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C 코드 C0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TC 코드 C01은 심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을 분류하는 해부학적 치료학적 화학적 분류(ATC) 코드이다. 이 코드에는 강심 배당체, 항부정맥제, 강심 배당체를 제외한 심장자극제, 심장 질환에 쓰이는 혈관확장제, 기타 심장 의약품 등이 포함된다. 강심 배당체는 디기탈리스 배당체, 실라 배당체, 스트로판투스 배당체, 기타 강심 배당체로 나뉘며, 항부정맥제는 Class Ia, Ib, Ic, III 항부정맥제, 기타 Class I 및 III 항부정맥제로 분류된다. 심장자극제는 교감신경 및 도파민 활성화제, PDE 저해제, 기타 심장자극제로, 심장 질환에 쓰이는 혈관확장제는 유기 질산염, 퀴놀론계 혈관 확장제, 기타 혈관 확장제로 세분화된다. 기타 심장 의약품으로는 프로스타글란딘류, 이바브라딘, 트리메타지딘, 라놀라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TC 코드 - ATC 코드 D
ATC 코드 D는 피부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분류하는 해부 치료 화학 분류 시스템의 한 그룹이다. - ATC 코드 - ATC 코드 S01
ATC 코드 S01은 안과용 의약품을 분류하며, 항감염제, 항염증제, 녹내장 치료제 등 다양한 약물로 세분화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ATC 코드 C01 | |
---|---|
C01 심장 치료제 | |
정의 | C01은 ATC 코드의 약리학적 하위 그룹인 "심장 치료제"이다. |
대상 | 심혈관계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 |
하위 그룹 | C01A 강심 배당체 C01B 항부정맥제, I 및 III 등급 C01C 심장 자극제 (글리코시드 제외) C01D 혈관 확장제, 심장 질환에 사용 C01E 기타 심장 제품 |
2. 강심 배당체
강심 배당체는 심근 수축력을 강화하여 심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강심 배당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디기탈리스 배당체
- 실라 배당체
- 스트로판투스 배당체
- 기타 강심 배당체
2. 1. 디기탈리스 배당체
코드 | 이름 | 비고 |
---|---|---|
C01AA01 | 아세틸디기톡신 | |
C01AA02 | 아세틸디곡신 | |
C01AA03 | 디기탈리스 잎 | |
C01AA04 | 디기톡신 | |
C01AA05 | 디곡신 | |
C01AA06 | 라나토시드 C | |
C01AA07 | 데슬라노시드 | |
C01AA08 | 메틸디곡신 | |
C01AA09 | 기토포르메이트 | |
C01AA52 | 아세틸디곡신 | 복합제 |
2. 2. 실라(Scilla) 배당체
Scillaren A영어 등을 포함한다.[1]코드 | ATC 코드 |
---|---|
C01AB01 | 프로실라리딘 |
C01AB51 | 프로실라리딘, 병용 |
2. 3. 스트로판투스 배당체
G-스트로판틴(G-strophanthin)[1], 시마린(Cymarin)[2] 등이 있다.2. 4. 기타 강심 배당체
페루보시드3. 항부정맥제
항부정맥제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이다. 항부정맥제는 크게 Class I, Class III, 기타 Class로 분류된다.
Class I 항부정맥제는 나트륨 통로를 차단하여 심장 활동전위의 지속시간을 변화시키는 기전을 가진다. Class I은 다시 Ia, Ib, Ic로 나뉜다. Class Ia에는 퀴니딘, 프로카인아미드, 디소피라미드 등이 속한다. Class Ib에는 리도카인, 멕실레틴 등이, Class Ic에는 프로파페논, 플레카이니드 등이 포함된다.
