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ches Brew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itches Brew》는 1970년 3월에 발매된 마일스 데이비스의 앨범이다. 1969년 8월, 데이비스는 즉흥 연주를 중심으로 한 녹음 세션을 진행했으며, 웨인 쇼터, 조 자비눌, 존 맥러플린 등 여러 연주자가 참여했다. 이 앨범은 재즈와 록을 융합한 재즈 퓨전의 대표작으로, 테오 마세로의 편집을 통해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Bitches Brew》는 발매 당시 평론가들의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1970년대 재즈 부흥을 이끌었고,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포함되는 등 음악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반 - Get Up with It
마일스 데이비스의 1974년 앨범 Get Up with It은 퓨전 재즈를 기반으로 록, 훵크, 아프리카 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한 실험적인 작품으로, 듀크 엘링턴 헌정곡을 포함한 다양한 곡들이 수록되어 발매 후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반 - Star People
마일스 데이비스가 1983년에 발표한 스튜디오 앨범 《Star People》은 존 스코필드, 마이크 스턴, 마커스 밀러 등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했으며 데이비스가 직접 그린 그림이 앨범 재킷에 사용되었고, 빌보드 재즈 앨범 차트 4위를 기록하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1970년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 1970년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컬럼비아 레코드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Bitches Brew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재즈 퓨전 아방가르드 재즈 재즈 록 아방 펑크 사이키델리아 |
길이 | 93분 57초 |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 |
프로듀서 | 테오 마세로 |
발매 정보 | |
발매일 | 1970년 3월 30일 |
녹음일 | 1969년 8월 19일 ~ 1969년 8월 21일 |
녹음 장소 | 컬럼비아 52번가 (뉴욕) |
연대기 | |
이전 앨범 | Miles in Tokyo (1969년) |
현재 앨범 | Bitches Brew (1970년) |
다음 앨범 | Miles Davis at Fillmore (1970년) |
차트 성적 | |
미국 (Billboard 200) | 35위 |
일본 | 49위 |
영국 | 71위 |
평가 | |
올뮤직 | 평가 링크 |
수상 | |
그래미상 | 수상 정보 링크 |
2. 배경 및 녹음
1969년까지 마일스 데이비스의 핵심 작업 밴드는 웨인 쇼터(테너 색소폰), 데이브 홀랜드(베이스), 칙 코리아(일렉트릭 피아노), 잭 디조넷(드럼)으로 구성되었다.[72] 이들은 조 자비눌, 존 맥러플린, 토니 윌리엄스, 허비 행콕도 참여한 《In a Silent Way》(1969)를 녹음하며 일렉트릭 피아노, 기타, 재즈 퓨전 스타일과 같은 전자 악기를 통합하여 데이비스의 "일렉트릭 시대"를 열었다.[72] 데이비스는 다음 스튜디오 음반을 위해 전자와 퓨전 스타일을 더욱 심화시키고자 했다.
1969년 봄부터 8월까지 5인조와 함께 투어를 하면서 〈Miles Runs the Voodoo Down〉, 〈Sanctuary〉, 〈Spanish Key〉 등의 새로운 곡들을 소개했다.[72] 이 시기에 데이비스는 컨템포러리 록과 펑크 음악, 캐넌볼 애덜리와 함께 연주한 자비눌의 연주, 그리고 영국의 작곡가 폴 벅마스터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72]
이 앨범은 거의 전편이 16비트를 기조로 하고 있으며, 단순히 일렉트릭 악기를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리듬 면에서도 재즈계에 혁명을 가져왔다. 흔히 "재즈와 록을 융합한 선구적인 앨범"이라고 하지만, 음악적으로는 펑크의 영향도 강하다. 드러머 2명과 퍼커션 연주자 2명을 기용함으로써, 다채로운 리듬을 쌓아 올렸다. 마일스가 1970년대에 제작·발표한 앨범은 대체로, 본작의 노선을 계승하고 있다.
