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상북도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의회는 경상북도 도민을 대표하는 의사 결정 기구이다.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무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이 의회를 대표한다. 역대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 결과를 통해 경상북도의 정치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국민의힘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는 국민의힘 57석, 더불어민주당 2석, 무소속 1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의회 선거 결과, 자유한국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하고,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바른미래당이 그 뒤를 이었다.
  • 경상북도의 정치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의회
    201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실시된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는 지역구에서 한나라당 48석, 무소속 10석, 친박연합 1석, 민주당 1석, 비례대표에서 한나라당 6석, 민주당 1석을 획득하여 총 60명의 의원을 선출하였다.
  • 안동시 소재의 관공서 -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은 경상북도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여러 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을 통해 교육 정책 수립 및 행정 업무를 수행하며, 과거 달성 및 군위교육지원청은 각각 대구광역시교육청으로 이관되었다.
  • 안동시 소재의 관공서 - 안동교도소
    안동교도소는 1922년 대구감옥 안동분감으로 시작하여 안동형무소를 거쳐 1961년 안동교도소로 개칭되었으며, 1985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교정시설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경상북도의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경상북도의회
원명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로마자 표기Gyeongsangbukdo Uihoe
한자 표기慶尙北道議會
의회 체제단원제
의회 임기경상북도의회
위치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웹사이트경상북도의회
의장단
의장박성만
의장 정당국민의힘
부의장배진석
부의장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최병준
부의장 정당국민의힘
의원 구성
정원60석
의원 임기4년
정당 구성국민의힘 (57)
더불어민주당 (2)
무소속 (1)
선거 정보
선거 제도보통선거
평등선거
직접 선거
비밀 선거
선거구소선거구제 (54석)
비례대표제 (6석)
이전 선거2022년 6월 1일
그림 정보
지방의회 휘장
지방의회 휘장
경북도의회 12대
경북도의회 12대

2. 조직

경상북도의회는 도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의정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여러 조직을 갖추고 있다. 주요 조직으로는 의회를 대표하고 회의를 운영하는 의장단, 특정 분야의 안건을 심사하는 위원회, 그리고 의회 운영을 지원하는 사무기구 등이 있다.

2. 1. 의장단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다. 의장단은 경상북도의회를 대표하고 회의를 주재하는 역할을 한다.

2. 2. 위원회

경상북도의회 내에는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심의하고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위원회들이 있다.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경제위원회
  • 행정보건복지위원회
  • 문화환경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의회의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조직으로 사무처를 둔다.[1]

  • 총무담당관실[2]
  • 의사담당관실[2]
  • 입법정책관실[2]
  • 전문위원

3. 역대 경상북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역대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 결과와 각 선거별 정당별 의석 및 득표 현황은 다음과 같다.

3. 1. 제1대 경상북도의회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된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1명의 제1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의석 수
자유당18
대한독립촉성국민회11
대한청년단6
기타정당1
무소속25
합계61


3. 2. 제2대 경상북도의회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1명의 제2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40
민주당7
대한독립촉성국민회1
무소속13


3. 3. 제3대 경상북도의회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73명의 제3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당29
신민당3
사회대중당2
무소속19


3. 4. 제4대 경상북도의회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총 87명의 제4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당시 민주자유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으며, 민주당과 무소속 의원도 일부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

제4대 경상북도의회 정당별 의석수
정당의석 수
민주자유당66
민주당5
무소속16
합계87


3. 5. 제5대 경상북도의회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92명의 제5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84명, 비례대표 의원은 8명이었다.

선거 결과, 민주자유당이 과반수 이상인 56석을 확보하여 다수당 지위를 차지했다. 민주당은 3석, 자유민주연합은 2석을 얻었으며, 무소속 당선자도 31명에 달했다.

정당별 의석수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자유당50656
민주당123
자유민주연합202
무소속31-31
공석-11



정당별 득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정당별 비례대표 득표 현황
정당득표수득표율비례대표 당선자 수
민주자유당587,95245.2%6
민주당107,8908.3%2
자유민주연합38,1132.9%0
무소속566,81443.6%-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과정에서 특이사항이 발생했다. 당시 공직선거법은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3분의 2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이 규정에 따라 민주자유당에 6석, 민주당에 3석이 배분되어야 했으나, 민주당의 비례대표 후보 수가 부족하여 민주당 몫 1석은 공석으로 남게 되었다.

