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4월 11일과 12월 19일에 치러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를 총칭한다. 4월 11일에는 세종특별자치시장, 5명의 기초단체장, 38명의 광역의원, 40명의 기초의원,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 교육감을 선출했다. 12월 19일에는 경상남도지사, 3명의 기초단체장, 2명의 광역의원, 18명의 기초의원, 그리고 서울특별시 교육감을 선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대한민국의 선거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 2012년 4월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 2012년 4월 - 레슬매니아 XXVIII
2012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가든스에서 개최된 WWE의 레슬매니아 XXVIII는 드웨인 "더 락" 존슨 대 존 시나, 언더테이커 대 트리플 H의 헬 인 어 셀 매치, CM 펑크 대 크리스 제리코의 WWE 챔피언십 경기 등을 포함하여 78,363명의 관중과 130만 건의 유료 시청 기록을 세운 흥행 이벤트이며, 언더테이커는 이 대회에서 레슬매니아 20연승을 달성했다. - 2012년 12월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2012년 12월 19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는 박근혜 후보가 51.5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문재인 후보가 48.02%로 석패했으며, 75.8%의 투표율을 기록, 선거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다. - 2012년 12월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2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민주당 정권 불안정과 신당 등장 속에서 자유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나 자민당이 정권을 탈환하고 아베 신조 내각이 출범했으며, 투표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
---|---|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
실시일 | 2012년 4월 11일 |
선거 종류 | 재보궐선거 |
선거권자 | 7,285,001명 |
투표율 | 36.1% |
선출 인원 | 24명 |
선거 결과 | |
국회의원 | 새누리당: 2석 민주통합당: 1석 |
광역자치단체장 | 새누리당: 1석 |
기초자치단체장 | 새누리당: 2석 민주통합당: 2석 무소속: 2석 |
광역의회의원 | 새누리당: 5석 민주통합당: 3석 통합진보당: 1석 |
기초의회의원 | 새누리당: 3석 민주통합당: 1석 무소속: 1석 |
선거 상세 | |
국회의원 선거 지역 | 서울 노원구 병 서울 강남구 을 울산 북구 |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장 |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지역 | 서울 강남구청장 서울 노원구청장 충북 청주시장 경기 평택시장 전북 고창군수 강원 고성군수 |
광역의회의원 선거 지역 | 서울시의원 (강남구 제1선거구, 노원구 제2선거구, 노원구 제4선거구) 경기도의원 (평택시 제1선거구) 강원도의원 (고성군 제1선거구, 강릉시 제2선거구) 충북도의원 (청주시 제4선거구, 청주시 제5선거구) 전북도의원 (고창군 제1선거구) |
기초의회의원 선거 지역 | 강남구의원 (다 선거구) 노원구의원 (라 선거구) 청주시의원 (바 선거구) 평택시의원 (가 선거구) 고성군의원 (가 선거구) |
2. 4월 11일 재보궐선거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된 재보궐선거는 총 62개 선거구에서 치러졌다. 광역단체장 1명, 기초단체장 5명, 광역의원 37명, 기초의원 19명, 교육감 1명을 선출했다.
세종특별자치시 신설로 세종특별자치시장을 뽑는 선거가 실시되었다. 기초단체장 선거는 인천 강화군, 전남 순천시, 전남 강진군, 전남 무안군, 경북 문경시에서 실시되었다. 광역의원 선거는 서울 양천구, 부산 영도구 등 여러 지역에서 실시되었다.
2. 1. 개요
선거일 | 2012년 4월 11일 |
---|---|
선거 내용 | 총 62개 선거구 |
광역단체장 | 1명 |
기초단체장 | 5명 |
광역의원 | 37명 |
기초의원 | 19명 |
교육감 | 1명 |
2. 2. 선거 구역 및 사유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선거를 포함하여 실시되었다.세종특별자치시 신설로 세종특별자치시장을 선출하는 재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기초단체장 선거는 인천 강화군, 전남 순천시, 전남 강진군, 전남 무안군, 경북 문경시에서 실시되었다.
광역의원 선거는 서울 양천구, 부산 영도구, 인천 남동구, 경기 안산시, 경기 양평군, 충북 청주시, 전북 임실군, 전남 여수시, 경북 경주시, 경북 구미시, 경북 문경시, 경남 창원시, 경남 진주시, 경남 고성군, 경남 남해군에서 실시되었다.
