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에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20년 만에 총선과 대통령 선거가 같은 해에 실시되었다. 선거는 지역구 246석과 비례대표 54석을 선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인 2표제(지역구, 비례대표)가 적용되었다. 주요 정당으로는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자유선진당, 통합진보당 등이 참여했으며, 각 정당은 일자리 창출, 복지 강화, 재벌 개혁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선거 결과,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여 승리했고, 민주통합당은 의석 수를 늘렸지만 제1당이 되지는 못했다. 투표율은 54.3%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대한민국의 선거 -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4월과 12월에 걸쳐 세종특별자치시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교육감 등을 선출했다.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통합진보당 부정 경선 사건
통합진보당 부정 경선 사건은 2012년 총선을 앞두고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선출 과정에서 발생한 부정 선거 및 여론조작 의혹 사건으로, 당내 갈등 심화 및 통합진보당 해산의 원인이 되었으며, 검찰 수사 결과 법원은 부정행위를 인정한 관련자들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기록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지역구 당선자 득표율, 격전지, 당선자 연령 등 다양한 기록을 남겼으며, 최고 득표율은 83.45%였고, 최연소 당선자는 만 30세였다. - 2012년 4월 - 레슬매니아 XXVIII
2012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가든스에서 개최된 WWE의 레슬매니아 XXVIII는 드웨인 "더 락" 존슨 대 존 시나, 언더테이커 대 트리플 H의 헬 인 어 셀 매치, CM 펑크 대 크리스 제리코의 WWE 챔피언십 경기 등을 포함하여 78,363명의 관중과 130만 건의 유료 시청 기록을 세운 흥행 이벤트이며, 언더테이커는 이 대회에서 레슬매니아 20연승을 달성했다. - 2012년 4월 - 2012년 바레인 그랑프리
2012년 바레인 그랑프리는 2012년 포뮬러 원 시즌의 네 번째 레이스로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며 제바스티안 페텔이 우승했고 키미 라이코넨과 로망 그로장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으며 포르쉐 슈퍼컵, GP2 시리즈 등의 지원 행사가 함께 열렸다.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
---|---|
지도 | |
![]() | |
선거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선거 유형 | 입법부 |
이전 선거 | 200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08년 |
다음 선거 | 201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16년 |
선거일 | 2012년 4월 11일 |
선출 의석수 | 국회 300석 |
과반 의석수 | 151석 |
투표율 | 54.24% (지역구 투표), 54.24% (비례대표 투표) |
주요 정당 및 후보 | |
정당 | 새누리당 |
대표 | 박근혜 |
지난 선거 의석수 | 167석 |
선거 전 의석수 | 162석 |
획득 의석수 | 152석 |
의석 변동 | 감소 15석 |
지역구 득표수 | 9,324,911표 |
지역구 득표율 | 43.28% |
지역구 득표율 변동 | 감소 3.87%p |
비례대표 득표수 | 9,130,651표 |
비례대표 득표율 | 42.80% |
비례대표 득표율 변동 | 감소 7.86%p |
정당 | 민주통합당 |
대표 | 한명숙 |
지난 선거 의석수 | 81석 |
선거 전 의석수 | 80석 |
획득 의석수 | 127석 |
의석 변동 | 증가 46석 |
지역구 득표수 | 8,156,045표 |
지역구 득표율 | 37.85% |
지역구 득표율 변동 | 증가 8.93%p |
비례대표 득표수 | 7,777,123표 |
비례대표 득표율 | 36.46% |
비례대표 득표율 변동 | 증가 11.28%p |
정당 | 통합진보당 |
대표 | 이정희, 유시민, 심상정 |
지난 선거 의석수 | 5석 |
선거 전 의석수 | 7석 |
획득 의석수 | 13석 |
의석 변동 | 증가 8석 |
지역구 득표수 | 1,291,306표 |
지역구 득표율 | 5.99% |
지역구 득표율 변동 | 증가 2.60%p |
비례대표 득표수 | 2,198,405표 |
비례대표 득표율 | 10.31% |
비례대표 득표율 변동 | 증가 4.63%p |
정당 | 자유선진당 |
대표 | 이회창 |
지난 선거 의석수 | 18석 |
선거 전 의석수 | 14석 |
획득 의석수 | 5석 |
의석 변동 | 감소 13석 |
지역구 득표수 | 474,001표 |
지역구 득표율 | 2.20% |
지역구 득표율 변동 | 감소 3.52%p |
비례대표 득표수 | 690,754표 |
비례대표 득표율 | 3.24% |
비례대표 득표율 변동 | 감소 3.61%p |
기타 | |
국회의장 | 선거 전: 정의화(대행), 선거 후: 강창희 |
국회의장 정당 | 선거 전: 새누리당, 선거 후: 새누리당 |
2. 선거 개요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년 만에[78] 총선과 대선을 치르는 해이자 집권 마지막 해를 맞이한 이명박 정부에 대한 최종 평가이자 8개월 후에 있었던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의 전초전 성격을 지닌 중요한 선거였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1인 2표제로, 유권자는 지역구 국회의원과 비례대표 정당에 각각 투표한다. 국회의원 의석은 총 300석(지역구 246석, 비례대표 54석)으로, 이전 선거보다 1석 늘었다.[3] 비례대표 의석은 전국 유효투표의 3% 이상을 얻거나 지역구 5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에만 배분된다.[4]
대한민국의 국회는 246석의 지역구 국회의원과 병립식 선거 제도에 따라 선출되는 54석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구성된다.[3] 비례대표 의석은 전국 유효투표의 3% 이상을 획득하거나 5석 이상의 지역구 의석을 확보한 정당에만 배분되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중심제 하에서는 국가원수가 내각을 임명하지만, 국회에서의 지지 기반 상실은 이명박 정부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었다.[4]
국회의원 임기 4년이 만료됨에 따라 실시된 선거로, 이명박 대통령의 정권 운영에 대한 평가와 12월 대통령 선거의 향방을 점치는 전초전 성격을 지녔다.[41]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와 동 자치시 교육감 선거, 기초자치단체장(5개 지역)과 광역의회 의원(37선거구 37명) 및 기초의회(18선거구 19명)의 재보궐선거도 동시에 실시되었다.
여당인 새누리당(당시 새누리당)은 당명을 변경하고 당 쇄신을 도모하였고, 야당은 “이명박 정권과 여당 새누리당에 대한 심판”을 최대 쟁점으로 내걸고 대결하는 구도가 되었다. 민주통합당(이하,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이하, 진보당) 등 진보계 야당은 지역구 후보자의 단일화를 통한 야권 연대를 통해 여야 역전을 노렸다. 총선 결과가 대통령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새누리당)과 문재인 상임고문(민주당) 등 유력 대선후보에게도 승부를 건 싸움이 되었다.[42]
2009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재외선거 제도가 처음으로 시행되었으며,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선거운동이 법정 선거운동 기간 외에도 가능하게 되었다.[43]
:주: 본고에서의 정당 약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약칭을 사용한다.[44]
3. 선거 제도
투표는 기호식 투표 방식이며, 소선거구제에 따라 지역구에서는 최다 득표 후보가 당선된다. 비례대표제는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며, 3% 미만 득표율이나 지역구 5석 미만 정당은 의석 배분에서 제외된다.[48] 비례대표 의석은 먼저 의석 배분 조건 충족 정당들의 득표수를 기준으로 각 정당별 정수 부분을 배분하고, 남은 의석은 소수점 이하가 큰 순서대로 배분한다.[49]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등으로 선거구가 조정되었다.
