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GTM)는 수학 분야의 대학원생 및 연구자를 위한 교재 시리즈이다. 이 시리즈는 다양한 수학 분야를 다루며, 대수학, 해석학, 기하학, 위상수학, 정수론, 응용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포함하고 있다. 각 분야별로 다양한 책이 출판되었으며, 일부는 여러 번 개정되어 출판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 책 - 방법서설
    방법서설은 데카르트가 자신의 학문적 여정과 사색을 담아 이성을 통한 진리 탐구 방법인 데카르트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철학 서적으로, 그의 회의주의, 분석 및 종합 규칙, 심신 이원론 등의 사상이 담겨 철학과 과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수학 책 - 괴델, 에셔, 바흐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책 "괴델, 에셔, 바흐"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에셔의 미술, 바흐의 음악을 통해 재귀, 자기 참조, 지능과 의식의 본질을 탐구하며,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사유를 제공하여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다.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기본 정보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시리즈 로고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시리즈 로고
주제수학 교과서
발행인스프링거 사이언스+비즈니스 미디어
국가미국
언어영어
ISSN0072-5285

2. GTM 시리즈의 특징

2. 1. 학부 수학 교재 시리즈(UTM)와의 관계

2. 2. 대한민국 내 출판 현황

3. 세부 분야별 도서 목록

'''대수학'''


  • 호몰로지 대수학 강의/A Course in Homological Algebra영어, Peter Hilton , Urs Stammbach (1997, 2판)
  • 일하는 수학자를 위한 범주론/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영어, Saunders Mac Lane (1998, 2판)
  • 산술 강의/A Course in Arithmetic영어, Jean-Pierre Serre (1996)
  • 리 대수와 표현론 입문/Introduction to Lie Algebras and Representation Theory영어, James E. Humphreys (1997)
  • 환과 가군/Rings and Categories of Modules영어, Frank W. Anderson, Kent R. Fuller (1992, 2판)
  • 체의 구조/The Structure of Fields영어, David J. Winter, (1974)
  • 선형 대수적 군/Linear Algebraic Groups영어, James E. Humphreys (1975)
  • 수리 논리학에 대한 대수적 입문/An Algebraic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영어, Donald W. Barnes, John M. Mack (1975)
  • 대수적 이론/Algebraic Theories영어, Ernest G. Manes, (1976)
  • 가환대수 I/Commutative Algebra I영어, Oscar Zariski, Pierre Samuel (1975)
  • 가환대수 II/Commutative Algebra II영어, Oscar Zariski, Pierre Samuel (1975)
  • 추상 대수학 강의 I: 기본 개념/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 Basic Concepts영어, Nathan Jacobson (1976)
  • 추상 대수학 강의 II: 선형대수/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I: Linear Algebra영어, Nathan Jacobson (1984)
  • 추상 대수학 강의 III: 체의 이론과 갈루아 이론/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II: Theory of Fields and Galois Theory영어, Nathan Jacobson (1976)
  • C^*-대수에의 초대/An Invitation to C^*-Algebras영어, William Arveson (1976)
  • 유한군의 선형 표현/Linear Representations of Finite Groups영어, Jean-Pierre Serre, Leonhard L. Scott (1977)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대수적 정수론에 대한 유전적 소개/Fermat's Last Theorem: A Genetic Introduction to Algebraic Number Theory영어, Harold M. Edwards (2000)
  • 대수 기하학/Algebraic Geometry (book)영어, Robin Hartshorne (2010)
  • 군의 이론 기초/Fundamentals of the Theory of Groups영어, M. I. Kargapolov, J. I. Merzljakov (1979)
  • 아핀 군 스킴 입문/Introduction to Affine Group Schemes영어, W. C. Waterhouse (1979)
  • ''Algebra'', Thomas W. Hungerford (1974)
  • 대수적 군과 리 대수의 기본 이론/Basic Theory of Algebraic Groups and Lie Algebras영어, G. P. Hochschild (1981)
  • 대수 기하학 – 대수적 다양체의 유리 기하학에 대한 입문/Algebraic Geometry – An Introduction to Birational Geometry of Algebraic Varieties영어, Shigeru Iitaka (1982)
  • 대수적 수론 이론 강의/Lectures on the Theory of Algebraic Numbers영어, E. T. Hecke (1981)
  • 보편 대수학 강의/A Course in Universal Algebra영어, Burris, Stanley and Sankappanavar, H. P. ([http://www.math.uwaterloo.ca/~snburris/htdocs/ualg.html 온라인]) (1981)
  • 군의 이론 강의/A Course in the Theory of Groups영어, (1996, 2판)
  • 결합 대수/Associative Algebras영어, R. S. Pierce (1982)
  • 대수 및 아벨 함수 입문/Introduction to Algebraic and Abelian Functions영어, Serge Lang (1982, 2판)
  • 갈루아 이론/Galois Theory영어, Harold M. Edwards (1984)
  • 리 군, 리 대수, 그리고 그 표현/Lie Groups, Lie Algebras, and Their Representations영어, V. S. Varadarajan (1984)
  • 대수적 수론/Algebraic Number Theory영어, Serge Lang (1994, 2판)
  • 대수적 군과 유체/Algebraic Groups and Class Fields영어, Jean-Pierre Serre (1988)
  • 선형 대수적 군/Linear Algebraic Groups영어, Armand Borel (1991)
  • 비가환 환 첫걸음/A First Course in Noncommutative Rings영어, T. Y. Lam (2001, 2판)
  • 대수학 — 가군 이론을 통한 접근/Algebra — An Approach via Module Theory영어, William Adkins, Steven Weintraub (1992)
  • 계산 대수적 정수론 강의/A Course in Computational Algebraic Number Theory영어, Henri Cohen (1996)
  • 그뢰브너 기저 — 가환 대수에 대한 계산적 접근/Gröbner Bases — A Computational Approach to Commutative Algebra영어, Thomas Becker, Volker Weispfenning (1993)
  • 비가환 대수학/Noncommutative Algebra영어, Benson Farb, R. Keith Dennis (1993)
  • 대수적 K-이론과 그 응용/Algebraic K-Theory and Its Applications영어, Jonathan Rosenberg (1994)
  • 군의 이론 입문/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영어, Joseph J. Rotman (1995, 4판)
  • 가환대수 — 대수 기하학적 관점/Commutative Algebra —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영어, David Eisenbud (1995)
  • 양자군/Quantum Groups영어, Christian Kassel (1995)
  • 장론/Field Theory영어, Steven Roman (2006, 2판)
  • 군과 표현/Groups and Representations영어, J. L. Alperin, Rowen B. Bell (1995)
  • 순열군/Permutation Groups영어, John D. Dixon, Brian Mortimer (1996)
  • 체론 및 갈루아 이론/Field and Galois Theory영어, Patrick Morandi (1996)
  • 조합적 볼록성과 대수기하학/Combinatorial Convexity and Algebraic Geometry영어, Guenter Ewald (1996)
  • 행렬 분석/Matrix Analysis영어, Rajendra Bhatia (1997)
  • 대수 기하학 사용/Using Algebraic Geometry영어, David A. Cox, John Little, Donal O'Shea (2005, 2판)
  • 가군과 환에 대한 강의/Lectures on Modules and Rings영어, Tsit-Yuen Lam (1999)
  • 대수적 정수론의 문제/Problems in Algebraic Number Theory영어, M. Ram Murty, Jody Indigo Esmonde (2005, 2판)
  • 계산 정수론의 고급 주제/Advanced Topics in Computational Number Theory영어, (2000)
  • 기본 호몰로지 대수/Basic Homological Algebra영어, M. Scott Osborne (2000)
  • 스킴의 기하학/The Geometry of Schemes영어, Eisenbud, Joe Harris (2000)
  • 갈루아 이론/Galois Theory영어, Jean-Pierre Escofier (2001)
  • 대수적 그래프 이론/Algebraic Graph Theory영어, Chris Godsil, Gordon Royle (2001)
  • ''Algebra'', Serge Lang (2002, Revised 3rd ed)
  • 대수 함수와 사영 곡선/Algebraic Functions and Projective Curves영어, David M. Goldschmidt, (2003)
  • 조합적 가환대수/Combinatorial Commutative Algebra영어, Ezra Miller, Bernd Sturmfels, (2005)
  • Syzygy의 기하학 – 대수 기하학 및 가환 대수 제2 과정/The Geometry of Syzygies – A Second Course in Algebraic Geometry and Commutative Algebra영어, David Eisenbud (2005)
  • 추상 대수/Abstract Algebra영어, Grillet, Pierre Antoine, (2007)
  • 군론의 위상적 방법/Topological Methods in Group Theory영어, Geoghegan, Ross, (2007)
  • 가환 바나흐 대수 강의/A Course in Commutative Banach Algebras영어, Kaniuth, Eberhard, (2008)
  • 브레이드 군/Braid Groups영어, Kassel, Christian, Turaev, Vladimir, (2008)
  • 건물 이론과 응용/Buildings Theory and Applications영어, Abramenko, Peter, Brown, Ken (2008)
  • 유한 단순군/The Finite Simple Groups영어, Robert A. Wilson (2009)
  • 대수적 함수 체 및 부호/Algebraic Function Fields and Codes영어, , (2009, 2판)
  • 대칭, 표현, 불변량/Symmetry, Representations, and Invariants영어, Goodman, Roe, Wallach, Nolan R., (2009)
  • 가환대수 강의/A Course in Commutative Algebra영어, Kemper, Gregor, (2010)
  • 변형 이론/Deformation Theory영어, Robin Hartshorne, (2010)
  • 단항식 아이디얼/Monomial Ideals영어, Jürgen Herzog, Hibi Takayuki(2010)
  • 대수의 기본 표현 이론/Basic Representation Theory of Algebras영어, Ibrahim Assem, Flávio U Coelho (2020)
  • 사원수 대수/Quaternion Algebras영어, John Voight (2020)
  • 수리 논리학/Mathematical Logic영어, Heinz-Dieter Ebbinghaus, Jörg Flum, Wolfgang Thomas (2021, 3판)
  • 공리적 집합론 입문/Introduction to Axiomatic Set Theory영어, Gaisi Takeuti (1982, 2판)
  • 환과 가군 범주/Rings and Categories of Modules영어, Frank W. Anderson, Kent R. Fuller (1992, 2판)
  • 체의 구조/The Structure of Fields영어, David J. Winter (1974)
  • 대수적 이론/Algebraic Theories영어, Ernest G. Manes (1976)
  • 추상 대수 강의 I: 기본 개념/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 Basic Concepts영어, Nathan Jacobson (1976)
  • 추상 대수 강의 II: 선형대수/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I: Linear Algebra영어, Nathan Jacobson (1984)
  • 추상 대수 강의 III: 체 및 갈루아 이론/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II: Theory of Fields and Galois Theory영어, Nathan Jacobson (1976)
  • 갈루아 이론/Galois Theory영어, Harold M. Edwards (1984)
  • 결합 대수/Associative Algebras영어, R. S. Pierce (1982)
  • 비가환 환에 대한 첫 번째 과정/A First Course in Noncommutative Rings영어, T. Y. Lam (2001, 2판)
  • 대수 - 가군 이론을 통한 접근/Algebra - An Approach via Module Theory영어, William Adkins, Steven Weintraub (1992)
  • 보편 대수 과정/A Course in Universal Algebra영어, Burris, Stanley and Sankappanavar, H. P. ([http://www.math.uwaterloo.ca/~snburris/htdocs/ualg.html 온라인]) (1981)

