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on't ask, don't tell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on't ask, don't tell" (DADT)은 1993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에서 시행된 군대 내 성소수자 차별 정책이다. 이 정책은 군 지원자에게 성적 지향을 묻지 않고, 성소수자임을 밝히거나 동성애 행위를 하면 해고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 DADT는 군 기강 유지, 부대 결속력 강화, 전투력 보존을 주장하는 찬성 측과, 차별과 인권 침해를 지적하는 반대 측의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2010년 DADT 폐지 법안이 통과되었고, 2011년 9월 20일에 정책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DADT 폐지 이후, 성소수자의 군 복무가 허용되었으며, 관련 소송과 여론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법 - 러시아 헌법
    러시아 연방 헌법은 1993년 국민투표로 제정된 최고 법규로,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며, 국민의 기본권과 자유 보장, 연방 구조, 입법부, 사법부, 지방 자치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며, 2020년과 2022년에 걸쳐 개정되었다.
  • 1993년 법 - 유럽 의료기기 지침
    유럽 의료기기 지침(MDD)은 유럽 경제 지역 내 의료기기 판매를 위한 CE 마크 획득 요건을 규정하는 의료기기 관련 지침으로, 의료기기의 정의, 범위, 필수 요구 사항 등을 다루었으며, 유럽 의료기기 규정(MDR)에 의해 대체되었습니다.
  • 미국의 성소수자 - 미국의 성소수자 청소년 노숙인
    미국의 성소수자 청소년 노숙인은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 때문에 집을 나와 노숙하는 청소년으로, 가정 내 갈등, 차별, 혐오 등으로 노숙을 경험하며 이성애자 청소년 노숙인보다 더 큰 위험에 처해 있어, 이들을 위해 차별 금지 법제화, 보호 시설 확충, 전문 상담 등 다각적인 지원과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 미국의 성소수자 - 캐스트로
    캐스트로는 샌프란시스코의 마켓 스트리트와 카스트로 스트리트 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LGBTQ 커뮤니티의 역사적, 문화적 중심지이자 게이 해방 운동의 거점으로서 퀴어 문화의 상징적인 장소이며, 다양한 명소와 문화 행사로 LGBTQ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Don't ask, don't tell - [전쟁]에 관한 문서
정책 개요
빌 클린턴 대통령이 동성애자 군 복무에 관한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는 영상 스크린샷
1993년 7월, 빌 클린턴 대통령이 동성애자 군 복무에 관한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는 영상 스크린샷
시행 기간1994년 2월 28일 ~ 2011년 9월 20일
주관 부서미국 국방부
주도클린턴 행정부
시행레스 애스핀
목표미국 군대에서 공개적인 동성애자, 양성애자, 레즈비언의 복무 금지
결과공개적인 동성애자, 양성애자, 레즈비언의 미국 군대 복무 금지
법률 및 규정
관련 법규미국 법전 10장 654조
국방부 지침국방부 지침 1304.26
육군 규정육군 규정 40-501, 의료 적합성 기준, 2-27n 및 3-35장
해안 경비대 지침해안 경비대 인사 관리 매뉴얼, COMDTINST M1000.6, 12.E장
배경 및 폐지
폐지 서명버락 오바마 대통령 (2010년 12월 22일)
발효2011년 9월 20일
추가 정보
관련 문서DD Form X653

2. 연혁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빌 클린턴 민주당 후보는 성적 지향과 관계없이 누구나 군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241] 1993년 클린턴 대통령이 이를 정책으로 추진하자, 미국 의회는 기존 금지 정책을 강화하는 연방법 제정을 추진하며 반발했다. 이에 클린턴 대통령은 입대 지원자에게 성 정체성을 묻지 않겠다는 타협안을 제시했고, 이는 국방부 지침 1304.26호로 발령되었다.[241] 이 지침은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묻지도, 말하지도, 추적하지도 말라)로 표현되었고, 이후 "Don't ask, don't tell"(DADT)로 간략히 불렸다.

DADT 정책으로 성소수자도 군 복무가 가능해졌지만, 자신이 성소수자임을 밝히면 군을 떠나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이 때문에 DADT는 성소수자를 억압하는 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버락 오바마 후보는 DADT 정책의 완전 폐지를 공약했다.[130] 오바마 대통령은 DADT로 인해 군에서 추방된 군인, 특히 아랍어 능통자들을 교체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132] 2009년 10월 10일, 오바마 대통령은 인권 캠페인 연설에서 DADT 폐지를 약속했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제시하지 않았다.[133][134] 2010년 국정 연설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의회 및 군과 협력하여 DADT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135]

2010년 12월 18일, 미국 상원은 DADT 폐지 법안을 65 대 31로 가결했고, 2010년 12월 22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했다.[7] 2011년 7월 22일, 오바마 대통령은 DADT 폐기를 승인하여 국회로 보냈고, 2011년 9월 20일부터 DADT로 인해 전역했던 전직 군인들이 다시 입대할 수 있게 되었다.[242]

DADT 폐지 이후, 미군 내 성소수자 군인들의 권익이 신장되고 사회적 인식도 개선되었다. 2021년 조 바이든 대통령은 DADT 피해 참전 용사들에 대한 보상 정책을 발표하여 DADT 정책의 부당함을 인정하고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

2. 1. 배경

''존중과 존중''. 미 육군의 2001년 동성애 행위 정책에 대한 훈련 지침은 누군가의 동성애 또는 양성애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간주될 수 있는 것에 대한 공식적인 지침을 제공했다.


동성애 행위는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군에서 해고될 사유였다. 성적 지향에 근거한 정책은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 준비를 하면서 나타났다. 군대가 징병 과정에 정신과 검사를 추가했을 때 동성애를 부적격 특성으로 포함시켰는데, 이는 당시 정신병리학의 한 형태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1942년 육군은 개정된 동원 규정을 발표하면서 처음으로 "동성애자" 신병을 "정상" 신병과 구별했다.[13]

1947년, 블루 디스차지는 중단되었고 "일반" 및 "부적격"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분류가 만들어졌다. 군 복무 중 성적 행위를 저지르지 않은 게이로 판명된 군인은 부적격 제대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성적 행위에 관여한 것으로 판명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불명예 제대되었다.[15] 1957년 미국 해군 연구인 크리텐덴 보고서는 동성애자가 보안 위험을 구성한다는 주장을 일축했지만, "군은 민간 사회보다 앞서 나가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해군 내 동성애 혐오 차별 종식을 옹호하지 않았다. 이 보고서는 1976년까지 비밀로 유지되었다.[16] 패니 메이 클라컴은 그러한 제대에 성공적으로 항소하여 1960년 미국 연방 청구 법원에서 8년치 급여를 승소한 최초의 군인이었다.[17]

1950년대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인력 부족이 발생했을 때 동성애자들의 복무가 허용되는 등 몇몇 주목할 만한 게이 군인들은 사전 심사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대를 피했다.[18]

1970년대와 1980년대의 LGBT 사회 운동은 여러 게이 군인의 주목할 만한 해고를 공개함으로써 이 문제를 제기했다. 공군 TSgt 레너드 매틀로비치는 금지에 반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공개한 최초의 군인으로, 1975년 ''타임'' 표지에 등장했다.[19] 1982년 국방부는 "동성애는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정책을 발표했다.[20] 1988년, 해병대 패리스 아일랜드 징집병 훈련소에서 레즈비언에 대한 캠페인에 대응하여, 활동가들은 군대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의 배제를 종식시키기 위해 옹호하는 게이 및 레즈비언 군사 자유 프로젝트(MFP)를 시작했다.[21] 1989년, 펜타곤 산하 기관인 인사 보안 연구 및 교육 센터(PERSEREC)가 의뢰한 보고서가 조셉 스테판이 미국 해군 사관학교에서의 강제 사임을 막기 위한 소송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한 보고서는 "동성 또는 이성 지향성을 갖는 것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 것과 마찬가지로 업무 수행 능력과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22] 트레이시 손-베글런드와 마가렛(그레테) 캐머마이어와 같은 군인의 복무 기록을 강조한 제대 관련 소송도 있었다.

MFP는 1990년 의회 로비를 시작했고, 1991년 브록 애덤스 상원 의원(민주, 워싱턴)과 바바라 복서 하원 의원(민주)은 금지를 완전히 종식시키는 법안인 군사 자유법을 발의했다. 애덤스와 패트리샤 슈로더 하원 의원(민주, 콜로라도)은 다음 해에 이 법안을 재발의했다.[23] 1991년 7월, 딕 체니 국방 장관은 그의 언론 보좌관 피트 윌리엄스의 성 정체성 공개와 관련하여, 게이가 보안 위험을 제기한다는 생각은 "오래된 이야기"라고 하원 예산 위원회에서 증언했다.[24] 그의 발언에 대한 대응으로, ''USA 투데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를 포함한 여러 주요 신문들이 금지 종식을 지지했다.[25] 1992년 6월, 일반 회계 감사원은 2년 전에 의회 의원들이 요청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군대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을 금지하는 데 따른 비용을 연간 2700만달러로 추정했다.[26]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동안, 게이와 레즈비언의 시민권, 특히 군대에서의 공개 복무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27]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모두 게이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 금지를 종식시키는 것을 지지했지만,[28] 공화당은 그러한 입장을 정치적 쟁점으로 삼지 않았다.[29] 1992년 10월 27일, 게이인 미국 해군 부사관 앨런 R. 신들러 주니어가 살해당하자, 게이와 레즈비언의 공개 복무를 허용하려는 지지자들은 클린턴 행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31]

2. 1.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 군대에서 동성애 행위는 해고 사유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을 준비하면서 군 징병 과정에 정신과 검사가 추가되었고, 동성애는 당시 정신병리학의 한 형태로 여겨져 부적격 특성으로 포함되었다. 1942년 육군은 개정된 동원 규정을 발표하면서 처음으로 "동성애자" 신병을 "정상" 신병과 구별했다.[13] 전쟁 이전에는 게이 군인들이 군사 재판을 받고 투옥되었으며 불명예 제대되었으나, 전쟁 중에는 사령관들이 군사 재판 위원회를 소집하기 어려워 행정적인 블루 디스차지가 게이 및 레즈비언 군인들을 처리하는 표준 방법이 되었다. 1944년, 새로운 정책 지침은 동성애자들을 군 병원에 수용하고 정신과 의사의 검사를 받게 한 후 섹션 8에 따라 제대하도록 했다.[14]

2. 1.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 군대에서 동성애 행위는 해고 사유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을 준비하면서, 군대는 징병 과정에 정신과 검사를 추가했고 동성애를 부적격 특성으로 포함시켰다. 당시 동성애는 정신병리학의 한 형태로 여겨졌다. 1942년 육군이 개정된 동원 규정을 발표했을 때, 처음으로 "동성애자" 신병을 "정상" 신병과 구별했다.[13] 전쟁 이전에는 게이 군인들이 군사 재판을 받고 투옥되었으며 불명예 제대되었다. 그러나 전쟁 중에는 사령관들이 군사 재판 위원회를 소집하기 어려웠고, 행정적인 블루 디스차지가 게이 및 레즈비언 인력을 처리하는 표준 방법이 되었다. 1944년, 새로운 정책 지침은 동성애자들을 군 병원에 수용하고 정신과 의사의 검사를 받게 한 후 규정 615–360, 섹션 8에 따라 제대하도록 했다.[14]

1947년, 블루 디스차지는 중단되었고 "일반" 및 "부적격"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분류가 만들어졌다. 군 복무 중 성적 행위를 저지르지 않은 게이로 판명된 군인은 부적격 제대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성적 행위에 관여한 것으로 판명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불명예 제대되었다.[15] 1957년 미국 해군 연구인 크리텐덴 보고서는 동성애자가 보안 위험을 구성한다는 주장을 일축했지만, "군은 민간 사회보다 앞서 나가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해군 내 동성애 혐오 차별 종식을 옹호하지 않았다. 이 보고서는 1976년까지 비밀로 유지되었다.[16] 패니 메이 클라컴은 그러한 제대에 성공적으로 항소하여 1960년 미국 연방 청구 법원에서 8년치 급여를 승소한 최초의 군인이었다.[17]

1950년대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인력 부족이 발생했을 때 동성애자들의 복무가 허용되는 등 몇몇 주목할 만한 게이 군인들은 사전 심사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대를 피했다.[18]

