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노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데노신은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내인성 퓨린 뉴클레오사이드로, 의학적, 비의학적 용도로 사용된다. 의학적으로는 특정 유형의 심실상 빈맥을 정상 리듬으로 전환시키거나 심장 스트레스 검사의 보조제로 사용되며, 혈관 확장, 항염증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등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아데노신은 뇌에서 수면을 유도하고, 카페인과 같은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에 의해 그 효과가 억제된다. 비의학적으로는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 아데노신 삼인산
아데노신 삼인산(ATP)은 아데닌, 리보스, 세 개의 인산기로 구성된 뉴클레오티드로서, 고에너지 인산 결합의 가수분해를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여 세포 과정에 사용되는 생명체의 주요 에너지 저장 및 전달 분자이며, 다양한 대사 경로를 통해 생성 및 재생될 뿐만 아니라 세포 신호 전달과 DNA 및 RNA 합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 아데노신 수용체 작용제 - 아데노신 일인산
아데노신 일인산(AMP)은 세포 내에서 생성 및 분해되며 에너지 항상성 조절 및 세포 내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이다. - 리보사이드 -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리보뉴클레오타이드는 인산기, 리보스 당,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우라실 염기로 구성된 RNA의 기본 단위로서, 포스포디에스터 결합을 통해 RNA 가닥을 형성하며 RNA 합성 및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RNA 세계 가설에서 생명 기원 조건 하에 RNA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리보사이드 - 리보뉴클레오사이드
아데노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IUPAC 이름 | (2R,3R,4S,5R)-2-(6-아미노-9H-퓨린-9-일)-5-(하이드록시메틸)옥솔란-3,4-다이올 |
![]() | |
![]() | |
동의어 | SR-96225 (개발 코드명)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58-61-7 |
ATC 코드 | C01EB10 |
PubChem CID | 60961 |
IUPHAR 리간드 | 2844 |
DrugBank | DB00640 |
ChemSpider ID | 54923 |
UNII | K72T3FS567 |
KEGG | C00212 |
ChEBI | 16335 |
ChEMBL | 477 |
SMILES | n2c1c(ncnc1n(c2)[C@@H]3O[C@@H]([C@@H](O)[C@H]3O)CO)N |
StdInChI | 1S/C10H13N5O4/c11-8-5-9(13-2-12-8)15(3-14-5)10-7(18)6(17)4(1-16)19-10/h2-4,6-7,10,16-18H,1H2,(H2,11,12,13)/t4-,6-,7-,10-/m1/s1 |
StdInChIKey | OIRDTQYFTABQOQ-KQYNXXCUSA-N |
약리학 정보 | |
상품명 | 아데노카드, 아데노코르, 아데닉, 아데노코, 아데노-젝, 아데노스캔, 아데노신, 아드레카르, 크레노신 |
임신 카테고리 (미국 FDA) | C (아데노신은 임신한 여성의 태아에게 안전할 수 있음) |
법적 상태 | 처방전 필요 |
투여 경로 | 정맥 주사 |
생체 이용률 | 효소 분해를 통해 순환에서 빠르게 제거됨 |
단백질 결합 | 없음 |
대사 | 이노신 및 아데노신 일인산으로 빠르게 전환됨 |
제거 반감기 | 혈장 제거 < 30초, 반감기 < 10초 |
배설 | 세포에 그대로 남거나 하이포잔틴, 잔틴 및 궁극적으로 요산으로 분해될 수 있음 |
화학 정보 | |
분자식 | C10H13N5O4 |
분자량 | 267.241 g/mol |
기타 정보 | |
출처 조직 | 주로 간 |
Drugs.com | 아데노신 Drugs.com 정보 |
2. 의학적 용도
2. 1. 심실상 빈맥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SVT)