2. 2. 1. 광역단체장
세종특별자치시 신설로 세종특별자치시장을 선출하는 재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2. 2. 2. 기초단체장
직책 | 정당 | 전임자 | 선거구 | 선거 사유 |
---|---|---|---|---|
인천 강화군수 | 무소속 | 안덕수 | 인천 강화군 | 사직 |
전남 순천시장 | 무소속 | 노관규 | 전남 순천시 | 사직 |
전남 강진군수 | 무소속 | 황주홍 | 전남 강진군 | 사직 |
전남 무안군수 | 민주통합당 | 서삼석 | 전남 무안군 | 사직 |
경북 문경시장 | 무소속 | 신현국 | 경북 문경시 | 사직 |
2. 2. 3. 광역의원
직책 | 정당 | 전임자 | 선거구 | 선거 사유 | 선거 종류 |
---|---|---|---|---|---|
서울 양천구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장영기 | 양천구 사선거구 | 의원직 상실 | 보궐선거 |
부산 영도구의회의원 | 새누리당 | 황보승희 | 영도구 가선거구 | 사직 | 보궐선거 |
인천 남동구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박강석 | 남동구 가선거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경기 안산시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김기완 | 안산시 사선거구 | 사직 | 보궐선거 |
경기 양평군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김덕수 | 양평군 가선거구 | 사직 | 보궐선거 |
충북 청주시의회의원 | 새누리당 | 이대성 | 청주시 다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전북 임실군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이순봉 | 임실군 나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전남 여수시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이성수 | 여수시 나선거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전남 여수시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강진원 | 여수시 라선거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전남 여수시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고효주 | 여수시 라선거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전남 여수시의회의원 | 무소속 | 황지종 | 여수시 마선거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전남 여수시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김덕수 | 여수시 자선거구 | 당선무효 | 재선거 |
경북 경주시의회의원 | 무소속 | 이경동 | 경주시 가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경북 구미시의회의원 | 무소속 | 김영호 | 구미시 사선거구 | 의원직 상실 | 보궐선거 |
경북 문경시의회의원 | 무소속 | 고오환 | 문경시 다선거구 | 사직 | 보궐선거 |
경남 창원시의회의원 | 민주통합당 | 김하용 | 창원시 라선거구 | 사직 | 보궐선거 |
경남 진주시의회의원 | 무소속 | 구자경 | 진주시 라선거구 | 사직 | 보궐선거 |
경남 고성군의회의원 | 한나라당 | 정임식 | 고성군 다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경남 남해군의회의원 | 한나라당 | 이종표 | 남해군 라선거구 | 사망 | 보궐선거 |
2. 2. 4. 기초의원
원본 소스에 기초의원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2. 3. 개표 결과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에서는 자유선진당 유한식 후보가 41.7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통합당 이춘희 후보는 37.35%, 새누리당 최민호 후보는 20.92%를 득표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유한식 | 자유선진당 | 19,387 | 41.73% |
이춘희 | 민주통합당 | 17,349 | 37.35% |
최민호 | 새누리당 | 9,716 | 20.92% |
합계 | 46,452 | 100% |
2. 4. 당선자
선거구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