Class III 항부정맥제는 칼륨 통로를 차단하여 심장 활동전위의 재분극을 연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미오다론, 브레틸륨 토실레이트, 도페틸리드 등이 이에 속한다. 아미오다론은 효과적인 항부정맥제이지만, 갑상선 기능 이상 등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아미오다론과 같은 약물의 처방 및 관리에 대한 건강보험 정책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1]
기타 Class I 및 III 항부정맥제에는 모라시진, 시벤졸린, 베르나칼란트 등이 있다.
3. 1. Class Ia 항부정맥제
코드 | 이름 | 비고 |
---|---|---|
C01BA01 | 퀴니딘 | |
C01BA02 | 프로카인아미드 | |
C01BA03 | 디소피라미드 | |
C01BA04 | 스파르테인 | |
C01BA05 | 아지말린 | |
C01BA08 | 프라즈말린 | |
C01BA12 | 로라지민 | |
C01BA13 | 히드로퀴니딘 | |
C01BA51 | 퀴니딘 | 정신억제제를 제외한 복합제 |
C01BA71 | 퀴니딘 | 정신억제제와의 복합제 |
3. 2. Class Ib 항부정맥제
Class Ib 항부정맥제에는 다음 약물들이 포함된다.[1]- 리도카인
- 멕실레틴
- 토카이니드
- 아프린딘
3. 3. Class Ic 항부정맥제
프로파페논, 플레카이니드, 로르카이니드, 엔카이니드, 에타시진 등이 Class Ic 항부정맥제에 속한다.3. 4. Class III 항부정맥제
'''Class III 항부정맥제'''는 칼륨 통로를 차단하여 심장 활동전위의 재분극을 연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미오다론은 효과적인 항부정맥제이지만, 갑상선 기능 이상, 폐섬유증, 간독성 등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장기 복용 시 부작용 발생 위험이 증가하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환자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이러한 부작용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은 아미오다론과 같은 약물의 처방 및 관리에 대한 건강보험 정책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1]
3. 5. 기타 Class I 및 III 항부정맥제
- 모라시진
- 시벤졸린
- 베르나칼란트
4. 강심 배당체를 제외한 심장자극제
강심 배당체를 제외한 심장자극제는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약물이다. 여기에는 교감신경 및 도파민 활성화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PDE) 저해제 및 기타 심장자극제가 포함된다. 에피네프린은 급성 심정지 상황에서 응급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1]
4. 1. 교감신경 및 도파민 활성화제
다음은 교감신경 및 도파민 활성화제 목록이다.[1]코드 | 약물 |
---|---|
C01CA01 | 에틸레프린 |
C01CA02 | 이소프레날린 |
C01CA03 | 노르에피네프린 |
C01CA04 | 도파민 |
C01CA05 | 노르페네프린 |
C01CA06 | 페닐에프린 |
C01CA07 | 도부타민 |
C01CA08 | 옥세드린 |
C01CA09 | 메타라미놀 |
C01CA10 | 메톡사민 |
C01CA11 | 메펜테르민 |
C01CA12 | 디메토프린 |
C01CA13 | 프레날테롤 |
C01CA14 | 도펙사민 |
C01CA15 | 게페프린 |
C01CA16 | 이보파민 |
C01CA17 | 미도드린 |
C01CA18 | 옥토파민 |
C01CA19 | 페놀도팜 |
C01CA21 | 카페드린 |
C01CA22 | 아르부타민 |
C01CA23 | 테오드레날린 |
C01CA24 | 에피네프린 |
C01CA25 | 아메지늄 메틸설페이트 |
C01CA26 | 에페드린 |
C01CA27 | 드로시도파 |
C01CA28 | 센타퀸 |
C01CA30 | 복합제 |
C01CA51 | 에틸레프린, 복합제 |
에피네프린은 급성 심정지 상황에서 응급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1]
4. 2. PDE(Phosphodiesterase) 저해제
밀리논, 에녹시몬, 부클라데신, 피모벤단 등이 있다.4. 3. 기타 심장자극제
레보시멘단Levosimendan영어 등의 심장자극제가 포함된다.[1]코드 | 코드명 | 한글 상품명 | 영문 상품명 |
---|---|---|---|
C01CX06 | 안지오텐신아미드 | 안지오텐신아미드 | Angiotensinamide영어 |
C01CX07 | 자모테롤 | 자모테롤 | Xamoterol영어 |
C01CX08 | 레보시멘단 | 레보시멘단 | Levosimendan영어 |
C01CX09 | 안지오텐신 II | 안지오텐신 II | Angiotensin II영어 |
C01CX10 | 오메캄티브 메카르빌 | 오메캄티브 메카르빌 | Omecamtiv mecarbil영어 |
5. 심장질환에 쓰이는 혈관확장제
심장질환에 쓰이는 혈관확장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를 개선하고 심장의 부담을 줄이는 약물이다.