아데노신은 특정 유형의 심실상 빈맥(SVT)을 정상 리듬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3][4][5] 특히, 방실 결절을 포함하는 재진입성 부정맥(예: 방실 회귀성 빈맥(AVRT), 방실 결절 회귀성 빈맥(AVNRT))에 효과적이다.[81][6] 심방 빈맥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7] 심방세동, 심방조동과 같이 방실 결절을 포함하지 않는 빠른 심장 박동에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제한적이다.[7]방실결절 의존성 심실상 빈맥에 대한 아데노신의 영향 때문에 아데노신은 V군 항부정맥제로 간주된다.[8] 아데노신 투여 시 일시적인 심실 무수축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고 가슴에서 협심증과 같은 감각과 관련될 수 있다.[82][8]
2. 2. 심장 스트레스 검사
아데노신은 운동으로 적절한 스트레스 검사를 받기 어려운 환자에게 탈륨(TI 201) 또는 테크네튬(Tc99m) 심근 관류 스캔(핵 스트레스 검사)의 보조제로 사용되는 혈관 확장제이다.[83][9]2. 3. 복용량
심실상 빈맥(SVT)의 평가 또는 치료를 위해 아데노신을 투여할 때, 초기 투여량은 대기 순서나 공급자의 선호도에 따라 6mg 또는 12mg이며, 빠른 비경구 주입 방식으로 투여한다.[10][84] 아데노신의 매우 짧은 반감기로 인해, 정맥 주사(IV) 라인은 심장과 가능한 가깝게, 예를 들어 주관 와에 위치시킨다. 정맥 주사 후에는 10~20mL의 생리 식염수를 주입한다. 이 방법이 효과가 없을 경우, 첫 번째 투여 후 1~2분 후에 12mg을 투여할 수 있다. 동맥을 확장시키기 위해 투여하는 경우(예: 스트레스 검사), 프로토콜에 따라 일반적으로 0.14mg/kg/분으로 4분 또는 6분 동안 투여한다.메틸잔틴은 수용체 부위에서 아데노신의 결합을 방해하므로, 테오필린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권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디피리다몰(Persantine) 및 디아제팜(Valium)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아데노신이 이 약물의 효과를 증폭시키므로 용량을 줄이는 경우가 많다.[84][10] 또한 울혈성 심부전, 심근 경색, 쇼크, 저산소증, 만성 간 질환 또는 만성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 그리고 노인 환자의 경우 권장 용량을 절반으로 줄인다.[84][10]
3. 약물의 상호작용
디피리다몰은 아데노신의 작용을 강화시키기 때문에 더 낮은 용량의 아데노신을 사용해야 한다.[86] 반면, 메틸잔틴 (커피의 카페인, 차의 테오필린, 초콜릿의 테오브로민 등)은 퓨린 구조를 가지며 아데노신과 동일한 수용체에 결합하여 경쟁적 길항제로 작용한다.[85] 이는 아데노신의 약리학적 효과를 약화시키므로, 메틸잔틴을 다량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아데노신의 용량을 늘려야 할 수 있다.[85][86]
카페인은 아데노신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데노신이 아데노신 A1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고,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증가시킨다.
4. 금기증
천식은 전통적으로 아데노신 투여의 절대적인 금기증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상대적인 금기증으로 여겨진다.[87][17] 그러나 선택적 아데노신 길항제는 천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87] 그 외에 심부전, 긴 QT 증후군, 심한 저혈압, 동기능부전증후군(심박 조율기 없이), 2도 또는 3도 심블록(심박 조율기 없이), 독/약물 유발성 빈맥도 금기증에 해당한다. 중심 내강 카테터를 통해 투여 시, 아데노신은 심방 조직에 영향을 주어 심방세동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부속 경로(볼프 파킨슨 화이트 증후군)를 가진 환자에서 심방세동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실세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만, 심장율동전환 치료 장비가 즉시 사용 가능하다면 아데노신 투여가 가능하다.
5. 부작용
아데노신 투여 후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혈관 확장 효과로 인한 안면 홍조, 가슴의 일시적인 발진, 현기증, 발한, 구역질 등이 있다. 미각장애 또한 아데노신 투여 시 나타나는 특징적인 부작용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개 일시적이며, 보통 1분 이하로 지속된다. 드물게 사지 마비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정맥 주사 투여 후 약 2~5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고용량(보통 12mg 이상) 투여 시 더 흔하게 나타난다.
