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SSG 랜더스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SSG 랜더스 시즌은 민경삼 사장, 김성용 단장 체제로 시작되었으며, 트레이 힐만이 컨설턴트로 합류했다. 김광현, 맥카티 등을 중심으로 한 투수진과 최정, 추신수, 에레디아 등이 활약했다. 서진용은 42세이브를 기록하며 구원 투수 부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최정은 KBO 통산 2000안타 등 여러 기록을 세웠으며, 김광현, 오원석, 최정, 박성한, 에레디아, 최지훈, 최주환, 추신수가 규정 타석 또는 이닝을 채웠다. 또한, 김광현, 최정, 최지훈은 2023 WBC 국가대표로,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은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SG 랜더스 시즌 - 2005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5년 SK 와이번스는 신영철 사장, 민경삼 단장 체제 아래 김원형, 신승현 등이 활약하고 김재현 골든글러브 수상, 이호준, 크루즈, 이진영 KBO 월간 MVP 수상, 조동화 희생번트 기록 경신, 위재영 준플레이오프 전 경기 출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SSG 랜더스 시즌 -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
2001년 SK 와이번스 시즌은 KBO 리그에서 7위를 기록했으며,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와 이승호의 14승 활약, 틸슨 브리또의 올스타 선정, 그리고 김건한의 퓨처스리그 노히트노런 달성 등이 있었다.
2023년 SSG 랜더스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SSG 랜더스 2023 시즌 | |
![]() | |
클럽 | SSG 랜더스 |
시즌 | 2023년 |
구단주 이름 | 정용진 |
구단주 직책 | 구단주 |
감독 | 김원형 |
연고지 | 인천광역시 |
경기장 | 인천SSG랜더스필드 |
리그 | 한국프로야구 |
리그 성적 | 3위 (준플레이오프 진출) |
포스트 시즌 | 포스트시즌 |
포스트 시즌 성적 | 3위 (준플레이오프 탈락) |
최다 승리 투수 | 김광현 (9승) 맥카티 (9승) |
최다 홈런 타자 | 최정 (29개) |
최고 타율 타자 | 에레디아 (0.323) |
최다 안타 타자 | 에레디아 (153개) |
홈 평균 관중 | 14633명 |
이전 시즌 | 2022년 SSG 랜더스 시즌 |
다음 시즌 | 2024년 SSG 랜더스 시즌 |
2. 프런트
사장: 민경삼, 단장/R&D센터장: 김성용, 컨설턴트: 트레이 힐만/Trey Hillman영어
2. 0. 1. 선발 투수
김광현은 30경기에 등판하여 168.1이닝 동안 9승 8패, 탈삼진 119개, 평균자책점 3.53을 기록하며 팀의 주축 투수로서 활약했다. 특히 많은 이닝을 소화하며 팀의 선발진을 이끌었다.맥카티는 24경기에 등판하여 130이닝 동안 9승 5패, 탈삼진 116개, 평균자책점 3.39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투구를 보여주었다. 김광현과 함께 팀의 원투펀치 역할을 수행했다.
엘리아스는 22경기에 등판하여 131.1이닝 동안 7승 6패, 탈삼진 93개, 평균자책점 3.77을 기록했다.
오원석은 28경기에 등판하여 144.2이닝 동안 8승 10패, 탈삼진 88개, 평균자책점 5.23을 기록했다.
박종훈은 18경기에 등판하여 80이닝 동안 2승 6패, 탈삼진 56개, 평균자책점 6.19를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송영진은 17경기에 등판하여 47.1이닝 동안 3승 3패, 탈삼진 38개, 평균자책점 5.70을 기록했다.
조성훈은 2경기에 등판하여 7이닝 동안 승리 없이 1패, 탈삼진 4개, 평균자책점 6.43을 기록했다.