3. 1. 선거권과 피선거권
선거일 기준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선거일 24시에 만 19세가 되는 1993년 4월 12일 출생자 포함)은 공직선거법 제18조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선거권이 있다.
선거일 기준 만 2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은 공직선거법 제19조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 피선거권이 있다.
3. 2. 선거구 조정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국회의원 의석이 299석에서 1석 늘어난 300석으로 확정되었다. 경기도 파주시와 강원도 원주시는 인구 증가로 인해 각각 파주시 갑·을, 원주시 갑·을로 분구되었다. 경기도 이천시·여주군, 양평군·가평군은 이천시를 단독 선거구로, 여주군·양평군·가평군으로 구역 조정되었다. 경상남도 사천시, 남해군·하동군은 사천시·남해군·하동군으로 통폐합되었다.
전라남도 순천시, 광양시, 담양군·곡성군·구례군, 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순천시·곡성군, 광양시·구례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으로 조정되었다. 충청남도 공주시·연기군은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해 공주시는 단독 선거구로 분리되었다. 2010년 7월 통합 창원시 출범에 따라 마산시·창원시·진해시는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마산합포구·진해구·마산회원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충청남도 천안시는 선거구 구역이 조정되었다.
지역 | 18대 국회 지역구 | 19대 국회 지역구 | 비교 |
---|---|---|---|
경기 | 이천시·여주군 | 이천시 | 관할구역 조정 |
양평군·가평군 | 여주군·양평군·가평군 | ||
파주시 | 파주시 갑·을 | 1석 증가 | |
수원시 장안구 | 수원시 갑·을·병·정 | 선거구 구역 조정 및 명칭 변경 | |
수원시 권선구 | |||
수원시 팔달구 | |||
수원시 영통구 | |||
용인시 처인구 | 용인시 갑·을·병 | 선거구 구역 조정 및 명칭 변경 | |
용인시 기흥구 | |||
용인시 수지구 | |||
경남 | 사천시 | 사천시·남해군·하동군 | 선거구 통폐합 |
남해군·하동군 | |||
마산시 갑·을 | 창원시 마산회원구 | 명칭 변경 | |
창원시 마산합포구 | |||
창원시 갑·을 | 창원시 의창구 | ||
창원시 성산구 | |||
진해시 | 창원시 진해구 | ||
전남 | 순천시 | 순천시·곡성군 | 구역 조정 및 1석 감소 |
광양시 | 광양시·구례군 | ||
담양군·곡성군·구례군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 ||
함평군·영광군·장성군 | |||
충남 | 공주시·연기군 | 공주시 | 구역 조정 |
천안시 갑 | 천안시 갑·을 | 선거구 조정 및 명칭 변경 | |
천안시 을 | |||
세종 | 공주시·연기군 | 세종특별자치시 | 선거구 신설 및 명칭 변경 |
강원 | 원주시 | 원주시 갑·을 | 1석 증가 |
4. 정당별 후보 선출
2012년 제19대 총선에는 총 14개 정당이 후보자를 등록하였다.[80]
기호 | 정당 | 비고 |
---|---|---|
1 | 새누리당 | 국회의원 5명 이상 또는 18대 총선에서 정당 득표율 3% 이상을 얻은 정당은 고정기호로 배정된다. |
2 | 민주통합당 | |
3 | 자유선진당 | |
4 | 통합진보당 | |
5 | 창조한국당 | |
(6) | 국민생각 | 국회의원 1명을 보유하여 우선권 있으나, 후보를 내지 않으면 변동기호로 채워진다. |
국가재건친박연합 | 가나다 순서로 채워진다. 무소속은 정당 후순으로 배정되며, 복수의 무소속 후보는 추첨에 따라 배정된다. | |
국민의 힘 | ||
국민행복당 | ||
기독당 | ||
녹색당 | ||
대한국당 | ||
미래연합 | ||
민주통일당 | ||
불교연합당 | ||
정통민주당 | ||
진보신당 | ||
청년당 | ||
한나라당 |
새누리당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 하에 당명을 변경하고, 공천 심사에서 '하위 25% 컷오프 룰' 등을 도입했다. 민주통합당은 한명숙 대표 체제에서 지역구 여론조사 경선을 통해 공천을 정하고, 여성 후보 공천 비율을 15%로 정했다. 통합진보당은 민주통합당과 야권연대를 통해 후보 단일화를 추진했다. 그 외 자유선진당 등이 후보를 냈다.
4. 1. 새누리당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야권 연대에 패배한 한나라당은 홍준표 대표와 지도부가 모두 사퇴하고, 박근혜 전 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임하였다. 이후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변경하고 강령과 정책 방향을 바꾸었다.[79]정홍원 전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한 제19대 총선을 위한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는 '하위 25% 컷오프 룰', 서울 강남 지역 현역 의원 전원 교체, 비례대표 의원 강세 지역 출마 배제 등의 규칙을 도입하여 2012년 3월 중순 심사를 마쳤다. 그러나 기존 당내 '친이계' 다수가 공천에서 탈락하면서 여러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79]
4. 2. 민주통합당
시민통합당과 합당 절차를 마무리하고 2012년 1월 중순 정당대회에서 한명숙 전 총리를 당대표로 선출하였다.[79] 민주통합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지역구 여론 조사 경선을 통해 공천을 정하는 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지역구 후보 중 최소 15%는 여성을 공천하기로 하였다.통합진보당과 정책 합의와 여론 조사 경선을 통한 후보 단일화 등으로 총선에서 연대하기로 결의하였다.[79]
4. 3. 통합진보당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노무현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유시민이 2010년 1월에 결성), 새로운 진보통합연대(진보신당을 탈당한 노회찬과 심상정이 결성한 정치그룹)가 통합하여 2011년 12월 5일에 결성된 좌파 정당이다.[56] 정치적 입장은 좌파이다. 민주통합당과 정책 합의와 여론 조사 경선을 통한 후보 단일화 등으로 총선에서 연대하기로 결의하였다.4. 4. 자유선진당
이회창(전 한나라당 총재이자 전년 12월 대통령 선거 후보)이 2008년 2월에 결성한 정당이다. 신보수주의를 표방한다.[55] 심대평 대표가 이끌었으며, 충청 지역을 주요 지지 기반으로 하는 제2 보수 정당이다.[10]
5. 참여 정당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총 14개 정당이 후보자를 등록했다.[80]
기호 | 정당 | 비고 |
---|---|---|
1 | 새누리당 | 국회의원 5명 이상 또는 18대 총선에서 정당 득표율 3% 이상을 얻은 정당은 고정기호로 배정된다. |
2 | 민주통합당 | |
3 | 자유선진당 | |
4 | 통합진보당 | |
5 | 창조한국당 | |
(6) | 국민생각 | 국회의원 1명을 보유하여 우선권 있으나, 후보를 내지 않으면 변동기호로 채워진다. |
국가재건친박연합 | 가나다 순서로 채워진다. 무소속은 정당 후순으로 배정되며, 복수의 무소속 후보는 추첨에 따라 배정된다. | |
국민의 힘 | ||
국민행복당 | ||
기독당 | ||
녹색당 | ||
대한국당 | ||
미래연합 | ||
민주통일당 | ||
불교연합당 | ||
정통민주당 | ||
진보신당 | ||
청년당 | ||
한나라당 |
;비례대표 후보자를 낸 정당
기호 | 정당 |
---|---|
1 | 새누리당 |
2 | 민주통합당 |
3 | 자유선진당 |
4 | 통합진보당 |
5 | 창조한국당 |
6 | 국민생각 |
7 | 가자!대국민중심당 |
8 | 친박연합 |
9 | 국민행복당 |
10 | 기독당 |
11 | 녹색당 |
12 | 대한국당 |
13 | 미래연합 |
14 | 불교연합당 |
15 | 정통민주당 |
16 | 진보신당 |
17 | 청년당 |
18 | 한국기독당 |
19 | 한국문화예술당 |
20 | 한나라당 |
정당 | 대표 | 이념 | 의석 수 | 지위 | ||
---|---|---|---|---|---|---|
지난 선거 | 선거 전 | |||||
rowspan="2" style="background:; " | | 새누리당 | 박근혜 | 보수주의 | rowspan="2" | | 여당 | |
style="background:; " | | 민주통합당 | 한명숙 | 자유주의 | 야당 | ||
style="background:; " | | 자유선진당 | 이회창 | 보수주의 | 야당 | ||
style="background:; " | | 통합진보당 | 이정희 류시민 심상정 | 진보주의 | 야당 | ||
style="background:; " | | 창조한국당 | 한명희 | 중도 개혁주의 | 야당 |
새누리당은 재보궐선거에서 야권연대에 패배한 후,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전환하고 당명을 변경했다.[79] 정홍원 위원장(전 국무총리)을 중심으로 한 제19대 총선을 위한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가 '하위 25% 컷 오프 룰'과 서울 강남 지역 현역 의원 전원교체, 비례대표 의원 강세 지역 출마 배제 등의 규칙을 도입하여 2012년 3월 중순 심사를 마쳤으나, 기존 당내 세력 중 하나였던 '친이계' 다수가 공천에서 탈락하여 여러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79]
민주통합당은 한명숙 전 총리를 당대표로 선출하고, 지역구 여론 조사 경선을 통해 공천을 정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지역구 후보 중 최소 15%는 여성을 공천하기로 했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정책 합의와 여론 조사 경선을 통한 후보 단일화 등으로 총선에서 연대하기로 결의했다.