6. 약리학적 효과
아데노신은 많은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내인성 퓨린 뉴클레오사이드이다. 아데노신에 의한 세포 신호 전달은 4가지로 알려진 아데노신 수용체의 하위 유형(A1, A2A, A2B, A3)을 통해 일어난다.[88]
정상 세포의 세포 외 아데노신 농도는 약 300 nM이다. 그러나 세포 손상(예: 염증성 조직 또는 허혈성 조직)에 반응하여, 이들 농도는 신속하게 상승한다(600~1200 nM). 따라서 스트레스나 손상과 관련된 아데노신의 기능은 저산소증, 허혈, 발작시 조직 손상을 방지하는 세포 보호의 기능이다. 아데노신 A2A 수용체의 활성화는 일반적으로 항염증제로 분류될 수 있는 일련의 반응들을 일으킨다.[89] 아데노신은 아데노신 수용체의 작용제이다.[49]
6. 1. 아데노신 수용체
아데노신 수용체는 모두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이다.[90][23] 아데노신 수용체의 4가지 하위 유형(A1, A2A, A2B, A3)은 아데닐산 고리화효소(아데닐산 시클라제)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에 따라 분류된다.[90][23] A1 수용체는 Gi/o와 결합하여 cAMP 생성을 억제하는 반면, A2 수용체는 Gs와 결합하여 아데닐산 고리화효소의 활성을 촉진한다.[90][23] A1 수용체는 Ca2+ 전도도를 조절하는 Go와도 결합한다.[90][23] A2B 및 A3 수용체는 Gq와 결합하여 포스포라이페이스(인산화효소)의 활성을 자극한다.[90][23] 코넬 대학교 연구진은 아데노신 수용체가 혈액뇌장벽을 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90][23] 아데노신을 투여한 쥐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중추신경계 암과 관련된 아밀로이드 플라크 항체 및 프록드러그의 혈액뇌장벽 통과가 증가했다.[90][23]6. 2. 그렐린/생장호르몬 분비촉진 수용체
아데노신은 그렐린/생장호르몬 분비촉진 수용체의 내인성 작용제이다.[91][24] 그러나 이 수용체의 다른 작용제와는 달리, 식욕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아데노신은 생장호르몬의 분비를 유도하고 생장호르몬의 혈장 수치를 증가시킬 수는 없다.[91][24]6. 3. 작용 기전
아데노신은 정맥 주사로 투여했을 때 방실 결절에서 일시적인 심장 차단을 유발한다.[92] 이는 A1 수용체를 통해 매개되며, 아데닐릴 사이클라제를 억제하고 cAMP를 감소시켜 내향 정류 K+ 채널을 통해 K+ 유출을 증가시켜 세포 과분극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Ca2+ 전류를 억제한다.[25][26]아데노신은 동맥벽 안에서 발견되는 평활근의 내피 의존적 이완을 유발하여 동맥의 정상적인 부분의 팽창을 일으킨다. 이러한 기능은 의사가 관상동맥의 폐색 여부를 검사할 때 정상 부위와 비정상 부위의 차이를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아데노신 투여는 관상동맥 도절 현상을 유발하여, 폐색 이후의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다른 관상 동맥은 확장되는 반면, 폐색된 부분은 이미 최대로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허혈성 조직으로 가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어 흉통을 유발한다.
7. 물질대사
아데노신은 아데노신 키나아제에 의해 인산화되어 AMP로 전환된다.[59][60] 한편, 아데노신은 아데노신 디아미나아제에 의해 퓨린환에 결합된 아미노기가 제거되어[61] 이노신으로 변환될 수 있다.[62][63] 이노신은 리보스가 제거되어 하이포잔틴으로 변환된다.[64] 하이포잔틴의 일부는 효소에 의해 5-포스포리보실-1-피로인산과 반응하여 IMP로 변환된 후,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쳐 AMP나 GMP 등으로 재이용된다.[65] 반대로 잉여 하이포잔틴은, 사람의 경우 요산까지 산화되고, 잉여 요산은 소변으로 배설된다.[66] 유리카아제를 발현하는 동물은 요산을 알란토인으로 산화시켜 수용성을 더욱 높여[67] 이를 소변으로 배설한다.