27분에 달하는 「비치스 브루」를 필두로, 어떤 곡도 10분을 넘는 대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일하게 「존 맥러플린」만이 5분 미만인데, 이는 「비치스 브루」가 너무나 길었기 때문에 프로듀서인 테오 마세로가 일부를 잘라내어 단독의 악곡으로서 독립시킨 것이다. 제목 그대로 존 맥러플린의 기타가 중심이 되고 있다. 또한, 모든 곡이 테오 마세로에 의해 치밀한 편집이 가해져, 다른 크로스오버 계열 아티스트의 스튜디오 녹음과는 차별화되는 독자적인 실험성이 반영되었다.
멤버는 전작 《In a Silent Way》에도 참가한 멤버들을 중심으로, 마일스 밴드의 새로운 드러머가 되는 잭 디조넷이나, 리턴 투 포에버에서도 알려진 레니 화이트, 후에 자코 파스토리우스와 활동하는 돈 알리아스 등 대규모 편성으로 이루어졌다. 훗날 퓨전 씬에서 활약하는 명 연주자들이 대거 참여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작은 웨인 쇼터 재적 당시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으로, 웨인은 그 후 조 자비눌과 함께 웨더 리포트를 결성했다.
2. 1. 녹음 방식
1969년 8월, 데이비스는 녹음 세션 일주일 전에 밴드를 소집하여 리허설을 가졌다. 그의 5인조 외에도 조 자비눌, 존 맥러플린, 래리 영, 레니 화이트, 돈 앨리어스, 주마 산토스, 베니 모핀이 합류했다.[72] 데이비스는 처음에 세 대의 피아노를 위한 간단한 화음을 썼고, 이를 더 큰 규모의 작곡 스케치로 확장했다. 그는 그룹에게 "음악 스케치"를 보여주고, 그가 선택한 화음을 연주하는 한, 떠오르는 것은 무엇이든 연주할 수 있다고 말했다.[72] 데이비스는 이 음반의 방향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고, 만들어진 것이 "미리 짜놓은 게 아니라" 즉흥적인 과정에서 나온 것이기를 바랐다.[72]데이비스는 1969년 8월 19일부터 21일까지 컬럼비아의 스튜디오 B를 예약했다.[72] 8월 19일 세션은 오전 10시에 시작되었고, 밴드는 먼저 "Bitches Brew"를 연주했다. 모두 데이비스와 웨인 쇼터가 가운데에 위치한 반원 형태로 자리를 잡았다.
이 시기 데이비스의 녹음 세션은 평소처럼 트랙을 섹션별로 녹음했다.[72] 데이비스는 템포 카운트, 몇 개의 코드 또는 멜로디 힌트, 분위기나 톤에 대한 제안과 같은 몇 가지 지시를 내렸다. 데이비스는 이런 방식으로 작업하는 것을 좋아했다. 그는 이것이 음악가들이 서로, 자신의 연주, 또는 데이비스의 신호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강요한다고 생각했는데, 신호는 시시각각 변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Bitches Brew"의 조용한 부분에서 데이비스의 목소리는 음악가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템포를 나타내기 위해 손가락을 튕기고, 독특한 목소리로 음악가들에게 "긴장감을 유지해"라고 말하거나, 솔로 연주를 할 때 개인에게 지시를 내렸다. 예를 들어, 타이틀 곡을 연주하는 동안 "존"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10] "John McLaughlin"과 "Sanctuary"도 8월 19일 세션 동안 녹음되었다. 후반에는 그룹이 "Pharaoh's Dance"를 리허설했다.[72]
쿨 재즈의 멜로디적인 즉흥 연주자로 명성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에서 데이비스의 연주는 공격적이고 폭발적이며, 종종 빠른 런을 연주하고 트럼펫의 높은 음역에 진출한다. "Miles Runs the Voodoo Down"의 마지막 솔로는 이러한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데이비스는 짧은 곡 "John McLaughlin"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3. 음반 제목
