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이 주관하는 축구 대회로, 2년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3개국에서 번갈아 개최된다. 1990년부터 4차례 개최된 다이너스티컵을 전신으로 하며, 2002년 EAFF 창설 이후 동아시안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17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예선 라운드를 거쳐 결승 대회가 진행되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 진출한다.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5회, 중국과 일본이 각각 2회 우승했으며,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4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러시아 슈퍼컵
    러시아 슈퍼컵은 2003년에 시작된 러시아 축구 리그의 슈퍼컵 대회이며, CSKA 모스크바와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강세를 보였고, 이고르 아킨페예프,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미하일 케르자코프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200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처칠컵
    처칠컵은 윈스턴 처칠의 이름을 딴 럭비 대회로, 북미 럭비 경쟁력 강화와 선수 육성을 위해 2003년부터 2011년까지 개최되었으며 잉글랜드, 캐나다, 미국이 영구 참가국로 다양한 초청팀이 참가했으나 2012년 국제 경기 일정 변경으로 종료되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국제 축구 대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소마 유키가 MVP를,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시미즈 리사가 MVP를 수상하였다.
  • 국제 축구 대회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 대한민국, 여자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으며 결승 라운드는 일본 도쿄, 예선 라운드는 괌 데데도와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대회 정보
주최EAFF
창립2003년
참가 팀 수 (예선)5
참가 팀 수 (결승)4
다음 대회202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웹사이트eaff.com
Aff-Eaff 챔피언스 트로피 진출권AFF–EAFF Champions Trophy
역대 우승팀
현재 우승팀(2회 우승)
최다 우승팀(5회 우승)

2. 역사

1990년부터 1998년까지 4차례 개최된 다이너스티컵은 동아시안컵의 전신이다. 2002년 FIFA 월드컵의 축구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 2002년 동아시아 축구 연맹이 설립되면서 다이너스티컵을 대체하는 동아시안컵이 창설되었다.

다이너스티컵과 동아시안컵의 차이점은 여자부 대회의 유무와 참가국 범위이다. 다이너스티컵에는 여자부 대회가 없었고, 주로 4개국만 참가했다. 반면 동아시안컵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에 가맹한 모든 축구 협회가 참가하며, 여자부 대회도 포함한다.

초기 명칭은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였으나, 2013년부터 "EAFF (여자) 동아시안컵"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부터는 남자부와 여자부 대회를 통합하여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으로 개최되고 있다.

제1회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후 2년마다 일본, 대한민국, 중국이 번갈아 개최하고 있다. A매치 데이 제도가 시작되었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공식 경기를 소화하는 데 사용되면서, 동아시안컵 본선 및 예선은 A매치 데이가 아닌 날에 개최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출전국이 최정예 멤버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005년 한국 대회에서는 여자 토너먼트가 개최되어, 남자와 여자의 총점 승점으로 경쟁하는 남녀 종합 우승 시상이 이루어졌다. 2008년 중국 대회부터는 여자 대회도 별도로 예선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

2012년 호주 남녀 대표팀이 게스트로 참가하는 방향이 검토되어, 호주 남자 대표팀은 2012년 동아시안컵 예선 2라운드를 통과해 본선에 진출했으나, 호주 여자 대표팀은 예선에서 탈락했다.[9][10]

2024년 3월 30일 EAFF는, 2025년 7월에 한국, 2028년 1월에 중국, 2030년 1월에 일본에서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12]

2. 1. 명칭 변경

2012년 4월, 이 대회는 "EAFF 동아시안컵"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2015년 12월, "EAFF 동아시안 챔피언십"이라는 새로운 대회명이 승인되었지만,[4] 이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5]

3. 대회 방식

현재 동아시안컵은 예선 라운드와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예선 라운드는 1라운드와 2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라운드 우승팀이 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1라운드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FIFA 랭킹 하위권 국가들이 참가한다. 2018년 기준 ,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했다.

2라운드는 FIFA 랭킹 중위권 국가들이 참가하며, 남자부와 여자부 대회가 별개 장소에서 개최된다. 2018년 남자부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과 1라운드 우승국이 참가했고, 여자부 대회는 중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과 1라운드 우승국이 참가했다.

결승 대회는 FIFA 랭킹 상위 3개 팀과 예선 라운드 통과 1개 팀, 총 4개 팀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된다. 2019년 대회 기준 남자부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과 2라운드 우승국이, 여자부는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2라운드 우승국이 참가했다.

2003년 제1회 대회를 일본에서 개최한 이후, 2년마다 일본, 대한민국, 중국 3개국이 번갈아 가며 개최하고 있다.[12] 국제 A매치 데이 제도가 시작되었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공식 경기를 소화하는 데 A매치 데이가 사용되면서, 처음부터 동아시안컵 본선 및 예선은 A매치 데이가 아닌 날에 개최되고 있다.