하위 섹션에서 다루는 유기 질산염, 퀴놀론계 혈관 확장제 외에 심장 질환에 쓰이는 기타 혈관 확장제는 다음과 같다.
코드 | ATC 코드명 | 비고 |
---|---|---|
C01DX01 | 이트라민 토실레이트 | |
C01DX02 | 프레닐아민 | |
C01DX03 | 옥시페드린 | |
C01DX04 | 벤즈요다론 | |
C01DX05 | 카보크로멘 | |
C01DX06 | 헥소벤딘 | |
C01DX07 | 에타페논 | |
C01DX08 | 헵타미놀 | |
C01DX09 | 이몰라민 | |
C01DX10 | 딜라제프 | |
C01DX11 | 트라피딜 | |
C01DX12 | 몰시도민 | |
C01DX13 | 에플록세이트 | |
C01DX14 | 시네파젯 | |
C01DX15 | 클로리다롤 | |
C01DX16 | 니코란딜 | |
C01DX18 | 린시도민 | |
C01DX19 | 네시리티드 | |
C01DX21 | 세렐락신 | |
C01DX22 | 베리시구앗 | |
C01DX51 | 이트라민 토실레이트, 복합제 | |
C01DX52 | 프레닐아민, 복합제 | |
C01DX53 | 옥시페드린, 복합제 | |
C01DX54 | 벤즈요다론, 복합제 |
5. 1. 유기 질산염
글리세릴 트리니트레이트(니트로글리세린), 이소소르비드 질산염 등 유기 질산염 제제는 협심증 발작 시 응급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니트로글리세린은 혀 밑에 투여하는 설하정 형태로 빠르게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한국의 응급의료 시스템에서도 활용된다.[1]코드 | 이름 | 비고 |
---|---|---|
C01DA02 | 글리세릴 트리니트레이트 (Glyceryl trinitrate) | |
C01DA04 | 메틸프로필프로판디올 디니트레이트 (Methylpropylpropanediol dinitrate) | |
C01DA05 |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니트레이트 (Pentaerithrityl tetranitrate) | |
C01DA07 | 프로파틸니트레이트 (Propatylnitrate) | |
C01DA08 | 이소소르비드 디니트레이트 (Isosorbide dinitrate) | |
C01DA09 | 트롤니트레이트 (Trolnitrate) | |
C01DA13 | 에리트리틸 테트라니트레이트 (Eritrityl tetranitrate) | |
C01DA14 | 이소소르비드 모노니트레이트 (Isosorbide mononitrate) | |
C01DA20 | 유기 질산염 복합제 | |
C01DA38 | 테니트라민 (Tenitramine) | |
C01DA52 | 글리세릴 트리니트레이트 복합제 | |
C01DA54 | 메틸프로필프로판디올 디니트레이트 복합제 | |
C01DA55 |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니트레이트 복합제 | |
C01DA57 | 프로파틸니트레이트 복합제 | |
C01DA58 | 이소소르비드 디니트레이트 복합제 | |
C01DA59 | 트롤니트레이트 복합제 | |
C01DA63 | 에리트리틸 테트라니트레이트 복합제 | |
C01DA70 | 정신억제제와 유기 질산염 복합제 |
5. 2. 퀴놀론계 혈관 확장제
Flosequinan|플로세퀴난영어은 퀴놀론계 혈관 확장제이다.5. 3. 심장 질환에 쓰이는 기타 혈관 확장제
코드 | ATC 코드명 | 비고 |
---|---|---|