《Bitches Brew》라는 제목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73][11] 어떤 사람들은 이 제목이 1960년대의 문화적 변화를 데이비스에게 소개해 준 그의 주변 여성들을 가리킨다고 믿는다.[73][74][11][12][13] 한편, 'bitches'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무언가를 잘하는 사람을 긍정적으로 칭하는 은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bitches'가 음악가 자신을 가리킨다는 해석도 있다.[73] 이 외에도 다른 설명들이 제시되었다.[73][11]
4. 후반 작업 (포스트 프로덕션)
프로듀서 테오 마세로는 녹음된 음원을 릴 투 릴 테이프 녹음 방식으로 편집하여 곡의 길이를 늘리고, 테이프 루프, 테이프 딜레이, 리버브, 에코 등 다양한 효과를 추가했다.[14] 마세로는 테이프 편집을 통해 밴드가 라이브 콘서트에서 모방할 수 있는 새로운 음악 구조를 만들어냈다.[14] 이러한 편집 기법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것으로, 스튜디오를 악기처럼 활용하는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14]
마세로는 1950년대와 60년대 프랑스 구체 음악 실험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테이프 편집을 편곡 및 작곡의 한 형태로 사용했다.[14] 예를 들어, "파라오의 댄스"에는 19개의 편집이 포함되어 있는데, 유명한 시작-정지 오프닝은 특정 부분의 반복 루프를 사용하여 스튜디오에서 완전히 구성되었다. 타이틀 곡에는 15개의 편집이 포함되어 있으며, 5초(3:01, 3:07, 3:12)의 짧은 테이프 루프가 여러 개 있다.[14]
5. 음악적 특징
이 음반은 거의 전편이 16비트를 기조로 하고 있으며, 단순히 일렉트릭 악기를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리듬 면에서도 재즈계에 혁명을 가져온 작품이다.[9] 흔히 "재즈와 록을 융합한 선구적인 앨범"이라고 하지만, 펑크의 영향도 강하게 드러난다.[72] 드러머 2명과 퍼커션 연주자 2명을 기용하여 다채로운 리듬을 쌓아 올렸다. 1970년대 마일스 데이비스가 제작·발표한 앨범은 대체로 이 음반의 노선을 계승하고 있다.
27분에 달하는 타이틀 곡 〈Bitches Brew〉를 필두로, 모든 곡이 10분을 넘는 대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일하게 〈John McLaughlin〉만이 5분 미만인데, 이는 〈Bitches Brew〉가 너무나 길었기 때문에 프로듀서인 테오 마세로가 일부를 잘라내어 단독 악곡으로 독립시킨 것이다. 제목 그대로 존 맥러플린의 기타 연주가 중심이 된다. 또한, 모든 곡이 테오 마세로에 의해 치밀하게 편집되어, 다른 크로스오버 계열 아티스트의 스튜디오 녹음과는 차별화되는 독자적인 실험성을 보여준다.
이 앨범에는 전작 《In a Silent Way》에 참여했던 멤버들을 중심으로, 마일스 밴드의 새로운 드러머가 되는 잭 디조넷, 리턴 투 포에버에서도 알려진 레니 화이트, 후에 자코 파스토리우스와 활동하는 돈 알리아스 등 대규모 편성이 참여했다. 훗날 퓨전 씬에서 활약하는 명연주자들이 대거 참여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웨인 쇼터는 이 앨범을 마지막으로 마일스 데이비스 밴드를 떠나 조 자비눌과 함께 웨더 리포트를 결성했다.