1970년대와 1980년대의 LGBT 사회 운동은 여러 게이 군인의 주목할 만한 해고를 공개함으로써 이 문제를 제기했다. 공군 TSgt 레너드 매틀로비치는 금지에 반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공개한 최초의 군인으로, 1975년 ''타임'' 표지에 등장했다.[19] 1982년 국방부는 "동성애는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정책을 발표했다.[20] 1988년, 해병대 패리스 아일랜드 징집병 훈련소에서 레즈비언에 대한 캠페인에 대응하여, 활동가들은 군대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의 배제를 종식시키기 위해 옹호하는 게이 및 레즈비언 군사 자유 프로젝트(MFP)를 시작했다.[21] 1989년, 펜타곤 산하 기관인 인사 보안 연구 및 교육 센터(PERSEREC)가 의뢰한 보고서가 조셉 스테판이 미국 해군 사관학교에서의 강제 사임을 막기 위한 소송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한 보고서는 "동성 또는 이성 지향성을 갖는 것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 것과 마찬가지로 업무 수행 능력과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22] 트레이시 손-베글런드와 마가렛(그레테) 캐머마이어와 같은 군인의 복무 기록을 강조한 제대 관련 소송도 있었다. MFP는 1990년 의회 로비를 시작했고, 1991년 브록 애덤스 상원 의원(민주, 워싱턴)과 바바라 복서 하원 의원(민주)은 금지를 완전히 종식시키는 법안인 군사 자유법을 발의했다. 애덤스와 패트리샤 슈로더 하원 의원(민주, 콜로라도)은 다음 해에 이 법안을 재발의했다.[23] 1991년 7월, 딕 체니 국방 장관은 그의 언론 보좌관 피트 윌리엄스의 성 정체성 공개와 관련하여, 게이가 보안 위험을 제기한다는 생각은 "오래된 이야기"라고 하원 예산 위원회에서 증언했다.[24] 그의 발언에 대한 대응으로, ''USA 투데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를 포함한 여러 주요 신문들이 금지 종식을 지지했다.[25] 1992년 6월, 일반 회계 감사원은 2년 전에 의회 의원들이 요청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군대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을 금지하는 데 따른 비용을 연간 2700만달러로 추정했다.[26]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동안, 게이와 레즈비언의 시민권, 특히 군대에서의 공개 복무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27]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모두 게이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 금지를 종식시키는 것을 지지했지만,[28] 공화당은 그러한 입장을 정치적 쟁점으로 삼지 않았다.[29] 1992년 10월 27일, 게이인 미국 해군 부사관 앨런 R. 신들러 주니어가 살해당하자, 게이와 레즈비언의 공개 복무를 허용하려는 지지자들은 클린턴 행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31]

2006년 4월, 미국 공군의 메이저인 마거릿 위트가 동성애 혐의로 조사를 받던 중, DADT가 실질적 적법 절차, 평등 보호 조항, 그리고 절차적 적법 절차를 위반한다는 근거로 미국 워싱턴 서부 지방 법원에 선언적 및 금지 명령 구제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2007년 7월, 미국 공군 장관은 그녀에게 명예로운 전역을 명령했다. 지방 법원에서 기각된 이 사건은 항소심에서 심리되었고, 제9 연방 순회 항소 법원은 2008년 5월 21일에 판결을 내렸다. ''위트 대 공군부''(Witt v. Department of the Air Force)에 대한 판결은 위트의 실질적 적법 절차와 절차적 적법 절차 주장을 되살리고, 평등 보호 주장의 기각을 확정했다. 제9 연방 순회 항소 법원은 ''로렌스 대 텍사스''(2003)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분석하여 DADT가 강화된 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결정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행정부는 항소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2009년 5월 3일 마감일을 넘김으로써, ''위트'' 판결은 제9 연방 순회 항소 법원 전체에 구속력을 갖게 되었고, 사건은 지방 법원으로 되돌아갔다.[51] 2010년 9월 24일, 지방 판사 로널드 B. 레이턴은 위트의 헌법적 권리가 그녀의 전역으로 인해 침해되었으며, 그녀가 공군에 복귀해야 한다고 판결했다.[52]

정부는 11월 23일에 제9 연방 순회 항소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했지만, 재판 법원의 판결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재판을 중단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53] 2011년 5월 10일에 발표된 합의에서 공군은 항소를 포기하고 위트의 군 복무 기록에서 전역 기록을 삭제하기로 동의했다. 그녀는 모든 혜택을 받으며 퇴역할 것이다.[54]

2. 2. DADT 정책 도입 (1993년)

1992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후보는 "누구든 성적 지향과 무관하게 군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내용을 선거 공약으로 제시했다.[241] 1993년 클린턴 대통령이 이를 정책으로 추진하자, 미국 의회는 오히려 기존 금지 정책을 강화하여 연방 법률로 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클린턴 대통령은 입대 지원자에게 성 정체성에 대해 묻지 않겠다는 타협안을 제시했고, 이는 국방부 지침(Department of Defense Directive) 1304.26호로 발령되었다.[241] 이 지침은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묻지도, 말하지도, 추적하지도 말라)로 표현되었으며, 이후 "Don't ask, don't tell"(DADT)로 간결하게 불리게 되었다.

이 지침 덕분에 성소수자도 군 복무를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자신이 성소수자임을 밝히면 군을 떠나야 하는 제약이 따랐다. 이 때문에 DADT는 성소수자를 억압하는 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기간 동안, 게이와 레즈비언의 시민권, 특히 군대에서의 공개 복무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7]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모두 게이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 금지를 종식시키는 것을 지지했지만,[28] 공화당은 그러한 입장을 정치적 쟁점으로 삼지 않았다.[29]

해군 대변인 크레이그 퀵글리 사령관은 당시 군 내부의 많은 반대를 표명하며 "동성애자는 악명 높게 문란하다"고 말했고, 공동 샤워 상황에서 이성애자는 "누군가 지켜보는 듯한 불편한 느낌"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33]

의회에서 민주당 소속 조지아 출신 상원 의원 샘 넌은 상원 군사 위원회 의장으로서 동성애자에 대한 절대적 금지를 유지하는 것을 지지하는 의원들을 이끌었다. 개혁파는 매사추세츠주 출신 민주당 하원 의원 바니 프랭크가 이끌었으며, 그는 수정을 지지했지만 결국 동성애 금지 조항이 포함된 국방 예산 법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1964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배리 골드워터 전 상원의원 겸 예비역 소장은 공개적인 게이와 레즈비언의 복무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넌에 의해 위원회에 출석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1993년 6월 ''워싱턴 포스트'' 기고문에서 골드워터는 "똑바로 쏘기 위해 똑바를 필요는 없다"고 썼다.[37]

의회는 클린턴의 폐지 노력을 제치고 기존의 동성애 금지 정책을 연방법으로 신속하게 제정했다. 클린턴은 금지를 뒤집기 위한 법안을 요구했지만, 합참, 의원 및 대중의 반대에 직면하여 DADT는 타협 정책으로 등장했다.[39]

2. 3. DADT 정책 시행 (1993년 ~ 2010년)

1992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후보는 "누구든 성적 지향과 무관하게 군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허용"(to allow all citizens to serve in the military regardless of sexual orientation)한다는 내용을 선거 공약으로 제시했다.[241] 1993년 빌 클린턴 대통령이 이를 정책으로 추진하자, 미국 의회는 오히려 기존 금지 정책을 강화하여 연방 법률로 제정하려 했다. 이에 빌 클린턴 대통령은 입대 지원자에게 성 정체성에 대해 묻지 않겠다는 타협안을 제시했는데, 이것이 국방부 지침(Department of Defense Directive) 1304.26호로 발령되었다.[241] 이 지침은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묻지도, 말하지도, 추적하지도 말라)로 표현되었으며, 이후 "Don't ask, don't tell"(DADT)로 간결하게 사용되었다.

이 지침 덕분에 성소수자도 군 복무를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자신이 성소수자임을 밝히면 군을 떠나야 하는 제약이 있었다. 이 때문에 성소수자를 억압하는 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

동성애 행위는 미국 독립 전쟁 이후부터 미군에서 해고 사유였다. 성적 지향에 기반한 정책은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 준비를 하면서 나타났다. 군대가 징병 과정에 정신과 검사를 추가하면서 동성애를 부적격 특성으로 포함시켰는데, 이는 당시 정신병리학의 한 형태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1942년 육군이 개정된 동원 규정을 발표했을 때, 처음으로 "동성애자" 신병을 "정상" 신병과 구별했다.[13] 전쟁 준비 이전에는 게이 군인들이 군사 재판을 받고 투옥되었으며 불명예 제대를 당했다. 그러나 전쟁 중에는 사령관들이 군사 재판 위원회를 소집하기 어려웠고, 행정적인 블루 디스차지가 게이 및 레즈비언 인력을 처리하는 표준 방법이 되었다. 1944년, 새로운 정책 지침은 동성애자들을 군 병원에 수용하고 정신과 의사의 검사를 받게 한 후 규정 615–360, 섹션 8에 따라 제대하도록 했다.[14]

1947년, 블루 디스차지는 중단되었고 "일반" 및 "부적격"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분류가 만들어졌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군 복무 중 성적 행위를 저지르지 않은 게이로 판명된 군인은 부적격 제대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성적 행위에 관여한 것으로 판명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불명예 제대되었다.[15] 크리텐덴 보고서로 알려진 1957년 미국 해군 연구는 동성애자가 보안 위험을 구성한다는 주장을 일축했지만, "군은 민간 사회보다 앞서 나가서는 안 되며 동성애 범죄자에 대한 태도나 행동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다른 기준을 설정하려고 시도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해군 내 동성애 혐오 차별 종식을 옹호하지 않았다. 이 보고서는 1976년까지 비밀로 유지되었다.[16] 패니 메이 클라컴은 그러한 제대에 성공적으로 항소하여 1960년 미국 연방 청구 법원에서 8년치 급여를 승소한 최초의 군인이었다.[17]

1950년대부터 베트남 전쟁까지, 몇몇 주목할 만한 게이 군인들은 사전 심사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대를 피했으며, 인력 부족이 발생했을 때 동성애자들의 복무가 허용되었다.[18]

1970년대와 1980년대의 LGBT 사회 운동은 여러 게이 군인의 주목할 만한 해고를 공개함으로써 이 문제를 제기했다. 공군 TSgt 레너드 매틀로비치는 금지에 반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공개한 최초의 군인으로, 1975년 ''타임'' 표지에 등장했다.[19] 1982년 국방부는 "동성애는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군대의 "기강 유지, 질서 유지, 사기 증진" 및 "보안 침해 방지"의 필요성을 언급했다.[20] 1988년, 해병대 패리스 아일랜드 징집병 훈련소에서 레즈비언에 대한 캠페인에 대응하여, 활동가들은 군대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의 배제를 종식시키기 위해 옹호하는 게이 및 레즈비언 군사 자유 프로젝트(MFP)를 시작했다.[21] 1989년, 펜타곤 산하 기관인 인사 보안 연구 및 교육 센터(PERSEREC)가 의뢰한 보고서가 조셉 스테판이 미국 해군 사관학교에서의 강제 사임을 막기 위한 소송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한 보고서는 "동성 또는 이성 지향성을 갖는 것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 것과 마찬가지로 업무 수행 능력과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22] 제대와 싸우는 다른 소송들은 트레이시 손-베글런드와 마가렛(그레테) 캐머마이어와 같은 군인의 복무 기록을 강조했다. MFP는 1990년 의회 로비를 시작했고, 1991년 브록 애덤스 상원 의원(민주, 워싱턴)과 바바라 복서 하원 의원(민주)은 금지를 완전히 종식시키는 법안인 군사 자유법을 발의했다. 애덤스와 패트리샤 슈로더 하원 의원(민주, 콜로라도)은 다음 해에 이 법안을 재발의했다.[23] 1991년 7월, 딕 체니 국방 장관은 그의 언론 보좌관 피트 윌리엄스의 성 정체성 공개와 관련하여, 게이가 보안 위험을 제기한다는 생각은 "오래된 이야기"라고 하원 예산 위원회에서 증언했다.[24] 그의 발언에 대한 대응으로, ''USA 투데이'',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를 포함한 여러 주요 신문들이 금지 종식을 지지했다.[25] 1992년 6월, 일반 회계 감사원은 2년 전에 의회 의원들이 요청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군대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을 금지하는 데 따른 비용을 연간 2700만달러로 추정했다.[26]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동안, 게이와 레즈비언의 시민권, 특히 군대에서의 공개 복무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27]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모두 게이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 금지를 종식시키는 것을 지지했지만,[28] 공화당은 그러한 입장을 정치적 쟁점으로 삼지 않았다.[29] 8월, 칼 엡팅 먼디 주니어 해병대 사령관은 그의 모든 고위 장교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해병대 군종 장교가 작성한 정책 보고서를 칭찬했는데, 이 보고서는 "군대의 독특하고 매우 긴밀한 환경에서 동성애 행위는 다른 사람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육체적(예: 에이즈) 및 심리적 웰빙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먼디는 이를 "매우 통찰력 있다"고 칭찬하며 "이 문제에 대한 건전한 토론의 기반"을 제공한다고 말했습니다.[30] 1992년 10월 27일, 게이인 미국 해군 부사관 앨런 R. 신들러 주니어가 살해당하자, 게이와 레즈비언의 공개 복무를 허용하려는 지지자들은 클린턴 행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31]