2005년 한국 대회에서는 여자 대회(EAFF Women's Cup영어)가 개최되어 남녀 종합 우승 시상이 이루어졌지만, 2008년 중국 대회부터는 여자 대회도 예선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

2012년에는 호주 남녀 대표팀이 게스트로 참가하는 방향이 검토되었고,[8] 호주 남자 대표팀은 2013년 대회 예선을 통과해 본선에 진출했다. 호주 여자 대표팀은 예선에서 탈락했다.[9][10]

2016년 대회 명칭이 EAFF E-1 풋볼 챔피언십(EAFF E-1 Football Championship영어)으로 변경되었다.[11]

3. 1. 참가국

다이너스티컵동아시안컵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폐지된 국제 축구 대회이다. 이 토너먼트에서는 중국, 대한민국, 일본이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다른 참가국들은 예선전을 거쳐야 했다. 그 외 참가국으로는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마리아나 제도, , 홍콩, 몽골, 마카오가 있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의 비회원국인 오스트레일리아는 2013년 대회에 초청받아 참가했다.[8]

남자여자
|


4. 역대 대회 결과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중국일본이 각각 2회 우승했다.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4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 대한민국이 1회 우승했다.

4. 1. 남자부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이 번갈아 우승을 차지해왔다. 대한민국은 2003년, 2008년, 2015년, 2017년, 2019년 대회에서 우승하여 총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2013년과 2022년에 우승하였고, 중국은 2005년과 2010년에 우승하였다.
통산 성적

우승준우승3위4위합계
대한민국5회 (2003, 2008, 2015, 2017, 2019)2회 (2010, 2022)1회 (2013)1회 (2005)9
일본2회 (2013, 2022)5회 (2003, 2005, 2008, 2017, 2019)1회 (2010)1회 (2015)9
중국2회 (2005, 2010)2회 (2013, 2015)5회 (2003, 2008, 2017, 2019, 2022)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회 (2005, 2015)2회 (2008, 2017)4
홍콩 – – –4회 (2003, 2010, 2019, 2022)4
오스트레일리아 – – –1회 (2013)1


  • 2022년 대회 종료 시점 기준.

4. 1. 1. 역대 대회 결과

국가 수우승준우승3위4위12003년 일본rowspan="9" bgcolor=#FFFFFF|rowspan="9" bgcolor=#FFFFFF|422005년 대한민국432008년 중화인민공화국442010년 일본452013년 대한민국462015년 중화인민공화국472017년 일본482019년 대한민국492022년 일본4



; 여자

개최 연도개최국rowspan="2"|결선 리그 순위rowspan="2"|출전
국가 수
우승준우승3위4위
22005년 대한민국rowspan="8" bgcolor=#FFFFFF|rowspan="8" bgcolor=#FFFFFF|4
32008년 중화인민공화국4
42010년 일본4
52013년 대한민국4
62015년 중화인민공화국4
72017년 일본4
82019년 대한민국4
92022년 일본4


4. 1. 2. 국가별 참가 기록

국가200320052008201020132015201720192022
8위8위9위7위=7위6위7위8위×
대한민국우승4위우승준우승3위우승우승우승준우승
마카오6위×7위9위9위8위9위9위×
몽골7위7위8위8위×9위8위7위×
북마리아나 제도××10위10위10위10위10위10위×
오스트레일리아†××××4위××××
일본준우승준우승준우승3위우승4위준우승우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위4위5위5위3위4위5위×
중국3위우승3위우승준우승준우승3위3위3위
중화 타이베이5위6위6위6위=7위7위6위6위×
홍콩4위5위5위4위6위5위5위4위4위



국가결승 리그 기록
대한민국우승5회 — 2003, 2008, 2015, 2017, 2019
준우승2회 — 2010, 2022
3위1회 — 2013
4위1회 — 2005
일본우승2회 — 2013, 2022
준우승5회 — 2003, 2005, 2008, 2017, 2019
3위1회 — 2010
4위1회 — 2015
중국우승2회 — 2005, 2010
준우승2회 — 2013, 2015
3위5회 — 2003, 2008, 2017, 2019, 2022
4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우승
준우승
3위2회 — 2005, 2015
4위2회 — 2008, 2017
홍콩우승
준우승
3위
4위4회 — 2003, 2010, 2019, 2022
오스트레일리아우승
준우승
3위
4위1회 — 2013


4. 1. 3. 국가별 통산 성적

우승준우승3위4위합계
5회 (2003, 2008, 2015, 2017, 2019)2회 (2010, 2022)1회 (2013)1회 (2005)9
2회 (2013, 2022)5회 (2003, 2005, 2008, 2017, 2019)1회 (2010)1회 (2015)9
2회 (2005, 2010)2회 (2013, 2015)5회 (2003, 2008, 2017, 2019, 2022) –9
 – –2회 (2005, 2015)2회 (2008, 2017)4
 – – –4회 (2003, 2010, 2019, 2022)4
 – – –1회 (2013)1



순위참가 국가/지역우승 횟수준우승 횟수3위 횟수4위 횟수합계
1align=left |52119
2align=left |25119
3align=left |22509
4align=left |00224
5align=left |00044
6align=left |00011



순위참가 국가/지역우승 횟수준우승 횟수3위 횟수4위 횟수합계
1align=left |42208
2align=left |32005
3align=left |12328
4align=left |02338
5align=left |00033

4. 2. 여자부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경기는 2005년 대한민국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대회에서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1] 이후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번갈아 우승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다.