3. 1. 대수학


  • ''호몰로지 대수학 강의'', 피터 힐턴 , Urs Stammbach (1997, 2nd ed., )
  • ''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 손더스 매클레인 (1998, 2nd ed., )
  • ''A Course in Arithmetic'', 장피에르 세르 (1996, )
  • ''Introduction to Lie Algebras and Representation Theory'', James E. Humphreys (1997, )
  • ''Rings and Categories of Modules'', Frank W. Anderson, Kent R. Fuller (1992, 2nd ed., )
  • ''The Structure of Fields'', David J. Winter, (1974, )
  • ''Linear Algebraic Groups'', James E. Humphreys (1975, )
  • ''An Algebraic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Donald W. Barnes, John M. Mack (1975, )
  • ''Algebraic Theories'', Ernest G. Manes, (1976, )
  • ''Commutative Algebra I'', 오스카 자리스키, Pierre Samuel (1975, )
  • ''Commutative Algebra II'', 오스카 자리스키, Pierre Samuel (1975, )
  • ''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 Basic Concepts'', Nathan Jacobson (1976, )
  • ''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I: Linear Algebra'', Nathan Jacobson (1984, )
  • ''Lectures in Abstract Algebra III: Theory of Fields and Galois Theory'', Nathan Jacobson (1976, )
  • ''An Invitation to C^*-Algebras'', William Arveson (1976, )
  • ''Linear Representations of Finite Groups'', 장피에르 세르, Leonhard L. Scott (1977, )
  • ''Fermat's Last Theorem: A Genetic Introduction to Algebraic Number Theory'', Harold M. Edwards (2000, )
  • ''Algebraic Geometry'', 로빈 하츠혼 (2010, )
  • ''Fundamentals of the Theory of Groups'', M. I. Kargapolov, J. I. Merzljakov (1979, )
  • ''Introduction to Affine Group Schemes'', W. C. Waterhouse (1979, )
  • ''Algebra'', Thomas W. Hungerford (1974, )
  • ''Basic Theory of Algebraic Groups and Lie Algebras'', G. P. Hochschild (1981, )
  • ''Algebraic Geometry – An Introduction to Birational Geometry of Algebraic Varieties'', Shigeru Iitaka (1982, )
  • ''Lectures on the Theory of Algebraic Numbers'', E. T. Hecke (1981, )
  • ''A Course in Universal Algebra'', Burris, Stanley and Sankappanavar, H. P. ([http://www.math.uwaterloo.ca/~snburris/htdocs/ualg.html Online]) (1981 )
  • ''A Course in the Theory of Groups'', (1996, 2nd ed., )
  • ''Associative Algebras'', R. S. Pierce (1982, )
  • ''Introduction to Algebraic and Abelian Functions'', 서지 랭 (1982, 2nd ed., )
  • ''Galois Theory'', Harold M. Edwards (1984, )
  • ''Lie Groups, Lie Algebras, and Their Representations'', V. S. Varadarajan (1984, )
  • ''Algebraic Number Theory'', 서지 랭 (1994, 2nd ed., )
  • ''Algebraic Groups and Class Fields'', 장피에르 세르 (1988, )
  • ''Linear Algebraic Groups'', Armand Borel (1991, )
  • ''A First Course in Noncommutative Rings'', T. Y. Lam (2001, 2nd ed., )
  • ''Algebra — An Approach via Module Theory'', William Adkins, Steven Weintraub (1992, )
  • ''A Course in Computational Algebraic Number Theory'', Henri Cohen (1996, )
  • ''Gröbner Bases — A Computational Approach to Commutative Algebra'', Thomas Becker, Volker Weispfenning (1993, )
  • ''Noncommutative Algebra'', Benson Farb, R. Keith Dennis (1993, )
  • ''Algebraic K-Theory and Its Applications'', Jonathan Rosenberg (1994, )
  •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Joseph J. Rotman (1995, 4th ed., )
  • ''Commutative Algebra —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 David Eisenbud (1995, )
  • ''Quantum Groups'', Christian Kassel (1995, )
  • ''Field Theory'', Steven Roman (2006, 2nd ed., )
  • ''Groups and Representations'', J. L. Alperin, Rowen B. Bell (1995, )
  • ''Permutation Groups'', John D. Dixon, Brian Mortimer (1996, )
  • ''Field and Galois Theory'', Patrick Morandi (1996, )
  • ''Combinatorial Convexity and Algebraic Geometry'', Guenter Ewald (1996, )
  • ''Matrix Analysis'', Rajendra Bhatia (1997, )
  • ''Using Algebraic Geometry'', David A. Cox, John Little, Donal O'Shea (2005, 2nd ed., )
  •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Tsit-Yuen Lam (1999, )
  • ''Problems in Algebraic Number Theory'', M. Ram Murty, Jody Indigo Esmonde (2005, 2nd ed., )
  • ''Advanced Topics in Computational Number Theory'', (2000, )
  • ''Basic Homological Algebra'', M. Scott Osborne (2000, )
  • ''The Geometry of Schemes'', Eisenbud, Joe Harris (2000, )
  • ''Galois Theory'', Jean-Pierre Escofier (2001, )
  • ''Algebraic Graph Theory'', Chris Godsil, Gordon Royle (2001, )
  • ''Algebra'', 서지 랭 (2002, Revised 3rd ed, )
  • ''Algebraic Functions and Projective Curves'', David M. Goldschmidt, (2003, )
  • ''Combinatorial Commutative Algebra'', Ezra Miller, Bernd Sturmfels, (2005, )
  • ''The Geometry of Syzygies – A Second Course in Algebraic Geometry and Commutative Algebra'', David Eisenbud (2005, )
  • ''Abstract Algebra'', Grillet, Pierre Antoine, (2007, )
  • ''Topological Methods in Group Theory'', Geoghegan, Ross, (2007, )
  • ''A Course in Commutative Banach Algebras'', Kaniuth, Eberhard, (2008, )
  • ''Braid Groups'', Kassel, Christian, Turaev, Vladimir, (2008, )
  • ''Buildings Theory and Applications'', Abramenko, Peter, Brown, Ken (2008, )
  • ''The Finite Simple Groups'', Robert A. Wilson (2009, )
  • ''Algebraic Function Fields and Codes'', , (2009, 2nd ed., )
  • ''Symmetry, Representations, and Invariants'', Goodman, Roe, Wallach, Nolan R., (2009, )
  • ''A Course in Commutative Algebra'', Kemper, Gregor, (2010, )
  • ''Deformation Theory'', Robin Hartshorne, (2010, )
  • ''Monomial Ideals'', Jürgen Herzog, Hibi Takayuki(2010, )
  • ''Basic Representation Theory of Algebras'', Ibrahim Assem, Flávio U Coelho (2020, )
  • ''Quaternion Algebras'', John Voight (2020, )
  • ''Mathematical Logic'', Heinz-Dieter Ebbinghaus, Jörg Flum, Wolfgang Thomas (2021, 3rd ed. )
  • ''공리적 집합론 입문'', 다케우치 가이시 (Gaisi Takeuti), Wilson M. Zaring (1982, 2판, )