쿨 재즈의 멜로디적인 즉흥 연주자로 명성이 높았던 마일스 데이비스는 이 앨범에서 공격적이고 폭발적인 연주를 선보인다. 그는 종종 빠른 프레이즈를 연주하고 트럼펫의 높은 음역까지 넘나든다. 〈Miles Runs the Voodoo Down〉의 마지막 솔로는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데이비스는 짧은 곡 〈John McLaughlin〉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6. 발매 및 반응
《Bitches Brew》는 1970년 3월에 발매되어 그해 7월 4일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35위를 기록했다.[75] 이는 Kind of Blue에 이어 데이비스의 앨범 중 두 번째로 높은 순위였다.[17] 2003년 9월 22일,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는 이 앨범이 미국에서 100만 장 이상 판매된 것을 인정하여 플래티넘 인증을 부여했다.[75]
발매 당시 평론가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랭던 위너는 1970년 롤링 스톤 리뷰에서 이 앨범을 "아름다움, 섬세함, 순수한 장엄함"으로 가득 찬 작품이라고 칭찬하며, "듣는 모든 사람에게 상상의 나래를 펼치도록 허용하고 심지어 장려할 정도로 형태와 내용이 풍부하다"고 평가했다.[25] 반면,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크리스가우의 레코드 가이드: 70년대 록 앨범》(1981)에서 "아이디어가 넘치지만 초점이 부족하다"고 평가하며, 토니 윌리엄스의 In a Silent Way에서의 안정적인 록 리듬 대신 "충분한 열정을 모으지 못하는 라틴과 펑크 폴리리듬의 미묘한 음영"이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28]
이 앨범은 재즈의 부흥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78년 마이클 세걸은 1960년대까지 재즈가 "상업적으로 죽은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 앨범의 성공으로 인해 "음악 산업 경영진들은 재즈 지향 음악의 판매 잠재력에 눈을 뜨게 되었다"고 썼다.[29] 이후 허비 행콕의 《Head Hunters》(1973), 조지 벤슨의 《Breezin'》(1976) 등 다른 퓨전 앨범들의 상업적 성공에 기여했다.[29]
일부 재즈 순수주의자들은 이 앨범을 비판하기도 했다.[31] 재즈 평론가이자 프로듀서인 밥 러시는 "제게 이것은 '위대한 흑인 음악'이 아니"었으며, "상업적인 쓰레기의 일부"라고 생각했다고 회상했다.[32] 그러나 1970년 DownBeat의 연례 비평가 투표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33]
《롤링 스톤》은 2003년 '역대 최고의 앨범 500장' 목록에서 이 앨범을 94위,[35] 2020년에는 87위로 선정했다.[36] 또한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1001장의 앨범》에도 포함되었다.[37]
7. 영향 및 유산
《Bitches Brew》는 재즈 퓨전 장르를 정의하고 대중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라디오헤드의 톰 요크는 1997년 앨범 《OK Computer》가 이 앨범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으며,[10] 빌랄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앨범 25장 중 하나로 이 앨범을 꼽았다. 실험 재즈 드러머 바비 프리빗은 이 앨범을 "획기적"이라고 평가했다.
8. 곡 목록
곡명 | 작곡가 |
---|---|
〈Pharaoh's Dance〉 | 조 자비눌 |
〈Bitches Brew〉 | 마일스 데이비스 |
〈Spanish Key〉 | 마일스 데이비스 |
〈John McLaughlin〉 | 마일스 데이비스 |
〈Miles Runs the Voodoo Down〉 | 마일스 데이비스 |
〈Sanctuary〉 | 웨인 쇼터 |
〈Feio〉* | 웨인 쇼터 |
- 1999년 CD 재발매 보너스 트랙
8. 1. LP