아데노신이 혈액 순환에 들어가면, 적혈구와 혈관벽에 존재하는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다이피리다몰은 아데노신 뉴클레오사이드 수송체의 억제제로서 아데노신이 혈류에 축적되도록 한다. 이것은 관상 혈관 확장을 유발한다.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결핍증은 면역 결핍증의 알려진 원인이다.
8. 구조
아데노신의 분자식은 C10H13N5O4이며 분자량은 약 267이다. 아데노신의 아데닌은 퓨린 염기 중 하나로 평면적인 분자이며, 구조적으로 부피가 크다. 아데닌의 9번 질소에 붙어 있던 수소와 리보스의 1번 탄소에 붙어 있던 히드록시기 간에는 탈수 축합이 이루어져 있다.[46]
이 관계 때문에 리보스에 배당체 결합을 할 경우, 단일 결합임에도 불구하고 그 단일 결합을 축으로 한 회전은 입체 장애로 인해 제한된다. 그 결과, 아데닌과 리보스는 신 형태(syn form)와 안티 형태(anti form)의 두 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천연 상태에서는 신 형태와 안티 형태가 모두 존재하지만, 에너지적으로 유리한 안티 형태가 더 많다.[47][48]
9. 생리 활성 (비의학적)
아데노신은 다양한 이유로 세포 내에서 세포 외로 분비되는데, 비정상적인 저산소 상태나 세포 내 대사 활동이 항진될 때 방출된다.[50][52] 저산소 상태의 조직에서 분비된 아데노신은 주변 혈관의 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국소적으로 혈류를 증가시킨다.[50][51] 골격근이 격렬한 운동을 할 때에도 아데노신이 방출되어 혈관을 이완시키는데, 이는 골격근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49]
이러한 혈관 이완 작용은 혈관 평활근의 A2 수용체가 아데노신을 감지했을 때 나타나는 반응이다.[49] 그러나 신장의 수입세동맥의 혈관 평활근에는 A1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어, 아데노신이 작용하면 반대로 수입세동맥은 수축한다.[49] 하지만 대부분의 혈관에서는 A2 수용체에 의한 혈관 이완 작용이 더 우세하다.[49] 혈관 확장은 다양한 기관으로의 혈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3][44][45]
심근에도 아데노신 A₁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으며, 심근의 아데노신 A₁ 수용체가 아데노신을 감지하면 심장의 활동량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아데노신은 중추신경계에 억제 효과가 있다.[100] 아데노신은 신경전달물질은 아니지만, 중추신경계에서도 뉴런이나 신경교세포로부터 세포 외로 유리되어 신경계의 활동을 조절하는 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54] 카페인의 자극 효과는 주로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여 중추신경계에서 아데노신의 억제 작용을 감소시키는 능력에 기인한다. 이러한 아데노신 활성의 감소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글루탐산의 활성을 증가시킨다.[100][34] 실험적 증거에 의하면 아데노신과 아데노신 작용제는 아데노신 A2A 수용체를 필요로 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Trk 수용체의 인산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101][35]
중추신경의 핵심인 대뇌에 대해 아데노신이 미치는 가장 큰 작용은 수면 효과이다. 피로에 따라 체내에서 생성된 아데노신이 뇌 내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면 각성을 유지하고 있는 히스타민의 방출이 억제되므로 졸음을 유발한다.[55] 파킨슨병에서는 대뇌 기저핵에 존재하는 아데노신 수용체 중 A2a에 속하는 기관이 도파민 결핍으로 인한 불량 상태를 보이며, 이의 개선이 병세 완화로 이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56][57]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는 길항제 중 하나이다.[58] 카페인은 혈액뇌관문을 통과하여 뇌 내에서도 작용하므로, 아데노신의 생리 작용을 억제한다.[58] 예를 들어, 에리타데닌 등 카페인 외의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에서도 아데노신의 생리 작용이 억제되며, 혈액뇌관문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뇌 내에서의 아데노신의 생리 작용도 억제된다.