인천 강화군수 | 유천호 | 새누리당 | 39.84% |
전남 순천시장 | 조중훈 | 무소속 | 36.42% |
전남 강진군수 | 강진원 | 민주통합당 | 74.41% |
전남 무안군수 | 김철주 | 민주통합당 | 41.42% |
경북 문경시장 | 고윤환 | 새누리당 | 56.78% |
2. 4. 1. 광역단체장
선거구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서울 은평구 제1선거구 | 이순자 | 민주통합당 | 54.10% | |
서울 강동구 제2선거구 | 이형석 | 새누리당 | 51.88% | |
부산 영도구 제1선거구 | 황보승희 | 새누리당 | 58.47% | |
부산 동래구 제1선거구 | 박중묵 | 새누리당 | 55.70% | |
부산 해운대구 제2선거구 | 이철상 | 새누리당 | 51.83% | |
대구 북구 제2선거구 | 최길영 | 새누리당 | 57.29% | |
대구 달서구 제2선거구 | 허만진 | 새누리당 | 59.43% | |
울산 동구 제3선거구 | 강대길 | 새누리당 | 52.75% | |
경기 성남시 제5선거구 | 지수식 | 새누리당 | 52.63% | |
경기 의정부시 제3선거구 | 김영민 | 민주통합당 | 50.77% | |
경기 의정부시 제4선거구 | 김원기 | 민주통합당 | 50.81% | |
경기 부천시 제1선거구 | 염종현 | 민주통합당 | 49.11% | |
경기 부천시 제6선거구 | 김종석 | 민주통합당 | 40.28% | |
경기 평택시 제1선거구 | 최호 | 새누리당 | 51.96% | |
경기 평택시 제3선거구 | 염동식 | 새누리당 | 48.38% | |
경기 평택시 제4선거구 | 이동화 | 새누리당 | 53.01% | |
경기 안산시 제2선거구 | 홍연아 | 통합진보당 | 54.66% | |
경기 안산시 제6선거구 | 양근서 | 민주통합당 | 49.88% | |
경기 군포시 제1선거구 | 최재우 | 민주통합당 | 52.07% | |
경기 광주시 제1선거구 | 박광서 | 새누리당 | 51.70% | |
강원 원주시 제2선거구 | 김기홍 | 새누리당 | 46.76% | |
충남 홍성군 제2선거구 | 이종화 | 새누리당 | 34.12% | |
전북 전주시 제1선거구 | 신치범 | 민주통합당 | - | 무투표 |
전북 전주시 제4선거구 | 강영수 | 민주통합당 | 73.09% | |
전북 전주시 제8선거구 | 양용모 | 민주통합당 | 61.57% | |
전남 여수시 제3선거구 | 서정한 | 민주통합당 | 59.17% | |
전남 여수시 제4선거구 | 김상배 | 민주통합당 | 65.69% | |
전남 여수시 제5선거구 | 김민곤 | 통합진보당 | 50.13% | |
전남 여수시 제6선거구 | 천중근 | 통합진보당 | 43.77% | |
경북 구미시 제1선거구 | 이태식 | 새누리당 | 49.85% | |
경북 구미시 제6선거구 | 김봉교 | 새누리당 | 67.43% | |
경남 창원시 제6선거구 | 한영애 | 새누리당 | 39.43% | |
경남 진주시 제2선거구 | 정인태 | 새누리당 | 35.77% | |
경남 김해시 제1선거구 | 최학범 | 새누리당 | 43.83% | |
제주 제2선거구 | 고정식 | 새누리당 | 52.63% | |
제주 제13선거구 | 김승하 | 새누리당 | 39.43% | |
제주 제25선거구 | 허창옥 | 통합진보당 | 37.77% |
2. 4. 2. 기초단체장
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울 양천구 사선거구 | 박정옥 | 민주통합당 | 12,314 | 49.04% |
부산 영도구 가선거구 | 김철훈 | 민주통합당 | 8,470 | 54.39% |
인천 남동구 가선거구 | 이오상 | 민주통합당 | 33,803 | 53.02% |
경기 안산시 사선거구 | 김동수 | 민주통합당 | 14,172 | 53.03% |
경기 양평군 가선거구 | 박명숙 | 새누리당 | 13,271 | 63.09% |
충북 청주시 다선거구 | 최진현 | 새누리당 | 16,134 | 49.03% |
전북 임실군 나선거구 | 김상초 | 민주통합당 | 1,842 | 37.24% |
전남 여수시 나선거구 | 노순기 | 민주통합당 | 5,013 | 42.87% |
전남 여수시 라선거구 | 이상우 | 민주통합당 | 4,209 | 27.83% |
전남 여수시 마선거구 | 강재헌 | 무소속 | 3,450 | 37.90% |
전남 여수시 자선거구 | 최무경 | 민주통합당 | 7,871 | 37.06% |
경북 경주시 가선거구 | 김성규 | 새누리당 | 7,790 | 39.71% |
경북 구미시 사선거구 | 권기만 | 새누리당 | 11,921 | 59.28% |
경북 문경시 다선거구 | 권영하 | 무소속 | 2,566 | 37.26% |
경남 창원시 라선거구 | 이치우 | 무소속 | 9,489 | 61.21% |
경남 진주시 라선거구 | 서은애 | 무소속 | 8,736 | 41.60% |
경남 고성군 다선거구 | 황보길 | 무소속 | 5,106 | 67.98% |