#''환과 가군 범주'', Frank W. 앤더슨, Kent R. 풀러 (1992, 2판, )

#''의 구조'', 데이비드 J. 윈터 (David J. Winter) (1974, )

#''대수적 이론'', 어니스트 G. 매니스 (Ernest G. Manes) (1976, )

#''추상 대수 강의 I: 기본 개념'', 네이선 제이콥슨(Nathan Jacobson) (1976, )

#''추상 대수 강의 II: 선형 대수'', 네이선 제이콥슨(Nathan Jacobson) (1984, )

#''추상 대수 강의 III: 갈루아 이론 이론'', 네이선 제이콥슨(Nathan Jacobson) (1976, )

#''갈루아 이론'', 해롤드 에드워즈 (수학자)(Harold M. Edwards) (1984, )

#''결합 대수'', R. S. 피어스 (1982, )

#''갈루아 이론'', 해롤드 에드워즈 (수학자)(Harold M. Edwards) (1984, )

#''비가환 환에 대한 첫 번째 과정'', T. Y. 람(T. Y. Lam) (2001, 2판, )

#''대수 - 가군 이론을 통한 접근'', 윌리엄 애드킨스, 스티븐 바인트라우프 (1992, )

#''보편 대수 과정'', 버리스, 스탠리 및 산카파나바르, H. P. ([http://www.math.uwaterloo.ca/~snburris/htdocs/ualg.html 온라인]) (1981 )

#''결합 대수'', R. S. 피어스 (1982, )

3. 1. 1. 추상대수학

(내용 없음)

3. 1. 2. 선형대수학

(내용 없음)

3. 1. 3. 가환대수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요약 및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다.)

3. 1. 4. 비가환대수

(원본 소스와 요약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5. 대수적 정수론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음)

3. 1. 6. 표현론

(원본 소스와 요약 내용이 없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7. 군론

(내용 없음)

3. 1. 8. 체론 및 갈루아 이론

체론 및 갈루아 이론에 대한 내용은 현재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9. 대수적 K이론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

3. 2. 해석학

다음은 해석학 분야의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도서 목록이다.

  • ''공리적 집합론 입문'', 다케우치 가이시, Wilson M. Zaring (1982, 2판)
  • ''측도와 범주 - 위상 공간과 측도 공간의 유추 조사'', 존 C. 옥스토비(John C. Oxtoby) (1980, 2판)
  • ''위상 벡터 공간'', 헬무트 H. 셰퍼(H. H. Schaefer), M. P. 울프 (1999, 2판)
  • ''복소 변수 함수 I'', 존 B. 콘웨이(John B. Conway) (1978, 2판)
  • ''고등 수학 분석'', 리처드 빌스 (수학자)(Richard Beals) (1973)
  • ''함수 해석 및 작용소론 강의'', 스털링 K. 버베리안 (1974)
  • ''측도론'', 폴 R. 할모스(Paul R. Halmos) (1974)
  • ''힐베르트 공간 문제집'', 폴 R. 할모스(Paul R. Halmos) (1982, 2판)
  • ''실해석과 추상해석'', 에드윈 휴이트(Edwin Hewitt), 칼 스트롬버그 (1975)
  • ''여러 복소 변수와 바나흐 대수'', 허버트 알렉산더, 존 베르머(John Wermer) (1998, 3판)
  • ''여러 복소 변수'', 한스 그라우어트(H. Grauert), K. 프리츠셰 (1976)
  • ''C^*-대수에 대한 초대'', 윌리엄 아베슨(William Arveson) (1976)
  • ''정수론의 모듈러 함수와 디리클레 급수'', 톰 M. 아포스톨(Tom M. Apostol) (1989, 2판)
  • ''확률론 I'', 미셸 로에브(M. Loève) (1977, 4판)
  • ''확률론 II'', 미셸 로에브(M. Loève) (1978, 4판)
  • ''복소 다양체에 대한 미분 해석'', 레이먼드 O. 웰스 주니어(Raymond O. Wells, Jr.) (2008, 3판)
  • ''국소체'', 장피에르 세르(Jean-Pierre Serre) (1979)
  • ''힐베르트 공간의 선형 연산자'', (1980)
  • ''리만 곡면'', , 어윈 크라(Irwin Kra) (1992, 2판)
  • ''함수해석 과정'', 존 B. 콘웨이(John B. Conway) (2007, 2판)
  • ''복소 해석'', 세르주 랭(Serge Lang) (1999, 4판)
  • ''여러 복소 변수에서 정형 함수 및 적분 표현'', R. 마이클 레인지 (1986)
  • ''단일가 함수 및 테히뮐러 공간'', 올리 레흐토(O. Lehto) (1987)
  • ''측도 및 적분 - 1권'', 존 L. 켈리(John L. Kelley), T.P. 스리니바산 (1988)
  • ''지금 분석'', 게르트 K. 페데르센 (1989)
  • ''복소 함수 이론'', 라인홀트 렘머트(Reinhold Remmert) (1991)
  • ''복소 변수 - 입문'', 카를로스 A. 베렌슈타인, 로저 게이 (1991)[4]
  • ''조화 함수론'', 셸던 악슬러, 폴 부르동, 웨이드 레이미 (2001, 2판)
  • ''실수 및 함수 해석학'', 세르주 랭 (1993, 3판)
  • ''푸리에 급수 - 현대적 입문 1권'', R. E. 에드워즈 (1979, 2판)
  • ''푸리에 급수 – 현대적 소개 2권'', R. E. 에드워즈 (1982, 2판)
  • ''확률 과정'', 머레이 로젠블라트(Murray Rosenblatt) (1974)
  • ''바나흐 공간의 수열과 급수'', J. 디스텔 (1984)
  • ''브라운 운동 및 확률 미적분'', 이오아니스 카라차스, 스티븐 E. 슈리브(Steven Shreve) (2000, 2판)

3. 2. 1. 실해석학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2. 복소해석학

(내용 없음)

3. 2. 3. 함수해석학

함수해석학 관련 내용이 `summary`와 `source`에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2. 4. 미분방정식

(내용 없음)

3. 2. 5. 조화해석학

(내용 없음)

3. 2. 6. 측도론

측도론과 관련된 내용은 주어진 자료에 없습니다.

3. 2. 7. 확률론 및 확률과정

확률론 및 확률과정 관련 내용이 'summary'와 'source'에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8. 수치해석

(내용 없음)

3. 3. 기하학 및 위상수학

모리스 허쉬의 ''미분 위상수학''(1976, )

에드윈 E. 모이세의 ''2차원과 3차원의 기하학적 위상수학''(1977, )

윌리엄 클링겐베르크의 ''미분 기하학 강의''(1983, )

로빈 하츠혼의 ''대수 기하학''(2010, )

윌리엄 S. 매시의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1977, )

리차드 H. 크로우웰과 랄프 H. 폭스의 ''매듭 이론 입문''(1977, )

조지 W. 화이트헤드의 ''호모토피 이론의 요소''(1978, )

벨라 볼로바스의 ''그래프 이론 – 입문 과정''(1979, )

레이먼드 O. 웰스 주니어의 ''복소 다양체에 대한 미분 해석''(2008, 3rd ed., )

윌리엄 S. 매시의 ''특이 호몰로지 이론''(1980, )

존 스틸웰의 ''고전 위상수학과 조합 군론''(1980, 2ed 1993, )

이타카 시게루의 ''대수 기하학 – 대수적 다양체의 유리 기하학에 대한 입문''(1982, )

라울 보트와 로링 W. 투의 ''대수적 위상수학의 미분 형식''(1982, )

글렌 E. 브레돈의 ''위상수학 및 기하학''(1993, )

데이비드 아이젠버드의 ''가환대수 – 대수 기하학적 관점''(1995, )

윌리엄 풀턴의 ''대수적 위상수학 – 첫걸음''(1995, )

R. W. 샤프의 ''미분 기하학 – 카르탕의 클라인 에를랑겐 프로그램 일반화''(1997, )

귄터 M. 지글러의 ''폴리토프 강의''(1995, )

조 해리스와 이안 모리슨의 ''곡선 모듈라이''(1998, )

존 M. 리의 ''리만 다양체 입문''(2018, 2nd ed., )[22]

피터 페터슨의 ''리만 기하학''(2016, 3rd ed., )

존 G. 래트클리프의 ''쌍곡면 다양체의 기초''(2019, 3rd ed., )

W. B. 레이먼드 리커리쉬의 ''매듭 이론 입문''(1997, )

마르셀 베르제와 베르나르 고스티옥스의 ''미분 기하학: 다양체, 곡선 및 곡면''(1988, )

조셉 J. 로트먼의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1988, )

프랭크 W. 워너의 ''미분 가능 다양체와 리 군의 기초''(1983, )

세르주 랭의 ''미분 및 리만 다양체''(1995, )