9. 1. 혈관 평활근
아데노신은 다양한 이유로 세포 내에서 세포 외로 분비되는데, 비정상적인 저산소 상태나 세포 내 대사 활동이 항진될 때 방출된다.[50][52] 저산소 상태의 조직에서 분비된 아데노신은 주변 혈관의 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켜 국소적으로 혈류를 증가시킨다.[50][51] 골격근이 격렬한 운동을 할 때에도 아데노신이 방출되어 혈관을 이완시키는데, 이는 골격근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49]이러한 혈관 이완 작용은 혈관 평활근의 A2 수용체가 아데노신을 감지했을 때 나타나는 반응이다.[49] 그러나 신장의 수입세동맥의 혈관 평활근에는 A1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어, 아데노신이 작용하면 반대로 수입세동맥은 수축한다.[49] 하지만 대부분의 혈관에서는 A2 수용체에 의한 혈관 이완 작용이 더 우세하다.[49] 혈관 확장은 다양한 기관으로의 혈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3][44][45]
9. 2. 심근
심근에도 아데노신 A₁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으며, 심근의 아데노신 A₁ 수용체가 아데노신을 감지하면 심장의 활동량을 감소시킨다.9. 3. 중추신경계
일반적으로 아데노신은 중추신경계에 억제 효과가 있다.[100] 아데노신은 신경전달물질은 아니지만, 중추신경계에서도 뉴런이나 신경교세포로부터 세포 외로 유리되어 신경계의 활동을 조절하는 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54] 카페인의 자극 효과는 주로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여 중추신경계에서 아데노신의 억제 작용을 감소시키는 능력에 기인한다. 이러한 아데노신 활성의 감소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글루탐산의 활성을 증가시킨다.[100][34] 실험적 증거에 의하면 아데노신과 아데노신 작용제는 아데노신 A2A 수용체를 필요로 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Trk 수용체의 인산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101][35]중추신경의 핵심인 대뇌에 대해 아데노신이 미치는 가장 큰 작용은 수면 효과이다. 피로에 따라 체내에서 생성된 아데노신이 뇌 내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면 각성을 유지하고 있는 히스타민의 방출이 억제되므로 졸음을 유발한다.[55] 파킨슨병에서는 대뇌 기저핵에 존재하는 아데노신 수용체 중 A2a에 속하는 기관이 도파민 결핍으로 인한 불량 상태를 보이며, 이의 개선이 병세 완화로 이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56][57]
9. 4. 아데노신 수용체의 길항제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는 길항제 중 하나이다.[58] 카페인은 혈액뇌관문을 통과하여 뇌 내에서도 작용하므로, 아데노신의 생리 작용을 억제한다.[58] 예를 들어, 에리타데닌 등 카페인 외의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에서도 아데노신의 생리 작용이 억제되며, 혈액뇌관문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뇌 내에서의 아데노신의 생리 작용도 억제된다.10. 관련 분자
아데노신 관련 분자는 지구 생물의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DNA나 RNA의 염기 중 하나로 유전 정보 기록에 사용된다.[71] 리보솜이나 리보자임 등에도 염기 중 하나로 결합되어 있다.
생화학 과정에서도 ATP나 ADP의 일부로서 에너지 수송에 관여하며, cAMP는 세포 내 신호 전달에 관여하기도 한다.[72]
뉴클레오티데이스의 작용에 의해, ATP는 아데닐산을 거쳐 아데노신으로 분해된다.[72] 식물에서는 AMP를 이용하여, 다단계 반응을 거쳐, 식물의 발육을 조절하는 사이토키닌의 합성에 아데노신의 퓨린 염기 부분을 제공한다.[73]
S-아데노실메티오닌은 아데노신의 리보스의 5번 탄소에 메티오닌의 황이 결합하여 황이 양전하를 띠는 분자로, 메틸기의 공여체로 알려져 있다.