그 외에도, 후보를 출마시킨 다른 정당으로는 좌파 성향의 새진보당과 중도우파 성향의 국민중심연합이 있었다.
5. 1. ‘한나라당’ 이름 논란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의 당명 변경[5][6][7]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영남신당자유평화당은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하겠다며 당명을 변경하였고, 이에 새누리당은 반발하였다.6. 정당별 주요 공약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정당들의 주요 공약은 다음과 같다. 당시 의석을 확보한 정당은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자유선진당, 통합진보당이었다.
국제 언론은 이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인플레이션, 교육비 및 주택 비용, 실업 및 불완전 고용, 소득 격차, 사회복지 등 경제 문제를 꼽았으며, 북한 문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27][5]
각 정당은 경제 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공약을 제시했다.
정당 | 일자리 및 청년 정책 | 대기업 및 조세 정책 |
---|---|---|
새누리당 | ||
민주통합당 | ||
통합진보당 | (민주통합당과 동일) | (민주통합당과 동일) |
자유선진당 | (자료 부족) |
6. 1. 새누리당
새누리당은 일자리 및 청년 정책으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내부 거래 조사를 정기화하며, 중소기업 사업 진출을 제한하고, 집단 소송제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18] 대기업 및 조세 정책으로는 파생상품금융거래세 도입, 금융소득종합과세 강화를 긍정적으로 검토했으며, 법인세·소득세율 인상, 유류세 인하에는 반대했다.[18]3월 22일과 23일 이틀 동안 후보자 등록을 받은 결과, 새누리당은 지역구 후보 230명과 비례대표 후보 44명을 등록했다.[57]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비고 | |
---|---|---|---|---|
3월 23일 | 4월 11일 | |||
세누리당 (自由韓国党) | 230 | 230 | 44 | |
민주통합당 (民主党 (韓国 2011-2014)) | 210 | 209 | 38 | 지역구 후보 1명 사퇴 |
자유선진당 (先進統一党) | 52 | 50 | 16 | 지역구 후보 2명 사퇴 |
통합진보당 (統合進歩党) | 55 | 51 | 20 | 지역구 후보 4명 사퇴 |
창조한국당 (創造韓国党) | 3 | 3 | 4 | |
국민의 생각 (国民の考え) | 20 | 20 | 7 | |
진보신당 (労働党 (韓国)) | 23 | 23 | 7 | |
기타 정당 | 77 | 75 | 52 | 지역구 후보 등록 무효 1명, 사퇴 1명 |
무소속 | 258 | 241 | - | 사퇴 16명, 등록 무효 1명 |
928 | 902 | 188 | ||
새누리당 비례대표 후보로는 민병주, 김정록, 윤명희, 조명철, 강은희 등이 있었다.[19][20]
새누리당 | 민병주 | 김정록 | 윤명희 | 조명철 | 강은희 | 주영순 | 신의진 | 이상일 | 이엘리사 | 이만우 | 박근혜 | 안종범 | 김현숙 | 김장실 | 이자스민 | 최봉홍 | 류지영 | 송영근 | 민현주 | 박창식 | 손인춘 | 김상민 | 현영희 | 이재영 | 신경림 |
---|---|---|---|---|---|---|---|---|---|---|---|---|---|---|---|---|---|---|---|---|---|
민주통합당 | 전순옥 | 최동익 | 은수미 | 홍종학 | 진선미 | 김용익 | 배재정 | 백군기 | 남인순 | 김광진 | 한정애 | 김기준 | 장하나 | 김기식 | 한명숙 | 도종환 | 김현 | 진성준 | 최민희 | 홍의락 | 임수경 |
통합진보당 | 윤금순 | 이석기 | 김재연 | 정진후 | 김제남 | 박원석 | |||||||||||||||
자유선진당 | 문정림 | 김영주 |
이후 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 변동은 다음과 같다.
- 박근혜 의원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비례대표직을 사퇴하면서 이운룡이 의원직을 승계했다.[57]
- 현영희 의원은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가 되어 박윤옥이 의원직을 승계했다.
- 안종범 의원은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지명되어 양창영이 의원직을 승계했다.
- 김현숙 의원은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으로 지명되어 장정은이 의원직을 승계했다.
- 강은희 의원은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지명되어 정윤숙이 의원직을 승계했다.