2010년, 미국의 최대 공화당 성 소수자 단체인 로그 캐빈 공화당(LCR)이 2004년에 제기한 소송이 재판에 회부되었다.[55] DADT의 위헌성을 제기하며 원고들은 이 정책이 공개적으로 성 소수자인 군 구성원들의 언론의 자유, 적법 절차, 공개적인 결사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DADT가 정당한 정부의 이익을 증진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했다.[56] 원고들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 중 DADT가 "우리의 국가 안보에 기여하지 않으며", "우리의 국가 안보를 약화시키고", 정책의 철회가 "우리 국가 안보에 필수적"이라는 내용을 증거로 제시했다. 원고에 따르면, 이러한 발언만으로 적법 절차에 대한 그들의 입증 책임을 충족시켰다.[57]

2010년 9월 9일, 버지니아 A. 필립스 판사는 ''로그 캐빈 공화당 대 미국(Log Cabin Republicans v. United States of America)'' 판결에서, 공개적으로 성 소수자인 군 구성원의 복무를 금지하는 것은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와 제5조를 위헌적으로 침해하는 것이라고 판결했다.[58][59] 2010년 10월 12일, 그녀는 국방부가 "묻지도, 말하지도 않는다"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즉각적인 전 세계적 금지 명령을 내리고 군에 이를 근거로 한 모든 조사 또는 해고, 분리, 기타 절차를 중단하고 중단하도록 명령했다.[60][61] 법무부는 그녀의 결정에 항소하고 금지 명령의 유예를 요청했지만,[62] 필립스는 이를 거부했지만 제9 순회 항소 법원은 10월 20일에 이를 허가했고,[63][64] 11월 1일 항소가 보류되었다.[65] 미국 대법원은 유예를 뒤집기를 거부했다.[66]

지방법원은 헌법 문제에 대한 질문을 예상하지도 않았고, 사실에 의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넓은 규칙을 공식화하지도 않았다. DADT와 관련된 헌법 문제들은 잘 정의되어 있으며, 지방 법원은 법률이 보호되는 개인의 자유 영역과 관련하여 실질적인 적법 절차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했는지 여부에 대한 관련 조사에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췄다. 재판에서 제시된 사실들에 대한 신중하고 상세한 검토를 통해 지방 법원은 정부가 법률이 보호된 자유 이익의 영역에서 입법하기 위한 의회의 권한을 유효하게 행사한다는 것을 입증할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

2010년 10월 19일, 군 모집관들은 공개적으로 성 소수자인 지원자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67] 2010년 10월 20일, DADT에 따라 명예롭게 전역한 공개적으로 성 소수자인 댄 초이 중위가 미 육군에 재입대했다.[68]

2010년 묻지도, 말하지도 않는다 폐지 법안(Don't Ask, Don't Tell Repeal Act of 2010)이 통과된 후, 법무부는 입법 폐지를 고려하여 LCR의 소송을 중단해 줄 것을 제9 순회 법원에 요청했다. LCR은 요청에 반대하며 성 소수자 군인이 여전히 해고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2011년 1월 28일, 법원은 법무부의 요청을 기각했다.[69] 오바마 행정부는 정책의 종료가 전투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하는 절차를 완료하는 동안 정책이 유지되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3월 28일, LCR은 법원에 행정부의 요청을 기각해 달라는 요지를 제출했다.[70]

2011년, 인증을 기다리는 동안, 여러 군인이 그들의 주장에 따라 DADT 하에서 해고되었고,[71] 7월 6일 미국 제9 순회 항소 법원(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Ninth Circuit)의 3인 재판부가 공개적으로 성 소수자인 군 구성원에 대한 미국의 복무 금지를 더 이상 시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필립스 판사의 금지 명령을 다시 복원할 때까지였다.[72] 7월 11일, 항소 법원은 법무부에 항소를 진행할 의사가 있는지 법원에 알리도록 요청했다.[73] 7월 14일, 법무부는 "폐지 시행의 마지막 단계에서 의회가 수립한 폐지 절차를 단락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리고 "정부에 심각한 즉각적인 피해"를 경고하는 동의를 제출했다.[74] 7월 15일, 제9 순회 법원은 DADT 정책의 대부분을 복원했지만,[74] 공개적으로 성 소수자인 군인을 해고하거나 조사하는 것을 계속 금지했다. DADT 폐지가 시행된 후, 제9 순회 항소 법원의 세 명의 판사로 구성된 재판부는 필립스 판결을 취소했다.[75]

미국 공군 참모총장 노턴 A. 슈워츠 장군이 2010년 12월 3일 상원 군사 위원회에서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의 폐지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1999년 7월, 반 동성애 편견에 의해 살해된 육군 일병 배리 윈첼의 사건 이후, 클린턴 대통령은 증오 범죄의 증거를 재판의 선고 단계에서 허용하기 위해 통일 군사 법전을 수정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76][77] 12월,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은 DADT 정책의 반 동성애적 괴롭힘 요소가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토를 명령했다.[78] 그 검토 결과 군대에서 반 동성애적 정서가 널리 표현되고 용인되는 것으로 나타나자, 국방부는 2000년 7월 새로운 반 괴롭힘 정책을 채택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1999년 12월 7일, 힐러리 클린턴은 동성애 지지자들 앞에서 "동성애자와 레즈비언은 이미 우리나라 군대에서 훌륭하게 복무하고 있으며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복무 적합성은 개인의 성적 지향이 아닌 행동에 근거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79] 그 달 말, 퇴역 장군 칼 E. 먼디 주니어는 DADT의 시행을 클린턴 부부 모두의 문제 "정치화"라고 비판했다. 그는 지난 5년간 해병대에서 75%가 "자발적인 동성애 인정"을, 49%는 신병이 입대 결정을 재평가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복무 초 6개월 이내에 발생한 제대 통계를 인용했다. 그는 또한 이 정책 변경에 반대하며, ''뉴욕 타임스''에 다음과 같이 썼다. "대다수의 미국인들이 널리 거부하는 행동은 전투의 매우 다르고 어려운 요구에 따라 운영되는 군사 조직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단결감을 창출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80] 윈첼의 살인범 유죄 판결은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DADT에 대한 "반대를 촉발"했으며, 이 문제는 "공론의 장에서 거의 사라졌다". 이 정책의 반대자들은 정책 자체가 아닌 군대 내 괴롭힘 처벌에 초점을 맞췄으며, 척 헤이글 상원 의원은 12월 25일에 이를 옹호하며 "미국 군대는 일종의 사회 실험이 아니다"라고 말했다.[81]

200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의 주요 후보인 앨 고어빌 브래들리는 모두 공개적인 동성애자 및 레즈비언의 군 복무를 지지했으며, 특히 최근 퇴역한 해병대 사령관 찰스 C. 크룰락 장군을 포함한 고위 퇴역 군 장교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그와 다른 사람들은 고어가 DADT 폐지를 지지하는 것을 합동 참모 본부 후보를 고려할 때 "시험대"로 사용할 것이라고 한 발언에 반대했다.[82] 2000년 민주당 전당 대회의 강령은 이 문제에 대해 침묵했으며,[83] 그 해 2000년 공화당 전당 대회의 강령은 "우리는 동성애가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음을 확인한다"고 밝혔다.[84] 2000년 조지 W. 부시의 선거 이후, 옵서버들은 부시가 DADT에 대한 어떠한 변경도 피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 이유는 국무 장관 지명자인 콜린 파월이 DADT의 창설에 참여했기 때문이다.[85]

2004년 2월, 영국군 소속 롤프 커스 중위와 크레이그 존스 중령은 밀리터리에 관한 성 소수자 연구 센터의 국장인 아론 벨킨과 함께 의회 의원들을 만나 국방대학교에서 연설했다. 그들은 영국에서 현재 상황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했다. 영국은 2000년에 군대 내 동성애자 복무 금지를 해제했다.[86][87]

2004년 7월, 미국 심리학회는 DADT가 "성적 지향에 따라 차별한다"며 "경험적 증거는 성적 지향이 부대 결속력, 사기, 모집 및 유지 등 군사적 효율성의 어떤 측면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은 과거의 인종 및 성 차별을 극복한 미국의 군사 기록이 이전에 배제되었던 집단을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고 밝혔다.[88] 2004년 공화당 전당 대회는 이 정책에 대한 지지를 반복했다. "우리는 전통적인 군사 문화를 확인하고, 동성애가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음을 확인한다."[89]—반면 2004년 민주당 전당 대회는 침묵을 지켰다.[90]

2005년 2월, 미국 정부 회계 감사원은 DADT의 비용 추정치를 발표했다. 1994년부터 2003년까지 제대된 9,488명의 군인을 대체하기 위한 훈련 비용으로 최소 9540만달러와 최소 9510만달러의 모집 비용이 들었다고 보고했지만, 실제 수치는 더 높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91] 9월, 팜 센터 (현재 팜 센터)는 군의 인력이 가장 필요할 때 공개적인 동성애자의 군 복무를 허용한다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육군 규정이 동성애자라고 주장하거나 동성애자로 비난받는 육군 예비군 및 주 방위군 병력의 현역 배치도 허용한다고 보고했다. 미국 육군 군사령부 대변인은 이 규정이 예비군 및 주 방위군 병력이 전투를 피하기 위해 동성애자 행세를 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92][93] DADT 폐지 옹호자들은 훈련된 동성애자 및 레즈비언 인력의 제대를 반복적으로 공개했는데,[94] 특히 아랍어 구사자 59명과 페르시아어 구사자 9명을 포함하여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는 직위에 있는 사람들이었다.[95][96] 엘레인 도넬리, 군사 준비 센터 회장은 나중에 군대가 모집 시 성적 지향에 대해 묻지 않는 것이 제대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국방부가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를 폐지한다면 이 숫자를 0 또는 0에 가깝게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 우리는 군대에 복무할 자격이 없는 사람들을 훈련시켜서는 안 됩니다."[97]

2006년 2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블루 리본 위원회는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에서 국방부 차관보를 역임한 로렌스 코브,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방 장관을 역임한 윌리엄 J. 페리, 미국 육군사관학교의 교수들이 참여하여 1년 전에 발표된 DADT의 비용에 대한 GAO의 분석을 평가했다. 위원회 보고서는 GAO가 군대가 떠나는 사람들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들은 총 비용이 서비스 구성원의 제대에 따른 "이별 여행"에 1430만달러, 장교 훈련에 1780만달러, 신병 훈련에 2.524억달러, 모집 비용에 7930만달러를 포함하여 약 3.63억달러에 더 가깝다고 말했다.[1]

2006년, 전국 LGBT 권리 단체인 소울포스는 여러 도시의 동성애자 및 레즈비언들이 군대 또는 주 방위군에 입대하려 시도하는 복무 권리 캠페인을 조직했다.[98] 군사 준비 센터의 도넬리는 9월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여기에 관련된 사람들이 군대의 최선의 이익을 마음에 두고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결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군대를 이 더 넓은 의제를 홍보하기 위한 래밍 장치로 사용하여 미국에서 동성애를 정상화하려는 의제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동성애 옹호 활동가들이 ... 전 세계적으로 언론 행사를 만들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99]

2006년, SLDN, 록 캐빈 공화당, 미한이 조직한 동성애자 출신 전역 군인들의 강연 투어가 18개 대학을 방문했다. 록 캐빈의 전무이사인 패트릭 게리에로는 이 폐지 운동이 "새로운 견인력"을 얻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궁극적으로, 우리는 정책에 변화를 가져올 강력한 군사 자격을 갖춘 공화당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엘레인 도넬리는 이러한 노력을 "큰 홍보 캠페인"이라고 불렀으며 "법은 군대의 질서와 규율을 보호하기 위해 존재하며,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29]

2006년 12월, 조그비 인터내셔널은 2006년 10월에 실시된 군인 여론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 조사에서는 26%가 동성애자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를 허용하는 것을 지지했고, 37%가 반대했으며, 37%는 의견이 없거나 불확실했다. 부대에서 동성애자와 함께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6%는 그들의 존재가 개인의 사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고, 66%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답했으며, 28%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전체 부대 사기와 관련하여 3%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고, 64%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답했으며, 27%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100]

