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 스타리그 200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VER 스타리그 2008은 KTFT의 후원으로 2008년 4월부터 7월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이다. 1차 본선과 2차 본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박성준이 우승을 차지하며 골든마우스를 수상했다. 이번 대회는 온게임넷 스타리그 중 유일한 28강 대회였으며, 스타리그 사상 처음으로 저그 선수들만으로 구성된 조가 편성되기도 했다.
EVER 스타리그 2008은 KTFT의 EVER 브랜드가 2004, 2005, 2007 시즌에 이어 네 번째로 후원한 스타리그이다.[1] 이번 대회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우선, 대회 방식이 기존의 듀얼 토너먼트를 1차 본선(24강)으로, 16강 조별 풀리그를 2차 본선으로 나누어 진행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또한, 이전까지 본선과 차기 시즌 예선을 병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본선 일정이 모두 끝난 후 예선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대회는 2008년 4월 16일부터 7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우승 상금은 4000만원, 준우승 상금은 2000만원이었다. 결승전은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2. 대회 개요
2. 1. 후원
KTFT의 EVER가 2004, 2005, 2007 시즌에 이어 네 번째로 스타리그를 후원했다.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더하는 즐거움, 함께 나누는 감동 EVER"였다. KTFT의 원유창 마케팅 본부장은 “2004, 2005, 2007년에 이어 올해로 4번째 ‘EVER 스타리그’를 후원하게 됐다”며 “기존에 스타리그를 진행해왔던 온게임넷의 노하우와 KTFT의 젊은 감각이 어울러져 최고의 대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대회 후원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1]
2. 2. 대회 방식
EVER 스타리그 2008부터는 스타리그 본선이 1차 본선과 2차 본선, 총 2번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기존의 듀얼 토너먼트가 1차 본선으로 변경되어, 스타챌린지에서 선발된 12명의 선수와 지난 시즌 탈락자 12명이 참가하여 총 24명이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다.
이 1차 본선을 통해 선발된 12명의 선수와 지난 대회 시드를 받은 4명을 합쳐 총 16명이 2차 본선에 진출했다. 2차 본선 진출자들은 조지명식을 거쳐 4개의 조로 나뉘었고,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이 2차 본선 방식은 기존 스타리그 16강 방식과 동일하다.
2. 3. 대회 일정
2008년 4월 16일부터 7월 12일까지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부터는 기존에 스타리그 본선 일정과 차기 대회 예선전을 동시에 진행하던 '병렬' 방식 대신, 본선과 예선을 분리하여 진행하는 '직렬'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 3. 1. 1차 본선 (24강)
2008년 4월 16일부터 5월 2일까지 매주 수요일, 금요일에 진행되었다.
2. 3. 2. 2차 본선 (16강)
2008년 5월 14일부터 6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수요일과 금요일에 방송 경기가 진행되었다. 또한, 스타리그 방송 시간대를 저녁 6시 30분으로 통일하여 시청자들의 혼란을 줄였다.
2. 3. 3. 8강
2008년 6월 13일과 6월 20일에 진행되었다.
2. 3. 4. 4강
4강은 2008년 6월 27일과 7월 4일에 진행되었다.
2. 3. 5. 결승
2008년 7월 12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2. 4. 상금
2. 5. 경기장
2. 6. 사용 맵
구분 | 트로이 (Troy) | 화랑도 (Hwarangdo) | 안드로메다 (Andromeda) | 오델로 (Othello) |
---|---|---|---|---|
인원 | 4 | 2 | 4 | 4 |
프로토스 vs 저그 | 3:1 | 2:6 | 2:5 | 1:2 |
저그 vs 테란 | 1:0 | 2:2 | 3:1 | 0:1 |
테란 vs 프로토스 | 3:3 | 2:5 | 2:5 | 1:1 |
저그 vs 저그 | 2회 | 2회 | 2회 | 1회 |
테란 vs 테란 | 1회 | 0회 | 1회 | 0회 |
프로토스 vs 프로토스 | 3회 | 3회 | 4회 | 4회 |
총 28명의 선수가 EVER 스타리그 2008 본선에 진출했다. 종족별, 팀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3. 리그 BGM
구분 아티스트 곡명 1라운드, 2라운드 오프닝 Donots Pills & Kisses 오프닝멘트 Donots Next To You Today Match & Next Week Firewind Maniac 최근 10경기 Firewind Into the Fire 선수소개 Simple Plan Take My Hand 선수세팅 Good Charlotte Girls & Boys (부정확 정보로 추정됨. 정확한 확인 필요.) 경기시작전 Testament Down For Life 경기종료후 Testament D.N.R 결승전 예고 Uffie Pop The Glock (Sebastian remix) 결승전 오프닝 Uffie Pop the Glock (Remix - Ben Lukas Boysen)
4. 출전 선수
테란 저그 프로토스 합계 9명 8명 11명 28명 4. 1. 24강 출전 선수
종족 | 인원 | 선수 명단 |
---|---|---|
테란 | 9명 | 김동건, 김창희, 박성균, 서지훈, 신희승, 염보성, 이영호, 이윤열, 한동욱 |
저그 | 8명 | 고석현, 김준영, 마재윤, 박명수, 박성준, 박찬수, 윤종민, 이제동 |
프로토스 | 11명 | 김민제, 김택용, 도재욱, 박대만, 박영민, 손찬웅, 송병구, 안기효, 오영종, 임원기, 허영무 |
4. 2. 16강 출전 선수
wikitext- 굵은 글씨는 시드권자이다.