2. 0. 2. 구원 투수
wikitable이름 | 경기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탈삼진 | ERA |
---|---|---|---|---|---|---|---|---|
노경은 | 76 | 83 | 8 | 5 | 29 | 2 | 65 | 3.58 |
고효준 | 73 | 58 | 4 | 1 | 13 | 0 | 66 | 4.50 |
문승원 | 50 | 105 | 5 | 8 | 8 | 1 | 65 | 5.23 |
이건욱 | 27 | 38.2 | 1 | 0 | 0 | 0 | 31 | 2.33 |
백승건 | 25 | 38 | 2 | 2 | 3 | 0 | 29 | 4.97 |
최민준 | 53 | 60 | 5 | 3 | 7 | 1 | 37 | 4.20 |
박민호 | 10 | 10 | 0 | 0 | 0 | 0 | 4 | 0.90 |
서동민 | 2 | 1 | 0 | 0 | 0 | 0 | 1 | 0.00 |
이기순 | 2 | 3 | 0 | 0 | 0 | 0 | 3 | 9.00 |
김주온 | 1 | 0.1 | 0 | 0 | 0 | 0 | 1 | 81.00 |
김주한 | 1 | 0 | 0 | 0 | 0 | 0 | 0 | ∞ |
서상준 | 2 | 2 | 0 | 0 | 0 | 0 | 3 | 0.00 |
정성곤 | 6 | 4.1 | 0 | 0 | 0 | 0 | 3 | 10.38 |
임준섭 | 41 | 32.2 | 0 | 2 | 3 | 0 | 26 | 5.79 |
이로운 | 50 | 57.2 | 6 | 1 | 5 | 0 | 52 | 5.62 |
2. 0. 3. 마무리 투수
wikitable
2. 0. 4. 포수
wikitable
2. 0. 5. 1루수
wikitable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오태곤 | 123 | 65 | 7 | 28 | 37 | 20 | .239 | .668 |
강진성 | 55 | 34 | 3 | 17 | 10 | 0 | .260 | .694 |
고명준 | 2 | 0 | 0 | 0 | 0 | 0 | .000 | .000 |
류효승 | 3 | 0 | 0 | 0 | 0 | 0 | .000 | .250 |
김건웅 | 1 | 0 | 0 | 0 | 0 | 0 | .000 | .000 |
최항 | 21 | 8 | 1 | 6 | 3 | 0 | .286 | .811 |
전의산 | 56 | 27 | 4 | 21 | 11 | 0 | .201 | .630 |
2. 0. 6. 2루수
wikitable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김성현 | 112 | 83 | 1 | 27 | 35 | 4 | .268 | .651 |
최주환 | 134 | 100 | 20 | 63 | 48 | 0 | .235 | .742 |
최준우 | 38 | 16 | 0 | 6 | 5 | 0 | .267 | .631 |
안상현 | 58 | 14 | 0 | 2 | 10 | 3 | .241 | .595 |
2. 0. 7. 유격수
wikitable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박성한 | 128 | 122 | 9 | 47 | 53 | 4 | .266 | .713 |
2. 0. 8. 3루수
wikitable
2. 0. 9. 좌익수
wikitable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에레디아 | 122 | 153 | 12 | 76 | 76 | 12 | .323 | .846 |
하재훈 | 77 | 61 | 7 | 35 | 35 | 11 | .303 | .842 |
2. 0. 10. 중견수
이름 | 경기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타율 | OPS |
---|---|---|---|---|---|---|---|---|
최지훈 | 117 | 124 | 2 | 30 | 65 | 21 | .268 | .672 |
김강민 | 70 | 31 | 2 | 7 | 20 | 2 | .226 | .627 |
2. 0. 11. 우익수
한유섬은 109경기에 출전하여 91안타, 7홈런, 55타점, 29득점, 2도루, 타율 .273, OPS .748을 기록했다. 최상민은 51경기에 출전하여 8안타, 0홈런, 3타점, 5득점, 2도루, 타율 .235, OPS .543을 기록했다. 김정민은 8경기에 출전하여 1안타, 0홈런, 0타점, 1득점, 0도루, 타율 .500, OPS 1.000을 기록했다.2. 0. 12. 지명타자
wikitext
조원우 수석코치를 중심으로 투수코치는 조웅천, 타격코치는 이진영 코치가 담당한다. 배터리코치는 정상호, 정진식 코치가 담당하며, 외야수비·주루코치는 조동화, 1루 주루코치는 윤재국 코치가 담당한다. 불펜코치는 이승호, 채병용 코치가 담당하고, 수비코치는 손지환 코치가 담당한다. 작전·벤치코치는 김민재, QC코치는 정경배 코치가 담당한다. 타격보조코치는 오준혁, 박정권 코치가 담당하며, 트레이닝코치는 곽현희 코치가 담당한다. 컨디셔닝코치는 고윤형, 길강남, 김기태, 김상용, 박창민, 송재환 코치가 담당한다.