년도 | 날짜 | 당선자 | 소속 정당 | 결원 | 결원 사유 |
---|---|---|---|---|---|
2012 | 7.9 | 서기호 | 통합진보당 | 윤금순 | 통합진보당 부정선거 사건으로 인한 사퇴 |
12.10 | 이운룡 | 새누리당 | 박근혜 | 대통령 선거 출마 | |
2013 | 12.12 | 황인자 | 자유선진당 | 김영주 |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당선 무효 |
2014 | 1.16 | 박윤옥 | 새누리당 | 현영희 | 공직선거법·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
6.16 | 양창영 | 새누리당 | 안종범 |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지명 | |
2015 | 8.4 | 장정은 | 새누리당 | 김현숙 |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으로 지명 |
8.20 | 신문식 | 민주통합당 | 한명숙 |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당선 무효 | |
2016 | 1.19 | 정윤숙 | 새누리당 | 강은희 |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지명 |
6. 2.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민주통합당은 "이명박 정권 심판"을 내세우며 정권에 대한 불만을 가진 유권자들에게 이번 선거를 이명박 대통령의 대통령직에 대한 국민투표로 여길 것을 촉구했다.[17] 야당 연합은 일자리 창출을 약속하며 집권당을 비사회적이고 부자들에게 유리한 정당으로 묘사했다.[18]통합진보당은 민주통합당과의 선거 협력을 통해 의석 수를 크게 늘렸다.[61]
주요 정책요약에 명시된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 일자리 및 청년 정책:
- 근로 시간 단축
- 대기업 청년고용의무할당제
- 정규직-비정규직 차별 해소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차별시정제도)
- 대기업 및 조세 정책:
- 출자총액제한제 재도입
- 순환 출자 금지
- 공정거래위원회 전속고발제 폐지
- 금산 분리 시행
- 법인세·소득세 최고 세율 상향 조정
- 금융소득종합과세·주식양도차익과세 강화
- 파생상품금융거래세 도입 찬성
- 유류세 인하
6. 3. 자유선진당
자유선진당은 출자총액제한제 재도입, 세금 인상, 파생상품금융거래세 도입에 찬성했으며, 순환출자금지와 금융소득종합과세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16]
7. 여론조사
2010년 지방선거와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여론조사 예측이 실패하면서,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개선 압박이 거세졌다. 불법 정부 감시 혐의가 제기된 후, 의원들은 조사를 촉구했고, 여당은 전 정부도 같은 일을 했다고 비난했다.[27] 대통령실(청와대)은 분석 자료를 발표하여 기록된 사건의 84%가 노무현 전 정부 시절에 발생했다고 밝혔다.[21]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선거 후 분석에 따르면 여당의 스캔들 대응은 효과적이었으며, 감시 스캔들이 유권자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한다.[22]
민주통합당 후보 김용민은 팟캐스트 토크쇼 나는 꼼수다에서 수많은 공격적인 발언을 한 혐의를 받았다.[23] 그는 사과했지만, 민주당 지도부의 후보직 사퇴 권고에도 불구하고 후보직을 유지했다.[24][25] 이후 김용민은 선거에서 당선되지 못했다.[26]
8. 출구조사
MBC, KBS, SBS 방송 3사의 출구조사 결과,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새누리당이 우세할 것으로 예측되었다.[1] 야권 연대는 과반 의석 확보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
9. 선거 결과
19대 국회의원 선거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최종 평가이자 8개월 후의 18대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지닌 중요한 선거였다.[78] 국회의원 임기 4년이 만료됨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장 및 교육감 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및 광역·기초의회 의원 재보궐선거도 동시에 실시되었다.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은 당명을 변경하고 당 쇄신을 도모하였고, 이에 맞서 야당은 “이명박 정권과 여당 새누리당에 대한 심판”을 최대 쟁점으로 내걸고 대결하였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등 진보계 야당은 지역구 후보 단일화를 통한 야권 연대를 통해 여야 역전을 노렸다.[42]
2009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재외선거 제도가 처음으로 시행되었으며,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를 활용한 선거운동이 법정 선거운동 기간 외에도 가능하게 되었다.[43]
대한민국의 국회는 246석의 지역구 국회의원과 병립식 선거 제도에 따라 선출되는 54석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구성된다.[3] 비례대표 의석은 전국 유효투표의 3% 이상을 획득하거나 5석 이상의 지역구 의석을 확보한 정당에만 배분되었다.[3] 투표소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렸으며, 전자 투표 집계 및 스캐닝을 통해 즉각적인 결과가 나왔다.[37]
조명철의 당선은 남한에 거주하는 2만 3천 명의 탈북자 중 최초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사례이다.[19]
9. 1. 투표율
제19대 총선의 전국 평균 투표율은 54.2%로 집계되었다. 총 선거인수 40,205,055명 중 21,806,798명이 투표권을 행사하였다.[78]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
제19대 | 55.5% | 54.6% | 52.3% | 51.4% | 52.7% | 54.2% | 55.7% | 59.2% | 52.6% | 55.7% | 54.6% | 52.4% | 53.6% | 56.7% | 56.0% | 57.2% | 54.7% |
제18대 | 45.8% | 42.9% | 45.1% | 42.5% | 42.4% | 45.3% | 45.8% | 미실시 | 43.7% | 51.5% | 49.3% | 48.2% | 47.5% | 50.0% | 53.1% | 48.3% | 53.5% |
9. 2. 정당별 의석 수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누리당 | 127 | 25 | 152 |
민주통합당 | 106 | 21 | 127 |
통합진보당 | 7 | 6 | 13 |
자유선진당 | 3 | 2 | 5 |
무소속 | 3 | 0 | 3 |
합계 | 246 | 54 | 300 |
대한민국의 국회는 246석의 지역구 국회의원과 병립식 선거 제도에 따라 선출되는 54석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구성된다.[3] 비례대표 의석은 전국 유효투표의 3% 이상을 획득하거나 5석 이상의 지역구 의석을 확보한 정당에만 배분되었다.[3]
9. 3. 시도별 의석 수
지역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통합진보당 | 자유선진당 | 무소속 | 합계 |
---|---|---|---|---|---|---|