퇴역한 합동 참모 본부 의장 존 샬리카슈빌리 장군[101]과 전 상원 의원이자 미국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102]은 2007년 1월 이 정책에 반대했다. 샬리카슈빌리는 "이제 동성애자와 레즈비언이 미국 군대에서 공개적으로 복무하더라도 군대의 효능을 훼손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썼다. "우리 군대는 중동에서의 배치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으며, 일을 할 의향과 능력이 있는 모든 미국인의 복무를 환영해야 합니다."[103] 샬리카슈빌리는 최근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돌아온 500명 이상의 군인을 대상으로 한 조그비 여론 조사에서 4분의 3이 동성애자와의 상호 작용에 편안함을 느꼈다"고 인용했다.[104] 3월, 피터 페이스 합동 참모 본부 의장이 "두 개인 간의 동성애 행위는 부도덕하며 ... 우리는 부도덕한 행위를 용납해서는 안 됩니다."라며 DADT를 지지한다고 ''시카고 트리뷴'' 편집 위원회에 밝히면서 논쟁은 다른 방향으로 흘렀다.[105] 그의 발언은 ''트리뷴''에 따르면 "하루 동안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에서 엄청난 뉴스 기사가 되었으며 국방부의 정책이 얼마나 민감해졌는지 보여주었습니다."[106] DADT를 지지했던 존 워너 상원 의원은 "저는 존경심을 갖고 있지만, 동성애가 부도덕하다는 의장의 견해에 강하게 반대합니다."라고 말했고, 페이스는 개인적인 견해를 표명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으며, DADT가 "개별 행위의 도덕성에 대해 판단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07] 매사추세츠 주지사 밋 롬니는 당시 2008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 초기에 DADT를 옹호했다.[108]

그해 여름, 래리 크레이그 미국 상원 의원이 남성용 화장실에서 외설적인 행위로 체포된 후, 보수 논평가 마이클 메드베드는 DADT의 자유화가 "화장실의 무결성과 보안을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공공 남성용 화장실에 동성애적 에로티시즘이 도입되는 것과 관련된 국가적인 불편함과 역겨움은 미국 군대의 훨씬 더 폭발적인 상황에 그러한 노골적인 태도를 주입하는 것을 어느 때보다 단호하게 저항하게 해야 합니다."[109]

2007년 11월, 28명의 퇴역 장군과 제독은 6만 5천 명의 동성애자와 여성이 군 복무를 하고 있으며 백만 명이 넘는 동성애자 참전용사가 있다는 증거를 인용하며 의회에 이 정책을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103][110] 2008년 11월 17일, 104명의 퇴역 장군과 제독이 비슷한 성명에 서명했다.[110] 12월, SLDN은 ''60분''에 다렌 만젤라를 인터뷰하도록 주선했는데, 그는 부대에서 커밍아웃한 후 이라크에서 복무한 육군 군의관이었다.[111]

2008년, 이전에 상원 군사 위원회 의장을 역임하면서 동성애자의 군 복무 금지 해제 노력을 방해했던 샘 넌 전 미국 상원 의원은 자신의 이전 정치적 견해에서 벗어나, 동성애자의 군 복무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펜타곤 연구를 지지하면서 "저는 [15년이] 모든 인사 정책에 지나가면, 그것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려운 질문을 하고, 군대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펜타곤 연구부터 시작하십시오."라고 말했다.[112]

2008년 5월 4일, 합동 참모 본부 의장 마이크 멀린 제독이 미국 육군사관학교 졸업생들에게 연설하는 동안, 한 사관생도가 다음 행정부가 동성애자의 공개 복무를 허용하는 법안을 지지한다면 어떻게 될 것이냐고 질문했다. 멀린은 "의회가 군대가 아닌 DADT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이전에 2007년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멀린은 의원들에게 "저는 정말 미국 국민들이 이 기구를 통해 이 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적절하다면 변경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계속해서 "저는 의회가 폐지 여부를 고려하는 것과 관련하여 자체적인 결정을 내리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다.[113]

2009년 5월, DADT 반대 연구소인 팜 센터의 군사 법률 전문가 위원회가 대통령이 동성애적 행위 제대를 유예하는 행정 명령을 발동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을 때,[114] 오바마는 그 선택을 거부하고 의회가 법을 변경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115]

2009년 7월 5일, 콜린 파월은 CNN에 이 정책이 "그 당시에는 옳았다"고 말했지만 "16년이 지났고, 저는 우리나라의 태도와 관련하여 많은 것이 바뀌었다고 생각하므로 이 정책과 법은 검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방송을 위해 인터뷰를 한 멀린은 법이 폐지될 때까지 이 정책이 계속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고, 그의 조언은 "신중하게 움직이는 것. ... 우리가 두 개의 분쟁에서 싸우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군대와 그 가족에게 많은 압박이 있습니다."[116] 9월, ''합동 작전 분기별''은 공군 대령[117]이 작성한 기사를 게재했는데, 이 기사에서는 공개적인 동성애자 인력의 존재로 인해 부대 결속력이 훼손된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118]

2009년 10월, 월터 T. 콕 III로 알려진 군사 사법 위원회는 2001년 권고안을 반복하여 동성애를 금지하는 통일 군사 법전 125조를 폐지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군 관계자들의 동의 하에 저질러진 대부분의 동의 하에 이루어진 소도미 행위는 기소되지 않아 이 성적 행위에 대한 기소가 임의적이라는 인식을 낳고 있다"고 언급했다.[119]

2010년 1월, 백악관과 의회 관계자들은 2011년 국방 수권 법안에 조항을 삽입하여 금지를 폐지하는 작업을 시작했다.[120] 2010년 1월 27일 오바마의 2010년 국정 연설에서 그는 의회 및 군과 함께 동성애 금지 법을 폐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하고 처음으로 폐지 일정을 제시했다.[121]

2010년 2월 2일 의회 청문회에서 존 맥케인 상원 의원은 "1,000명 이상의 전직 장성 및 기함급 장교"가 서명한 서신을 읽었다. 그 서신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다. "우리는 의회가 군대의 고유한 환경에서 질서, 규율 및 사기를 보호하기 위해 통과시킨 이 법이 지속적인 지원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굳게 믿습니다."[122] 이 서명 캠페인은 전통적인 남성 및 이성애 군대를 오랫동안 지지해 온 군사 준비 센터의

2. 4. DADT 정책 폐지 (2010년 ~ 2011년)

1992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후보는 선거 공약으로 성적 지향에 관계없이 누구나 군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고 약속했다.[241] 1993년 클린턴 대통령은 이를 정책으로 추진했지만, 미국 의회는 오히려 기존 금지 정책을 강화하여 연방 법률로 제정하려 했다. 이에 클린턴 대통령은 타협안으로 입대 지원자에게 성 정체성에 대해 묻지 않겠다는 국방부 지침(Department of Defense Directive) 1304.26호를 발령했다.[241] 이것이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로 알려졌고, 이후 "Don't ask, don't tell" (DADT)로 간략하게 표현되었다. 이 지침으로 성소수자도 군 복무를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자신이 성소수자임을 밝히면 군을 떠나야 하는 제약이 있어 성소수자를 억압하는 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기간 동안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은 동성애자의 군 복무를 금지하는 법률의 완전한 폐지를 지지했다.[130] 오바마 대통령은 DADT로 인해 군대에서 추방된 군인, 특히 아랍어에 능통한 언어 전문가들을 교체하는 데 미국 정부가 수백만 달러를 지출했다고 말했다.[132] 2009년 10월 10일, 오바마 대통령은 인권 캠페인 연설에서 이 금지 조치를 종료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제시하지 않았다.[133][134] 2010년 국정 연설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올해 저는 의회 및 군과 협력하여 동성애 미국인들이 자신의 모습 때문에 사랑하는 나라를 위해 복무할 권리를 박탈하는 법률을 마침내 폐지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35]

2010년 5월 27일, 미국 하원은 2011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에 대한 머피 수정안[138]을 통과시켰다. 이 수정안은 DADT 정책 폐지를 규정하고, 미국 국방부 연구, 주요 관계자의 정책 변경이 군사 준비에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인증, 60일의 대기 기간을 포함하여 정책을 해제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했다.[139][140] 수정된 국방 법안은 2010년 5월 28일 하원을 통과했다.[141] 그러나 2010년 9월 21일, 존 매케인은 국방수권법에 대한 토론에 성공적인 필리버스터를 이끌었다.[142]

이후 조 리버먼 상원 의원과 수잔 콜린스 상원 의원은 단독 법안으로 통과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 국방수권법의 정책 관련 부분을 포함하는 법안을 발의했다.[155] 이 법안은 2010년 12월 15일 하원에서 250대 175로 통과되었다.[156] 2010년 12월 18일, 상원은 63–33의 토론 종결 투표를 통해 해당 법안에 대한 토론을 종료하기로 투표했다.[157] 같은 날 늦게 열린 최종 상원 투표에서 법안은 65–31로 통과되었다.[158]

상원에서 S.4023이 찬성 65표, 반대 31표로 통과되었으며, 민주당 의원 전원(1명 기권 제외)과 공화당 의원 8명이 찬성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Don't Ask, Don't Tell Repeal Act of 2010에 서명하는 모습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2010년 12월 22일에 폐지 법안에 서명했다.[7]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부 장관은 투표 후 성명을 발표하여 정책 폐지 이행 계획이 즉시 시작될 것이며, 게이츠가 정책의 질서 있는 폐지를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음을 인증할 때까지 계속될 것임을 밝혔다.[159] 2011년 7월 22일, 오바마 대통령은 DADT가 종결되도록 하는 내용으로 DADT 폐기 법안을 승인하여 국회로 보냈다. 2011년 9월 20일 이후에는 DADT로 인해 전역했던 전직 군인들이 다시 입대 신청을 할 수 있게 되었다.[242]

2. 5. DADT 폐지 이후

2010년 12월 18일 미국 상원은 DADT 폐지 법안을 65 대 31로 가결했고, 12월 22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하여 DADT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7] 2011년 7월 22일 오바마 대통령은 DADT가 종결되도록 하는 내용으로 DADT 폐기 법안을 승인하여 국회로 보냈으며, 2011년 9월 20일 이후에는 DADT로 인해 전역했던 전직 군인들이 다시 입대 신청을 할 수 있게 되었다.[242]

DADT 폐지 이후, 미군 내에서는 성소수자 군인들의 권익이 신장되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개선되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성소수자 군인들은 더 이상 자신의 성적 지향을 숨기지 않고 복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군대 내 차별과 불이익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다.

2019년 11월, 로드아일랜드주뉴욕주는 동성애자 및 레즈비언 군 참전 용사에게 군사 혜택을 복원하는 법안에 서명하고 시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부터 2011년 9월 '묻지도 따지지도 않겠다'(Don't Ask, Don't Tell) 정책 폐지까지 약 10만 명이 해고된 것으로 추산된다.[240]

2021년 조 바이든 대통령은 DADT 정책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참전 용사들에 대한 보상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DADT 정책의 부당함을 인정하고,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였다.

DADT 정책 폐지는 한국 군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 군대 내에서도 성소수자 군인에 대한 차별과 인권 침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DADT 폐지를 통해 성소수자 군인의 인권을 보장하고, 군의 다양성을 증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3. DADT에 대한 논쟁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Don't ask, don't tell, DADT) 정책은 시행 초기부터 미국 사회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쟁은 군의 특수성, 개인의 권리, 사회적 변화라는 복잡한 쟁점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동성애 행위는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 군대에서 해고 사유였다.[13]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준비를 하면서, 군대는 징병 과정에 정신과 검사를 추가했고 동성애를 부적격 특성으로 포함시켰다.[13] 1944년, 새로운 정책 지침은 동성애자들을 군 병원에 수용하고 정신과 의사의 검사를 받게 한 후 제대하도록 했다.[14]

1957년 미국 해군 연구 (크리텐덴 보고서)는 동성애자가 보안 위험을 구성한다는 주장을 일축했지만, "군은 민간 사회보다 앞서 나가서는 안 된다"는 근거로 해군 내 동성애 혐오 차별 종식을 옹호하지 않았다.[16] 1970년대와 1980년대의 LGBT 사회 운동은 여러 게이 군인의 주목할 만한 해고를 공개함으로써 이 문제를 제기했다. 공군 TSgt 레너드 매틀로비치는 금지에 반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공개한 최초의 군인으로, 1975년 ''타임'' 표지에 등장했다.[19]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동안, 게이와 레즈비언의 시민권, 특히 군대에서의 공개 복무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7]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모두 게이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 금지를 종식시키는 것을 지지했지만,[28] 공화당은 그러한 입장을 정치적 쟁점으로 삼지 않았다.[29]

1999년 7월, 반 동성애 편견에 의해 살해된 육군 일병 배리 윈첼의 사건 이후, 클린턴 대통령은 증오 범죄의 증거를 재판의 선고 단계에서 허용하기 위해 통일 군사 법전을 수정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76][77] 같은 해 12월,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은 DADT 정책의 반 동성애적 괴롭힘 요소가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토를 명령했다.[78]

2004년 7월, 미국 심리학회는 DADT가 "성적 지향에 따라 차별한다"며 "경험적 증거는 성적 지향이 부대 결속력, 사기, 모집 및 유지 등 군사적 효율성의 어떤 측면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88]

2006년 12월, 조그비 인터내셔널은 군인 여론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26%가 동성애자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를 지지했고, 37%가 반대했으며, 37%는 의견이 없거나 불확실했다. 부대에서 동성애자와 함께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6%는 그들의 존재가 개인의 사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고, 66%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답했으며, 28%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100]

2007년 11월, 28명의 퇴역 장군과 제독은 의회에 이 정책을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103][110] 2009년 10월, 월터 T. 콕 III로 알려진 군사 사법 위원회는 동성애를 금지하는 통일 군사 법전 125조를 폐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119]

2010년, DADT에 대한 논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의 지시에 따라 수행된 국방부 연구는 DADT 폐지가 군사적 효율성에 미치는 전반적인 위험이 낮다고 판단했다.[127]

3. 1. 찬성 측 주장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Don't ask, don't tell, DADT) 정책에 대한 찬성 측 주장은 주로 군의 기강 유지, 부대 결속력 강화, 전투력 보존이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에 기반을 두고 있다.