11. 연구
11. 1. 항바이러스
아데노신의 유사체인 NITD008은 RNA 사슬의 합성을 종결시킴으로써 뎅기 바이러스의 RNA 의존적 RNA 중합효소를 직접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데노신은 바이러스혈증과 사이토카인의 상승을 억제하고, 감염된 동물의 치사를 방지하여 플라비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치료의 가능성을 높여준다.[94][28] 7-데자-아데노신 유사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29] 갈리데시버(BCX4430)는 에볼라바이러스에 의한 에볼라 출혈열 및 마르부르크바이러스에 의한 마르부르크 출혈열로부터 보호한다.[96][30] 이러한 아데노신 유사체는 경구로 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11. 2. 항염증
아데노신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서 항염증제로 작용한다고 여겨진다.[97][98][31][32] 당뇨병의 발 상처에 대한 아데노신의 국소 치료는 실험실 동물에서 조직 복구 및 조직 재구축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에서 상처 치유 결핍 및 당뇨병에 사용하기 위한 아데노신의 국소 투여는 현재 임상 연구 중에 있다.메토트렉세이트의 항염증 효과는 아데노신 방출의 자극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99][33]
11. 3. 모발
국소 아데노신은 가는 머리카락을 가진 사람들의 머리카락을 두껍게 만드는 것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2][103] 2013년 연구에서는 남성형 탈모증에서 국소적인 아데노신과 미녹시딜을 비교한 결과 아데노신은 미녹시딜보다 우수하지 않아 더 많은 임상시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104] 다른 연구에서는 남성 안드로젠성 탈모증 환자에서 아데노신 국소 도포제가 미녹시딜만큼 효과적이었으며, "모발 손실의 더 빠른 예방과 새로 자란 모발의 출현"으로 인해 환자 만족도가 더 높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결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추가적인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38]11. 4. 수면
대마초의 주요 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과 엔도칸나비노이드인 아난다마이드(AEA)는 기저전뇌(basal forebrain)의 아데노신 수치를 증가시킴으로써 쥐의 수면을 유도한다.[105] 이들은 또한 I형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3시간 동안의 서파수면을 상당히 증가시킨다.[105] 이러한 연구 결과로 수면을 심각하게 이루지 못하는 조건에서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칸나비노이드의 잠재적인 치료적 사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105]아데노신은 신체의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핵심 요소이다.[39] 아데노신 수치는 깨어있는 동안 증가하고 수면 중에는 감소한다. 아데노신 수치가 높을수록 졸음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수면 욕구 또는 수면 압력이라고도 한다.[40] 불면증 인지 행동 치료 (CBT-I)는 불면증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여겨지며, 신체의 아데노신 수치를 높이고 조절하기 위해 단기적인 수면 박탈을 활용하여 장기적으로 일관되고 지속적인 수면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1]
12. 응용 (비의학적)
아데노신을 배합한 크림이나 마이크로니들 가공된 제품이 노화로 인한 주름살 개선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둘 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약 20명이 참가한 시험에서는 안전성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68][69] 84명을 피험자로 하여 아데노신 크림과 마이크로니들 가공된 히알루론산을 사용, 단독 사용과 병용 사용을 비교한 시험에서는 눈가의 주름 개선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안전성 문제도 없었다.[70]
참조
[1]
서적
Bioorganometallic Chemistry
[2]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W. H. Freeman
[3]
논문
Pharmacology of Adenosine Receptors: The State of the Art
2018-07
[4]
논문
Clinical practice.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2006-03
[5]
논문
Electrophysiologic effects of adenosine triphosphate and adenosine on the mammalian heart: clinical and experimental aspects
1984-08
[6]
논문
Wide QRS complex tachycardia. Diagnosis: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with aberrant conduction; intravenous (IV) adenosine
2008-11
[7]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
[8]
서적
Coronary Pressure
Springer
[9]
논문
Safe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adenosine thallium-201 scintigraphy in patients unable to exercise and those with left bundle branch block
1992-09
[10]
웹사이트
2014 Guidelines
http://www.regionsem[...]
2016-04
[11]
논문
Transcriptional profiling of lung cell populations in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2020
[12]
논문
Caffeine and adenosine
[13]
웹사이트
Vitamin B4
http://www.rspharmch[...]