3. 6. 제6대 경상북도의회

(지역구 후보 득표)206,78117.8%-


3. 7. 제7대 경상북도의회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57명의 제7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51명, 비례대표 의원은 6명이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7451
새천년민주당011
한국미래연합011
무소속4-4



선거 결과, 한나라당이 지역구 47석과 비례대표 4석을 차지하여 총 51석으로 압도적인 다수당이 되었다. 새천년민주당과 한국미래연합은 각각 비례대표 1석씩을 확보했으며, 무소속 후보 4명이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889,59474.90%4
새천년민주당93,2087.84%1
한국미래연합64,8505.46%1
민주노동당53,3954.49%0
자유민주연합52,3784.41%0
사회당23,0461.94%0
노년권익보호당11,1100.93%0



비례대표 의석 배분에서는 공직선거법의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 초과 배분 금지' 조항이 적용되었다. 이로 인해 한나라당은 74.90%라는 높은 득표율에도 불구하고 비례대표 6석 중 4석만 배분받았으며, 나머지 2석은 새천년민주당과 한국미래연합에 각각 1석씩 돌아갔다.

3. 8. 제8대 경상북도의회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55명의 제8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50명, 비례대표 의원은 5명이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7350
열린우리당011
민주노동당011
무소속3-3



선거 결과, 한나라당이 지역구 47석과 비례대표 3석을 얻어 총 50석으로 압도적인 다수당 지위를 확보했다. 열린우리당민주노동당은 비례대표를 통해 각각 1석씩 의석을 확보했으며, 무소속 후보 3명이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의회에 진출했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937,10474.86%3
열린우리당161,45212.89%1
민주노동당110,8728.85%1
민주당25,4312.03%0
국민중심당16,8201.34%0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과정에서는 한 정당에 전체 비례대표 의석의 3분의 2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이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74.86%라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한나라당은 3석을 배분받았고, 열린우리당민주노동당이 각각 1석씩을 가져갔다.

3. 9. 제9대 경상북도의회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63명의 제9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52명, 비례대표 의원은 6명, 교육의원은 5명이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44448
친박연합112
민주당011
미래연합101
무소속6-6
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747,04261.68%4
민주당135,96311.22%1
친박연합122,81510.14%1
민주노동당70,9785.86%0
국민참여당70,8875.85%0
진보신당32,7702.70%0
미래연합24,3862.01%0
사회당6,2120.51%0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한나라당에 4석, 민주당과 친박연합에 각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10. 제10대 경상북도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60명의 제10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54명, 비례대표 의원은 6명이었다. 선거 결과, 새누리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차지하였으며, 새정치민주연합과 무소속 후보도 일부 의석을 확보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48452
새정치민주연합022
무소속6-6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75.17%를 득표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16.44%를 득표했다. 그 외 정의당, 통합진보당, 노동당, 새정치국민의당 등도 후보를 냈으나 의석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새누리당949,98375.17%4
새정치민주연합207,84616.44%2
정의당37,0022.92%0
통합진보당30,7522.43%0
노동당20,8191.64%0
새정치국민의당17,3711.37%0



공직선거법에 따라 특정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3분의 2를 초과하여 가져갈 수 없도록 하는 조항에 의거하여, 새누리당에 4석, 새정치민주연합에 2석이 배분되었다.

3. 11. 제11대 경상북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60명의 제11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54명, 비례대표 의원은 6명이다. 선거 결과 자유한국당이 과반수를 넘는 41석을 확보하여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역시 9석을 얻으며 이전 선거 대비 의석수를 늘렸다. 바른미래당은 비례대표 1석을 확보했으며, 무소속 후보 9명이 당선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자유한국당38341
더불어민주당729
바른미래당011
무소속9-9
합계54660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자유한국당697,53949.98%3
더불어민주당475,29234.05%2
바른미래당115,3038.26%1
정의당54,3293.89%0
대한애국당17,7171.26%0
민중당13,4290.96%0
친박연대13,0380.93%0
민주평화당8,8330.63%0


3. 12. 제12대 경상북도의회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1명의 제12대 경상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5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52456
더불어민주당022
무소속3-3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국민의힘871,58175.43%4
더불어민주당225,20419.49%2
정의당37,4753.24%0
기본소득당10,9330.94%0
진보당10,1640.87%0


4. 정당별 의석 수

wikitext

정당별 의석 수 현황 (2022년~)
2157
더불어민주당무소속국민의힘


4. 1. 교섭단체

경상북도의회는 6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어느 교섭단체에도 속하지 않은 의원 6명 이상이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참조

[1]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2]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3] 웹인용 경상북도의회 교섭단체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