C01DX01 | 이트라민 토실레이트 | |
C01DX02 | 프레닐아민 | |
C01DX03 | 옥시페드린 | |
C01DX04 | 벤즈요다론 | |
C01DX05 | 카보크로멘 | |
C01DX06 | 헥소벤딘 | |
C01DX07 | 에타페논 | |
C01DX08 | 헵타미놀 | |
C01DX09 | 이몰라민 | |
C01DX10 | 딜라제프 | |
C01DX11 | 트라피딜 | |
C01DX12 | 몰시도민 | |
C01DX13 | 에플록세이트 | |
C01DX14 | 시네파젯 | |
C01DX15 | 클로리다롤 | |
C01DX16 | 니코란딜 | |
C01DX18 | 린시도민 | |
C01DX19 | 네시리티드 | |
C01DX21 | 세렐락신 | |
C01DX22 | 베리시구앗 | |
C01DX51 | 이트라민 토실레이트, 복합제 | |
C01DX52 | 프레닐아민, 복합제 | |
C01DX53 | 옥시페드린, 복합제 | |
C01DX54 | 벤즈요다론, 복합제 |
6. 기타 심장 의약품
트리메타지딘, 이바브라딘, 라놀라진 등이 이 목록에 포함된다.[1] 이바브라딘은 안정형 협심증 및 만성 심부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1]
코드 | 이름 |
---|---|
C01EB02 | 장뇌 |
C01EB03 | 인도메타신 |
C01EB04 | 산사나무 배당체 |
C01EB05 | 크레아티놀포스페이트 |
C01EB06 | 포스포크레아틴 |
C01EB07 | 과당 1,6-이인산 |
C01EB09 | 유비데카레논 |
C01EB10 | 아데노신 |
C01EB11 | 티라시진 |
C01EB13 | 아카데신 |
C01EB15 | 트리메타지딘 |
C01EB16 | 이부프로펜 |
C01EB17 | 이바브라딘 |
C01EB18 | 라놀라진 |
C01EB21 | 레가데노손 |
C01EB22 | 멜도니움 |
C01EB23 | 티아조틱산 |
C01EB24 | 마바캄텐 |
QC01EB90 | 시롤리무스 |
6. 1. 프로스타글란딘류
알프로스타딜[1]6. 2. 기타 심장 의약품
트리메타지딘, 이바브라딘, 라놀라진 등이 이 목록에 포함된다.[1] 이바브라딘은 안정형 협심증 및 만성 심부전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1]코드 | 이름 |
---|---|
C01EB02 | 장뇌 |
C01EB03 | 인도메타신 |
C01EB04 | 산사나무 배당체 |
C01EB05 | 크레아티놀포스페이트 |
C01EB06 | 포스포크레아틴 |
C01EB07 | 과당 1,6-이인산 |
C01EB09 | 유비데카레논 |
C01EB10 | 아데노신 |
C01EB11 | 티라시진 |
C01EB13 | 아카데신 |
C01EB15 | 트리메타지딘 |
C01EB16 | 이부프로펜 |
C01EB17 | 이바브라딘 |
C01EB18 | 라놀라진 |
C01EB21 | 레가데노손 |
C01EB22 | 멜도니움 |
C01EB23 | 티아조틱산 |
C01EB24 | 마바캄텐 |
QC01EB90 | 시롤리무스 |
6. 3. 기타 심장 조합 의약품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참조
[1]
웹인용
ATC Index
http://www.whocc.no/[...]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2]
웹인용
ATCvet Index
http://www.whocc.no/[...]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