  • 군 기강 유지: DADT 지지자들은 동성애가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군의 질서와 규율을 유지하기 위해 이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동성애적 행위가 부도덕하며, 군의 특수한 환경에서 단결을 저해하고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80]
  • 부대 결속력 강화: DADT 옹호자들은 부대 결속력이 전투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믿는다. 이들은 동성애자의 존재가 부대원 간의 신뢰와 유대감을 약화시켜 전투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80]
  • 전투력 보존: DADT 지지자들은 군의 최우선 목표는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전투력 보존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DADT 정책이 동성애로 인한 군의 혼란과 전투력 약화를 막는 데 기여한다고 믿는다.


DADT 찬성론자들은 이 정책이 군의 특수한 환경과 전투력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동성애자의 군 복무가 군의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다. 이들은 또한 군대가 사회 실험의 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81] 2000년 2000년 공화당 전당 대회의 강령은 "우리는 동성애가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음을 확인한다"고 밝혔다.[84]

2006년, 전국 LGBT 권리 단체인 소울포스는 군대 또는 주 방위군에 입대하려 시도하는 복무 권리 캠페인을 조직했다.[98] 이에 대해 군사 준비 센터의 도넬리는 "군대를 이 더 넓은 의제를 홍보하기 위한 래밍 장치로 사용하여 미국에서 동성애를 정상화하려는 의제를 홍보하고 있다"고 말했다.[99]

2007년, 래리 크레이그 미국 상원 의원이 남성용 화장실에서 외설적인 행위로 체포된 후, 보수 논평가 마이클 메드베드는 DADT의 자유화가 "화장실의 무결성과 보안을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09]

2010년 2월, 존 맥케인 상원 의원은 "1,000명 이상의 전직 장성 및 기함급 장교"가 서명한 서신을 읽었다. 그 서신에는 "우리는 의회가 군대의 고유한 환경에서 질서, 규율 및 사기를 보호하기 위해 통과시킨 이 법이 지속적인 지원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굳게 믿습니다."라고 적혀 있었다.[122]

3. 2. 반대 측 주장

DADT 정책에 대한 반대 주장은 주로 이 정책이 성소수자 차별과 인권 침해를 야기하며, 군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저해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LGBT 사회 운동은 이 문제를 제기하였고, 여러 게이 군인들의 해고를 공개하며 이 문제가 공론화되었다.[19] 1982년 국방부는 "동성애는 군 복무와 양립할 수 없다"는 정책을 발표하였는데,[20] 1988년에는 군대에서 게이와 레즈비언의 배제를 종식시키기 위해 옹호하는 게이 및 레즈비언 군사 자유 프로젝트(MFP)가 시작되었다.[21]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 동안, 게이와 레즈비언의 시민권, 특히 군대에서의 공개 복무는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27] 민주당 대통령 후보들은 모두 게이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 금지를 종식시키는 것을 지지했다.[28] 1992년 10월 27일, 게이인 미국 해군 부사관 앨런 R. 신들러 주니어가 살해당하자, 게이와 레즈비언의 공개 복무를 허용하려는 지지자들은 클린턴 행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31]

1999년 7월, 반 동성애 편견에 의해 살해된 육군 일병 배리 윈첼의 사건 이후, DADT 정책의 반 동성애적 괴롭힘 요소가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토가 이루어졌다.[76][77][78] 200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앨 고어빌 브래들리는 모두 공개적인 동성애자 및 레즈비언의 군 복무를 지지했다.[82]

2004년 7월, 미국 심리학회는 DADT가 "성적 지향에 따라 차별한다"며 "경험적 증거는 성적 지향이 부대 결속력, 사기, 모집 및 유지 등 군사적 효율성의 어떤 측면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88]

2006년 12월, 조그비 인터내셔널은 군인 여론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26%가 동성애자와 레즈비언의 군 복무를 지지했고, 37%가 반대했으며, 37%는 의견이 없거나 불확실했다.[100]

2007년 1월, 퇴역한 합동 참모 본부 의장 존 샬리카슈빌리 장군[101]과 전 상원 의원이자 미국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102]은 이 정책에 반대했다. 샬리카슈빌리는 "이제 동성애자와 레즈비언이 미국 군대에서 공개적으로 복무하더라도 군대의 효능을 훼손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썼다.[103]

2007년 11월, 28명의 퇴역 장군과 제독은 의회에 이 정책을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103][110]

2008년, 샘 넌 전 미국 상원 의원은 동성애자의 군 복무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펜타곤 연구를 지지했다.[112]

2009년 10월, 월터 T. 콕 III로 알려진 군사 사법 위원회는 동성애를 금지하는 통일 군사 법전 125조를 폐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119]

3. 3. 여론의 변화

시민 단체인 소울포스가 뉴욕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1993년 ''타임'' 여론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4%가 동성애자의 군 복무를 지지한다고 답했다.[218] 1994년 CNN 여론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53%가 동성애자의 공개 복무를 허용해야 한다고 답했다.[219]

2010년 12월 ''워싱턴 포스트''-ABC 뉴스 여론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77%가 동성애자의 공개 복무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는 이전 2년간의 여론 조사와 거의 변동이 없었지만, 가장 높은 지지율이었다. 민주당원(86%), 공화당원(74%), 무당파(74%), 자유주의자(92%), 보수주의자(67%),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 신자(70%), 비종교인(84%) 등 다양한 집단에서 다수가 지지했다.[220]

퓨 리서치 센터의 2010년 11월 설문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58%가 동성애자의 공개 복무 허용에 찬성했고, 반대는 27%였다.[221] 같은 달 CNN/여론 연구 공사의 여론 조사에서는 미국 성인의 72%가 동성애자 또는 양성애자의 군 복무 허용에 찬성했고, 23%가 반대했다.[222] CNN 여론 조사 책임자인 키팅 홀랜드는 "CNN 여론 조사와 퓨 여론 조사의 주요 차이점은 이 주제에 대해 의견이 없다고 밝힌 응답자의 수"라며, "두 여론 조사는 동성애자의 공개적인 군 복무에 반대한다고 답한 사람의 수가 거의 같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정책 변화를 지지하지만 어떤 이유로 퓨 면접관에게는 그렇게 밝히기를 꺼리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223]

2010년 2월 쿼피니악 대학교 여론 연구소의 전국 여론 조사에서는 미국 유권자의 57%가 동성애자의 공개적인 군 복무를 지지했고 36%가 반대했으며, 66%는 동성애자의 공개적 군 복무를 허용하지 않는 것을 차별로 보았고 31%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224] 같은 시기 CBS 뉴스/''뉴욕 타임스''의 전국 여론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58%가 동성애자의 공개적인 군 복무를 지지했고, 28%가 반대했다.[225]

4. 법적 문제

DADT는 5개의 연방 항소 법원에서 유지되었다.[46] 2006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럼스펠드 대 학술 및 기관 권리 포럼'' 사건에서, 대학이 어떤 차별 금지 정책을 가지고 있든 간에, 군 징집 담당자에게 학교 자원 접근을 거부하는 것에 대해 연방 정부가 자금 지원을 중단할 수 있다고 만장일치로 판결했다. 법학 대학 협회는 군 징집을 허용하는 것이 DADT가 대표하는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에 반대하는 자유로운 발언권을 행사하는 능력을 훼손한다고 주장했다.[47]

1999년 7월, 반 동성애 편견에 의해 살해된 육군 일병 배리 윈첼의 사건 이후, 클린턴 대통령은 증오 범죄의 증거를 재판의 선고 단계에서 허용하기 위해 통일 군사 법전을 수정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76][77] 그해 12월, 국방 장관 윌리엄 코헨은 DADT 정책의 반 동성애적 괴롭힘 요소가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토를 명령했다.[78] 그 검토 결과 군대에서 반 동성애적 정서가 널리 표현되고 용인되는 것으로 나타나자, 국방부는 2000년 7월 새로운 반 괴롭힘 정책을 채택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2010년 11월 30일, 합동참모본부제이 존슨, 국방부 법률 고문, 카터 F. 햄 육군 장군이 작성한 "묻지도 따지지도 말라" 종합 검토 실무 그룹(CRWG) 보고서를 발표했다.[145][146] 이 보고서는 DADT 폐지 이행 경로를 제시했으며,[147] 적절한 이행 및 훈련을 위한 시간이 주어지면 폐지로 인해 군사적 혼란이 발생할 위험이 낮다고 밝혔다.[145][148]

미국 시민 자유 연합(ACLU)은 2010년 11월 DADT 정책에 따라 해고된 사람들에게 완전한 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인 ''콜린스 대 미국''을 국방부에 제기했다.[144]

4. 1. 위헌 소송

로그 캐빈 공화당은 2004년 DADT 정책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129] 2010년 9월 9일, 미국 지방 법원 판사 버지니아 필립스는 이 정책이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미국 수정 헌법 제5조에 따른 권리를 침해하여 위헌이라고 판결했다.[6] 필립스 판사는 2010년 10월 12일 이 정책의 시행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법무부가 항소하는 동안 중단을 요청하자 이를 거부했다. 미국 법무부는 제9순회 항소법원에 판결 유예를 긴급 요청했고, 항소법원은 10월 20일 유예를 승인하여 군대가 이 정책을 계속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5] 2010년 11월 12일, 법무부는 제9순회 항소법원에 필립스 판사의 명령을 뒤집어 달라고 요청했다.[4] 2011년 7월, 항소 법원 패널은 필립스 판사의 금지 명령을 해제했다.[3]

마가렛 위트 소령은 2006년 공군에서 제대당한 후 ''위트 대 공군부'' 사건에서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132] 2010년 9월 24일, 미국 지방 법원 판사 로널드 B. 레이턴은 그녀의 해고가 그녀의 미국 수정 헌법 제5조 권리를 침해했다고 판결하고 그녀의 복직을 명령했다.[2] 2010년 12월, 미국 정부는 레이턴 판사의 판결에 대해 제9순회 항소법원에 항소했다.[142]

4. 2. 법원 판결

DADT 정책에 대한 법원의 판결은 이 정책의 유지와 폐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006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럼스펠드 대 학술 및 기관 권리 포럼'' 사건에서 대학이 군 징집 담당자에게 학교 자원 접근을 거부하는 경우 연방 정부가 자금 지원을 중단할 수 있다고 만장일치로 판결했다.[47] 이는 대학들이 DADT 정책에 반대하여 군 징집을 거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DADT 정책에 대한 법적 다툼은 계속되었다. 2010년, 미국 시민 자유 연합(ACLU)은 DADT 정책에 따라 해고된 사람들에게 완전한 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인 ''콜린스 대 미국''을 제기했다.[144]

이러한 법원 판결과 소송은 DADT 정책에 대한 논쟁을 심화시켰고, 결국 2010년 DADT 폐지 법안이 통과되는 데 기여했다.

5. 주요 관련 인물



DADT 정책과 관련된 주요 인물들의 역할과 영향은 다음과 같다.

