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FF E-1 풋볼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이 주관하는 축구 대회로, 2년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3개국에서 번갈아 개최된다. 1990년부터 4차례 개최된 다이너스티컵을 전신으로 하며, 2002년 EAFF 창설 이후 동아시안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17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예선 라운드를 거쳐 결승 대회가 진행되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 진출한다.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5회, 중국과 일본이 각각 2회 우승했으며,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4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러시아 슈퍼컵
러시아 슈퍼컵은 2003년에 시작된 러시아 축구 리그의 슈퍼컵 대회이며, CSKA 모스크바와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강세를 보였고, 이고르 아킨페예프,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미하일 케르자코프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200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처칠컵
처칠컵은 윈스턴 처칠의 이름을 딴 럭비 대회로, 북미 럭비 경쟁력 강화와 선수 육성을 위해 2003년부터 2011년까지 개최되었으며 잉글랜드, 캐나다, 미국이 영구 참가국로 다양한 초청팀이 참가했으나 2012년 국제 경기 일정 변경으로 종료되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국제 축구 대회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소마 유키가 MVP를,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하고 시미즈 리사가 MVP를 수상하였다. - 국제 축구 대회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국가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남자부에서 대한민국, 여자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으며 결승 라운드는 일본 도쿄, 예선 라운드는 괌 데데도와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
---|---|
대회 정보 | |
주최 | EAFF |
창립 | 2003년 |
참가 팀 수 (예선) | 5 |
참가 팀 수 (결승) | 4 |
다음 대회 | 202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웹사이트 | eaff.com |
Aff-Eaff 챔피언스 트로피 진출권 | AFF–EAFF Champions Trophy |
역대 우승팀 | |
현재 우승팀 | (2회 우승) |
최다 우승팀 | (5회 우승) |
2. 역사
1990년부터 1998년까지 4차례 개최된 다이너스티컵은 동아시안컵의 전신이다. 2002년 FIFA 월드컵의 축구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 2002년 동아시아 축구 연맹이 설립되면서 다이너스티컵을 대체하는 동아시안컵이 창설되었다.
다이너스티컵과 동아시안컵의 차이점은 여자부 대회의 유무와 참가국 범위이다. 다이너스티컵에는 여자부 대회가 없었고, 주로 4개국만 참가했다. 반면 동아시안컵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에 가맹한 모든 축구 협회가 참가하며, 여자부 대회도 포함한다.
초기 명칭은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였으나, 2013년부터 "EAFF (여자) 동아시안컵"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부터는 남자부와 여자부 대회를 통합하여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이라는 명칭으로 개최되고 있다.
제1회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후 2년마다 일본, 대한민국, 중국이 번갈아 개최하고 있다. A매치 데이 제도가 시작되었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공식 경기를 소화하는 데 사용되면서, 동아시안컵 본선 및 예선은 A매치 데이가 아닌 날에 개최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출전국이 최정예 멤버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005년 한국 대회에서는 여자 토너먼트가 개최되어, 남자와 여자의 총점 승점으로 경쟁하는 남녀 종합 우승 시상이 이루어졌다. 2008년 중국 대회부터는 여자 대회도 별도로 예선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
2012년 호주 남녀 대표팀이 게스트로 참가하는 방향이 검토되어, 호주 남자 대표팀은 2012년 동아시안컵 예선 2라운드를 통과해 본선에 진출했으나, 호주 여자 대표팀은 예선에서 탈락했다.[9][10]
2024년 3월 30일 EAFF는, 2025년 7월에 한국, 2028년 1월에 중국, 2030년 1월에 일본에서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12]
2. 1. 명칭 변경
2012년 4월, 이 대회는 "EAFF 동아시안컵"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2015년 12월, "EAFF 동아시안 챔피언십"이라는 새로운 대회명이 승인되었지만,[4] 이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5]3. 대회 방식
현재 동아시안컵은 예선 라운드와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예선 라운드는 1라운드와 2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라운드 우승팀이 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1라운드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FIFA 랭킹 하위권 국가들이 참가한다. 2018년 기준 괌,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했다.
2라운드는 FIFA 랭킹 중위권 국가들이 참가하며, 남자부와 여자부 대회가 별개 장소에서 개최된다. 2018년 남자부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과 1라운드 우승국이 참가했고, 여자부 대회는 중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과 1라운드 우승국이 참가했다.
결승 대회는 FIFA 랭킹 상위 3개 팀과 예선 라운드 통과 1개 팀, 총 4개 팀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된다. 2019년 대회 기준 남자부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과 2라운드 우승국이, 여자부는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2라운드 우승국이 참가했다.
2003년 제1회 대회를 일본에서 개최한 이후, 2년마다 일본, 대한민국, 중국 3개국이 번갈아 가며 개최하고 있다.[12] 국제 A매치 데이 제도가 시작되었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공식 경기를 소화하는 데 A매치 데이가 사용되면서, 처음부터 동아시안컵 본선 및 예선은 A매치 데이가 아닌 날에 개최되고 있다.
2005년 한국 대회에서는 여자 대회(EAFF Women's Cup영어)가 개최되어 남녀 종합 우승 시상이 이루어졌지만, 2008년 중국 대회부터는 여자 대회도 예선 대회를 치르게 되었다.
2012년에는 호주 남녀 대표팀이 게스트로 참가하는 방향이 검토되었고,[8] 호주 남자 대표팀은 2013년 대회 예선을 통과해 본선에 진출했다. 호주 여자 대표팀은 예선에서 탈락했다.[9][10]
2016년 대회 명칭이 EAFF E-1 풋볼 챔피언십(EAFF E-1 Football Championship영어)으로 변경되었다.[11]
3. 1. 참가국
다이너스티컵은 동아시안컵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폐지된 국제 축구 대회이다. 이 토너먼트에서는 중국, 대한민국, 일본이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다른 참가국들은 예선전을 거쳐야 했다. 그 외 참가국으로는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마리아나 제도, 괌, 홍콩, 몽골, 마카오가 있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의 비회원국인 오스트레일리아는 2013년 대회에 초청받아 참가했다.[8]남자 | 여자 |
---|---|
| |
4. 역대 대회 결과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중국과 일본이 각각 2회 우승했다.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4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회, 대한민국이 1회 우승했다.
4. 1. 남자부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이 번갈아 우승을 차지해왔다. 대한민국은 2003년, 2008년, 2015년, 2017년, 2019년 대회에서 우승하여 총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2013년과 2022년에 우승하였고, 중국은 2005년과 2010년에 우승하였다.통산 성적
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합계 |
---|---|---|---|---|---|
대한민국 | 5회 (2003, 2008, 2015, 2017, 2019) | 2회 (2010, 2022) | 1회 (2013) | 1회 (2005) | 9 |
일본 | 2회 (2013, 2022) | 5회 (2003, 2005, 2008, 2017, 2019) | 1회 (2010) | 1회 (2015) | 9 |
중국 | 2회 (2005, 2010) | 2회 (2013, 2015) | 5회 (2003, 2008, 2017, 2019, 2022) | – | 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 | 2회 (2005, 2015) | 2회 (2008, 2017) | 4 |
홍콩 | – | – | – | 4회 (2003, 2010, 2019, 2022) | 4 |
오스트레일리아 | – | – | – | 1회 (2013) | 1 |
- 2022년 대회 종료 시점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