경남 남해군 라선거구 | 최정자 | 새누리당 | 3,233 | 41.03% |
2. 4. 3. 광역의원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선거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신정균 | 무소속 | 13,718 | 30.01% | |
최교진 | 무소속 | 12,364 | 27.05% | |
오광록 | 무소속 | 8,008 | 17.52% | |
진태화 | 무소속 | 6,036 | 13.20% | |
임헌화 | 무소속 | 5,574 | 12.19% | |
합계 | 45,700 | 100% |
2. 4. 4. 교육감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교육감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다.3. 12월 19일 재보궐선거
12월 19일에는 제18대 대통령 선거와 함께 일부 지역에서 재보궐선거가 실시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책 | 정당 | 당선자 | 득표수 | 득표율 |
---|---|---|---|---|
인천 강화군수 | 새누리당 | 유천호 | 14,150 | 39.84% |
전남 순천시장 | 무소속 | 조충훈 | 45,825 | 36.42% |
전남 강진군수 | 민주통합당 | 강진원 | 15,184 | 74.41% |
전남 무안군수 | 민주통합당 | 김철주 | 15,522 | 41.42% |
경북 문경시장 | 새누리당 | 고윤환 | 23,553 | 56.78% |
3. 1. 개요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2012년 12월 19일에 치러졌다. 총 26개 선거구에서 광역단체장 1명, 교육감 1명, 기초단체장 3명, 광역의원 2명, 기초의원 19명을 선출하였다.구분 | 선거구 수 |
---|---|
광역단체장 | 1 |
교육감 | 1 |
기초단체장 | 3 |
광역의원 | 2 |
기초의원 | 19 |
총계 | 26 |
3. 2. 선거 구역 및 사유
wikitext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초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의회 | 선거구 | 정당 | 당선자 | 득표수 | 득표율(%) |
---|---|---|---|---|---|
서울 양천구의회 | 양천구 사선거구 | 민주통합당 | 박정옥 | 12,314 | 49.04 |
부산 영도구의회 | 영도구 가선거구 | 민주통합당 | 김철훈 | 8,470 | 54.39 |
인천 남동구의회 | 남동구 가선거구 | 민주통합당 | 이오상 | 33,803 | 53.02 |
경기 안산시의회 | 안산시 사선거구 | 민주통합당 | 김동수 | 14,172 | 53.03 |
경기 양평군의회 | 양평군 가선거구 | 새누리당 | 박명숙 | 13,271 | 63.09 |
충북 청주시의회 | 청주시 다선거구 | 새누리당 | 최진현 | 16,134 | 49.03 |
전북 임실군의회 | 임실군 나선거구 | 민주통합당 | 김상초 | 1,842 | 37.24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라선거구 | 민주통합당 | 이상우 | 4,209 | 27.83 |
민주통합당 | 김충길 | 4,090 | 27.04 |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마선거구 | 무소속 | 강재헌 | 3,450 | 37.90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자선거구 | 민주통합당 | 최무경 | 7,871 | 37.06 |
경북 경주시의회 | 경주시 가선거구 | 새누리당 | 김성규 | 7,790 | 39.71 |
경북 구미시의회 | 구미시 사선거구 | 새누리당 | 권기만 | 11,921 | 59.28 |
경북 문경시의회 | 문경시 다선거구 | 무소속 | 권영하 | 2,566 | 37.26 |
경남 창원시의회 | 창원시 라선거구 | 무소속 | 이치우 | 9,489 | 61.21 |
경남 진주시의회 | 진주시 라선거구 | 무소속 | 서은애 | 8,736 | 41.60 |
경남 고성군의회 | 고성군 다선거구 | 무소속 | 황보길 | 5,106 | 67.98 |
경남 남해군의회 | 남해군 라선거구 | 새누리당 | 최정자 | 3,233 | 41.03 |
3. 2. 1. 광역단체장
직책 | 당선자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 신정균 | 13,718 | 30.01% | |
3. 2. 2. 기초단체장
직책 | 정당 | 전임자 | 선거구 | 선거 사유 | 선거 종류 | 비고 |
---|---|---|---|---|---|---|
인천 중구청장 | 민주통합당 | 김홍복 | 인천 중구 | 구청장직 상실 | 보궐선거 | |