DADT 관련 주요 인물
인물역할 및 활동DADT에 대한 입장한국 관점에서의 평가
빌 클린턴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대통령 후보, 이후 대통령 당선후보 시절 성소수자 군 복무 허용 공약, 대통령 당선 후 DADT 정책 시행[241]진보 진영에서는 비판적 평가, DADT 정책은 성소수자 차별이라는 비판[241]
버락 오바마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상원의원, 이후 대통령 당선DADT 완전 폐지 공약,[130] 2010년 DADT 폐지 법안 서명[7]진보 진영에서 긍정적 평가, DADT 폐지에 결정적 기여
로버트 게이츠미국 국방부 장관2010년 DADT 폐지 지지, 폐지 이행 계획 시작[159]중도 성향, DADT 폐지에 기여
존 매케인상원 의원DADT 유지 주장, 폐지 법안에 필리버스터[142]보수 성향, DADT 폐지에 강하게 반대
샘 넌전 미국 상원 의원 (민주당)초기 DADT 지지, 2008년 펜타곤 연구 지지하며 입장 선회진보 진영에서는 긍정적 변화로 평가, 보수 진영에서는 비판적 시각 유지
콜린 파월전 국무 장관, 전 합동참모본부 의장DADT 창설에 참여, 2009년 정책 검토 필요성 언급중도 보수 성향으로 평가, DADT에 대한 입장 변화는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음
존 샬리카슈빌리퇴역한 합동참모본부 의장2007년 정책 반대[101]진보 진영에서 환영, DADT 폐지에 긍정적 영향
윌리엄 코헨전 상원 의원, 미국 국방 장관2007년 정책 반대[102]중도 성향, DADT 폐지에 기여
마이클 멀린합동참모본부 의장2008년 의회에 DADT 책임 언급, 2009년 신중한 정책 검토 조언[113]중도 성향, DADT 폐지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
엘레인 도넬리군사 준비 센터 회장DADT 유지 주장, 폐지 운동 비판[97]보수 성향, DADT 폐지에 강하게 반대


5. 1. 빌 클린턴

1992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후보는 선거 공약으로 "누구든 성적 지향과 무관하게 군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밝혔다.[241] 1993년 대통령 당선 후 이 공약을 정책으로 추진하려 하자, 미국 의회는 오히려 기존 금지 정책을 강화해 연방 법률로 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241] 이에 클린턴 대통령은 입대 지원자에게 성 정체성에 대해 묻지 않겠다는 타협안을 제시했고, 이는 국방부 지침(Department of Defense Directive) 1304.26호로 발령되었다.[241] 이 지침이 바로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로, 이후 "Don't ask, don't tell" (DADT)로 간략하게 불리게 되었다.

DADT 정책으로 인해 성소수자도 군 복무가 가능해졌지만, 자신이 성소수자임을 밝히면 군을 떠나야 하는 제약이 있어 성소수자를 억압하는 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241]

5. 2. 버락 오바마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은 동성애자의 군 복무를 금지하는 법률을 완전히 폐지하겠다고 공약했다.[130] 당선 후, 오바마 대통령은 우선 합동참모본부 의장 및 펜타곤의 새로운 정치 임명자들과 협의하여 합의를 도출한 다음, 의회에 법안을 제출하겠다는 이유로 정책 폐지 계획을 2010년까지 연기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131] 그는 DADT로 인해 군대에서 추방된 군인, 특히 아랍어에 능통한 언어 전문가들을 교체하는 데 미국 정부가 수백만 달러를 지출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동성애 군인들이 군대에서 공개적으로 복무할 수 있도록 정책을 바꾸겠다고 밝혔다.[132]

2009년 10월 10일, 전미 평등 행진에 앞서 인권 캠페인 연설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이 금지 조치를 종료하겠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일정은 제시하지 않았다.[133][134] 2010년 2010년 국정 연설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올해 저는 의회 및 군과 협력하여 동성애 미국인들이 자신의 모습 때문에 사랑하는 나라를 위해 복무할 권리를 박탈하는 법률을 마침내 폐지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35] 이 발언 직후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과 마이클 멀린 합참의장이 DADT 폐지를 지지한다고 밝혔다.[136]

오바마 대통령이 DADT 폐지에 대한 국방부 보고서 발표 전날, 게이츠 국방장관, 합참의장, 해안 경비대 사령관과 백악관에서 만나는 모습


2010년 12월 18일, 미국 상원은 DADT 폐지 법안을 65 대 31로 가결했고,[158] 2010년 12월 22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법안에 서명했다.[7] 2011년 7월 22일, 오바마 대통령은 DADT가 종결되도록 하는 내용으로 DADT 폐기 법안을 승인하여 국회로 보냈다.[242]

5. 3. 로버트 게이츠

2010년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의 지시에 따라 수행된 국방부 연구는 "묻지도 따지지도 말라"(Don't ask, don't tell, DADT) 정책 폐지가 군에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뒷받침했다.[127]

국방부 실무반은 금지 조치가 해제될 경우 부대 결속력, 효율성, 질서 유지 및 훈련, 군 사기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다. 연구에는 동성애 병사와 함께 복무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는 설문 조사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국방부 실무반은 DADT 없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불안은 동성애 병사에 대한 일반화된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에서는 금지 조치 해제가 군사적 효율성에 미치는 전반적인 위험이 낮다고 판단했다. 국방부 연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여성의 이전 통합에 군대가 적응할 수 있었던 점을 언급하면서, 미군이 역사적으로 그랬던 것처럼 심각한 영향 없이 적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27]

2010년 3월 25일, 게이츠 국방 장관은 기함급 장교만 제대 절차를 시작할 수 있으며 제대 절차에 더 엄격한 증거 규칙을 부과하는 새로운 규칙을 발표했다.[126]

게이츠는 의회가 신속하게 법을 폐지하여 군대가 법원 판결에 의해 즉시 정책을 해제하도록 강요받는 대신 신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148] 2010년 12월 2일과 3일, 미국 상원은 국방부 실무 그룹 보고서를 검토하기 위한 이틀간의 청문회를 열었다.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과 마이클 멀린 합참의장은 즉각적인 폐지를 촉구했다.[151]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부 장관은 2010년 12월 18일 상원 투표 후 성명을 발표하여 정책 폐지 이행 계획이 즉시 시작될 것이며, 게이츠가 정책의 질서 있는 폐지를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음을 인증할 때까지 계속될 것임을 밝혔다.[159]

5. 4. 존 매케인

2010년 2월 2일 의회 청문회에서 존 매케인 상원 의원은 "1,000명 이상의 전직 장성 및 기함급 장교"가 서명한 서신을 읽었다. 이 서신에는 "우리는 의회가 군대의 고유한 환경에서 질서, 규율 및 사기를 보호하기 위해 통과시킨 이 법(DADT)이 지속적인 지원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굳게 믿습니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122] 이 서명 캠페인은 군사 준비 센터의 엘레인 도넬리가 조직했다.[123]

군 복무 연합은 이 서신의 정당성에 대해 비판적인 보고서를 발표했다. 서명자 중에는 포함 사실을 모르거나 거부한 장교들이 있었고, 심지어 설문 조사가 게시되기 전에 사망한 남편의 이름을 서명한 장군 미망인의 사례도 있었다. 서명한 장교들의 평균 연령은 74세였고, 최고령자는 98세였다. 군 복무 연합은 "이 장교들 중 극소수만이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 기간 동안, 더욱이 21세기 군대에서 복무했다"고 지적했다.[124]

2010년 9월 21일, 매케인 의원은 국방수권법에 대한 토론에 성공적인 필리버스터를 이끌었다. 56명의 상원 의원이 토론 종료에 찬성했지만, 필요한 60표에는 4표 미치지 못했다.[142]

5. 5. 기타 주요 인물

다음은 DADT 정책과 관련된 주요 인물들이다.

DADT 관련 주요 인물
인물역할 및 활동DADT에 대한 입장한국 관점에서의 평가
샘 넌전 미국 상원 의원 (민주당)초기 DADT 지지, 2008년 펜타곤 연구 지지하며 입장 선회진보 진영에서는 긍정적 변화로 평가, 보수 진영에서는 비판적 시각 유지
바니 프랭크(요약에 언급되었으나 원문에 정보 없음)(요약에 언급되었으나 원문에 정보 없음)(요약에 언급되었으나 원문에 정보 없음)
콜린 파월전 국무 장관, 전 합동참모본부 의장DADT 창설에 참여, 2009년 정책 검토 필요성 언급중도 보수 성향으로 평가, DADT에 대한 입장 변화는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음
존 샬리카슈빌리퇴역한 합동참모본부 의장2007년 정책 반대진보 진영에서 환영, DADT 폐지에 긍정적 영향
윌리엄 코헨전 상원 의원, 미국 국방 장관2007년 정책 반대[102]중도 성향, DADT 폐지에 기여
마이클 멀린합동참모본부 의장2008년 의회에 DADT 책임 언급, 2009년 신중한 정책 검토 조언[113]중도 성향, DADT 폐지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
엘레인 도넬리군사 준비 센터 회장DADT 유지 주장, 폐지 운동 비판[97]보수 성향, DADT 폐지에 강하게 반대