《Bitches Brew》는 더블 LP 음반으로 발매되었다. 각 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면 | 곡명 | 작곡가 | 재생 시간 |
---|---|---|---|
Side one | Pharaoh's Dance | 조 자비눌 | 20:07 |
Side two | Bitches Brew | 마일스 데이비스 | 27:00 |
Side three | Spanish Key | 마일스 데이비스 | 17:30 |
John McLaughlin | 마일스 데이비스 | 4:23 | |
Side four | Miles Runs the Voodoo Down | 마일스 데이비스 | 14:03 |
Sanctuary | 웨인 쇼터 | 10:54 |
8. 1. 1. Side one
곡명 | 작곡가 | 녹음 날짜 | 재생 시간 |
---|---|---|---|
Pharaoh's Dance | 조 자비눌 | 1969년 8월 21일 | 20:07 |
8. 1. 2. Side two
〈Bitches Brew〉는 마일스 데이비스가 작곡했으며 1969년 8월 19일에 녹음되었다.[2] 이 곡의 길이는 27분이다.[2]8. 1. 3. Side three
(이 결과물은 이미 주어진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수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8. 1. 4. Side four
8. 2. 1999년 재발매 CD 보너스 트랙
1999년 재발매된 CD에는 웨인 쇼터가 작곡한 〈Feio〉가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이 곡은 1970년 1월 28일에 녹음되었으며, 오리지널 앨범 녹음 세션과는 다른 멤버들이 참여했다. 레니 화이트와 하비 브룩스는 불참했고, 이후 마하비쉬누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한 빌리 코브햄(드럼)과 리턴 투 포에버의 초기 멤버로 활동한 아이르토 모레이라(퍼커션)가 새롭게 참여했다.9. 참여 음악가
참여 곡 | 마일스 데이비스 | 웨인 쇼터 | 베니 모핀 | 조 자비눌 | 칙 코리아 | 존 맥러플린 | 데이브 홀랜드 | 하비 브룩스 | 레니 화이트 | 잭 디조넷 | 돈 알리아스 | 주마 산토스 | 래리 영 | 빌리 코브햄 | 에어토 모레이라 | |
---|---|---|---|---|---|---|---|---|---|---|---|---|---|---|---|---|
"Bitches Brew" | 트럼펫 | 소프라노 색소폰 | 베이스 클라리넷 | 전기 피아노 (왼쪽) | 전기 피아노 (오른쪽) | 전기 기타 | 더블 베이스 | 베이스 기타 | 드럼 세트 (왼쪽) | 드럼 세트 (오른쪽) | 콩가 | 셰이커, 콩가 | ||||
"John McLaughlin" | 베이스 클라리넷 | 전기 피아노 (왼쪽) | 전기 피아노 (오른쪽) | 전기 기타 | 더블 베이스 | 베이스 기타 | 드럼 세트 (왼쪽) | 드럼 세트 (오른쪽) | 콩가 | 셰이커, 콩가 | ||||||
"Sanctuary" | 트럼펫 | 소프라노 색소폰 | 전기 피아노 (왼쪽) | 전기 피아노 (오른쪽) | 더블 베이스 | 베이스 기타 | 드럼 세트 (오른쪽) | 콩가 | 셰이커, 콩가 | |||||||
"Miles Runs the Voodoo Down" | 트럼펫 | 소프라노 색소폰 | 베이스 클라리넷 | 전기 피아노 (왼쪽) | 전기 피아노 (오른쪽) | 전기 기타 | 베이스 기타 | 베이스 기타 | 드럼 세트 (오른쪽) | 드럼 세트 (왼쪽) | 콩가 | |||||
"Spanish Key" "Pharaoh's Dance" | 트럼펫 | 소프라노 색소폰 | 베이스 클라리넷 | 전기 피아노 (왼쪽) | 전기 피아노 (오른쪽) | 전기 기타 | 더블 베이스 | 베이스 기타 | 드럼 세트 (왼쪽) | 드럼 세트 (오른쪽) | 콩가 | 셰이커 | 전기 피아노 (중앙) | |||
"Feio" | 트럼펫 | 소프라노 색소폰 | 베이스 클라리넷 | 전기 피아노 (왼쪽) | 전기 피아노 (오른쪽) | 전기 기타 | 베이스 기타 | 드럼 세트 (오른쪽) | 드럼 세트 (왼쪽) | 타악기 및 쿠이카 |
- CD반에는 웨인 쇼터가 작곡한 "Feio"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1970년 1월에 진행된 완전히 다른 세션에서 녹음된 것이다.
- "Feio"에는 레니 화이트나 하비 브룩스 등은 불참했고, 후에 마하비쉬누 오케스트라에 참여하는 빌리 코브햄(드럼)과 제1기 리턴 투 포에버에 참여하는 에어토 모레이라(퍼커션)가 참여했다.