3. 코칭 스태프
4. 선수 이동
4. 1. 영입
2023년 시즌에 앞서 SSG 랜더스는 여러 선수들을 영입했다. 두산 베어스에서 뛰던 1루수 강진성을 트레이드로 영입했다.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1라운드에서 선발 투수 이로운을 지명했고, 2라운드에서 역시 선발 투수인 송영진을 지명했다. 이외에도 중견수 김정민(3라운드), 구원 투수 안현서(4라운드), 1루수 김건웅(5라운드), 중견수 박세직(6라운드), 유격수 김민준(7라운드), 구원 투수 류현곤(8라운드), 구원 투수 이승훈(9라운드), 포수 김건이(10라운드), 구원 투수 김준영(11라운드)을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했다.
자유 선발을 통해서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 뛰던 중견수 에레디아,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에서 마무리 투수로 활약했던 맥카티,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구원 투수로 뛰었던 로메로,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마무리 투수로 뛰었던 엘리아스를 영입했다. 육성 선수로는 선발 투수 조강희를 영입했다.
4. 2. 이적
wikitext
2023 시즌 중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되어 마무리 투수로 활동한 김정우가 이적했다.
4. 3. 입대
4. 4. 전역
조병현(선발투수)과 김찬형(유격수)이 상무에 입대했다. 양선률(선발투수)은 현역으로, 채현우(좌익수)와 김창평(2루수)은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게 되었다.
4. 5. 방출
로메로는 레오네스 델 에스코히도에 입단했다. 이원준은 고치 파이팅 독스에 입단했다. 김태훈과 서동민은 은퇴했다. 조강희, 강매성은 방출되었다. 길지석은 고양 원더스에 입단했다. 전진우, 이거연, 김규남이 방출되었다. 이재원은 한화 이글스로, 임준섭은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했다. 김주한이 방출되었다. 양선률은 포천 몬스터에 입단했고, 맥카티는 중신 브라더스에 입단했다.
5. 기록
김광현은 168.1이닝, 오원석은 144.2이닝으로 규정이닝을 채웠다. 최정(552타석), 박성한(529타석), 에레디아(523타석), 최지훈(503타석), 최주환(478타석), 추신수(462타석)가 규정타석을 채웠다. 김광현은 KBO 통산 5번째로 150승을 달성했다. 박종훈은 통산 86번째로 1000이닝을 기록했다.
최정은 여러 기록을 세웠다. 통산 17번째 2000안타, 10번째 7000타수, 4번째 3700루타, 2번째 1300득점, 1번째 320사구, 18년 연속 10홈런, 4번째 1400타점, 8번째 2100경기 출장, 4번째 3800루타, 3번째 8년 연속 20홈런, 2번째 450홈런, 87번째 5년 연속 100안타, 13번째 2100안타, 8번째 8년 연속 200루타, 2번째 1300사사구, 3번째 3900루타를 기록했다.
최주환은 통산 103번째 100홈런, 115번째 1000안타, 87번째 200번째 2루타, 116번째 1200경기 출장, 113번째 500득점을 달성했다.
김광현은 통산 10번째 1900이닝, 11번째 8000타자 상대, 4번째 1700탈삼진, 8번째 2000이닝을 기록했다.
추신수는 13번째 2경기 연속 리드오프 홈런, 61번째 초구 리드오프 홈런을 기록했다.