광주 동구청장 | 민주통합당 | 유태명 | 광주 동구 | 사직 | 보궐선거 | |
경북 경산시장 | 무소속 | 최병국 | 경북 경산시 | 시장직 상실 | 보궐선거 |
3. 2. 3. 광역의원
3. 2. 4. 기초의원
의회 | 선거구 | 정당 | 전임자 | 정당 | 당선자 | ||
---|---|---|---|---|---|---|---|
서울 중랑구의회 | 중랑구 가선거구 | 민주통합당 | 김종갑 | 민주통합당 | 이영실 | ||
부산 사하구의회 | 사하구 가선거구 | 새누리당 | 김연수 | 새누리당 | 노승중 | ||
광주 동구의회 | 동구 나선거구 | 민주통합당 | 조종진 | 민주통합당 | 조기춘 | ||
경기 광주시의회 | 광주시 다선거구 | 새누리당 | 이길수 | 새누리당 | 이동수 | ||
경기 삼척시의회 | 삼척시 나선거구 | 새누리당 | 김광욱 | 무소속 | 이광우 | ||
충남 부여군의회 | 부여군 가선거구 | 새누리당 | 김종근 | 새누리당 | 김민수 | ||
충남 부여군의회 | 부여군 다선거구 | 새누리당 | 최충규 | 새누리당 | 김종수 | ||
전북 익산시의회 | 익산시 나선거구 | 무소속 | 이영수 | 민주통합당 | 김충영 | ||
전북 익산시의회 | 익산시 아선거구 | 무소속 | 이천인 | 민주통합당 | 황호열 | ||
전북 남원시의회 | 남원시 다선거구 | 민주통합당 | 조영연 | 민주통합당 | 박문화 |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바선거구 | 민주통합당 | 정병관 | 통합진보당 | 김영철 |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자선거구 | 민주통합당 | 이기동 | 민주통합당 | 김양효 | ||
전남 화순군의회 | 화순군 가선거구 | 민주통합당 | 최영호 | 통합진보당 | 윤석현 | ||
경북 예천군의회 | 예천군 가선거구 | 무소속 | 장대복 | 새누리당 | 황재도 | ||
경북 예천군의회 | 예천군 다선거구 | 새누리당 | 정영광 | 새누리당 | 이형식 | ||
경북 봉화군의회 | 봉화군 다선거구 | 새누리당 | 권영준 | 새누리당 | 김제일 | ||
경남 김해시의회 | 김해시 사선거구 | 민주통합당 | 배정환 | 새누리당 | 전영기 | ||
경남 하동군의회 | 하동군 라선거구 | 새누리당 | 신재범 | 무소속 | 김봉학 | ||
경남 산청군의회 | 산청군 나선거구 | 무소속 | 정한철 | 새누리당 | 신동복 | ||
3. 2. 5. 교육감
3. 3. 개표 결과
의회 | 선거구 | 전임자 | 당선자 |
---|---|---|---|
서울 양천구의회 | 양천구 사선거구 | 민주통합당 장영기 | 민주통합당 박정옥 |
부산 영도구의회 | 영도구 가선거구 | 새누리당 황보승희 | 민주통합당 김철훈 |
인천 남동구의회 | 남동구 가선거구 | 민주통합당 박강석 | 민주통합당 이오상 |
경기 안산시의회 | 안산시 사선거구 | 민주통합당 김기완 | 민주통합당 김동수 |
경기 양평군의회 | 양평군 가선거구 | 민주통합당 김덕수 | 새누리당 박명숙 |
충북 청주시의회 | 청주시 다선거구 | 새누리당 이대성 | 새누리당 최진현 |
전북 임실군의회 | 임실군 나선거구 | 민주통합당 이순봉 | 민주통합당 김상초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나선거구 | 민주통합당 이성수 | 민주통합당 노순기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라선거구 | 민주통합당 강진원 | 민주통합당 이상우 |
민주통합당 고효주 | 민주통합당 김충길 |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마선거구 | 무소속 황지종 | 무소속 강재헌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자선거구 | 민주통합당 김덕수 | 민주통합당 최무경 |
경북 경주시의회 | 경주시 가선거구 | 무소속 이경동 | 새누리당 김성규 |
경북 구미시의회 | 구미시 사선거구 | 무소속 김영호 | 새누리당 권기만 |
경북 문경시의회 | 문경시 다선거구 | 무소속 고오환 | 무소속 권영하 |
경남 창원시의회 | 창원시 라선거구 | 민주통합당 김하용 | 무소속 이치우 |
경남 진주시의회 | 진주시 라선거구 | 무소속 구자경 | 무소속 서은애 |
경남 고성군의회 | 고성군 다선거구 | 한나라당 정임식 | 무소속 황보길 |
경남 남해군의회 | 남해군 라선거구 | 한나라당 이종표 | 새누리당 최정자 |
3. 4. 당선자
직책 | 당선자 |
---|---|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 신정균 |
3. 4. 1. 광역단체장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가 1191904표 (62.9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권영길 후보는 702689표 (37.09%)를 얻었다.