5. 스타 챌린지 리그
스타 챌린지 리그는 EVER 스타리그 2008의 16강 본선 진출자를 결정하기 위한 예선 단계이다. 이전 시즌 시드권자 및 예선 통과자들이 참가하여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총 6개 조로 나뉘어 각 조에서 승자전 승자와 최종전 승자, 총 12명의 선수가 스타리그 16강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5. 1. 본선 진출자
5. 2. 결과
조 | Match1 | Match2 | 승자전 | 패자전 | 최종전 | |||||
A조 | 윤용태 | 장육 | 김민제 | 한동욱 | 김민제 | 윤용태 | 한동욱 | 장육 | 한동욱 | 윤용태 |
---|---|---|---|---|---|---|---|---|---|---|
B조 | 박종수 | 이윤열 | 김창희 | 서경종 | 김창희 | 박종수 | 이윤열 | 서경종 | 이윤열 | 박종수 |
C조 | 박태민 | 신희승 | 임원기 | 변형태 | 임원기 | 박태민 | 신희승 | 변형태 | 신희승 | 박태민 |
D조 | 진영수 | 고석현 | 박성균 | 신정민 | 박성균 | 진영수 | 고석현 | 신정민 | 고석현 | 진영수 |
E조 | 김상욱 | 박대만 | 김준영 | 박지수 | 김준영 | 김상욱 | 박대만 | 박지수 | 박대만 | 김상욱 |
F조 | 허영무 | 임재덕 | 오영종 | 전상욱 | 허영무 | 오영종 | 전상욱 | 임재덕 | 오영종 | 전상욱 |
6. 1차 본선 (24강)
24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에서 승자전과 최종전에서 승리한 선수는 16강에 진출하고, 패자전과 최종전에서 패배한 선수는 오프라인 예선으로 탈락했다. 지난 대회 시드를 받은 선수는 16강에 자동 진출했기 때문에, 24강에서는 시드자를 제외한 선수들이 경기를 치렀다.
6. 1. 경기 결과
- 원데이 듀얼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승자전과 최종전에 승리하는 선수가 16강에 진출했으며, 패자전과 최종전에 패배한 선수는 오프라인 예선으로 떨어지는 방식이다.
- 시드자는 자동 16강에 진출한다.
- * 그러므로 24강은 시드자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이 경기를 치른다.
조 | Match1 | Match2 | 승자전 | 패자전 | 최종전 | |||||
---|---|---|---|---|---|---|---|---|---|---|
A조 | 이제동 | 한동욱 | 손찬웅 | 김준영 | 한동욱 | 김준영 | 이제동 | 손찬웅 | 한동욱 | 손찬웅 |
B조 | 도재욱 | 이윤열 | 마재윤 | 임원기 | 도재욱 | 임원기 | 이윤열 | 마재윤 | 임원기 | 이윤열 |
C조 | 박영민 | 고석현 | 윤종민 | 김창희 | 고석현 | 윤종민 | 박영민 | 김창희 | 고석현 | 박영민 |
D조 | 김동건 | 오영종 | 박성준 | 박성균 | 김동건 | 박성준 | 오영종 | 박성균 | 김동건 | 박성균 |
E조 | 염보성 | 박대만 | 서지훈 | 허영무 | 염보성 | 허영무 | 박대만 | 서지훈 | 염보성 | 박대만 |
F조 | 안기효 | 신희승 | 박명수 | 김민제 | 안기효 | 박명수 | 신희승 | 김민제 | 안기효 | 김민제 |
7. 2차 본선 (16강)
16강 조지명식 결과에 따라 결정된 4개의 조에서 각 선수는 다른 선수들과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선수는 총 3경기를 소화했으며, 각 조에서는 총 6경기가 열렸다.
7. 1. 조 편성
16강 조지명식 결과에 따라 결정된 조에서 각 선수는 다른 선수와 한 번씩, 총 3경기를 치렀다. 각 조에서는 총 6경기가 진행되었다. 16강 최종 결과 및 조 편성은 다음과 같다.A조 | B조 | C조 | D조 | ||||
---|---|---|---|---|---|---|---|
이영호 | 3승 0패 | 송병구 | 1승 2패 | 박찬수 | 2승 1패 | 김택용 | 1승 2패 |
김준영 | 0승 3패 | 허영무 | 1승 2패 | 박성준 | 2승 1패 | 박성균 | 1승 2패 |
안기효 | 2승 1패 | 도재욱 | 3승 0패 | 박명수 | 1승 2패 | 박영민 | 2승 1패 |
염보성 | 1승 2패 | 이윤열 | 1승 2패 | 윤종민 | 1승 2패 | 손찬웅 | 2승 1패 |
7. 2. 경기 결과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1경기씩 총 3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6경기를 치르게 된다.A조 | B조 | C조 | D조 | ||||
---|---|---|---|---|---|---|---|
이영호 | 3승 0패 | 송병구 | 1승 2패 | 박찬수 | 2승 1패 | 김택용 | 1승 2패 |
김준영 | 0승 3패 | 허영무 | 1승 2패 | 박성준 | 2승 1패 | 박성균 | 1승 2패 |
안기효 | 2승 1패 | 도재욱 | 3승 0패 | 박명수 | 1승 2패 | 박영민 | 2승 1패 |
염보성 | 1승 2패 | 이윤열 | 1승 2패 | 윤종민 | 1승 2패 | 손찬웅 | 2승 1패 |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B조 재경기'''
8. 8강 ~ 결승
'''8강'''
'''4강'''
'''결승'''
9. 대회 결과
제 2대 골든마우스 수상
손찬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