오태곤은 통산 178번째 1000경기 출장, 김성현은 통산 112번째 500득점을 기록했다. 김강민은 통산 46번째 800득점, 30번째 1900경기 출장을 기록했다. 서진용은 투수 역대 19번째 5년 연속 50경기 출장, 구단 최초 시즌 40세이브를 달성했다. 최지훈은 통산 45번째 3년 연속 20도루를 기록했다. 노경은은 통산 42번째 1300이닝을 달성했다.
5. 1. 팀 기록
5. 2. 개인 기록
'''== 투수 기록 =='''- 김광현은 규정이닝(168.1)을 충족했으며, 역대 5번째 KBO 통산 150승, 역대 10번째 통산 1900이닝, 역대 11번째 통산 8000타자 상대, 역대 4번째 통산 1700탈삼진, 역대 8번째 통산 2000이닝을 달성했다.
- 오원석은 규정이닝(144.2)을 충족했다.
- 박종훈은 역대 86번째 통산 1000이닝을 달성했다.
- 서진용은 투수 역대 19번째 5년 연속 50경기 출장, 역대 9번째 & 구단 최초 시즌 40세이브를 달성했다.
- 노경은은 역대 42번째 통산 1300이닝을 달성했다.
'''== 타자 기록 =='''
- 규정타석 충족: 최정 (552), 박성한 (529), 에레디아 (523), 최지훈 (503), 최주환 (478), 추신수 (462)
- 최정은 역대 17번째 통산 2000안타, 역대 10번째 통산 7000타수, 역대 4번째 통산 3700루타, 역대 2번째 통산 1300득점, 역대 1번째 통산 320사구, 역대 1번째 18년 연속 10홈런, 역대 4번째 통산 1400타점, 역대 8번째 통산 2100경기 출장, 역대 4번째 통산 3800루타, 역대 3번째 8년 연속 20홈런, 역대 2번째 통산 450홈런, 역대 87번째 5년 연속 100안타, 역대 13번째 통산 2100안타, 역대 8번째 8년 연속 200루타, 역대 2번째 통산 1300사사구, 역대 3번째 통산 3900루타를 달성했다.
- 최주환은 역대 103번째 통산 100홈런, 역대 115번째 통산 1000안타, 역대 87번째 통산 200번째 2루타, 역대 116번째 통산 1200경기 출장, 역대 113번째 통산 500득점을 달성했다.
- 추신수는 역대 13번째 2경기 연속 리드오프 홈런, 역대 61번째 초구 리드오프 홈런을 기록했다.
- 오태곤은 역대 178번째 통산 10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김성현은 역대 112번째 통산 500득점을 달성했다.
- 김강민은 역대 46번째 통산 800득점, 역대 30번째 통산 1900경기 출장을 달성했다.
- 최지훈은 역대 45번째 3년 연속 20도루를 달성했다.
5. 2. 1. 투수 기록
wikitext- 김광현은 규정이닝(168.1)을 충족했으며, 역대 5번째 KBO 통산 150승, 역대 10번째 통산 1900이닝, 역대 11번째 통산 8000타자 상대, 역대 4번째 통산 1700탈삼진, 역대 8번째 통산 2000이닝을 달성했다.
- 오원석은 규정이닝(144.2)을 충족했다.
- 박종훈은 역대 86번째 통산 1000이닝을 달성했다.
- 서진용은 투수 역대 19번째 5년 연속 50경기 출장, 역대 9번째 & 구단 최초 시즌 40세이브를 달성했다.
- 노경은은 역대 42번째 통산 1300이닝을 달성했다.
