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입법 및 예산 심의, 행정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을 중심으로 의회운영위원회, 자치행정위원회 등 7개의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특별위원회가 운영된다. 역대 제주도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정당별 의석 변동을 보여주며, 제12대 의회는 더불어민주당이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다. 4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4명 이상의 의원은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치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지역구, 비례대표, 교육의원을 합쳐 총 41명의 의원을 선출했으며, 새정치민주연합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선거는 지역구 21석, 비례대표 3석, 교육의원 5석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지방의회 휘장
지방의회 휘장
공식 명칭제주특별자치도의회
한자 표기濟州特別自治道議會
로마자 표기Jeju Teukbyeol Jachido Uihoe
설립일1952년 5월 20일
주소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웹사이트제주특별자치도의회 (한국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영어)
구성
의회 종류단원제
의원 정수45석
임기4년
제주도의회 12대
제주도의회 12대 의석 분포
지도부
의장김경학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부의장김대진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부의장김황국
소속 정당국민의힘
선거
선거 제도병립형 비례대표제
선거구소선거구제(32석)
소선거구제 (교육의원)(5석)
비례대표제(8석)
최근 선거2022년 6월 1일
의석 분포
더불어민주당27석
국민의힘12석
무소속1석
교육의원5석

2. 조직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을 포함하는 의장단과, 의회 운영을 위한 여러 위원회로 구성된다.

2. 1. 의장단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의장은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임기는 2년이다. 의장은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를 정리하며 질서를 유지하고 사무를 감독한다.[1] 부의장은 2명으로, 의장과 마찬가지로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임기는 2년이다. 부의장은 의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직무를 대리한다.[2]

2. 2. 위원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다음과 같은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보건복지안전위원회
  • 환경도시위원회
  •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
  • 농수축경제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 4·3특별위원회
  •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의회 사무처를 두고 있다.[3] 사무처에는 총무담당관실, 의사담당관실, 입법정책관실을 두고 있다.[4] 또한 소속 위원회에 전문위원을 두고 있다.

3. 역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1952년 첫 선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12번의 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3. 1. 제1대 제주도의회 (1952년)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20명의 제1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의석 수
정당합계
자유당7석
대한청년단4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3석
무소속6석


3. 2. 제2대 제주도의회 (1956년)

1956년 지방선거를 통해 자유당이 15석 전부를 차지하였다.

3. 3. 제3대 제주도의회 (1960년)

1960년 지방선거를 통해 민주당 3석, 신민당 1석, 무소속 14석으로 구성되었다.

3. 4. 제4대 제주도의회 (1991년)

1991년 지방선거를 통해 민주자유당 8석, 무소속 9석으로 구성되었다.

제4대 제주도의회 정당별 의석
정당의석수
민주자유당8
무소속9


3. 5. 제5대 제주도의회 (1995년)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0명의 제5대 제주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7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1]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자유당729
민주당213
무소속8-8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자유당86,99034.2%2
민주당26,77010.5%1
무소속140,69055.3%-


3. 6. 제6대 제주도의회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새정치국민회의 10석(지역구 8석, 비례대표 2석), 한나라당 4석(지역구 3석, 비례대표 1석), 무소속 3석으로 구성되었다.

3. 7. 제7대 제주도의회 (2002년)

제7대 제주도의회는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3. 8. 제8대 제주도의회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한나라당 22석(지역구 19석, 비례대표 3석), 열린우리당 9석(지역구 7석, 비례대표 2석), 민주노동당 2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 민주당 1석(비례대표 1석), 무소속 2석이 선출되었다.

3. 9. 제9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0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9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한국어 (2010년)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된 제10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 대한 정보를 대신 제공한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13417
새정치민주연합13316
무소속3-3
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누리당139,29748.69%4
새정치민주연합108,21537.82%3
정의당17,4726.10%0
통합진보당12,3014.30%0
녹색당4,7301.65%0
새정치국민의당4,0501.41%0


3. 10. 제10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새누리당 17석(지역구 13석, 비례대표 4석), 새정치민주연합 16석(지역구 13석, 비례대표 3석), 무소속 3석, 교육의원 5석이 선출되었다.

3. 11. 제11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29석(지역구 25석, 비례대표 4석), 자유한국당 2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 바른미래당 2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 정의당 1석(비례대표 1석), 무소속 4석, 교육의원 5석으로 구성되었다.[2]

2018년 제11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더불어민주당25429
style="background:;"|자유한국당112
style="background:;"|바른미래당112
style="background:;"|정의당011
style="background:;"|무소속4-4
style="background:black;"|교육의원--5


3. 12. 제12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5명의 제12대 제주특별자치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2명과 비례대표 의원 8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1]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23427
국민의힘8412
무소속1-1
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더불어민주당133,67745.25%4
국민의힘130,70144.24%4
정의당18,0536.11%0
녹색당8,3812.83%0
진보당3,4441.16%0
기본소득당1,1600.39%0


4. 정당별 의석 수

정당의석 수
더불어민주당27
국민의힘12
무소속1
교육의원5
합계45



현재 제12대 제주특별자치도의회는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4. 1. 교섭단체

는 4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4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5]

참조

[1] 뉴스 제11대 제주도의회 개원…"독립성 확보에 최선" http://www.newsis.co[...] 2018-07-04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South Korea)
[3]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4]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5] 웹인용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위원회 및 교섭단체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