로스 지오게건의 ''군론의 위상적 방법''(2007, )

윌리엄 S. 매시의 ''대수적 위상수학 기본 강의''(1991, )

아나톨리 포멘코와 드미트리 푹스의 ''상동성 위상수학''(2016, 2nd ed., )

로링 W. 투의 ''미분 기하학 – 접속, 곡률, 특성류''(2017, )

스티븐 바인트라우프의 ''기본 대수적 위상수학''(2014, )

로랑 G. 막심의 ''교차 호몰로지 및 특이점에 대한 응용과 함께 퍼버스 묶음''(2019, )

다니엘 허그와 볼프강 바일의 ''볼록 기하학 강의''(2020, )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 세르게이 노비코프의 ''현대 기하학 — 방법과 응용 2부: 다양체의 기하학과 위상수학''(1985, )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 세르게이 노비코프의 ''현대 기하학 — 방법과 응용 3부: 호몰로지 이론 입문''(1990, )

월셥, G.의 ''미분 기하학의 미터법 구조''(2004, )

스티븐 G. 크랜츠의 ''버그만 핵 및 메트릭의 기하학적 분석''(2013, )

존 M. 리의 ''위상 다양체 입문''(2011, 2nd ed., )

존 M. 리의 ''매끄러운 다양체 입문''(2012, 2nd ed., )

제트 네스트루에프의 ''매끄러운 다양체와 관측 가능량''(2020, 2nd ed., )

브랑코 그륀바움의 ''볼록 다포체''(2003, 2nd ed., )

3. 3. 1. 미분기하학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3. 2. 대수기하학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3. 3. 위상수학

(내용 없음)

3. 3. 4. 다양체론

(내용 없음)

3. 3. 5. 호몰로지 이론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3. 6. 호모토피 이론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4. 정수론


  • Jean-Pierre Serre의 ''A Course in Arithmetic''(1996, )
  • Tom M. Apostol의 ''Modular Functions and Dirichlet Series in Number Theory''(1989, 2nd ed., )
  • Harold M. Edwards의 ''Fermat's Last Theorem: A Genetic Introduction to Algebraic Number Theory''(2000, )
  • Neal Koblitz의 ''p-adic Numbers, p-adic Analysis, and Zeta-Functions''(1984, 2nd ed., )
  • Serge Lang의 ''Cyclotomic Fields''(1978, )[17]
  • V. I. Arnold, A. Weinstein, K. Vogtmann의 ''Mathematical Methods of Classical Mechanics''(1989, 2nd ed., )
  • Harold Davenport, Hugh Montgomery의 ''Multiplicative Number Theory''(2000, 3rd ed., )
  • Lawrence C. Washington의 ''Introduction to Cyclotomic Fields''(1997, 2nd ed., )
  • Kenneth Ireland, Michael Rosen의 ''A Classical Introduction to Modern Number Theory''(1990, 2nd ed., )
  • Serge Lang의 ''Cyclotomic Fields II''(1980, )
  • Serge Lang의 ''Algebraic Number Theory''(1994, 2nd ed., )
  • Dale Husemöller의 ''Elliptic Curves''(2004, 2nd ed., )
  • Serge Lang의 ''Elliptic Functions''(1987, 2nd ed., )
  • Neal Koblitz의 ''A Course in Number Theory and Cryptography''(1994, 2nd ed., )
  • Serge Lang의 ''Cyclotomic Fields I and II''(1990, Combined 2nd ed. )[18]
  • M. Ram Murty, Jody Indigo Esmonde의 ''Problems in Algebraic Number Theory''(2005, 2nd ed., )
  • 의 ''Advanced Topics in Computational Number Theory''(2000, )
  • Melvyn B. Nathanson의 ''Elementary Methods in Number Theory''(2000, )
  • Alain M. Robert의 ''A Course in p-adic Analysis''(2000, )
  • Marc Hindry, Joseph H. Silverman의 ''Diophantine Geometry''(2000, )
  • M. Ram Murty의 ''Problems in Analytic Number Theory''(2007, 2nd ed., )
  • Michael Rosen의 ''Number Theory in Function Fields''(2002, )
  • David M. Goldschmidt의 ''Algebraic Functions and Projective Curves''(2003, )
  • Joseph H. Silverman의 ''The Arithmetic of Elliptic Curves''(2009, 2nd ed., )
  • Fred Diamond, J. Shurman의 ''A First Course in Modular Forms''(2006, )
  • Everest, Graham., Ward, T.의 ''An Introduction to Number Theory''(2005, )
  • 의 ''Number Theory — Volume I: Tools and Diophantine Equations''(2007, )
  • 의 ''Number Theory — Volume II: Analytic and Modern Tools''(2007, )
  • Joseph H. Silverman의 ''The Arithmetic of Dynamical Systems''(2007, )
  • Donald J. Newman의 ''Analytic Number Theory''(1998, )
  • Melvyn B. Nathanson의 ''Additive Number Theory The Classical Bases''(1996, )
  • Melvyn B. Nathanson의 ''Additive Number Theory: Inverse Problems and the Geometry of Sumsets''(1996, )
  • David A. Cox, John Little, Donal O'Shea의 ''Using Algebraic Geometry''(2005, 2nd ed., )
  • Dinakar Ramakrishnan, Robert J. Valenza의 ''Fourier Analysis on Number Fields''(1999, )
  • Henri Cohen의 ''A Course in Computational Algebraic Number Theory''(1996, )
  • Joseph H. Silverman의 ''Advanced Topics in the Arithmetic of Elliptic Curves''(1994, )[20]
  • Jean-Pierre Serre의 ''Algebraic Groups and Class Fields''(1988, )

3. 4. 1. 초등정수론

(내용 없음)

3. 4. 2. 해석적 정수론

아무런 내용이 없으므로, 해석적 정수론에 대해서는 아무런 내용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3. 4. 3. 대수적 정수론

(내용 없음)

3. 4. 4. 계산 정수론

계산 정수론에 대한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ummary` 또는 `source`에 내용이 있어야 작성이 가능합니다.

3. 5. 응용수학

다음은 응용수학 분야의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도서 목록이다.