R&S Pharmchem
2011-04
[14]
논문
Caffeine enhances acetylcholine release in the hippocampus in vivo by a selective interaction with adenosine A1 receptors
1995-05
[15]
논문
The Medicinal Chemistry of Caffeine
2021-06
[16]
서적
Principles of Life
Macmillan Learning
[17]
논문
Adenosine receptors and asthma
2008-03
[18]
논문
Adenosine receptors: therapeutic aspects for inflammatory and immune diseases
2008-09
[19]
논문
Adenosine: an endogenous regulator of innate immunity
2004-01
[20]
논문
Targeting Adenosine Receptor Signaling in Cancer Immunotherapy
2018-12
[21]
논문
The Good, the Bad and the Unknown of CD38 in the Metabolic Microenvironment and Immune Cell Functionality of Solid Tumors
2019-12
[22]
논문
CD39 and CD73 in immunity and inflammation
2013-06
[23]
논문
Adenosine receptor signaling modulates permeability of the blood-brain barrier
2011-09
[24]
서적
Brain Somatic Cross-Talk and the Central Control of Metabolism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5]
웹사이트
Аденозин в косметике - Польза антивозрастной корейской косметики
https://kimito.com.u[...]
2021-03-18
[26]
서적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McGraw Hill
[27]
논문
Effects of the purine biosynthesis pathway inhibitors azaserine, hadacidin, and mycophenolic acid on the developing ovine corpus luteum
[28]
논문
An adenosine nucleoside inhibitor of dengue virus
2009-12
[29]
논문
A 7-deaza-adenosine analog is a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with excellent pharmacokinetic properties
2004-10
[30]
논문
Protection against filovirus diseases by a novel broad-spectrum nucleoside analogue BCX4430
2014-04
[31]
논문
Anti-inflammatory preconditioning by agonists of adenosine A1 receptor
2008-05
[32]
논문
Treating lung inflammation with agonists of the adenosine A2A receptor: promises, problems and potential solutions
2008-10
[33]
논문
How does methotrexate suppress inflammation?
[34]
논문
Caffeine induces dopamine and glutamate release in the shell of the nucleus accumbens
2002-08
[35]
논문
Activation of Trk neurotrophin receptors in the absence of neurotrophins
2001-03
[36]
논문
Adenosine increases anagen hair growth and thick hairs in Japanese women with female pattern hair loss: a pilot,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2008-12
[37]
논문
Adenosine stimulates growth of dermal papilla and lengthens the anagen phase by increasing the cysteine level via fibroblast growth factors 2 and 7 in an organ culture of mouse vibrissae hair follicles
2012-02
[38]
논문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topical minoxidil 5% and adenosine 0.75% solutions on male androgenetic alopecia and measuring patient satisfaction rate
2013
[39]
논문
Adenosine, caffeine, and sleep-wake regulation: state of the science and perspectives
2022-08
[40]
웹사이트
Adenosine and Sleep
https://www.sleepfou[...]
2022-06-07
[41]
논문
Models of insomnia.
https://www.med.upen[...]
Elsevier Inc.
2011-01
[42]
논문
Anandamide enhances extracellular levels of adenosine and induces sleep: an in vivo microdialysis study
2003-12
[43]
논문
Mechanism of vasodilation to adenosine in coronary arterioles from patients with heart disease
2005-04
[44]
논문
Role of nitric oxide in adenosine-induced vasodilation in humans
1998-05
[45]
논문
Adenosine as a vasodilator in primary pulmonary hypertension
1991-09
[46]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47]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48]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49]
서적
新しい機能形態学 - ヒトの成り立ちとその働き(第2版)
廣川書店
2007-03-25
[50]
서적
やさしい生理学(改訂第5版)
南江堂
2005-10-01
[51]
문서
[52]
서적
新しい機能形態学 - ヒトの成り立ちとその働き(第2版)
廣川書店
2007-03-25
[53]
서적
新しい機能形態学 - ヒトの成り立ちとその働き(第2版)
廣川書店
2007-03-25
[54]
서적
新しい機能形態学 - ヒトの成り立ちとその働き(第2版)
廣川書店
2007-03-25
[55]
웹사이트
カフェインと睡眠
https://www.ncnp.go.[...]
ncnp病院
2021-12-02
[56]
웹사이트
アデノシンA2A受容体の研究
http://plaza.umin.ac[...]
日本医科大学千葉北総病院脳神経センター
[57]
웹사이트
パーキンソン病治療薬イストラデフェリン
http://medical.radio[...]