5. 2. 2. 타자 기록
- 규정 이닝 충족: 김광현 (168.1), 오원석 (144.2)
- 규정 타석 충족: 최정 (552), 박성한 (529), 에레디아 (523), 최지훈 (503), 최주환 (478), 추신수 (462)
- 역대 5번째 KBO 통산 150승: 김광현
- 역대 86번째 통산 1000이닝: 박종훈
- 역대 17번째 통산 2000안타: 최정
- 역대 10번째 통산 7000타수: 최정
- 역대 4번째 통산 3700루타: 최정
- 역대 103번째 통산 100홈런: 최주환
- 역대 2번째 통산 1300득점: 최정
- 역대 1번째 통산 320사구: 최정
- 역대 1번째 18년 연속 10홈런: 최정
- 역대 4번째 통산 1400타점: 최정
- 역대 178번째 통산 1000경기 출장: 오태곤
- 역대 112번째 통산 500득점: 김성현
- 역대 115번째 통산 1000안타: 최주환
- 역대 87번째 통산 200번째 2루타: 최주환
- 역대 8번째 통산 2100경기 출장: 최정
- 역대 10번째 통산 1900이닝: 김광현
- 역대 4번째 통산 3800루타: 최정
- 역대 13번째 2경기 연속 리드오프 홈런: 추신수
- 역대 11번째 통산 8000타자 상대: 김광현
- 역대 116번째 통산 1200경기 출장: 최주환
- 역대 3번째 8년 연속 20홈런: 최정
- 역대 2번째 통산 450홈런: 최정
- 역대 87번째 5년 연속 100안타: 최정
- 역대 46번째 통산 800득점: 김강민
- 역대 13번째 통산 2100안타: 최정
- 역대 113번째 통산 500득점: 최주환
- 투수 역대 19번째 5년 연속 50경기 출장: 서진용
- 역대 8번째 8년 연속 200루타: 최정
- 역대 30번째 통산 1900경기 출장: 김강민
- 역대 2번째 통산 1300사사구: 최정
- 역대 4번째 통산 1700탈삼진: 김광현
- 역대 3번째 통산 3900루타: 최정
- 역대 45번째 3년 연속 20도루: 최지훈
- 역대 61번째 초구 리드오프 홈런: 추신수
- 역대 8번째 통산 2000이닝: 김광현
- 역대 42번째 통산 1300이닝: 노경은
- 역대 9번째 & 구단 최초 시즌 40세이브: 서진용
6. 수상
- KBO 수비상: 에레디아 (좌익수)
- 올스타 선정: 최정 (3루수)
- 올스타 추천선수: 오원석, 노경은, 서진용
- KBO 월간 MVP: 최정 (6월)
- 도드람한돈 월간 MVP: 서진용 (4월/7월), 최지훈 (4월), 노경은 (5월), 최정 (5월/6월), 문승원 (6월), 김성현 (7월), 맥카티 (8월), 추신수 (8월), 김광현 (9월), 한유섬 (9월)
- 완투: 오원석 (1)
- 세이브: 서진용 (42)
- 장타율: 최정 (0.548)
- OPS: 최정 (0.936)
- 마무리등판: 서진용 (61)
- 구원투수WAR: 서진용 (2.84)
- 평균선수대비승리기여도(구원): 서진용 (2.28)
- 세이브포인트: 서진용 (47)
-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최고구원투수상: 서진용
- 웰컴톱랭킹 6월 타자부문 1위: 최정
- 웰컴톱랭킹 10월 타자부문 1위: 한유섬
- 성구회 헌액: 최정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올스타: 조병현 (구원투수)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조병현, 류현곤, 신헌민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
- 2023 WBC 국가대표 발탁: 김민재(코치), 김광현, 최정, 최지훈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4위: 추신수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5위: 김광현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9위: 최정
- 개막전 선발투수: 김광현
6. 1. KBO 시상
- KBO 수비상: 에레디아 (좌익수)
- 올스타 선정: 최정 (3루수)
- 올스타 추천선수: 오원석, 노경은, 서진용
- KBO 월간 MVP: 최정 (6월)
- 도드람한돈 월간 MVP: 서진용 (4월/7월), 최지훈 (4월), 노경은 (5월), 최정 (5월/6월), 문승원 (6월), 김성현 (7월), 맥카티 (8월), 추신수 (8월), 김광현 (9월), 한유섬 (9월)
- 완투: 오원석 (1)
- 세이브: 서진용 (42)
- 장타율: 최정 (0.548)
- OPS: 최정 (0.936)
- 마무리등판: 서진용 (61)
- 구원투수WAR: 서진용 (2.84)
- 평균선수대비승리기여도(구원): 서진용 (2.28)
- 세이브포인트: 서진용 (47)
-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최고구원투수상: 서진용
- 웰컴톱랭킹 6월 타자부문 1위: 최정
- 웰컴톱랭킹 10월 타자부문 1위: 한유섬
- 성구회 헌액: 최정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올스타: 조병현 (구원투수)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조병현, 류현곤, 신헌민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
- 2023 WBC 국가대표 발탁: 김민재(코치), 김광현, 최정, 최지훈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4위: 추신수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5위: 김광현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9위: 최정