  • ''공리적 집합론 입문'', 다케우치 가이시(Gaisi Takeuti), Wilson M. Zaring (1982, 2판)
  • ''측도와 범주 - 위상 공간과 측도 공간의 유추 조사'', 존 C. 옥스토비(John C. Oxtoby) (1980, 2판)
  • ''위상 벡터 공간'', 헬무트 H. 셰퍼(H. H. Schaefer), M. P. 울프 (M. P. Wolff) (1999, 2판)
  • ''호몰로지 대수 과정'', 피터 힐턴(Peter Hilton), Urs Stammbach (1997, 2판)
  • ''일하는 수학자를 위한 범주론'', 사운더스 매클레인(Saunders Mac Lane) (1998, 2판)
  • ''사영 평면'', Daniel R. 휴즈, Fred C. 파이퍼 (1982)
  • ''산술 과정'', 장피에르 세르(Jean-Pierre Serre) (1996)
  • ''공리적 집합론'', 다케우치 가이시(Gaisi Takeuti), Wilson M. Zaring, (1973)
  • ''리 대수표현론 입문'', 제임스 E. 험프리(James E. Humphreys) (1997)
  • ''단순-호모토피 이론 과정'', 마셜 M. 코헨 (Marshall. M. Cohen) (1973)
  • ''복소 변수 함수 I'', 존 B. 콘웨이(John B. Conway) (1978, 2판)
  • ''고등 수학 분석'', 리처드 빌스 (수학자)(Richard Beals) (1973)
  • ''환과 가군 범주'', Frank W. 앤더슨, Kent R. 풀러 (1992, 2판)
  • ''안정 사상과 그 특이점'', 마틴 골루비츠키(Martin Golubitsky), 빅터 길레민(Victor Guillemin) (1974)
  • ''함수 해석 및 작용소론 강의'', 스털링 K. 버베리안 (Sterling K. Berberian) (1974)
  • ''의 구조'', 데이비드 J. 윈터 (David J. Winter) (1974)
  • ''확률 과정'', 머레이 로젠블라트(Murray Rosenblatt) (1974)
  • ''측도론'', 폴 R. 할모스(Paul R. Halmos) (1974)
  • ''힐베르트 공간 문제집'', 폴 R. 할모스(Paul R. Halmos) (1982)
  • ''올다발'', 데일 휴세몰러(Dale Husemoller) (1994, 3판)
  • ''선형 대수적 군'', 제임스 E. 험프리(James E. Humphreys) (1998)
  • ''수학 논리에 대한 대수적 입문'', 도널드 W. 반스, 존 M. 맥 (1975)
  • ''선형 대수'', 베르너 H. 그로브 (Werner H. Greub) (1981)
  • ''기하학적 함수해석과 그 응용'', 리처드 B. 홈스 (Richard B. Holmes) (1975)
  • ''실해석과 추상해석'', 에드윈 휴이트(Edwin Hewitt), 칼 스트롬버그 (Karl Stromberg) (1975)
  • ''대수적 이론'', 어니스트 G. 매니스 (Ernest G. Manes) (1976)
  • ''일반 위상 수학'', 존 L. 켈리(John L. Kelley) (1975)
  • ''가환 대수 I'', 오스카 자리스키(Oscar Zariski), 피에르 사뮈엘(Pierre Samuel) (1975)
  • ''가환 대수 II'', 오스카 자리스키(Oscar Zariski), 피에르 사뮈엘(Pierre Samuel) (1975)
  • ''추상 대수 강의 I: 기본 개념'', 네이선 제이콥슨(Nathan Jacobson) (1976)
  • ''추상 대수 강의 II: 선형 대수'', 네이선 제이콥슨(Nathan Jacobson) (1984)
  • ''추상 대수 강의 III: 갈루아 이론 이론'', 네이선 제이콥슨(Nathan Jacobson) (1976)
  • ''미분 위상수학'', 모리스 W. 허쉬(Morris W. Hirsch) (1976)
  • ''확률 보행의 원리'', 프랭크 스피처(Frank Spitzer) (2001)
  • ''여러 복소 변수와 바나흐 대수'', 허버트 알렉산더, 존 베르머(John Wermer) (1998, 3판)
  • ''선형 위상 공간'', 존 L. 켈리(John L. Kelley), 이사크 나미오카(Isaac Namioka) (1982)
  • ''수학 논리'', J. 도널드 몽크 (J. Donald Monk) (1976)
  • ''여러 복소 변수'', 한스 그라우어트(H. Grauert), K. 프리츠셰 (K. Fritzsche) (1976)
  • ''C*-대수에 대한 초대'', 윌리엄 아베슨(William Arveson) (1976)
  • ''가산 마르코프 체인'', 존 G. 케메니(John G. Kemeny), J. 로리 스넬(J. Laurie Snell), 앤서니 W. 냅(Anthony W. Knapp), D.S. 그리피스 (D.S. Griffeath) (1976)
  • ''모듈러 함수와 디리클레 급수 in Number Theory'', 톰 M. 아포스톨(Tom M. Apostol) (1989, 2판)
  • ''유한군의 선형 표현'', 장피에르 세르(Jean-Pierre Serre), 레온하르트 L. 스콧 (Leonhard L. Scott) (1977)
  • ''연속 함수의 환'', 레너드 길먼(Leonard Gillman), 마이어 제리슨(Meyer Jerison) (1976)
  • ''기초 대수 기하학'', 키스 켄디그 (Keith Kendig) (1977)[1]
  • ''확률론 I'', 미셸 로에브(M. Loève) (1977, 4판)
  • ''확률론 II'', 미셸 로에브(M. Loève) (1978, 4판)
  • ''2차원과 3차원의 기하학적 위상수학'', 에드윈 E. 모이즈(Edwin E. Moise) (1977)
  • ''수학자를 위한 일반 상대성 이론'', 라이너 K. 작스(R. K. Sachs), H. 우 (H. Wu) (1983)
  • ''선형 기하학'', K. W. 그룬버그, A. J. 웨어 (2010)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대수적 정수론에 대한 유전적 소개'', 해럴드 M. 에드워즈(Harold M. Edwards) (2000)
  • ''미분 기하학 과정'', 윌리엄 클린겐베르크, D. 호프만 (1983)
  • ''대수 기하학'', 로빈 하츠혼(Robin Hartshorne) (2010)
  • ''수학자를 위한 수학 논리 과정'', 유리 I. 마닌(Yu. I. Manin), 보리스 질버(Boris Zilber) (2009, 2판)
  • ''그래프 이론에 중점을 둔 조합론'', 마크 E. 왓킨스, 잭 E. 그레이버 (1977)
  • ''작용소론 입문 I: 함수해석의 요소'', 알렌 브라운, 칼 페어시 (1977)
  •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 윌리엄 S. 매시(William S. Massey) (1977)
  • ''매듭 이론 입문'', 리처드 H. 크로웰, 랄프 H. 폭스(Ralph H. Fox) (1977)
  • ''p진수'', 닐 코블리츠(Neal Koblitz) (1984, 2판)
  • ''사이클로토믹 체'', 세르주 랭(Serge Lang) (1978)[2]
  • ''고전역학의 수학적 방법'', 블라디미르 아르놀트(V. I. Arnold), 앨런 와인스타인(A. Weinstein), 카렌 보그트만(K. Vogtmann) (1989, 2판)
  • ''호모토피 이론의 요소'', 조지 W. 화이트헤드(George W. Whitehead) (1978)
  • ''군 이론의 기초'', M. I. 카르가폴로프, J. I. 메르즈랴코프 (1979)
  • ''그래프 이론 - 입문 과정'', 벨라 볼로바스(Béla Bollobás) (1979)
  • ''푸리에 급수 - 현대적 입문 1권'', 로버트 에드먼드 에드워즈(R. E. Edwards) (1979, 2판)
  • ''복소 다양체에 대한 미분 해석'', 레이먼드 O. 웰스 주니어(Raymond O. Wells, Jr.) (2008, 3판)
  • ''아핀 군 스킴 입문'', W. C. 워터하우스(W. C. Waterhouse) (1979)
  • ''국소체'', 장피에르 세르(Jean-Pierre Serre) (1979)
  • ''힐베르트 공간의 선형 연산자'', (1980)
  • ''사이클로토믹 체 II'', 세르주 랭(Serge Lang) (1980)