참조

[1]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Directive 1304.26 http://biotech.law.l[...] 2013-09-11
[2] 웹사이트 Gays in the Military http://guides.lib.wa[...] 2013-09-11
[3] 문서 UnitedStatesCodeSub|10|654|b
[4] 문서 UnitedStatesCode|10|654(e)
[5] 웹사이트 Army Regulation 40-501, Standards of Medical Fitness, Chapters 2-27n and 3–35 http://www.apd.army.[...] 2013-12-21
[6] 웹사이트 "The Legal Brief"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 Don't Harass: Reference (a): Personnel Manual, COMDTINST M1000.6, Ch. 12.E". http://www.uscg.mil/[...] United States Coast Guard Ninth District Legal Office 2010-05
[7] 뉴스 Obama Signs Away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2010-12-22
[8] 뉴스 In reversal, federal court orders immediate end to 'don't ask, don't tell' policy https://www.washingt[...] 2011-07-06
[9] 뉴스 Obama certifies end of military's gay ban https://www.nbcnews.[...] 2011-07-22
[10] 웹사이트 Extending Benefits to Same-Sex Domestic Partners of Military Members https://api.army.mil[...] 2013-02-11
[11] 웹사이트 DD Form X653 https://www.reginfo.[...] 2013-08-20
[12] 웹사이트 DoD Announces Extension of Equal Benefits for Same-Sex Military Spouses http://militarypartn[...] 2013-08-14
[13] 서적 Coming Out Under Fire
[14] 서적 Coming Out Under Fire
[15] 문서 Jones, p. 3
[16] 서적 Get Off my Ship : Ensign Berg vs. the U.S. Navy Avon
[17] 서적 Odd Girls and Twilight Lovers: A History of Lesbian Life in Twentieth-Century America https://archive.org/[...] Penguin
[18] 서적 Odd Girls and Twilight Lovers: A History of Lesbian Life in Twentieth-Century America https://archive.org/[...] Penguin
[19] 뉴스 "The Sexes: The Sergeant v. the Air Force" https://web.archive.[...] 1975-09-08
[20] 웹사이트 "Homosexuals in the Armed Forces: United States GAO Report"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1992-06-12
[21] 서적 Virtual Equality
[22] 서적 Unfriendly Fire: How the Gay Ban Undermines the Military and Weakens America St. Martin's Press
[23] 문서 McFeeley, "Getting It Straight", 238
[24] 서적 Cheney: The Untold Story of America's Most Powerful and Controversial Vice President HarperCollins
[25] 서적 Women in the military: Flirting with Disaster Regnery Publishing
[26] 문서 McFeeley, "Getting It Straight", 237; Vaid, Virtual Equality, 158-9
[27] 뉴스 "The Gay Vote; Gay Rights and AIDS Emerging As Divisive Issues in Campaign" https://www.nytimes.[...] 1992-08-20
[28] 서적 Virtual Equality
[29] 문서 McFeeley, "Getting It Straight", 239
[30] 뉴스 Marine Corps Chaplain Says Homosexuals Threaten Military https://www.nytimes.[...] 1992-08-26
[31] 뉴스 "Homosexual Sailor Beaten to Death, Navy Confirms" https://www.latimes.[...] 1993-01-09
[32] 뉴스 A New Push to Roll Back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2007-11-30
[33] 뉴스 Military Cites Wide Range of Reasons for Its Gay Ban https://www.nytimes.[...] 1993-01-27
[34] 서적 Sexual orientation and U.S. military personnel policy: options and assessment http://www.rand.org/[...] Rand
[35] 웹사이트 Oral Statement of Gregory M. Herek, PhD to the 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 http://psychology.uc[...]
[36] 웹사이트 Major General Barry M. Goldwater http://www.af.mil/in[...] US Air Force
[37] 서적 The Advocate https://books.google[...] Here Publishing 1998-07-07
[38] 뉴스 David Mixner, LGBTQ+ activist and Bill Clinton campaign adviser, dies at 77 https://www.politico[...] Associated Press 2024-03-12
[39] 웹사이트 Lesbians and Gay Men in the U.S. Military: Historical Background https://psychology.u[...] 2021-03-16
[40] 웹사이트 Defense Directive 1304.26: Qualification Standards for Enlistment, Appointment, and Induction http://biotech.law.l[...] Department of Defense 1993-12-21
[41] 웹사이트 DoDD 1332.14, December 21, 1993 http://dont.stanford[...] Stanford University 2010-12-19
[42] 웹사이트 Title 10, Subtitle A, Part II, Chapter 37, § 654. Policy concerning homosexuality in the armed forces https://www.law.corn[...] Cornell Law School 2010-06-09
[43] 웹사이트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 http://dont.stanford[...] Robert Crown Law Library 1999-09-07
[44] 서적 Homosexuality and the law: a dictionary https://archive.org/[...] Santa Barbara: ABC-CLIO
[45] 뉴스 U.S. Agencies Split over Legal Tactics on Gay Troop Pl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3-12-19
[46] 문서 Richenberg v. Perry
[47] 뉴스 Justices uphold military recruiting on campuses http://www.cnn.com/2[...] CNN 2006-03-06
[48] 웹사이트 Memorandum Opinion, Timothy R. McVeigh v. William S. Cohen, et al. http://www.internetl[...] 1998-01-26
[49] 뉴스 The 2 Tim McVeighs https://www.nytimes.[...] 1998-01-17
[50] 뉴스 Sailor Victorious in Gay Case of On-Line Privacy https://www.nytimes.[...] 1998-06-12
[51] 뉴스 Obama Avoids Test on Gays in Military https://www.wsj.com/[...] 2009-05-19
[52] 뉴스 Judge orders lesbian reinstated to Air Force – Case challenges 'Don't ask, don't tell' policy https://www.nbcnews.[...] 2010-09-24
[53] 뉴스 DOJ Appeals Lesbian's Reinstatement to Air Force https://www.cbsnews.[...] 2010-11-24
[54] 뉴스 Pentagon settles with McChord major fired for being lesbian http://www.seattlepi[...] Seattle Post Intelligencer 2011-05-10
[55] 웹사이트 Key DADT Repeal Advocate Testifies http://advocate.com/[...] Advocate.com 2010-07-22
[56]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hallenge to 'Don't Ask, Don't Tell' Reaches Trial https://www.law.com/[...] Law.com
[57] 웹사이트 In the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Ninth Circuit http://cdn.ca9.uscou[...] 2021-03-16
[58] 뉴스 US judge: 'Don't ask, don't tell' unconstitutional https://www.google.c[...] 2010-09-10
[59] 뉴스 Judge declares U.S. military's 'don't ask, don't tell' policy openly banning gay service members unconstitutional http://latimesblogs.[...] 2010-09-09
[60] 뉴스 Judge orders military to stop enforcing don't ask, don't tell http://news.blogs.cn[...] CNN 2010-10-12
[61] 뉴스 Judge Orders U.S. Military to Stop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2010-10-12
[62] 뉴스 Justice department seeks stay of judge's 'don't-ask-don't-tell' ruling http://www.cnn.com/2[...] CNN 2010-10-15
[63] 뉴스 Appeals court delays injunction against 'don't ask, don't tell' http://www.cnn.com/2[...] CNN 2010-10-19
[64] 간행물 "'Don't ask, don't tell' back in force after appeals court issues stay" http://www.csmonitor[...] 2010-10-21
[65] 뉴스 Military Policy on Gays to Stand, Pending Appeal https://www.nytimes.[...] 2010-11-01
[66] 뉴스 Group asks high court to lift 'don't ask' ban https://www.washingt[...] 2010-11-06
[67] 뉴스 Military recruiters told they can accept openly gay applicants http://www.cnn.com/2[...] CNN 2010-10-19
[68] 웹사이트 "Don't ask, don't tell" no longer enforced, Dan Choi reenlists http://www.salon.com[...]
[69] 뉴스 DADT Case Still Alive http://www.advocate.[...] The Advocate 2011-01-30
[70] 뉴스 "'Don't Ask, Don't Tell' End Urged By Lawyers For Log Cabin Republicans" https://www.huffingt[...] 2011-03-28
[71] 뉴스 Pentagon Confirms New DADT Discharges http://www.advocate.[...] 2011-07-06
[72] 뉴스 Appeals court orders immediate halt to gay military ban https://www.nbcnews.[...] 2011-07-06
[73] 뉴스 9th Circuit orders gov't to state position on DADT http://www.utsandieg[...] 2011-07-11
[74] 뉴스 Court: 'don't ask, don't tell' will stay in place https://www.nbcnews.[...] 2021-03-16
[75] 웹사이트 Appeals court nullifies 'don't ask, don't tell' ruling http://www.politico.[...] The Politico 2011-09-29
[76] 서적 Homosexuals and the U. S. Military: Current Issue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10-02
[77] 문서 Executive Order 13140 http://www.gpo.gov/f[...] National Archives 2012-03-16
[78] 뉴스 Pentagon to review don't ask, don't tell policy https://archive.toda[...] CNN 2012-03-16
[79] 뉴스 Hillary Clinton Faults Policy Of 'Don't Ask' https://www.nytimes.[...] 1999-12-09
[80] 뉴스 "'Don't Ask' Policy: Don't Call It A Failure" http://articles.phil[...] 1999-12-20
[81] 뉴스 Gay Rights Advocates Plan to Press Clinton to Undo Policy of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1999-12-25
[82] 뉴스 Officers Riled by Policy on Gays Proposed in Gore-Bradley Debat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04-08
[83] 간행물 Democratic Party Platform of 2000 http://www.presidenc[...]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12-12-27
[84] 간행물 Republican Party Platform of 2000 http://www.presidenc[...]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12-12-27
[85] 뉴스 Bush on Gay Rights Issues https://abcnews.go.c[...] ABC News 2012-04-04
[86] 웹사이트 "Don't Make a Big Deal of Ending Don't Ask Don't Tell: Lessons from U.S. Military Allies on Allowing Homosexuals to Serve" https://www.brooking[...] 2019-02-27
[87] 서적 The Advocate https://books.google[...] Here Publishing 2004-03-30
[88]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for the legislative year 2004. Minutes of the meeting of the Council of Representatives July 28 & 30, 2004, Honolulu, Hawaii http://www.apa.org/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03-05
[89] 간행물 Republican Party Platform of 2004 http://www.presidenc[...]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12-12-27
[90] 간행물 Democratic Party Platform of 2004 http://www.presidenc[...]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12-12-27
[91] 뉴스 Report: 'Don't Ask, Don't Tell' costs $363M https://www.usatoday[...] 2006-02-14
[92] 웹사이트 Out gay soldiers sent to Iraq – Regulation keeps straights from 'playing gay' to avoid war http://washblade.com[...] 2006-03-06
[93] 서적 How We Won: Progressive Lessons from the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94] 서적 How We Won
[95] 뉴스 Don't ask, don't tell: gay veteran of Iraq takes on US army https://www.theguard[...] 2009-06-29
[96] 뉴스 Don't Ask, Don't Translate https://www.nytimes.[...] 2007-06-08
[97] 간행물 Don't Ask Don't Tell Review http://www.gpo.gov/f[...] Congress, House, Military Personnel Subcommittee 2008-07-23
[98] 뉴스 Gay Groups Renew Drive Against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2006-09-14
[99] 뉴스 "'Coordinated' Campaign Targets Military Ban on Homosexuals" http://news.christia[...] ChristiansUnite.com 2012-02-25
[100] 웹사이트 Opinions of Military Personnel on Sexual Minorities in the Military http://www.palmcente[...] 2010-10-13
[101] 뉴스 Former JCS chairman: It's time to give 'don't ask, don't tell' policy another look http://www.airforcet[...] 2007-01-13
[102] 웹사이트 Former Defense Secretary William Cohen Says Congress Should Re-Visit "Don't Ask, Don't Tell" http://www.sldn.org/[...] Servicemembers Legal Defense Network 2010-12-22
[103] 뉴스 A New Push to Roll Back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2012-12-29
[104] 뉴스 Second Thoughts on Gays in the Military https://select.nytim[...] 2012-03-05
[105] 뉴스 Don't drop 'don't ask, don't tell,' Pace says https://www.chicagot[...] 2007-03-13
[106] 뉴스 Pace takes fire on gays remark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2-12-30
[107] 뉴스 Top General Explains Remarks on Gay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12-30
[108] 뉴스 Romney defends general, 'don't ask, don't tell' policy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14-09-23
[109] 뉴스 Larry Craig and "Don't Tap, Don't Tell" http://townhall.com/[...] townhall.com 2012-12-30
[110] 뉴스 Admirals, generals: Let gays serve openly https://www.nbcnews.[...] NBC News 2009-10-13
[111] 뉴스 Discharged under 'don't ask, don't tell' https://edition.cnn.[...] 2012-03-12
[112] 웹사이트 Says Nunn: It might be time to take another look at 'don't ask, don't tell' http://www.ajc.com/m[...] 2024-03-12
[113] 간행물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Tells Cadets Military Ready to Accept Gay Service Members http://www.sldn.org/[...] Servicemembers Legal Defense Network 2010-12-22
[114] 웹사이트 How to End "Don't Ask, Don't Tell": A Roadmap of Political, Legal, Regulatory, and Organizational Steps to Equal Treatment http://www.palmcente[...] Palm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010-12-19
[115] 웹사이트 Judge rejects Obama's 'don't ask, don't tell' argument http://www.mcclatchy[...] 2015-07-14
[116] 뉴스 Time to review policy on gays in U.S. military: Powell https://www.reuters.[...] 2009-07-05
[117] 논문 The Efficacy of "Don't Ask, Don't Tell" http://www.ndu.edu/p[...] 2010-12-22
[118] 뉴스 Rare Source of Attack on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12-29
[119] 뉴스 Panel urges ending UCMJ's sodomy ban Stars and Stripes 2012-02-20
[120] 뉴스 DADT Repeal: Dems Move Forward With Plans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0-01-14
[121] 뉴스 Obama Calls for "Don't Ask, Don't Tell" Repeal http://www.cnn.com/2[...] 2021-03-16
[122] 웹사이트 Testimony Regarding DoD 'Dont Ask, Dont Tell' Policy http://www.jcs.mil/s[...] Joint Chiefs of Staff 2012-02-19
[123] 뉴스 Retired military officers: keep ban on gay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2-19
[124] 뉴스 New report undermines officers' letter supporting 'Don't Ask' http://www.washingto[...] Washington Blade 2010-03-03
[125] 웹사이트 American Support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https://www.american[...] 2021-03-16
[126] 뉴스 Gates eases ban on gays in the military http://www.cnn.com/2[...] CNN 2012-12-29
[127] 웹사이트 The Effects of Repealing Don't Ask, Don't Tell: Is the Combat Exclusion the Next Casualty in the March Toward Integration? http://www.law.georg[...]
[128] 문서 USBill
[129] 뉴스 Advocates Hope Supreme Court Ruling Can Renew Attention to 'Don't Ask, Don't Tell' https://select.nytim[...] The New York Times 2012-02-19
[130] 뉴스 Obama: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possible https://www.nbcnews.[...] NBC News 2008-04-10
[131] 뉴스 Obama to delay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advisers see consensus building before lifting ban on gays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08-11-22
[132] 웹사이트 Plan to Strengthen Civil Rights http://www.change.go[...] Change.gov 2010-12-19