- 개막전 선발투수: 김광현
6. 2. 구단 시상
2023년 SSG 랜더스 시즌에서 선수 및 코치들이 받은 상과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KBO 수비상: 에레디아 (좌익수)
- 올스타 선정: 최정 (3루수)
- 올스타 추천선수: 오원석, 노경은, 서진용
- KBO 월간 MVP: 최정 (6월)
- 도드람한돈 월간 MVP: 서진용 (4월/7월), 최지훈 (4월), 노경은 (5월), 최정 (5월/6월), 문승원 (6월), 김성현 (7월), 맥카티 (8월), 추신수 (8월), 김광현 (9월), 한유섬 (9월)
- 완투: 오원석 (1)
- 세이브: 서진용 (42)
- 장타율: 최정 (0.548)
- OPS: 최정 (0.936)
- 마무리등판: 서진용 (61)
- 구원투수WAR: 서진용 (2.84)
- 평균선수대비승리기여도(구원): 서진용 (2.28)
- 세이브포인트: 서진용 (47)
-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최고구원투수상: 서진용
- 웰컴톱랭킹 6월 타자부문 1위: 최정
- 웰컴톱랭킹 10월 타자부문 1위: 한유섬
- 성구회 헌액: 최정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올스타: 조병현 (구원투수)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조병현, 류현곤, 신헌민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
- 2023 WBC 국가대표 발탁: 김민재(코치), 김광현, 최정, 최지훈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추신수(4위), 김광현(5위), 최정(9위)
- 개막전 선발투수: 김광현
6. 3. 기타 수상
- KBO 수비상: 에레디아 (좌익수)
- 올스타 선정: 최정 (3루수)
- 올스타 추천선수: 오원석, 노경은, 서진용
- KBO 월간 MVP: 최정 (6월)
- 도드람한돈 월간 MVP: 서진용 (4월/7월), 최지훈 (4월), 노경은 (5월), 최정 (5월/6월), 문승원 (6월), 김성현 (7월), 맥카티 (8월), 추신수 (8월), 김광현 (9월), 한유섬 (9월)
- 완투: 오원석 (1)
- 세이브: 서진용 (42)
- 장타율: 최정 (0.548)
- OPS: 최정 (0.936)
- 마무리등판: 서진용 (61)
- 구원투수WAR: 서진용 (2.84)
- 평균선수대비승리기여도(구원): 서진용 (2.28)
- 세이브포인트: 서진용 (47)
-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최고구원투수상: 서진용
- 웰컴톱랭킹 6월 타자부문 1위: 최정
- 웰컴톱랭킹 10월 타자부문 1위: 한유섬
- 성구회 헌액: 최정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올스타: 조병현 (구원투수)
- 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조병현, 류현곤, 신헌민
-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
- 2023 WBC 국가대표 발탁: 김민재(코치), 김광현, 최정, 최지훈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4위: 추신수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5위: 김광현
- 한국갤럽 선정 가장 좋아하는 한국인 야구선수 9위: 최정
- 개막전 선발투수: 김광현
7. 국제 대회
2023 WBC 국가대표로 김광현, 최정, 최지훈이 발탁되었고, 김민재 코치가 국가대표팀 코치로 합류했다.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 SSG 랜더스 소속 선수인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이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SSG 랜더스 소속 조병현이 구원투수 부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조병현, 류현곤, 신헌민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7. 1. WBC
2023 WBC 국가대표로 김광현, 최정, 최지훈이 발탁되었고, 김민재 코치가 국가대표팀 코치로 합류했다.7. 2.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 SSG 랜더스 소속 선수인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이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7. 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2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SSG 랜더스 소속 조병현이 구원투수 부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조병현, 류현곤, 신헌민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조병현, 오원석, 최지훈은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8.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