10. 제작진
음반 참여 | 역할 |
---|---|
마일스 데이비스 | 트럼펫 |
웨인 쇼터 | 소프라노 색소폰 |
베니 모핀 | 베이스 클라리넷 |
조 자비눌 | 전기 피아노 (왼쪽) |
칙 코리아 | 전기 피아노 (오른쪽) |
존 맥러플린 | 전기 기타 |
데이브 홀랜드 | 더블 베이스 ("Bitches Brew", "John McLaughlin", "Sanctuary", "Spanish Key", "Pharaoh's Dance") 베이스 기타 ("Feio", "Miles Runs the Voodoo Down") |
하비 브룩스 | 베이스 기타 ("Bitches Brew", "John McLaughlin", "Sanctuary", "Spanish Key", "Pharaoh's Dance", "Miles Runs the Voodoo Down") |
레니 화이트 | 드럼 세트 (왼쪽) ("Bitches Brew", "Spanish Key", "Pharaoh's Dance") |
잭 디조넷 | 드럼 세트 (오른쪽) |
돈 알리아스 | 콩가 |
주마 산토스 ("짐 라일리"로 표기) | 셰이커 ("Bitches Brew", "Sanctuary", "Spanish Key", "Pharaoh's Dance"), 콩가 ("Miles Runs the Voodoo Down") |
래리 영 | 전기 피아노 (중앙) ("Spanish Key", "Pharaoh's Dance") |
빌리 코브햄 | 드럼 세트 (왼쪽) ("Feio") |
에어토 모레이라 | 타악기 및 쿠이카 ("Feio") |
기타 제작진 | 역할 |
---|---|
테오 마세로 | 프로듀서 |
프랭크 레이코 | 레코딩 엔지니어 (1969년 8월 19일 세션) |
스탠 톤켈 | 레코딩 엔지니어 (그 외 모든 세션) |
마크 와일더 | 믹싱, 마스터링 엔지니어 |
마티 클라르바인 | 커버 그림[51] |
밥 벨든 | 재발매 프로듀서 |
마이클 커스쿠나 | 재발매 프로듀서 |
웨인 쇼터가 작곡한 "페이오"는 1970년 1월에 진행된 별도의 세션에서 녹음되었다. 이 곡에는 레니 화이트와 하비 브룩스는 참여하지 않았고, 마하비쉬누 오케스트라의 빌리 코브햄(드럼)과 리턴 투 포에버의 에어토 모레이라(퍼커션)가 참여했다.[51]
11. 차트 성적
《Bitches Brew》는 1970년 3월에 발매되었다. 이후 4개월 동안 상업적인 인기를 얻어 1970년 7월 4일 주에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35위를 기록했다. 이는 데이비스의 앨범 중 Kind of Blue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이다.[17] 2003년 9월 22일, 이 앨범은 미국에서 100만 장 판매를 기록하여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차트 | 최고 순위 |
---|---|
플랑드르 | 80 |
포르투갈 | 49 |
영국 | 71 |
미국 빌보드 200 | 35 |
미국 빌보드 R&B/힙합 앨범 | 4 |
미국 빌보드 재즈 앨범 | 1 |
12. 인증
《Bitches Brew》는 1970년 3월에 발매되었다. 이후 4개월 동안 상업적인 탄력을 받아 1970년 7월 4일 주에 미국 빌보드 200에서 35위로 정점을 찍었다. 이 음반은 마일스 데이비스의 차트에서 최고의 성과로 남아있다.[75] 2003년 9월 22일, 이 음반은 미국에서 100만 장 판매를 기록하여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17]
지역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영국 | Gold | |
미국 | Platinum |
13. 라이브 활동
마일스 데이비스는 본작이 발표되자, 록 팬을 겨냥한 라이브를 진행했다. 1970년 6월 후반에는 칙 코리아, 데이브 홀랜드, 잭 디조넷, 아이르투 모레이라, 새로 가입한 키스 자렛(오르간)과 스티브 그로스만(테너 색소폰)을 이끌고 록 공연장으로 알려진 필모어 이스트에 4일 연속 출연했다. 본작에서는 〈비치스 브루〉와 〈생츄어리〉가 연주되었다. 이 공연은 후에 2장짜리 라이브 앨범 《마일스 앳 필모어》로 발매되었다.