서울특별시 | 16 | 30 | 2 | 48 | ||
부산광역시 | 16 | 2 | 18 | |||
대구광역시 | 12 | 12 | ||||
인천광역시 | 6 | 6 | 12 | |||
광주광역시 | 6 | 1 | 1 | 8 | ||
대전광역시 | 3 | 3 | 6 | |||
울산광역시 | 6 | 6 | ||||
세종특별자치시 | 1 | 1 | ||||
경기도 | 21 | 29 | 2 | 52 | ||
강원도 | 9 | 9 | ||||
충청북도 | 5 | 3 | 8 | |||
충청남도 | 4 | 3 | 3 | 10 | ||
전라북도 | 9 | 1 | 1 | 11 | ||
전라남도 | 10 | 1 | 11 | |||
경상북도 | 15 | 15 | ||||
경상남도 | 14 | 1 | 1 | 16 | ||
제주특별자치도 | 3 | 3 |
9. 4. 지역구 득표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
새누리당 | 9,324,911 | 43.3% | 127 |
민주통합당 | 8,156,045 | 37.9% | 106 |
자유선진당 | 474,001 | 2.2% | 3 |
통합진보당 | 1,291,306 | 6.0% | 7 |
국민생각 | 44,379 | 0.2% | 0 |
친박연합 | 25,302 | 0.1% | 0 |
국민의 힘 | 153 | 0.0% | 0 |
국민행복당 | 18,028 | 0.1% | 0 |
기독자유민주당 | 2,241 | 0.0% | 0 |
녹색당 | 4,843 | 0.0% | 0 |
대한국당 | 887 | 0.0% | 0 |
미래연합 | 5,403 | 0.0% | 0 |
민주통일당 | 524 | 0.0% | 0 |
불교연합당 | 68 | 0.0% | 0 |
정통민주당 | 71,867 | 0.3% | 0 |
진보신당 | 101,614 | 0.5% | 0 |
청년당 | 5,569 | 0.0% | 0 |
한나라당 | 454 | 0.0% | 0 |
무소속 | 2,014,777 | 9.4% | 3 |
총합 | 21,545,996 | - | 246 |
9. 5. 비례대표 득표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수 |
---|---|---|---|
새누리당 | 9,130,651 | 42.8 | 25 |
민주통합당 | 7,777,123 | 36.5 | 21 |
통합진보당 | 2,198,405 | 10.3 | 6 |
자유선진당 | 690,754 | 3.2 | 2 |
Christian Liberal Democratic Party|기독자유민주당영어 | 257,190 | 1.2 | 0 |
새누리당 | 243,065 | 1.1 | 0 |
한나라당 | 181,822 | 0.8 | 0 |
미래한국당 | 156,241 | 0.7 | 0 |
Pro-Park United|국가재건친박연합영어 | 134,898 | 0.6 | 0 |
녹색당 | 103,842 | 0.48 | 0 |
창조한국당 | 91,935 | 0.43 | 0 |
Party for Youth|청년당영어 | 73,194 | 0.34 | 0 |
Go! Party for the Grand People|가자!대국민중심당영어 | 60,428 | 0.28 | 0 |
한국기독당 | 54,332 | 0.25 | 0 |
진보신당 | 48,648 | 0.23 | 0 |
통불당 | 36,262 | 0.17 | 0 |
People's Happiness Party|국민행복당영어 | 35,846 | 0.17 | 0 |
문화예술당 | 23,330 | 0.11 | 0 |
Future Union|미래연합영어 | 19,962 | 0.09 | 0 |
Grand Korea Party|대한국당영어 | 14,133 | 0.07 | 0 |
10. 당선자
10. 1. 지역구
10. 2. 비례대표
# | width="100" bgcolor="" | | width="100" bgcolor="" | | width="100" bgcolor="" | | width="100" bgcolor="" | |
---|---|---|---|---|
1 | 민병주 | 전순옥 | 윤금순 | 문정림 |
2 | 김정록 | 최동익 | 이석기 | 김영주 |
3 | 윤명희 | 은수미 | 김재연 | |
4 | 조명철 | 홍종학 | 정진후 | |
5 | 강은희 | 진선미 | 김제남 | |
6 | 주영순 | 김용익 | 박원석 | |
7 | 신의진 | 배재정 | ||
8 | 이상일 | 백군기 | ||
9 | 이에리사 | 남인순 | ||
10 | 이만우 | 김광진 | ||
11 | 박근혜 | 한정애 | ||
12 | 안종범 | 김기준 | ||
13 | 김현숙 | 장하나 | ||
14 | 김장실 | 김기식 | ||
15 | 이자스민 | 한명숙 | ||
16 | 최봉홍 | 도종환 | ||
17 | 류지영 | 김현 | ||
18 | 송영근 | 진성준 | ||
19 | 민현주 | 최민희 | ||
20 | 박창식 | 홍의락 | ||
21 | 손인춘 | 임수경 | ||
22 | 김상민 | |||
23 | 현영희 | |||
24 | 이재영 | |||
25 | 신경림 |
조명철의 당선은 남한에 거주하는 2만 3천 명의 탈북자 중 최초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사례이다.[19]
11. 정당별 반응 및 분석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이명박 정부의 국정 운영을 평가하고 18대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지닌 중요한 선거였다. 각 정당은 선거 결과에 대해 다양한 반응과 분석을 내놓았다.
새누리당은 단독 과반 의석인 152석을 확보하며 예상을 뛰어넘는 승리를 거두었다.[97] 청와대는 여소야대 가능성을 우려했지만, 새누리당의 승리가 확실해지자 안도했다.[98] 그러나 수도권에서는 야권의 정권심판론에 밀려 고전했으며, 특히 서울에서는 부유층 거주 지역을 제외하고는 8석 확보에 그쳤다. 반면 영남과 강원 지역에서 압승을 거두며 과반 의석을 확보했다.
민주통합당은 수도권에서 승리하며 18대 총선의 패배를 설욕했지만, 대구, 경북, 강원에서는 의석을 전혀 얻지 못하는 등 지역별 편차가 컸다. 박선숙 선거대책본부장은 패배를 인정했으며,[106] 한명숙 대표의 리더십 부족, 전략 부재, 공천 잡음,[107][108] 김용민 후보의 막말 파문[109] 등이 패배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통합진보당은 13석을 얻어 원내교섭단체 구성에는 실패했지만, 민주노동당 시절보다 의석수가 늘었다. 이정희 공동대표는 수도권에서의 야권연대 지지를 확인했다며, 정권교체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112]
자유선진당은 5석 확보에 그치며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원내 제3당 지위를 통합진보당에 내주었다.[113] 심대평 대표는 당의 부진한 성적에 책임을 지고 사퇴했으며,[38] 당은 이후 새누리당에 흡수 합당되었다.[114]
기타 군소 정당들은 모두 의석 확보에 실패하고 해산되었다.[115]
이명박 대통령은 "국민들이 현명한 선택을 했다"며, 정부는 국정 운영과 민생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1]
11. 1. 새누리당
결과적으로 새누리당은 취약 지역에서는 선방하였고, 전략 지역에서는 승리했다. 새누리당은 단독 과반 의석인 152석을 확보하여 당초 우려와 여론조사와는 달리 보수층이 결집해 승리했다.[97] 청와대에서는 여소야대 현상이 벌어질까 우려했지만, 새누리당 승리가 점차 확실해지면서 안도와 다행이라는 반응을 내보였다.[98]한편 수도권에서는 야권의 정권심판론이 유효해 새누리당이 패배하였으며,[99][100] 특히 서울에서는 과거 탄핵정국으로 인해 제17대 총선 당시 열린우리당에 참패했던 한나라당과 동일한 의석밖에 획득하지 못하는 등 새누리당이 크게 고전하였다.
새누리당이 서울에서 차지한 의석은 16석으로, 절반 이상은 용산·강남4구를 비롯한 부유층 거주 지역이다. 반대로 서울 비강남권에서 겨우 8석을 차지했지만, 영남에서는 대구, 경북, 울산에서 표를 쓸어담아 압도적으로 승리했고, 강원도에서 의석 수 전체에 해당하는 9석을 석권하며 과반 의석 확보의 결정적 계기로 삼았다.