スズケンDIアワー
2013-07-11
[58]
서적
パートナー薬理学
南江堂
2007-04-15
[59]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60]
문서
[61]
문서
[62]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63]
문서
[64]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65]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66]
문서
[67]
서적
Illustrated ハーパー・生化学(原書27版)
丸善
2007-01-30
[68]
논문
Combinatorial application of dissolving microneedle patch and cream for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dermal density, elasticity, and hydration
2018-10
[69]
논문
Adenosine-loaded dissolving microneedle patches to improve skin wrinkles, dermal density, elasticity and hydration
2018-04
[70]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a novel, soluble microneedle patch for the improvement of facial wrinkle
2018-04
[71]
문서
[72]
서적
新しい機能形態学 - ヒトの成り立ちとその働き(第2版)
廣川書店
2007-03-25
[73]
서적
植物生理学 - 分子から個体へ
三共出版
2003-10-25
[74]
웹인용
Adenosine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01-12
[75]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Pharmacological Agents: Properties and Synonym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76]
서적
Dictionary of Organic Compounds
https://books.google[...]
CRC Press
[77]
서적
Index Nominum 2000: International Drug Direc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0-01
[78]
저널
Mechanism of vasodilation to adenosine in coronary arterioles from patients with heart disease
2005-04
[79]
저널
Role of nitric oxide in adenosine-induced vasodilation in humans
1998-05
[80]
저널
Adenosine as a vasodilator in primary pulmonary hypertension
1991-09
[81]
저널
Wide QRS complex tachycardia. Diagnosis: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with aberrant conduction; intravenous (IV) adenosine
2008-11
[82]
서적
Coronary Pressure
https://archive.org/[...]
Springer
[83]
저널
Safe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adenosine thallium-201 scintigraphy in patients unable to exercise and those with left bundle branch block
[84]
문서
http://www.regionsem[...]
[85]
웹인용
Caffeine
http://www.chemistry[...]
Chemistry Explained
[86]
웹인용
Vitamin B4
http://www.rspharmch[...]
R&S Pharmchem
2011-04
[87]
저널
Adenosine receptors and asthma
2008-03
[88]
저널
Adenosine receptors: therapeutic aspects for inflammatory and immune diseases
2008-09
[89]
저널
Adenosine: an endogenous regulator of innate immunity
2004-01
[90]
저널
Adenosine receptor signaling modulates permeability of the blood-brain barrier
[91]
서적
Brain Somatic Cross-Talk and the Central Control of Metabolism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92]
서적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McGraw Hill
[93]
저널
Effects of the purine biosynthesis pathway inhibitors azaserine, hadacidin, and mycophenolic acid on the developing ovine corpus luteum
[94]
저널
An adenosine nucleoside inhibitor of dengue virus
[95]
저널
A 7-Deaza-Adenosine Analog Is a Potent and Selective Inhibitor of Hepatitis C Virus Replication with Excellent Pharmacokinetic Properties
[96]
저널
Protection against filovirus diseases by a novel broad-spectrum nucleoside analogue BCX4430
[97]
저널
Anti-Inflammatory Preconditioning by Agonists of Adenosine A1 Receptor
[98]
저널
Treating lung inflammation with agonists of the adenosine A2A receptor: promises, problems and potential solutions
2008-10
[99]
저널
How does methotrexate suppress inflammation?
[100]
저널
Caffeine induces dopamine and glutamate release in the shell of the nucleus accumbens
[101]
저널
Activation of Trk neurotrophin receptors in the absence of neurotrophins
2001-03
[102]
저널
Adenosine increases anagen hair growth and thick hairs in Japanese women with female pattern hair loss: a pilot,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2008-12
[103]
저널
Adenosine stimulates growth of dermal papilla and lengthens the anagen phase by increasing the cysteine level via fibroblast growth factors 2 and 7 in an organ culture of mouse vibrissae hair follicles
2012-02
[104]
저널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topical minoxidil 5% and adenosine 0.75% solutions on male androgenetic alopecia and measuring patient satisfaction rate
2013
[105]
저널
Anandamide Enhances Extracellular Levels of Adenosine and Induces Sleep: An In Vivo Microdialysis Study
https://escholarship[...]
20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