같은 해 8월 29일에는 색소폰 연주자가 게리 바츠로 교체된 구성으로 와이트 섬 음악 축제에 출연했다. 이 해에는 지미 헨드릭스나 더 후의 출연이 화제가 되었으며, EL&P의 데뷔 라이브로도 알려져 있다. 마일스는 《비치스 브루》의 3곡을 포함한 메들리를 연주했다. 그 제목은 〈Call It Anything〉으로, "어떻게 부르든 상관없다"라는 의미이다. 이때의 연주는 옴니버스 CD 《와이트 섬 1970》에 수록되었지만, 마일스 명의의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52] 2009년 발매된 박스 세트 《Miles Davis: The Complete Columbia Album Collection》에 풀 버전이 처음 수록되었고, 2011년 발표된 라이브 앨범 《비치스 브루 라이브》에 1969년의 뉴포트 재즈 페스티벌 라이브 음원과 함께 수록되었다. DVD 《마일스 일렉트릭》으로 영상도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iles Davis.com
http://www.milesdavi[...]
[2]
뉴스
Miles Davis: The muse who changed him, and the heady Brew that rewrote jazz
https://www.theguard[...]
2018-08-29
[3]
서적
Small Town Talk: Bob Dylan, The Band, Van Morrison, Janis Joplin, Jimi Hendrix and Friends in the Wild Years of Woodstock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2016-03-08
[4]
웹인용
Miles Davis explained how “prejudice” fuelled his music
https://faroutmagazi[...]
2024-07-21
[5]
웹사이트
Past Winners Search | GRAMMY.com
http://www.grammy.co[...]
2013-06-02
[6]
웹사이트
Bitches Brew: Miles Davis' Shot Heard 'Round the Jazz World – ColumbiaJazz
http://www.columbiaj[...]
2008-08-30
[7]
웹사이트
Miles Electric: A Different Kind of Blue (DVD) – PopMatters
http://www.popmatter[...]
2008-08-30
[8]
웹사이트
The Complete Bitches Brew Sessions (August 1969 – February 1970) – Miles Davi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1-08-08
[9]
AV media notes
Bitches Brew [1999 Reissue]
https://www.discogs.[...]
Columbia Records
[10]
웹사이트
Miles Davis and the Making of Bitches Brew: Sorcerer's Brew
http://jazztimes.com[...]
Jazz Times
2014-11-11
[11]
웹사이트
Miles Davis and the Making of Bitches Brew
https://jazztimes.co[...]
2020-10-06
[12]
뉴스
Looking Back On 'Bitches Brew': The Year Miles Davis Plugged Jazz In
https://www.npr.org/[...]
2020-10-06
[13]
뉴스
Miles Davis: The muse who changed him, and the heady Brew that rewrote jazz
https://www.theguard[...]
2023-01-05
[14]
웹사이트
The Making of Bitches Brew
http://www.miles-bey[...]
2013-03-25
[15]
서적
Jazz
William C. Brown, College Division
[16]
웹사이트
Session Details
http://www.plosin.co[...]
2007-08-04
[17]
간행물
Miles Davis – Chart History – Billboard 200 – Bitches Brew
https://www.billboar[...]
2019-05-25
[18]
웹사이트
Miles Davis – Bitches Brew (2018, SACD)
https://www.discogs.[...]
2018-08-08
[19]
AllMusic
Review: ''Bitches Brew''
2010-10-08
[20]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21]
웹사이트
Miles Davis - Bitches Brew CD Album
http://www.cdunivers[...]
CD Universe
2016-05-14
[22]
서적
MusicHound Jazz: The Essential Album Guide
Music Sales Corporation
[23]
웹사이트
Miles Davis: Bitches Brew [Legacy Edition]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10-09-10
[24]
문서
"Miles Davis"
2004
[25]
뉴스
Review: ''Bitches Brew''
2010-10-08
[26]
뉴스
Jazz Annual
http://www.robertchr[...]
2016-05-14
[27]
간행물
Jazz & Pop Ballot 1970
http://www.robertchr[...]
2016-05-14
[28]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70s
Da Capo Press
2016-05-14
[29]
간행물
The Children of 'Bitches Brew'
https://www.rollings[...]
2016-05-15
[30]
웹사이트
November 2003 Notebook
http://tomhull.com/o[...]
2020-07-12
[3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Society
SAGE Publications
[32]
서적
All Music Guide to Jazz
Miller Freeman Books
[33]
웹사이트
1970 Down Beat Critics Poll
http://www.downbeat.[...]
downbeat.com
2008-11-14
[34]
서적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Penguin
[35]
뉴스
RS500: 94) ''Bitches Brew''
2010-10-08
[36]
간행물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0-09-22
[37]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Universe
2006-02-07
[38]
웹사이트
The 3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pastemag[...]