개최 연도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출전 국가 수
22005년 대한민국4
32008년 중화인민공화국4
42010년 일본4
52013년 대한민국4
62015년 중화인민공화국4
72017년 일본4
82019년 대한민국4
92022년 일본4
102025년 대한민국4
112028년 중화인민공화국
122030년 일본



대회는 4개국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된다.

4. 2. 1. 국가별 통산 성적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국가별 통산 성적
순위국가남자여자
참가 횟수우승 횟수준우승 횟수3위 횟수
1 대한민국84218123
2 일본82518422
3 중국82248023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0014320
5 홍콩40000000
6 중화 타이베이00004000
7 오스트레일리아10000000

5. 수상

남자부 상금은 1위: 50만달러, 2위: 30만달러, 3위: 20만달러, 4위: 15만달러이다. 여자부 상금은 1위: 5만달러, 2위: 3만달러, 3위: 2만달러, 4위: 1.5만달러이다. 남녀 종합 우승 상금은 10만달러이다.

5. 1. 남자부

연도최우수 선수(MVP)득점왕최우수 골키퍼최우수 수비수페어플레이상최우수 심판
2003 유상철 쿠보 다쓰히코2없음
2005 지밍이없음 이운재 장야오쿤 일본없음
2008 김남일 염기훈
박주영
야마세 코지
정대세
2 리명국 나카자와 유지 대한민국
2010 두 웨이 취 보
이동국
이승렬
타마다 케이지
2 양 즈 조용형 홍콩
2013 야마구치 호타루 가키타니 요이치로3없음
2015 장현수 무토 유키2 리명국 김영권
2017 이재성 김신욱3 조현우 장현수
2019 황인범 오가와 고키3 김승규 김민재
2022 소마 유키 마치노 슈토
소마 유키
3 김동준 타니구치 쇼고 아크롤 리스쿨라예프


5. 2. 여자부

여자부의 상금은 1위 50000USD, 2위 30000USD, 3위 20000USD, 4위 15000USD이다.

6. 역대 우승 감독

연도감독
2003 대한민국 움베르투 코엘류
2005 중국 주광후
2008 대한민국 허정무
2010 중국 가오훙보
2013 일본 알베르토 자케로니
2015 대한민국 울리 슈틸리케
2017 대한민국 신태용
2019 대한민국 파울루 벤투
2022 일본 모리야스 하지메


7. 기타

2005년 한국 대회에서는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 결과를 합산하여 종합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을 채택했다.[8] 그러나 국제 A매치 데이가 아닌 기간에 대회가 개최되어 각국이 최정예 멤버를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 개최 및 운영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 Men's Preview https://www.the-afc.[...] 2023-08-12
[2] 웹사이트 Japan wants Australia in East Asian Cup – Yahoo! Eurosport http://uk.eurosport.[...] UK.EuroSport.Yahoo.com 2012-05-11
[3] 웹사이트 35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eaff.com/news[...] EAFF.com 2012-04-20
[4] 웹사이트 47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eaff.com/news[...] EAFF.com 2015-12-28
[5] 웹사이트 50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eaff.com/news[...] EAFF.com 2016-09-01
[6] 웹사이트 EAFF E-1 Football Championship 2017 Final Japan https://eaff.com/com[...] 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 2018-10-23
[7] 웹사이트 大会概要 | EAFF E-1 サッカー選手権 2017 決勝大会 http://www.jfa.jp/ma[...] 日本サッカー協会 2018-10-23
[8] 뉴스 東アジアニュース「第35回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EAFF)理事会」-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公式HP-2012年4月20日 https://eaff.com/new[...]
[9] 뉴스 EAFF東アジアカップ2013にゲスト参加 ― オーストラリアサッカーに世界が注目-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公式HP日本語版2012年11月 http://www.eaff.com/[...]
[10] 뉴스 オーストラリアが来年の東アジアカップに出場-goal.com日本語版2012年8月30日 http://www.goal.com/[...]
[11] 뉴스 東アジアニュース「第50回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EAFF)理事会」-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公式HP-2016年9月1日 http://eaff.com/news[...]
[12] 웹사이트 75th EAFF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s://eaff.com/new[...] EAFF 2024-10-04
[13] 웹사이트 北朝鮮女子代表の東アジア杯不参加が正式決定。南北関係が影響か…出場説得も不発 https://www.goal.com[...] Goal.com 2019-10-31
[14] 문서 ただし北朝鮮のサッカー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代表|男子・サッカー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女子代表|女子代表はともに出場を辞退したため、次点のチームとして男子はサッカー香港代表|香港、女子はサッカー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女子代表|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を繰り上げ。
[15] 웹사이트 東アジア選手権、日本開催に サッカー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2-04-19
[16] 문서 モンゴル国サッカー連盟|モンゴルサッカー連盟は2011年3月19日から2014年3月のEAFF総会までの3年間EAFF資格停止の為、その間は出場できなかった。
[17] 문서 大会のみのゲスト参加。
[18] 문서 大会のみのゲスト参加。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