3. 4. 2. 기초단체장
3. 4. 3. 광역의원
3. 4. 4. 기초의원
의회 | 선거구 | 정당 | 당선자 | 득표수 | 득표율 |
---|---|---|---|---|---|
서울 중랑구의회 | 중랑구 가선거구 | 민주통합당 | 이영실 | 15,185 | 55.21% |
부산 사하구의회 | 사하구 가선거구 | 새누리당 | 노승중 | 23,734 | 55.45% |
광주 동구의회 | 동구 나선거구 | 민주통합당 | 조기춘 | 7,312 | 48.30% |
경기 광주시의회 | 광주시 다선거구 | 새누리당 | 이동수 | 38,834 | 51.23% |
강원 삼척시의회 | 삼척시 나선거구 | 무소속 | 이광우 | 7,734 | 36.70% |
충남 부여군의회 | 부여군 가선거구 | 새누리당 | 김민수 | 15,970 | 60.51% |
충남 부여군의회 | 부여군 다선거구 | 새누리당 | 김종수 | 3,344 | 42.44% |
전북 익산시의회 | 익산시 나선거구 | 민주통합당 | 김충용 | 10,417 | 59.01% |
전북 익산시의회 | 익산시 아선거구 | 민주통합당 | 황호열 | 14,078 | 83.85% |
전북 남원시의회 | 남원시 다선거구 | 민주통합당 | 박문화 | 8,167 | 55.99%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바선거구 | 통합진보당 | 김영철 | 5,644 | 30.13% |
전남 여수시의회 | 여수시 자선거구 | 민주통합당 | 김양효 | 20,075 | 63.49% |
전남 화순군의회 | 화순군 가선거구 | 통합진보당 | 윤석현 | 10,394 | 43.72% |
경북 예천군의회 | 예천군 가선거구 | 새누리당 | 황재도 | 6,071 | 56.10% |
경북 예천군의회 | 예천군 다선거구 | 새누리당 | 이형식 | 3,246 | 45.62% |
경북 봉화군의회 | 봉화군 다선거구 | 새누리당 | 김제일 | 3,470 | 45.23% |
경남 김해시의회 | 김해시 사선거구 | 새누리당 | 전영기 | 21,342 | 45.03% |
경남 하동군의회 | 하동군 라선거구 | 무소속 | 김봉학 | 3,927 | 55.25% |
경남 산청군의회 | 산청군 나선거구 | 새누리당 | 신동복 | 2,259 | 53.51% |
3. 4. 5. 교육감
4. 논란
세종특별자치시 설치와 관련하여 충청남도 교육의원 명노희는 연기군 학부모 및 학교운영위원회 연합회 대표들과 함께 세종시 교육의원 선출 방식을 문제 삼았다. 이들은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에서 세종시 의원이 교육의원을 겸임하는 규정 대신, 제주특별자치도처럼 세종시에도 교육의원을 별도로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4. 1. 세종시 교육의원 논란
명노희 충청남도 교육의원은 연기군 학부모연합회 및 연기군 학교운영위원회 연합회 등 6명의 대표와 함께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에서 세종시 의원이 교육의원을 겸임하는 규정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처럼 세종시에도 교육의원을 따로 뽑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참조
[1]
법률
부칙 제3조(세종특별자치시장 및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에 대한 선거 등)
[2]
웹인용
"세종시 교육의원 똑같이 선출해야"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012-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