의석 수에서는 차이가 났으나, 비례대표의 정당득표율이나 각 지역구에서 얻은 득표수의 합은 새누리당이 야권연대와 비교해 박빙이거나 오히려 밀리기까지 하는 상황으로, 대선을 앞둔 험난한 정국에서 어느 한 쪽도 독주하거나 긴장을 늦출 수 없도록 절묘한 힘의 균형을 이룬 상태라는 분석이 있다.[101][102]
총선 후 같은 달 18일에는 김형태가[103], 20일에는 문대성이 탈당하면서 150석으로 감소해 결국 19대 국회가 개시되기 전 새누리당의 과반 의석이 깨지게 되었다.[104]

지역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통합진보당 | 자유선진당 | 무소속 | 총 의석 수 (Total seats) |
---|---|---|---|---|---|---|
서울 | 16 | 30 | 2 | 0 | 0 | 48 |
부산 | 16 | 2 | 0 | 0 | 0 | 18 |
대구 | 12 | 0 | 0 | 0 | 0 | 12 |
인천 | 6 | 6 | 0 | 0 | 0 | 12 |
대전 | 3 | 3 | 0 | 0 | 0 | 6 |
울산 | 6 | 0 | 0 | 0 | 0 | 6 |
강원 | 9 | 0 | 0 | 0 | 0 | 9 |
충북 | 5 | 3 | 0 | 0 | 0 | 8 |
충남 | 4 | 3 | 0 | 3 | 0 | 10 |
경북 | 15 | 0 | 0 | 0 | 0 | 15 |
경남 | 14 | 1 | 0 | 0 | 1 | 16 |
총계 | 127 | 106 | 7 | 3 | 3 | 246 |
지역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통합진보당 | 자유선진당 | 기타 |
---|---|---|---|---|---|
서울 | 42.3 | 38.2 | 10.6 | 2.1 | 6.9 |
부산 | 51.3 | 31.8 | 8.4 | 1.9 | 6.6 |
대구 | 66.5 | 16.4 | 7.0 | 2.0 | 8.1 |
인천 | 42.9 | 37.7 | 9.7 | 2.6 | 7.1 |
대전 | 34.3 | 33.7 | 9.0 | 17.9 | 5.1 |
울산 | 49.5 | 25.2 | 16.3 | 1.6 | 7.4 |
강원 | 51.3 | 33.5 | 6.6 | 1.8 | 6.8 |
충북 | 43.8 | 36.0 | 7.7 | 5.3 | 7.1 |
충남 | 36.6 | 30.4 | 6.8 | 20.4 | 5.8 |
경북 | 69.0 | 13.4 | 6.2 | 1.4 | 9.9 |
경남 | 53.8 | 25.6 | 10.5 | 1.6 | 8.5 |
전체 합계 | 42.8 | 36.5 | 10.3 | 3.2 | 7.2 |
의석 배분 | 25 | 21 | 6 | 2 | 0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비고 | |
---|---|---|---|---|
3월 23일 | 4월 11일 | |||
새누리당 | 230 | 230 | 44 |
11. 2.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은 수도권에서 승리했지만, 수도권 열세 지역에서는 완패했다.[105] 18대 총선에서의 패배를 설욕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다. 특히 대구, 경북, 강원에서는 의석을 전혀 얻지 못했고, 부산, 경남, 울산에서도 일부 의석 획득에 그쳐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과반 의석은 새누리당이 차지했고, 박선숙 민주통합당 선거대책본부장은 투표 당일 패배를 인정했다.[106]민주통합당의 패배 원인으로는 한명숙 대표의 무능, 전략 부재, 공천 잡음,[107][108] 그리고 김용민 후보의 막말 파문[109] 등이 꼽힌다. 김용민 후보는 팟캐스트 토크쇼 나는 꼼수다에서 한 공격적인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고, 당 지도부의 사퇴 권고에도 불구하고 후보직을 유지했다가 결국 낙선했다.[23][24][25][26]
그러나 18대 국회와 비교하면 민주통합당의 의석은 크게 증가하여, 새누리당의 강행 처리를 단독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되었다.[110] 통합진보당과의 연대를 통해 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에 대한 견제가 더 적극적으로 가능해졌다.[111]
지역 | 득표율 |
---|---|
서울 | 38.2% |
부산 | 31.8% |
대구 | 16.4% |
인천 | 37.7% |
광주 | 68.9% |
대전 | 33.7% |
울산 | 25.2% |
세종 | 38.7% |
경기 | 37.7% |
강원 | 33.5% |
충북 | 36.0% |
충남 | 30.4% |
전북 | 65.6% |
전남 | 69.6% |
경북 | 13.4% |
경남 | 25.6% |
제주 | 39.5% |
11. 3.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은 이번 총선에서 13석을 획득해 원내교섭단체 구성에는 실패했지만, 18대 국회 민주노동당 시절 5석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성과를 얻었다. 하지만 비례대표 부정 경선 사건이 일어나고 통합진보당은 공중 분해되고 만다.이정희 공동대표는 "수도권에서 변화의 열망과 야권연대에 대한 지지가 확인됐다. 부족한 점 보완해서 정권교체로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밝혔다.[112]
11. 4. 자유선진당
자유선진당은 18대 총선에서 대전·충남에서 선전하여 지역구 14석, 비례대표 4석을 포함, 총 18석을 얻었다. 그러나 19대 총선에서는 5석을 얻는데 그쳐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원내 제3당 지위를 통합진보당에 넘겨주게 되었다.[113] 자유선진당 문정림 대변인은 "오늘의 어려운 시련을 딛고 새롭게 도약하는 참된 보수정당으로 힘차게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당의 존폐가 논의되었고, 결국 19대 대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에 흡수 합당되었다.[114]지역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통합진보당 | 자유선진당 | 무소속 | 총 의석 수 |
---|---|---|---|---|---|---|
충남 | 4 | 3 | 0 | 3 | 0 | 10 |
총계 | 127 | 106 | 7 | 3 | 3 | 246 |
지역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통합진보당 | 자유선진당 | 기타 |
---|---|---|---|---|---|
대전 | 34.3 | 33.7 | 9.0 | 17.9 | 5.1 |
세종 | 27.8 | 38.7 | 5.4 | 22.6 | 5.5 |
충남 | 36.6 | 30.4 | 6.8 | 20.4 | 5.8 |
전체 합계 | 42.8 | 36.5 | 10.3 | 3.2 | 7.2 |
의석 배분 | 25 | 21 | 6 | 2 | 0 |
11. 5. 기타 군소 정당
기타 군소 정당들은 모두 정당 지지율이 2% 이하이고 지역구 의석을 배출하지 못하여 총선이 끝난 다음 날 전부 자동 해산되었다. 일부 정당들은 다음번에 재창당하겠다는 뜻을 밝혔다.[115]12. 기록
대한민국의 국회는 246석의 지역구 국회의원과 병립식 선거 제도에 따라 선출되는 54석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구성된다.[3] 비례대표 의석은 전국 유효투표의 3% 이상을 획득하거나 5석 이상의 지역구 의석을 확보한 정당에만 배분되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중심제 하에서는 국가원수가 내각을 임명하지만, 국회에서의 지지 기반 상실은 이명박 정부에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었다.[4]
13. 특징
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년 만에[78] 총선과 대선을 같은 해에 치르는 선거이자, 집권 마지막 해를 맞이한 이명박 정부에 대한 최종 평가이며, 8개월 후에 있을 18대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지닌 중요한 선거였다.
이번 선거부터 국외 부재자 선거와 재외국민 선거가 처음으로 실시되었다.[116] 재외국민은 비례대표만 투표할 수 있고, 지역구 후보는 뽑을 수 없었다.[116] 또한,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활용한 선거운동이 법정 선거운동 기간 외에도 가능하게 되었다.[43]
14. 논란
- 서울특별시 강남을 선거구의 일부 투표함에서 투표 봉인이 제대로 되지 않은 문제가 발생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문제가 없는 투표함에 대해 개표를 진행했지만, 정동영 민주통합당 후보와 민주통합당 측은 개표 중단을 요구했다.[117] 그러나 선관위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118]
- 부경대학교의 전 학생회장이 학생들의 명의를 도용해 부재자 투표 신청을 하고 투표용지를 임의로 폐기하여, 200여 명의 학생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신고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접수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119]
- 새누리당 홍사덕 후보가 선거 당일 선거운동을 한 혐의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경찰에 고발되어 수사를 받고 있다.[120]
- 선거 전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의 '내 투표소 찾기' 서버가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121]
- 새누리당은 전국에서 선거 당일 투표장 앞에 '투표해 주십시오.'라는 문구와 함께 새누리당 로고가 그려진 스티커를 붙이거나, 후보와 유세 차량들이 투표장 앞에서 유세를 하는 등의 행위를 했다. 통합진보당 후보들도 선거 당일 통합진보당의 로고와 기호가 적힌 어깨띠를 착용하고 투표를 독려하여 논란이 되었다.