  • ''특이 호몰로지 이론'', 윌리엄 S. 매시(William S. Massey) (1980)
  • ''리만 곡면'', , 어윈 크라(Irwin Kra) (1992, 2판)
  • ''고전 위상수학 및 조합론적 군 이론'', 존 스틸웰(John Stillwell) (1980, 2판 1993)
  • ''대수'', 토마스 W. 헝거포드(Thomas W. Hungerford) (1974)
  • ''곱셈적 정수론'', 해럴드 데이븐포트(Harold Davenport), 휴 몽고메리 (수학자)(Hugh Montgomery) (2000, 3판)
  • ''대수적 군 및 리 대수의 기본 이론'', G. P. 호흐쉴트(G. P. Hochschild) (1981)
  • ''대수 기하학 - 대수적 다양체의 유리 기하학 입문'', 이이타카 시게루(Shigeru Iitaka) (1982)
  • ''대수적 수론 이론에 관한 강의'', 에리히 헤케(E. T. Hecke) (1981)
  • ''보편 대수 과정'', Burris, Stanley and Sankappanavar, H. P. (1981)
  • ''에르고딕 이론 입문'', 피터 월터스 (1982)
  • ''군 이론 과정'', (1996, 2판)
  • ''리만 곡면에 관한 강의'', (1981)
  • ''대수적 위상수학의 미분 형식'', 라울 보트(Raoul Bott), 로링 W. 투 (Loring W. Tu) (1982)
  • ''사이클로토믹 체 입문'', 로렌스 C. 워싱턴(Lawrence C. Washington) (1997, 2판)
  • ''현대 정수론에 대한 고전적 입문'', 케네스 아일랜드, 마이클 로젠 (수학자)(Michael Rosen) (1990, 2판)
  • ''푸리에 급수 - 현대적 입문 2권'', 로버트 에드먼드 에드워즈(R. E. Edwards) (1982, 2판)
  • ''부호 이론 입문'', 잭 반 린트(J. H. van Lint) (1998, 3판)
  • ''군의 코호몰로지'', 케네스 브라운 (수학자)(Kenneth S. Brown) (1982)
  • ''결합 대수'', R. S. 피어스 (1982)
  • ''대수 및 아벨 함수 입문'', 세르주 랭(Serge Lang) (1982, 2판)
  • ''볼록 다면체 입문'', 아르네 브론드스테드 (Arne Brondsted) (1983)
  • ''이산군의 기하학'', (1983, 2판, 1995)
  • ''바나흐 공간의 수열과 급수'', J. 디스텔 (1984)
  • ''현대 기하학 - 방법 및 응용 1부: 곡면의 기하학, 변환군, 필드'',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Anatoly Timofeevich Fomenko), 세르게이 노비코프 (수학자)(Sergei Novikov) (1992, 2판)
  • ''미분 가능 다양체 및 리 군의 기초'', (1983)
  • ''확률-1'', 알베르트 시르야예프(Albert N. Shiryaev) (2016, 3판)
  • ''확률-2'', 알베르트 시르야예프(Albert N. Shiryaev) (2019, 3판)
  • ''함수해석 과정'', 존 B. 콘웨이(John B. Conway) (2007, 2판)
  • ''타원 곡선 및 모듈러 형식 입문'', 닐 코블리츠(Neal I. Koblitz) (1993, 2판)
  • ''콤팩트 리 군의 표현'', , 탐모 톰 디엑(Tammo tom Dieck) (1985)
  • ''유한 반사군'', L.C. 그로브, C.T. 벤슨 (1985, 2판)
  • ''반군에 대한 조화 해석 - 양의 정부호 함수 및 관련 함수 이론'', 크리스티안 베르크, 옌스 페터 레우스 크리스텐센, 폴 레셀 (1984)
  • ''갈루아 이론'', 해롤드 에드워즈 (수학자)(Harold M. Edwards) (1984)
  • ''리 군, 리 대수 및 그 표현'', 베라발리 S. 바라다라잔(V. S. Varadarajan) (1984)
  • ''복소 해석'', 세르주 랭(Serge Lang) (1999, 4판)
  • ''현대 기하학 - 방법 및 응용 2부: 다양체의 기하학 및 위상수학'',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Anatoly Timofeevich Fomenko), 세르게이 노비코프 (수학자)(Sergei Novikov) (1985)
  • ''SL''2(''R''), 세르주 랭(Serge Lang) (1985)
  • ''타원 곡선의 산술'', 조셉 H. 실버만(Joseph H. Silverman) (2009, 2판)
  • ''미분 방정식에 대한 리 군의 응용'', 피터 J. 올버(Peter J. Olver) (1993, 2판)
  • ''여러 복소 변수에서 정형 함수 및 적분 표현'', R. 마이클 레인지 (1986)
  • ''단일가 함수 및 테히뮐러 공간'', 올리 레흐토(O. Lehto) (1987)
  • ''대수적 수론'', 세르주 랭(Serge Lang) (1994, 2판)
  • ''타원 곡선'', (2004, 2판)
  • ''타원 함수'', 세르주 랭(Serge Lang) (1987, 2판)
  • ''브라운 운동 및 확률 미적분'', 이오아니스 카라차스, 스티븐 E. 슈리브(Steven Shreve) (2000, 2판)
  • ''수론 및 암호학 과정'', 닐 코블리츠(Neal Koblitz) (1994, 2판)
  • ''미분 기하학: 다양체, 곡선 및 곡면'', 마르셀 베르제(Marcel Berger), 베르나르 고스타욱스 (Bernard Gostiaux) (1988)
  • ''측도 및 적분 - 1권'', 존 L. 켈리(John L. Kelley), T.P. 스리니바산 (T.P. Srinivasan) (1988)
  • ''대수적 군과 체'', 장피에르 세르(Jean-Pierre Serre) (1988)
  • ''지금 분석'', 게르트 K. 페데르센 (1989)
  •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 조셉 J. 로트만 (Joseph J. Rotman) (1988)
  • ''약 미분 가능 함수 - 소볼레프 공간 및 유계 변동 함수'', 윌리엄 P. 지머 (William P. Ziemer) (1989)
  • ''사이클로토믹 체 I 및 II'', 세르주 랭(Serge Lang) (1990, 통합 2판)[3]
  • ''복소 함수 이론'', 라인홀트 렘머트(Reinhold Remmert) (1991)
  • ''수'', 하인츠-디터 에빙하우스 외 (Heinz-Dieter Ebbinghaus ''et al.'') (1990)
  • ''현대 기하학 - 방법 및 응용 3부: 호몰로지 이론 입문'',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Anatoly Timofeevich Fomenko), 세르게이 노비코프 (수학자)(Sergei Novikov) (1990)
  • ''복소 변수 - 입문'', 카를로스 A. 베렌슈타인, 로저 게이 (1991)[4]
  • ''선형 대수적 군'', 아르망 보렐(Armand Borel) (1991)
  • ''대수적 위상수학의 기본 과정'', 윌리엄 S. 매시(William S. Massey) (1991)
  • ''편미분 방정식'', 제프리 라우치(Jeffrey Rauch) (1991)
  • ''표현론'', 윌리엄 풀턴 (수학자)(William Fulton), 조 해리스 (수학자)(Joe Harris) (1991)
  • ''텐서 기하학 - 기하학적 관점과 그 용도'', 크리스토퍼 T. 도드슨, 티모시 포스톤 (1991, 2판)
  • ''비가환 환에 대한 첫 번째 과정'', T. Y. 람(T. Y. Lam) (2001, 2판)
  • ''유리 함수 반복 - 복소 해석적 역학계'', 앨런 F. 비어든 (Alan F. Beardon) (1991)
  • ''대수 기하학'', 조 해리스 (수학자)(Joe Harris) (1992)
  • ''부호 및 정보 이론'', 스티븐 로만(Steven Roman) (1992)
  • ''고등 선형대수'', 스티븐 로만(Steven Roman) (2008, 3판)
  • ''대수학 - 가군 이론을 통한 접근'', 윌리엄 애드킨스, 스티븐 윈트라웁 (1992)
  • ''조화 함수론'', 셸던 악슬러(Sheldon Axler), 폴 부르동, 웨이드 레이미 (2001, 2판)
  • ''계산 대수적 정수론 강의'', 앙리 코헨 (1996)
  • ''위상수학 및 기하학'', 글렌 E. 브레돈(Glen E. Bredon) (1993)