[133] 뉴스 Gays Question Obama 'Don't Ask, Don't Tell' Pledge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9-12-10
[134] 웹사이트 President Obama offers little new in speech to gay rights activists at HRC dinner http://www.politico.[...] Politico 2009-10-11
[135] 뉴스 Obama calls for 'don't ask, don't tell' repeal http://www.cnn.com/2[...] CNN 2010-01-27
[136] 뉴스 Top Defense Officials Seek to End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12-29
[137] 웹사이트 Final vote results for roll call 317 http://clerk.house.g[...] Clerk.house.gov 2010-12-19
[138] 뉴스 GOP to defend 'Don't ask, Don't Tell' https://thehill.com/[...] The Hill 2010-05-30
[139] 뉴스 Congress advances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http://content.usato[...] USA Today 2010-05-27
[140] 뉴스 House Votes to Allow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Law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05-28
[141] 뉴스 House Passes Bill With 'Don't Tell' Repeal https://www.nytimes.[...] 2012-12-29
[142] 뉴스 Senate halts 'don't ask, don't tell' repeal http://www.cnn.com/2[...] CNN 2010-09-22
[143] 뉴스 "'Don't ask, don't tell' splitting gay rights group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0-11-15
[144] 웹사이트 Collins v. United States – Class Action for Military Separation Pay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10-11-10
[145] 웹사이트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Offers Few Risks, Report Finds http://www.defense.g[...] Armed Forces Press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0-11-30
[146] 뉴스 "'Don't ask, don't tell' report authors speak out" https://www.washingt[...] 2010-11-30
[147]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Issues Associated with a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http://www.defense.g[...] Department of Defense 2010-11-30
[148] 뉴스 Pentagon Sees Little Risk in Allowing Gay Men and Women to Serve Openly https://www.nytimes.[...] 2012-12-29
[149] 웹사이트 Military and Civilian Professors Say That "Don't Ask, Don't Tell" Debate is Over – 30 Scholars Conclude that Prejudice is the Only Remaining Rationale for Gay Ban http://www.palmcente[...] Palmcenter.org 2010-12-19
[150] 뉴스 "Listen to the Marines on 'Don't Ask'"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0-12-09
[151] 뉴스 Top Defense Officials Seek to End 'Don't Ask, Don't Tell' https://www.nytimes.[...] 2010-02-02
[152] 뉴스 Service Chiefs Tell Panel of Risks to 'Don't Ask, Don't Tell' Repeal https://www.nytimes.[...] 2012-12-29
[153] 뉴스 "Gays in the Military" http://www.nationalr[...] National Review 2010-12-07
[154] 뉴스 "'Don't ask, don't tell' procedural vote fails" http://voices.washin[...] 2010-12-09
[155] 뉴스 New bill introduced to end 'don't ask, don't tell' https://www.washingt[...] 2010-12-11
[156] 웹사이트 Final vote results for roll call 638 http://clerk.house.g[...] Clerk.house.gov 2010-12-15
[157] 웹사이트 "U.S. Senate Roll Call" https://www.senate.g[...] U.S. Senate 2010-12-18
[158] 뉴스 Senate Repeals Ban Against Openly Gay Military Personnel https://www.nytimes.[...] 2010-12-18
[159] 간행물 Statement by Secretary Robert Gates on Senate Vote to Repeal 'Don't Ask, Don't Tell' http://www.defense.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0-12-18
[160] 웹사이트 Don't Ask, Don't Tell Repeal Act of 2010 https://web.archive.[...]
[161] 뉴스 "New bill seeks to slow DADT repeal" http://www.marinecor[...] Marine Corps Times 2011-01-14
[162] 뉴스 "It's Not Too Late to Block the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https://www.foxnews.[...] Fox News 2011-04-19
[163] 뉴스 "House panel votes to delay repeal of 'don't ask, don't tell'"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1-05-12
[164] 뉴스 Military lays out plan to implement gay ban repeal http://usatoday30.us[...] 2011-01-29
[165] 웹사이트 Defense Department Says It Will Deny Full Separation Pay For Gay And Lesbian Service Members Honorably Discharged Under "Don't Ask, Don't Tell"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11-01-29
[166] 뉴스 "3 colonels punished over skit mocking gays" http://www.armytimes[...] Military Times 2011-05-23
[167] 뉴스 "'Don't Ask, Don't Tell': Navy OKs Bases, Chaplains for Same-Sex Marriages After Repeal"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05-10
[168] 뉴스 Navy Rescinds Guidelines For Same-Sex Marriages https://www.nytimes.[...] 2012-12-29
[169] 뉴스 "Navy plan to allow same-sex marriage on bases draws opposition" https://archive.toda[...] CNN 2011-05-09
[170] 뉴스 "Navy Scraps Rules on Gay Marriages After GOP Protest"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05-11
[171] 뉴스 "Pentagon suspends DADT in wake of court ruling" http://www.armytimes[...] Army Times 2011-07-08
[172] 뉴스 "Military members march for San Diego gay pride"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7-16
[173] 뉴스 Obama, Pentagon Certify End of Gay Ban Won't Harm Military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1-07-22
[174] 뉴스 Gone in 60 Days http://metroweekly.c[...] 2011-07-22
[175] 뉴스 "Gay military magazine to land at Army, AF bases"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1-08-30
[176] 간행물 Memorandum http://cdn.theatlant[...] The Atlantic 2011-09-20
[177] 웹사이트 NUMBER 1332.14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1-09-30
[178] 논문 Readiness and DADT Repeal: Has the New Policy of Open Service Undermined the Military?
[179] 뉴스 I am a Gay Airman http://www.thedailyb[...] Daily Beast 2011-09-19
[180] 뉴스 Randy Phillips, Gay Airman, Comes Out To Mom On YouTube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1-09-29
[181] 뉴스 Post-'don't ask', gay Navy Lt. marries http://www.politico.[...] 2011-09-20
[182] 뉴스 On base, 'don't ask, don't tell' demise is cause for celebration https://web.archive.[...] NBC News 2011-09-21
[183] 뉴스 The Strange History of Don't Ask, Don't Tell https://www.variety.[...] Variety 2011-09-18
[184] 뉴스 "'Don't Ask Don't Tell' Repeal Spares Decorated Air Force Aviator"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09-20
[185] 웹사이트 Marines Hit the Ground Running in Seeking Recruits at Gay Center https://www.nytimes.[...] 2011-09-20
[186] 뉴스 Discharged gay sailor re-enlists in Navy Reserves https://archive.toda[...] CNN 2011-09-24
[187] 뉴스 Twice-discharged gay sailor reinstated http://www.navytimes[...] Navy Times 2011-12-12
[188] 뉴스 "'Pinning-on' ceremony 'big deal' for lesbian couple" http://www.washingto[...] Washington Blade 2011-12-01
[189] 뉴스 Two women share historic kiss at US Navy ship's return https://www.theguard[...] 2011-12-21
[190] 뉴스 LGBT servicemembers in Afghanistan post 'It Gets Better' video to encourage youth bullied because of sexuality http://www.nydailyne[...] Daily News 2012-01-23
[191] 뉴스 Gay marine, partner reflect on first kiss seen around the globe: 'The world went away for a few minutes' http://miamiherald.t[...] Miami Herald 2012-02-28
[192] 뉴스 Gay Marine’s kiss sparks praise, anger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2-03-01
[193] 뉴스 Military chaplains allowed to perform same-sex weddings https://archive.toda[...] CNN 2011-09-30
[194] 뉴스 Evangelical Chaplains Refuse to Marry Gay Couples on Military Bases http://www.christian[...] The Christian Post 2011-10-06
[195] 뉴스 Church leader opposes DoD on same-sex weddings http://www.armytimes[...] Army Times 2011-09-30
[196] 간행물 Academy experts discuss effects of DADT repeal http://www.usafa.af.[...] U.S. Air Force Academy 2011-10-25
[197] 뉴스 Don't Ask Don't Tell: Top Marine Says Service Embracing Gay Ban Repeal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1-11-28
[198] 뉴스 Defense Bill Conference Report Strips Anti-Gay House Language, Keeps Military Sodomy Ban http://metroweekly.c[...] MetroWeekly 2011-12-12
[199] 문서 Article 125's prohibition against bestiality was included in its definition of sodomy. House Republicans, the [[Family Research Council]], and [[People for the Ethical Treatment of Animals]] objected to the removal of "unnatural carnal copulation ... with an animal" from Article 125, not "unnatural carnal copulation with another person of the same or opposite sex". See: Herb, Jeremy (December 9, 2011). [https://thehill.com/policy/defense/181093-repeal-of-sodomy-bestiality-ban-sparks-fight-on-defense-bill/ "Repeal of sodomy, bestiality ban sparks fight on Defense bill"], ''The Hill'': Retrieved February 20, 2012: "The Pentagon, however, says that even if the article in the military code was repealed, having sex with animals would still be covered under different statutes. 'It is difficult to envision a situation where a service member engages in sexual conduct with an animal that would not be conduct prejudicial to good order and discipline or service-discrediting,' said Defense spokesman Lt. Col. Todd Breasseale."
[200] 뉴스 U.S. military can wear uniform in San Diego gay pride parade: Defense Department https://web.archive.[...] 2012-07-20
[201] 뉴스 No incidents reported since DADT repealed https://archive.toda[...] NBC Nightly News 2011-12-21
[202] 뉴스 "'Out' on the Front Lines: Troops Reflect on 'Don't Ask, Don't Tell'"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12-24
[203] 뉴스 Don't Ask Don't Tell Study Shows No Negative Effects On Military One Year After Repeal https://www.huffingt[...] 2012-09-10
[204] 논문 Readiness and DADT Repeal: Has the New Policy of Open Service Undermined the Military?
[205] 뉴스 Servicemembers Kicked Out Under Military's Gay Ban Since '04 To Receive Full Separation Pay https://web.archive.[...] 2013-01-07
[206] 뉴스 Openly gay soldiers may destroy military, Bachmann says http://coloradoindep[...] Colorado Independent 2011-10-05
[207] 뉴스 Perry Prefers DADT, Says Obama Should Have Overthrown Iran Regime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11-08
[208] 뉴스 Boos Heard At GOP Debate After Gay Soldier Asks About 'Don't Ask' https://www.npr.org/[...] NPR 2011-09-23
[209] 뉴스 Gingrich tough on women, gays in military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1-12-11
[210] 뉴스 Ron Paul: Heterosexuals 'Causing More Trouble Than Gays' In The Military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1-10-26
[211] 뉴스 Raising Cain http://www.washingto[...] Washington Blade 2011-10-20
[212] 간행물 Romney Endorses Gays-In-Military (LGBT) Law; Gingrich Opposed http://www.militaryc[...] Military Culture Coalition 2011-12-12
[213] 뉴스 Debate Crowd Booed Gay Soldier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09-23
[214] 뉴스 Obama: Don't stand silent when soldier is booed https://www.nbcnews.[...] NBC News 2011-10-01
[215] 뉴스 GOP lawmaker says 'don't ask, don't tell' repeal is settled issue https://www.foxnews.[...] Fox News 2012-06-21
[216] 뉴스 Veterans Discharged Under 'Don't Ask Don't Tell' Get A Chance For VA Benefits https://www.npr.org/[...]
[217] 웹사이트 Hundreds of LGBT veterans given honourable discharges from US military https://www.bbc.com/[...] 2024-10-16
[218] 간행물 Why Is the Military Polling the Troops About Gays? https://content.time[...] Time 2010-07-12
[219] 뉴스 CNN Poll: 69% OK with gays in the military https://web.archive.[...] CNN 2010-02-22
[220] 뉴스 Most back repealing 'don't ask, don't tell,' poll says http://voices.washin[...] 2010-12-15
[221] 간행물 Most Continue to Favor Gays Serving Openly in Military http://people-press.[...] Pew Research Center 2010-11-29
[222] 웹사이트 CNN Opinion Research November 11–14, 2010 http://i2.cdn.turner[...] 2010-12-19
[223] 뉴스 Poll: Majority support gays serving openly in military https://archive.toda[...] CNN Political Ticker 2010-11-29
[224] 간행물 U.S. Voters Say Gays In Military Should Come Out, Quinnipiac University National Poll Finds https://archive.toda[...] Quinnipiac University 2010-02-10
[225] 뉴스 Gays in the military https://www.cbsnews.[...] CBS News 2010-02-11
[226] 간행물 Baptists, Catholics Threaten to Withdraw Chaplains Over DADT http://www.zimbio.co[...] 2010-11-01
[227] 뉴스 Southern Baptists Convention fighting 'don't ask, don't tell' repeal https://www.washingt[...] 2010-06-19
[228] 뉴스 Southern Baptists Convention fighting 'don't ask, don't tell' repeal https://www.washingt[...] 2010-10-13
[229] 뉴스 Retired chaplains back 'don't ask'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0-10-31
[230] 웹사이트 HRC Back Story, April 28, 2010 http://www.hrcbackst[...] Hrcbackstory.org 2010-10-13
[231] 웹사이트 Servicemembers Legal Defense Network http://www.sldn.org/[...] Sldn.org 2010-10-13
[232] 뉴스 If gays serve openly, will chaplains suffer? No, the mission is to serve all troops. https://www.usatoday[...] 2010-10-13
[233] 웹사이트 Stars and Stripes: Obama Wants to End "Don't Ask, Don't Tell" http://www.stripes.c[...] U.S. Department of Defense 2009-01-21
[234] 뉴스 Continued discharges anger 'don't ask, don't tell' critics: Gay-rights groups urge reversal now https://www.boston.c[...] Boston Globe 2009-05-20
[235] 문서 Servicemembers Legal Defense Network – Annual Gay Discharges Under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 Don't Harass" Servicemembers Legal Defense Network
[236] 간행물 Freedom to Serve http://dont.stanford[...] Servicemembers Legal Defense Network
[237] 간행물 365Gay.com – Military Discharging Two Soldiers Per Day For Being Gay Despite War Group Says http://www.365gay.co[...]
[238] 뉴스 Continued discharges anger 'don't ask, don't tell' critics https://www.boston.c[...] The Boston Globe 2009-05-20
[239] 웹사이트 261 DADT Discharges in 2010 http://advocate.com/[...] 2011-03-25
[240] 웹사이트 Rhode Island & New York restore military benefits to LGBTQ veterans https://www.lgbtqnat[...] 2019-11-13
[241] 문서 Don't Ask, Don't Tell, Don't Pursue https://web.archive.[...] Internet Archives - Wayback Machine 2018-01-08
[242] 뉴스 Discharged for Being Gay, Veterans Seek to Re-enlist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8-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