참조
[1]
뉴스
S. Korea's ruling party pulls off upset victory in crucial general elections
http://english.yonha[...]
2012-04-11
[2]
뉴스
Odds & Ends A Day After The Election
https://blogs.wsj.co[...]
2012-04-12
[3]
뉴스
(총선 D-2) 비례대표 의석(총 54석) 전망도 새누리·민주 초박빙
http://news.chosun.c[...]
2012-04-09
[4]
간행물
S. Korea Ruling Party Risks Election Loss
http://www.businessw[...]
2012-04-11
[5]
뉴스
The South: Busy at the polls
https://web.archive.[...]
2012-04-02
[6]
뉴스
Ruling party`s emergency committee
http://english.donga[...]
2011-12-17
[7]
뉴스
Rebranding GNP picks Saenuri as new name
https://archive.toda[...]
2012-02-03
[8]
뉴스
South Korea's ruling party holds on to parliament
https://www.bbc.co.u[...]
2012-04-12
[9]
뉴스
Left-wing alliance a double-edged sword for main opposition
http://www.koreahera[...]
2012-04-12
[10]
뉴스
D-6: Election Race Outside Capital Region
http://www.arirang.c[...]
2012-04-11
[11]
뉴스
Will the UPP candidates stack up?
https://archive.toda[...]
Korea Joongang Daily
2012-03-01
[12]
뉴스
Conservatives should united against the pro-North faction
http://allinkorea.ne[...]
All-in Korea
2012-04-00
[13]
뉴스
Alliance benefits leftist party most
https://www.koreatim[...]
The Korea Herald
2012-04-12
[14]
뉴스
Signs of conservatives’ division deepen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12-03-23
[15]
뉴스
Rift growing in opposition alliance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16]
뉴스
Po Party Leaders Rally Support Ahead of Official Campaign
https://archive.toda[...]
KBS
2012-03-26
[17]
신문
South Koreans Vote in Parliamentary Election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4-11
[18]
뉴스
Polls open in S Korean election
http://www.skynews.c[...]
Sky News
2012-04-11
[19]
뉴스
North Korean defector stands for South Korean election
http://edition.cnn.c[...]
CNN
2012-04-11
[20]
뉴스
South Korea set to elect first defector lawmaker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 Asia
2012-04-11
[21]
뉴스
Exploitation of illegal surveillance scandal
http://english.donga[...]
Donga Ilbo
2012-04-02
[22]
뉴스
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 전후, 총선 다큐멘터리 10일
http://www.realmeter[...]
Realmeter
2012-04-23
[23]
뉴스
'Bad-boy' hopeful refuses to bow out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4-08
[24]
뉴스
Foul-mouthed podcaster hangs on to candidacy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5-04
[25]
뉴스
Disgraced candidate vows to finish race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2-04-08
[26]
뉴스
Kim's mouth cost him election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2-04-13
[27]
뉴스
South Korea votes in closely contested poll
http://www.aljazeera[...]
Al Jazeera English
2012-04-11
[28]
뉴스
박근혜, 대선 다자대결 구도서 27.1%로 1위(NFP leader Park Geun Hye ranked first with 27.1% popularity in a poll)
http://article.joins[...]
Korea JoongAng Daily
2011-12-26
[29]
뉴스
문재인, 여론조사서 지지율 14.6%로 올라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12-01-16
[30]
웹사이트
Realmeter.net
http://www.realmeter[...]
[31]
뉴스
South Korean conservatives show renewed strength ahead of April elections
http://asiancorrespo[...]
2012-02-28
[32]
뉴스
KBS Survey: NFP, DUP in Close Contest in Approval Ratings
http://english.kbs.c[...]
2012-03-13
[33]
뉴스
http://www.realmeter[...]
2012-04-02
[34]
뉴스
비례대표 정당지지, 새누리 38%, 민주 31%, 통진 12%
http://www.realmeter[...]
2012-03-29
[35]
뉴스
Opposition makes slight comeback in general election advance poll
http://english.hani.[...]
2012-04-02
[36]
뉴스
http://www.ohmynews.[...]
2012-04-02
[37]
뉴스
A tale of two Koreas
http://blogs.aljazee[...]
2012-04-12
[38]
뉴스
Ruling party leader pledges new beginning after election win
http://english.yonha[...]
2012-04-12
[39]
뉴스
Opposition leader steps down over election defeat
https://www.koreatim[...]
2012-04-13
[40]
간행물
http://www.ndl.go.jp[...]
[41]
논문
第19代国会議員総選挙と地域主義 -嶺南地域と湖南地域を中心に-
https://hdl.handle.n[...]
早稲田大学アジア太平洋研究センター
2013-01-01
[42]
뉴스
여야 공천 마무리 수순..총선 체제 돌입(与野公薦仕上げ手順..総選体制突入)
http://www.yonhapnew[...]
2012-03-14
[43]
간행물
【韓国】 選挙をめぐる最近の動向―SNS、在外選挙、選挙区画定―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2-04-01
[44]
웹사이트
중앙당 현황(中央党現況)
http://party.nec.go.[...]
[45]
웹사이트
한국의 선거#예비후보
[46]
웹사이트
선거인명부 확정상황(選挙人名簿 確定状況)
http://info.nec.go.k[...]
[47]
뉴스
국회의원 299명→300명 증원' 본회의 통과(‘国会議員299名→300名増員’本会議通過)
http://www.yonhapnew[...]
2012-02-28
[48]
뉴스
정개특위 선거개혁, 결국 말잔치로 끝났다(政改特委 選挙改革、結局トークショーで終わった)
http://news.donga.co[...]
2012-02-28
[49]
웹사이트
당선인 결정(当選人決定)
http://news.donga.co[...]
[50]
웹사이트
정당별 예비후보자수(政党別 予備候補者数)
http://info.nec.go.k[...]
[51]
뉴스
野党圏連帯 劇的妥結…75ヶ所で競選へ
http://japan.hani.co[...]
2012-03-10
[52]
뉴스
韓国:野党圏単一化、李正姫勝利、趙承洙脱落
http://www.labornetj[...]
[53]
뉴스
새누리, 당명ㆍ정강정책 확정..`박근혜당' 완성(セヌリ、党名・政綱政策確定。。‘朴槿恵党’完成)
http://www.yonhapnew[...]
2012-02-13
[54]
뉴스
与野党 選挙に向けた動きを本格化
http://rki.kbs.co.kr[...]
2012-02-02
[55]
뉴스
野党が統合「民主統合党」が発足
http://rki.kbs.co.kr[...]
2011-12-16
[56]
뉴스
党合併を公式決定 進歩系3党
http://rki.kbs.co.kr[...]
2011-12-05
[57]
뉴스
総選挙の候補登録22-23日 選挙運動は29日から
http://rki.kbs.co.kr[...]
2012-03-22
[58]
뉴스
4ㆍ11총선 후보등록 마감..900여명 신청(4・11総選候補登録締め切る。。900余名申請)
http://www.yonhapnew[...]
2012-03-23
[59]
웹사이트
후보자 등록(候補者登録)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60]
뉴스
与党セヌリ党 単独過半数で第一党維持
http://rki.kbs.co.kr[...]
2012-04-12
[61]
뉴스
統合進歩党は第3党 自由先進党は存廃の岐路
http://rki.kbs.co.kr[...]
2012-04-13
[62]
뉴스
暫定投票率 前回より高い54.3%
http://rki.kbs.co.kr[...]