  • ''최적과 평형'', 장-피에르 오방 (1998, 2판)
  • ''그뢰브너 기저 - 가환 대수에 대한 계산적 접근'', 토마스 베커, 볼커 바이스펜닝 (1993)
  • ''실수 및 함수 해석학'', 세르주 랭(Serge Lang) (1993, 3판)
  • ''측도론'', 조셉 레오 둡(J. L. Doob) (1994)
  • ''비가환 대수학'', 벤슨 파브, R. 케이스 데니스(R. Keith Dennis) (1993)
  • ''호몰로지 이론 -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 제임스 W. 빅 (1994, 2판)
  • ''계산 가능성 - 수학적 스케치북'', 더글러스 S. 브리지스 (1994)
  • ''대수적 K-이론과 그 응용'', 조나단 로젠버그 (1994)
  • ''군의 이론 입문'', 조셉 J. 로트먼 (1995, 4판)
  • ''쌍곡면 다양체의 기초'', 존 G. 래트클리프 (2019, 3판)
  • ''가환대수 - 대수 기하학적 관점'', 데이비드 아이젠버드(David Eisenbud) (1995)
  • ''타원 곡선의 고급 주제'', 조셉 H. 실버만(Joseph H. Silverman) (1994)[5]
  • ''다포체 강의'', 귄터 M. 치글러(Günter M. Ziegler) (1995)
  • ''대수적 위상수학 - 첫 번째 과정'', 윌리엄 풀턴 (수학자)(William Fulton) (1995)
  • ''해석 입문'', 알렌 브라운, 칼 피어시(Carl Pearcy) (1995)
  • ''양자군'', 크리스티안 카셀 (Christian Kassel) (1995)
  • ''고전적 서술적 집합론'', 알렉산더 S. 케크리스(Alexander S. Kechris) (1995)
  • ''적분 및 확률'', 폴 말리아빈(Paul Malliavin) (1995)[6]
  • ''장론'', 스티븐 로만(Steven Roman) (2006, 2판)
  • ''복소 변수 함수 II'', 존 B. 콘웨이(John B. Conway) (1995)
  • ''미분 및 리만 다양체'', 세르주 랭(Serge Lang) (1995)
  • ''다항식 및 다항식 부등식'', 피터 보와인(Peter Borwein), 타마스 에르델리 (1995)
  • ''군과 표현'', J. L. 앨퍼린(J. L. Alperin), 로웬 B. 벨 (Rowen B. Bell) (1995)
  • ''순열군'', 존 D. 딕슨, 브라이언 모티머 (1996)
  • ''덧셈적 정수론: 고전적 기저'', 멜빈 B. 나탄슨(Melvyn B. Nathanson) (1996)
  • ''덧셈적 정수론: 역문제와 합집합의 기하학'', 멜빈 B. 나탄슨(Melvyn B. Nathanson) (1996)
  • ''미분 기하학 - 카르탕의 클라인 에를랑겐 프로그램 일반화'', R. W. 샤프 (1997)
  • ''장과 갈루아 이론'', 패트릭 모란디 (1996)
  • ''조합적 볼록성과 대수기하학'', 귄터 에발트 (1996)
  • ''행렬 분석'', 라젠드라 바티아(Rajendra Bhatia) (1997)
  • ''층 이론'', 글렌 E. 브레돈(Glen E. Bredon) (1997, 2판)
  • ''리만 기하학'', 피터 피터슨 (2016, 3판)
  • ''복소 함수론의 고전적 주제'', 라인홀트 렘머트(Reinhold Remmert) (1998)
  • ''그래프 이론'', 라인하르트 디스텔(Reinhard Diestel) (2017, 5판)
  • ''실수 및 추상 해석의 기초'', 더글러스 S. 브리지스 (1998)
  • ''매듭 이론 입문'', W. B. R. 리커리시(W. B. Raymond Lickorish) (1997)
  • ''리만 다양체 입문'', 존 M. 리 (2018, 2판)[7]
  • ''해석적 정수론'', 도널드 J. 뉴먼(Donald J. Newman) (1998)
  • ''비-매끄러움 해석 및 제어 이론'', 프랜시스 H. 클라크, 유리 S. 레드야예프, 로널드 J. 스턴, 피터 R. 볼렌스키 (1998)
  • ''바나흐 대수 기법의 작용소론'', 로널드 G. 더글러스(Ronald G. Douglas) (1998, 2판)
  • ''보렐 집합에 대한 과정'', S. M. 스리바스타바 (1998)
  • ''수치 해석'', 라이너 크레스 (1998)
  • ''상미분 방정식'', 볼프강 발터(Wolfgang Walter) (1998)
  • ''바나흐 공간 이론 입문'', 로버트 메긴슨(Robert E. Megginson) (1998)
  • ''현대 그래프 이론'', 벨라 볼로바스(Béla Bollobás) (1998)
  • ''대수 기하학 사용'', 데이비드 A. 콕스(David A. Cox), 존 리틀, 도널 오셔 (2005, 2판)
  • ''수체에 대한 푸리에 해석'', 디나카르 라마크리슈난, 로버트 J. 발렌차 (1999)
  • ''곡선의 모듈라이'', 조 해리스 (수학자)(Joe Harris), 이안 모리슨 (1998)
  • ''초실수에 대한 강의 - 비표준 해석 입문'', 로버트 골드블라트(Robert Goldblatt) (1998)
  • ''가군과 환에 대한 강의'', 치트위엔 람(Tsit-Yuen Lam) (1999)
  • ''대수적 정수론의 문제'', M. 램 머티(M. Ram Murty), 조디 인디고 에스몬드 (2005, 2판)
  • ''미분 기하학의 기초'', 세르주 랭(Serge Lang) (1999)
  • ''함수 해석의 요소'', 프랜시스 허쉬, 질 라콤 (1999)
  • ''계산 정수론의 고급 주제'', (2000)
  • ''선형 진화 방정식에 대한 1-매개변수 반군'', 클라우스-요헨 엥겔, 라이너 나겔 (2000)
  • ''정수론의 초등적 방법'', 멜빈 B. 나탄슨(Melvyn B. Nathanson) (2000)
  • ''기본 호몰로지 대수'', M. 스콧 오스본 (2000)
  • ''스킴의 기하학'', 데이비드 아이젠버드(Eisenbud), 조 해리스 (수학자)(Joe Harris) (2000)
  • ''p-진 해석 과정'', 알랭 M. 로베르(Alain M. Robert) (2000)
  • ''베르그만 공간 이론'', 하칸 헤덴말름, 보리스 코렌블룸, 케허 주 (2000)
  • ''리만-핀슬러 기하학 입문'', 다비드 바오(David Bao), 천싱선(Shiing-Shen Chern), 중민 션 (2000)
  • ''디오판틴 기하학'', 마크 힌드리, 조셉 H. 실버만(Joseph H. Silverman) (2000)
  • ''위상 다양체 입문'', 존 M. 리 (2011, 2판)
  • ''대칭군 - 표현, 조합 알고리즘, 대칭 함수'', 브루스 세이건(Bruce E. Sagan) (2001, 2판)
  • ''갈루아 이론'', 장-피에르 에스코피에 (2001)
  • ''유리 호모토피 이론'', 이브 펠릭스, 스티븐 핼퍼린, 장-클로드 토마스 (2000)
  • ''해석적 정수론의 문제'', M. 램 머티(M. Ram Murty) (2007, 2판)
  • ''대수적 그래프 이론'', 크리스 갓실(Chris Godsil), 고든 로일(Gordon Royle) (2001)
  • ''응용 수학을 위한 분석'', 워드 체니 (2001)
  • ''스펙트럼 이론 단기 과정'', 윌리엄 아베슨(William Arveson) (2002)
  • ''함수 체의 정수론'', 마이클 로젠 (2002)
  • ''대수'', 세르주 랭(Serge Lang) (2002, 개정 3판)
  • ''이산 기하학 강의'', 마토섹 이리 (2002)
  • ''정형 함수에서 복소 다양체로'', , 한스 그라우어트(Hans Grauert) (2002)
  • ''편미분 방정식'', 위르겐 요스트(Jürgen Jost), (2013, 3판)
  • ''대수 함수와 사영 곡선'', 데이비드 M. 골드슈미트(David M. Goldschmidt) (2003)
  • ''행렬 - 이론 및 응용'', 데니스 세르 (Denis Serre) (2010, 2판)
  • ''모형 이론: 입문'', 데이비드 마커(David Marker) (2002)
  • ''매끄러운 다양체 입문'', 존 M. 리 (2012, 2판)
  • ''쌍곡 3-다양체의 산술'', 콜린 매클라클란(Colin Maclachlan), 앨런 W. 리드(Alan W. Reid) (2003)
  • ''매끄러운 다양체와 관측량'', 제트 네스트루에프(Jet Nestruev) (2020, 2판)

