002년 4월 2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0 우즈베키스탄 |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 바스코다가마 |
2002년 4월 22일 | 태국 0–2 미얀마 |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 바스코다가마 |
2002년 4월 2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7–0 미얀마 |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 바스코다가마 |
2002년 4월 24일 | 태국 2–0 우즈베키스탄 | 틸라크 마이단 스타디움, 바스코다가마 |
3. 4.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B | 중국 | 3 | 2 | 1 | 0 | 32 | 0 | +32 | 7 | 준결승전 진출 |
A | 대한민국 | 3 | 2 | 0 | 1 | 17 | 7 | +10 | 6 | 조별 예선 탈락 |
C | 미얀마 | 3 | 2 | 0 | 1 | 7 | 8 | -1 | 6 | 조별 예선 탈락 |
4.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2002년 4월 26일부터 4월 28일까지 인도 마르가오에서 진행되었다. 4월 26일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일본이 3-0으로 승리했고, 중화 타이베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중화 타이베이가 4-3으로 승리했다.[1]
4월 28일에는 결승전과 3·4위전이 열렸다.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중화 타이베이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3·4위전에서는 중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4-1로 꺾었다.[1]
4. 1. 준결승전
승부차기 3–0승부차기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