2024-06-03
[39]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Bobby Previte
http://users.bestweb[...]
1997-12
[40]
간행물
Radiohead: An Interview With Thom Yorke
1997-10
[41]
간행물
Bilal's 25 Favorite Albums
https://www.complex.[...]
2013-02-26
[42]
서적
Steely Dan's Aj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7
[43]
웹사이트
Please advise
http://www.lettersof[...]
[44]
웹사이트
Bitches Brew
http://www.milesdavi[...]
[45]
웹사이트
Miles Davis - Awards
http://www.allmusic.[...]
[46]
문서
『オリコンチャート・ブックLP編(昭和45年‐平成1年)』(オリジナルコンフィデンス/1990年/ISBN 4-87131-025-6)p.277
[47]
웹사이트
ChartArchive - Miles Davis
http://chartarchive.[...]
[48]
웹사이트
Bitches Brew - Miles Davis : AllMusic
https://www.allmusic[...]
[49]
웹사이트
MIles Davis' Bitches Brew - ColumbiaJazz
http://www.columbiaj[...]
[50]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0-09-22
[51]
웹사이트
Visionary Art by Mati Klarwein - Bitches Brew
http://www.matiklarw[...]
[52]
문서
地球音楽ライブラリー マイルス・デイヴィス(TOKYO FM出版、ISBN 4-88745-074-5)p.123
[53]
문서
邦題は「ビッチズ・ブルー」と表記すべきだという意見がある(中山康樹「第3回 ウエイン・ショーターと『群像』そして「ブルース」か「ブルーズ」か」を参照)。
https://dot.asahi.co[...]
[54]
웹사이트
Miles Davis.com
http://www.milesdavi[...]
[55]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Society
SAGE Publications
[56]
뉴스
Miles Davis: The muse who changed him, and the heady Brew that rewrote jazz
https://www.theguard[...]
2010-09-04
[57]
서적
Small Town Talk: Bob Dylan, The Band, Van Morrison, Janis Joplin, Jimi Hendrix and Friends in the Wild Years of Woodstock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2016-03-08
[58]
웹사이트
Review: Bitches Brew
https://www.allmusic[...]
2010-10-08
[59]
웹인용
Radiohead's OK Computer in 5 Minutes
http://pitchfork.com[...]
Pitchfork
[60]
웹사이트
Review: Bitches Brew
https://www.allmusic[...]
2010-10-08
[61]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70s
Da Capo Press
[62]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63]
웹인용
Miles Davis - Bitches Brew CD Album
http://www.cdunivers[...]
CD Universe
[64]
서적
MusicHound Jazz: The Essential Album Guide
Music Sales Corporation
[65]
서적
The Penguin Guide to Jazz Recordings
https://archive.org/[...]
Penguin
[66]
웹사이트
Review: Bitches Brew (Legacy Edition)
http://pitchfork.com[...]
2010-09-10
[67]
서적
Miles Davis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68]
웹사이트
Review: Bitches Brew
http://www.sputnikmu[...]
2005-06-12
[69]
웹사이트
Miles Electric: A Different Kind of Blue (DVD) – PopMatters
http://www.popmatter[...]
[70]
웹사이트
Bitches Brew: Miles Davis' Shot Heard 'Round the Jazz World – ColumbiaJazz
http://www.columbiaj[...]
2008-07-05
[71]
웹인용
Past Winners Search | GRAMMY.com
http://www.grammy.co[...]
2013-06-02
[72]
영상
Bitches Brew [1999 Reissue]
https://www.discogs.[...]
Columbia Records
[73]
웹인용
Miles Davis and the Making of Bitches Brew
https://jazztimes.co[...]
2020-10-06
[74]
웹인용
Looking Back On 'Bitches Brew': The Year Miles Davis Plugged Jazz In
https://www.npr.org/[...]
2020-10-06
[75]
웹인용
Miles Davis – Chart History – Billboard 200 – Bitches Brew
https://www.billboar[...]
2019-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