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의회는 경상북도 도민을 대표하는 의사 결정 기구이다.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무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이 의회를 대표한다. 역대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 결과를 통해 경상북도의 정치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국민의힘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는 국민의힘 57석, 더불어민주당 2석, 무소속 1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의회 선거 결과, 자유한국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하고,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바른미래당이 그 뒤를 이었다. - 경상북도의 정치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의회
201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실시된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는 지역구에서 한나라당 48석, 무소속 10석, 친박연합 1석, 민주당 1석, 비례대표에서 한나라당 6석, 민주당 1석을 획득하여 총 60명의 의원을 선출하였다. - 안동시 소재의 관공서 -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은 경상북도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여러 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을 통해 교육 정책 수립 및 행정 업무를 수행하며, 과거 달성 및 군위교육지원청은 각각 대구광역시교육청으로 이관되었다. - 안동시 소재의 관공서 - 안동교도소
안동교도소는 1922년 대구감옥 안동분감으로 시작하여 안동형무소를 거쳐 1961년 안동교도소로 개칭되었으며, 1985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교정시설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경상북도의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상북도의회 |
원명 |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
로마자 표기 | Gyeongsangbukdo Uihoe |
한자 표기 | 慶尙北道議會 |
의회 체제 | 단원제 |
의회 임기 | 경상북도의회 |
위치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
웹사이트 | 경상북도의회 |
의장단 | |
의장 | 박성만 |
의장 정당 | 국민의힘 |
부의장 | 배진석 |
부의장 정당 | 국민의힘 |
부의장 | 최병준 |
부의장 정당 | 국민의힘 |
의원 구성 | |
정원 | 60석 |
의원 임기 | 4년 |
정당 구성 | 국민의힘 (57) 더불어민주당 (2) 무소속 (1) |
선거 정보 | |
선거 제도 | 보통선거 평등선거 직접 선거 비밀 선거 |
선거구 | 소선거구제 (54석) 비례대표제 (6석) |
이전 선거 | 2022년 6월 1일 |
그림 정보 | |
![]() | |
![]() |
2. 조직
경상북도의회는 도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의정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여러 조직을 갖추고 있다. 주요 조직으로는 의회를 대표하고 회의를 운영하는 의장단, 특정 분야의 안건을 심사하는 위원회, 그리고 의회 운영을 지원하는 사무기구 등이 있다.
2. 1. 의장단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다. 의장단은 경상북도의회를 대표하고 회의를 주재하는 역할을 한다.2. 2. 위원회
경상북도의회 내에는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심의하고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위원회들이 있다.'''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경제위원회
- 행정보건복지위원회
- 문화환경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의회의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조직으로 사무처를 둔다.[1]3. 역대 경상북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역대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 결과와 각 선거별 정당별 의석 및 득표 현황은 다음과 같다.
3. 1. 제1대 경상북도의회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된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1명의 제1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3. 2. 제2대 경상북도의회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1명의 제2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3. 3. 제3대 경상북도의회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73명의 제3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3. 4. 제4대 경상북도의회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총 87명의 제4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당시 민주자유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으며, 민주당과 무소속 의원도 일부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정당 | 의석 수 |
---|---|
민주자유당 | 66 |
민주당 | 5 |
무소속 | 16 |
합계 | 87 |
3. 5. 제5대 경상북도의회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92명의 제5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84명, 비례대표 의원은 8명이었다.선거 결과, 민주자유당이 과반수 이상인 56석을 확보하여 다수당 지위를 차지했다. 민주당은 3석, 자유민주연합은 2석을 얻었으며, 무소속 당선자도 31명에 달했다.
정당별 득표 현황은 다음과 같다.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과정에서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당시 공직선거법은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3분의 2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 규정에 따라 민주자유당에 6석, 민주당에 3석이 배분되어야 했으나, 민주당의 비례대표 후보 수가 부족하여 민주당 몫 1석은 공석으로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