2012-04-13
[63]
뉴스
4月の総選挙 60歳以上の投票率が最
http://rki.kbs.co.kr[...]
2012-06-20
[64]
웹사이트
「韓国の国会議員候補者の半数超に問題アリ、前科者も250人=韓国ネット「ため息しか出ない」「真面目に生きるとつらいだけの国」」
https://www.recordch[...]
[65]
뉴스
保守系が過半数議席確保 常任委員会は別問題
http://rki.kbs.co.kr[...]
2012-04-13
[66]
뉴스
女性議員19人、新人148人、現役議員交代率62%
http://rki.kbs.co.kr[...]
2012-04-13
[67]
뉴스
総選挙:セヌリ党、忠清道・江原道で躍進
http://www.chosunonl[...]
2012-04-13
[68]
뉴스
総選挙:首都圏で野党優勢、背景にSNS
http://www.chosunonl[...]
2012-04-13
[69]
웹사이트
재외선거안내(在外選挙案内)
http://www.nec.go.kr[...]
2012-01-01
[70]
뉴스
4月総選挙で初の在外投票 13日から選挙人登録
http://japanese.yonh[...]
2012-01-01
[71]
뉴스
4月の総選挙 在外選挙人の登録率1%台=韓国
http://japanese.yonh[...]
2012-01-30
[72]
뉴스
재외국민선거인 등록 12만3천명..참가율 5.5%(在外国民選挙人登録12万3千名。。参加率5.5%)
http://app.yonhapnew[...]
2012-03-25
[73]
뉴스
総選挙の在外国民投票 投票率は45%どまり=韓国
http://japanese.yonh[...]
2012-04-06
[74]
정당
한나라당+친박연대
[75]
정당
통합민주당
[76]
정당
민주노동당
[77]
뉴스
<일문일답으로 풀어본 재외국민투표>-1,2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2-08
[78]
일반
[79]
뉴스
취재파일 새누리당 '시스템 공천'의 운명은?
http://news.sbs.co.k[...]
SBS
2012-03-19
[80]
웹사이트
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http://info.nec.go.k[...]
[81]
뉴스
영남신당, 한나라당으로 당명 변경 ‘논란’
http://news2.cnbnews[...]
[82]
뉴스
‘한나라당’ 재등장… “새누리당, 도둑놈 심보”…로고도 파란색
https://news.naver.c[...]
[83]
뉴스
‘한나라당 부활?’, 영남신당 당명변경에 새누리당 ‘전전긍긍’
https://news.naver.c[...]
[84]
뉴스
여야 공약 해부 10대 핵심공약 비교해 보니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04-02
[85]
뉴스
[공약 체크리스트]미래를 좌우할 공약… 어느 당을 선택하시겠습니까
http://news.khan.co.[...]
[86]
웹사이트
정당별 10대 공약
http://party.nec.go.[...]
2012-04-11
[87]
뉴스
여야 대기업 정책 공약 비교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03-23
[88]
뉴스
[여론조사 집중해부] 또 널뛰기 여론조사… 해법은 ‘휴대전화’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10-31
[89]
웹인용
민주통합당 출범 첫주 30%대로 출발
http://www.realmeter[...]
리얼미터
2011-12-26
[90]
웹인용
힐링캠프 효과? 문재인 지지율 급등
http://www.realmeter[...]
리얼미터
2012-01-16
[91]
웹인용
박근혜, 오차범위내서 문재인 다시 앞서
https://web.archive.[...]
리얼미터
2012-02-13
[92]
웹인용
리서치뷰
https://web.archive.[...]
[93]
웹인용
새누리당 지지율 1년만에 40%대 회복
https://web.archive.[...]
리얼미터
2012-03-12
[94]
웹인용
핵안보 정상회담으로 당청 지지율 반등
https://web.archive.[...]
리얼미터
2012-04-02
[95]
웹인용
<특집기획> 전국 RDD 휴대전화조사&유선전화조사 심층분석 - 숨어있는 야권표의 실마리를 찾다!
https://web.archive.[...]
리서치뷰
2012-04-06
[96]
뉴스
새누리당 131~147석, 민주통합당 131~147석,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2-04-11
[97]
뉴스
새누리당, 취약지역서 '선방' 전략지역서 '승리'
http://news.sbs.co.k[...]
SBS
[98]
웹인용
청와대 일단 안도…정국 향방 촉각
https://web.archive.[...]
[99]
뉴스
새누리당, 서울·수도권에서 참패
https://news.naver.c[...]
뉴시스
[100]
뉴스
박근혜의 '힘', 수도권에선 왜 안 먹혔나?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101]
뉴스
4·11 표심 46% vs 46%… 독주 견제, 숨은 민심
https://news.naver.c[...]
[102]
웹인용
총선, 득표수에선 야권연대가 새누리 눌렀다
http://news.heraldm.[...]
2012-07-15
[103]
웹사이트
'제수 성폭력' 혐의 김형태 탈당..."대선 전 복당하겠다
http://www.ohmynews.[...]
[104]
웹사이트
문대성 새누리 탈당
http://news.chosun.c[...]
[105]
웹인용
총선 당선자명단, 민주통합당 수도권 승리
http://www.newsen.co[...]
2012-04-18
[106]
웹사이트
민주통합당 "국민선택 겸허히 받아들이겠다" 패배 인정
http://news.inews24.[...]
[107]
웹사이트
‘반MB 민심’에만 의존… 내부개혁·비전 없이 기득권 챙겨
http://media.daum.ne[...]
[108]
웹사이트
“유권자 기대 민망할 정도 좌절… 민주, 전략 부재·정책 실종”
http://media.daum.ne[...]
[109]
웹인용
전문가들은 막말 파문이 노년층이 많은 농촌 지역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http://news20.busan.[...]
2012-04-18
[110]
웹사이트
대통령이 野 설득 못하면 쟁점 법안은 처리 힘들다
http://news.chosun.c[...]
[111]
웹인용
① 박근혜 총선압승 이해득실
http://www.ilyosisa.[...]
2012-04-18
[112]
뉴스
[4·11 총선] 통합진보당 '약진'…자유선진당 '입지 흔들'
http://mbn.mk.co.kr/[...]
[113]
웹인용
통합진보당 ‘제3당’ 등극…자유선진당 ‘참패
http://news.kbs.co.k[...]
2012-04-18
[114]
뉴스
자유선진당 "오늘의 시련 딛고 새롭게 도약하겠다"
http://news1.kr/arti[...]
[115]
뉴스
진보신당·국민생각·창조한국당 등 18개 정당 등록취소
http://news1.kr/arti[...]
[116]
뉴스
SBS 선거송 애니 '코끼리를 움직여' 주목!
http://news.sbs.co.k[...]
SBS
2012-04-04
[117]
뉴스
서울 강남을 투표함 1/3 봉인 제대로 안돼...강남 갑도 10개 투표함 문제제기
http://news1.kr/arti[...]
뉴스1
2012-04-11
[118]
뉴스
4.11총선 중앙선관위 ″강남을 미봉인 투표함 불구 개표 문제 없다
http://www.asiatoday[...]
[119]
뉴스
4·11 총선 부경대 학생회장, '부재자 투표용지 폐기' 논란
http://www.newsway.k[...]
[120]
뉴스
경찰, 홍사덕 후보 투표당일 선거운동 수사 착수
http://www.nocutnews[...]
[121]
뉴스
'내투표소찾기' 서버에 선관위 디도스 공격 집중됐다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2-04-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