3. 5. 1. 그래프 이론

그래프 이론 분야의 책이 없다.

3. 5. 2. 조합론

(내용 없음)

3. 5. 3. 부호 이론

(원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5. 4. 암호학

(내용 없음)

3. 5. 5. 최적화 이론

요약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3. 5. 6. 동역학계

(동역학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 없음)

3. 6. 기타


  • ''공리적 집합론 입문'', 다케우치 가이시, Wilson M. Zaring (1982, 2판)
  • ''측도와 범주 – 위상 공간과 측도 공간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연구'', (1980, 2판)
  • ''위상 벡터 공간'', , M. P. Wolff (1999, 2판)
  • ''호몰로지 대수학 강의'', , Urs Stammbach (1997, 2판)
  • ''일하는 수학자를 위한 범주론'', 손더스 매클레인 (1998, 2판)
  • ''사영 평면'', Daniel R. Hughes, Fred C. Piper, (1982)
  • ''산술 강의'', 장피에르 세르 (1996)
  • ''공리적 집합론'', 다케우치 가이시, Wilson M. Zaring, (1973)
  • ''리 대수표현론 입문'', 제임스 E. 험프리 (1997)
  • ''단순-호모토피 이론 강의'', Marshall. M. Cohen, (1973)
  • ''복소변수함수 I'', 존 B. 콘웨이 (1978, 2판)
  • ''고등 수학적 해석'', 리차드 빌스 (1973)
  • ''환과 가군'', Frank W. Anderson, Kent R. Fuller (1992, 2판)
  • ''안정 사상과 그 특이점'', 마틴 골루비츠키, 빅터 길레민, (1974)
  • ''함수해석학연산자 이론 강의'', Sterling K. Berberian, (1974)
  • ''의 구조'', David J. Winter, (1974)
  • ''확률 과정'', 머레이 로젠블랫, (1974)
  • ''측도론'', 폴 R. 헬모스 (1974)
  • ''힐베르트 공간 문제집'', 폴 R. 헬모스 (1982, 2판)
  • ''올다발'', 데일 휴세몰러 (1994, 3판)
  • ''선형 대수적 군'', 제임스 E. 험프리 (1975)
  • ''수리 논리학에 대한 대수적 입문'', Donald W. Barnes, John M. Mack (1975)
  • ''선형대수'', 베르너 H. 그루브 (1975, 4판)
  • ''기하학적 함수 해석과 그 응용'', Richard B. Holmes, (1975)
  • ''실해석과 추상해석'', 에드윈 휴이트, 칼 스트롬버그 (1975)
  • ''대수적 이론'', 어니스트 G. 매니스, (1976)
  • ''일반 위상수학'', 존 L. 켈리 (1975)
  • ''가환대수 I'', 오스카 자리스키, 피에르 사무엘 (1975)
  • ''가환대수 II'', 오스카 자리스키, 피에르 사무엘 (1975)
  • ''추상 대수학 강의 I: 기본 개념'', 네이선 제이콥슨 (1976)
  • ''추상 대수학 강의 II: 선형대수'', 네이선 제이콥슨 (1984)
  • ''추상 대수학 강의 III: 체의 이론과 갈루아 이론'', 네이선 제이콥슨 (1976)
  • ''미분 위상수학'', 모리스 W. 허쉬 (1976)
  • ''랜덤 워크의 원리'', 프랭크 스피처 (1964, 2판)
  • ''여러 복소 변수와 바나흐 대수'', 허버트 알렉산더, 존 워머 (1998, 3판)
  • ''선형 위상 공간'', 존 L. 켈리, 이사크 나미오카 (1982)
  • ''수리 논리학'', J. 도널드 몽크 (1976)
  • ''여러 복소 변수'', H. 그라우어트, K. 프리트슈 (1976)
  • ''C^*-대수에의 초대'', 윌리엄 아베르손 (1976)
  • ''가산 마르코프 체인'', 존 G. 케메니, J. 로리 스넬, 앤서니 W. 냅, D.S. 그리피스 (1976, 2판)
  • ''정수론의 모듈러 함수와 디리클레 급수'', 톰 M. 아포스톨 (1989, 2판)
  • ''유한군의 선형 표현'', 장 피에르 세르, 레온하르트 L. 스콧 (1977)
  • ''연속 함수의 환'', 레너드 길먼, 마이어 제리슨 (1976)
  • ''초등 대수 기하학'', 키스 켄디그 (1977)[1]
  • ''확률론 I'', M. 뢰브 (1977, 4판)
  • ''확률론 II'', M. 뢰브 (1978, 4판)
  • ''2차원과 3차원의 기하학적 위상수학'', 에드윈 E. 모이세 (1977)
  • ''수학자를 위한 일반 상대성 이론'', R. K. 삭스, H. 우 (1983)
  • ''선형 기하학'', K. W. 그루엔버그, A. J. 웨어 (1977, 2판)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대수적 정수론에 대한 유전적 소개'', 해럴드 M. 에드워즈 (2000)
  • ''미분 기하학 강의'', 윌리엄 클링겐베르크, D. 호프만 (1983)
  • ''대수 기하학'', 로빈 하츠혼 (2010)
  • ''수학자를 위한 수리 논리학 강의'', 유. I. 매닌, 보리스 질버 (2009, 2판)
  • ''그래프 이론에 중점을 둔 조합론'', 마크 E. 왓킨스, 잭 E. 그레이버 (1977)
  • ''연산자 이론 입문 I: 함수해석학의 요소'', 알렌 브라운, 칼 피어시 (1977)
  •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 윌리엄 S. 매시 (1977)
  • ''매듭 이론 입문'', 리차드 H. 크로우웰, 랄프 H. 폭스 (1977)
  • ''p-진수, p-진수 분석, 제타 함수'', 닐 코블리츠 (1984, 2판)
  • ''사이클로토믹 체'', 세르주 랭 (1978)[2]
  • ''고전 역학의 수학적 방법'', V. I. 아르놀드, A. 와인스타인, K. 보그트만 (1989, 2판)
  • ''호모토피 이론의 요소'', 조지 W. 화이트헤드 (1978)
  • ''군의 이론 기초'', M. I. 카르가폴로프, J. I. 메르즐랴코프 (1979)
  • ''그래프 이론 – 입문 과정'', 벨라 볼로바스 (1979)
  • ''푸리에 급수 – 현대적 소개 1권'', R. E. 에드워즈 (1979, 2판)
  • ''복소 다양체에 대한 미분 해석'', 레이먼드 O. 웰스 주니어 (2008, 3판)
  • ''아핀 군 스킴 입문'', W. C. 워터하우스 (1979)
  • ''국소체'', 장 피에르 세르 (1979)
  • ''힐베르트 공간의 선형 연산자'', (1980)
  • ''사이클로토믹 체 II'', 세르주 랭 (1980)
  • ''특이 호몰로지 이론'', 윌리엄 S. 매시 (1980)
  • ''리만 곡면'', , 어윈 크라 (1992, 2판)
  • ''고전 위상수학과 조합 군론'', 존 스틸웰 (1980, 2ed 1993)
  • ''대수학'', 토마스 W. 헝거포드 (1974)
  • ''곱셈적 정수론'', 해럴드 데이븐포트, 휴 몽고메리 (2000, 3판)
  • ''대수적 군과 리 대수의 기본 이론'', G. P. 호흐쉴드 (1981)
  • ''대수 기하학 – 대수적 다양체의 유리 기하학에 대한 입문'', 이타카 시게루 (1982)
  • ''대수적 수론 이론 강의'', E. T. 헤케 (1981)
  • ''보편 대수학 강의'', Burris, Stanley and Sankappanavar, H. P. ([http://www.math.uwaterloo.ca/~snburris/htdocs/ualg.html 온라인]) (1981)
  • ''에르고딕 이론 입문'', 피터 월터스 (1982)
  • ''군의 이론 강의'', (1996, 2판)
  • ''리만 곡면 강의'', 오토 포스터 (1981)
  • ''대수적 위상수학의 미분 형식'', 라울 보트, 로링 W. 투 (1982)
  • ''사이클로토믹 체 입문'', 로렌스 C. 워싱턴 (1997, 2판)
  • ''현대 정수론에 대한 고전적 입문'', 케네스 아일랜드, 마이클 로젠 (1990, 2판)
  • ''푸리에 급수 – 현대적 소개 2권'', R. E. 에드워즈 (1982, 2판)
  • ''코딩 이론 입문'', J. H. 반 린트 (3판 1998)
  • ''군의 코호몰로지'', 케네스 S. 브라운 (1982)
  • ''결합 대수'', R. S. 피어스 (1982)
  • ''대수 및 아벨 함수 입문'', 세르주 랭 (1982, 2판)
  • ''볼록 다면체 입문'', 아르네 브론스테드 (1983)
  • ''이산군의 기하학'', 앨런 F. 비어든 (1983, 2판 1995)
  • ''바나흐 공간에서의 수열과 급수'', J. 디스텔 (1984)
  • ''현대 기하학 — 방법과 응용 1부: 곡면의 기하학, 변환군, 필드'',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 세르게이 노비코프 (1992, 2판)
  • ''미분 가능한 다양체와 리 군의 기초'', 프랭크 W. 워너 (1983)
  • ''확률론-1'', ''확률론-2'', 알베르트 N. 시르야예프 (2016, 2019, 3판)
  • ''함수 해석학 강의'', 존 B. 콘웨이 (2007, 2판)
  • ''타원 곡선과 모듈러 형식 입문'', 닐 I. 코블리츠 (1993, 2판)
  • ''콤팩트 리 군의 표현'', , 탐모 톰 디엑 (1985)
  • ''유한 반사군'', L.C. 그로브, C.T. 벤슨 (1985, 2판)
  • ''반군에 대한 조화 해석 – 양의 정부호 함수 및 관련 함수의 이론'', 크리스티안 베르그, 옌스 페터 루스 크리스텐센, 폴 레셀 (1984)
  • ''갈루아 이론'', 해럴드 M. 에드워즈 (1984)
  • ''리 군, 리 대수, 그리고 그 표현'', V. S. 바라다라얀 (1984)
  • ''복소 해석'', 세르주 랭 (1999, 4판)
  • ''현대 기하학 — 방법과 응용 2부: 다양체의 기하학 및 위상수학'',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 세르게이 노비코프 (1985)
  • ''SL''2(''R''), 세르주 랭 (1985)
  • ''타원 곡선의 산술'', 조셉 H. 실버만 (2009, 2판)
  • ''미분 방정식에 대한 리 군의 응용'', 피터 J. 올버 (2판 1993)
  • ''여러 복소 변수에서의 정칙 함수와 적분 표현'', R. 마이클 레인지 (1986)
  • ''단사 함수와 테히뮐러 공간'', O. 레흐토 (1987)
  • ''대수적 수론'', 세르주 랭 (1994, 2판)
  • ''타원 곡선'', (2004, 2판)
  • ''타원 함수'', 세르주 랭 (1987, 2판)
  • ''브라운 운동과 확률 미적분'', 이오아니스 카라자스, 스티븐 슈리브 (2판 2000)
  • ''수론 및 암호학 강의'', 닐 코블리츠 (2판 1994)
  • ''미분 기하학: 다양체, 곡선 및 곡면'', 마르셀 베르제, 베르나르 고스티옥스 (1988)
  • ''측도와 적분 — 1권'', 존 L. 켈리, T.P. 스리니바산 (1988)
  • ''대수적 군과 유체'', 장 피에르 세르 (1988)
  • ''지금의 해석'', 거트 K. 페더슨 (1989)
  •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 조셉 J. 로트먼, (1988)
  • ''약하게 미분 가능한 함수 — 소볼레프 공간 및 유한 변동 함수의 공간'', 윌리엄 P. 지머 (1989)
  • ''사이클로토믹 체 I과 II'', 세르주 랭 (1990, 결합 2판)[3]
  • ''복소 함수론'', 라인홀트 레메르트 (1991)
  • ''수'', 하인츠-디터 에빙하우스 외 (1990)
  • ''현대 기하학 — 방법과 응용 3부: 호몰로지 이론 입문'', B. A. 두브로빈, 아나톨리 티모페예비치 포멘코, 세르게이 노비코프 (1990)
  • ''복소 변수 — 입문'', 카를로스 A. 베렌스타인, 로저 게이 (1991)[4]
  • ''선형 대수적 군'', 아르망 보렐 (1991)
  • ''대수적 위상수학 기본 강의'', 윌리엄 S. 매시 (1991)
  • ''편미분 방정식'', 제프리 라우흐 (1991)
  • ''표현론'', 윌리엄 풀턴, 조 해리스 (1991)
  • ''텐서 기하학 — 기하학적 관점과 그 용도'', 크리스토퍼 T. J. 도슨, 티모시 포스톤 (1991, 2판)
  • ''비가환 환 첫걸음'', T. Y. 람 (2001, 2판)
  • ''유리 함수 반복 — 복소 해석적 동적 시스템'', 앨런 F. 비어든 (1991)
  • ''대수 기하학'', 조 해리스 (1992)
  • ''코딩 및 정보 이론'', 스티븐 로만 (1992)
  • ''고등 선형대수'', 스티븐 로만 (2008, 3판)
  • ''대수학 — 가군 이론을 통한 접근'', 윌리엄 애드킨스, 스티븐 윈트라웁 (1992)
  • ''조화 함수론'', 셸던 악슬러, 폴 부르동, 웨이드 레이미 (2001, 2판)
  • ''계산 대수적 정수론 강의'', 앙리 코헨 (1996)
  • ''위상수학 및 기하학'', 글렌 E. 브레돈 (1993)
  • ''최적과 평형'', 장-피에르 오방 (1998)
  • ''그뢰브너 기저 — 가환 대수에 대한 계산적 접근'', 토마스 베커, 볼커 바이스펜닝 (1993)
  • ''실수 및 함수 해석학'', 세르주 랭 (1993, 3판)
  • ''측도론'', J. L. 둡 (1994)
  • ''비가환 대수학'', 벤슨 파브, R. 케이스 데니스 (1993)
  • ''호몰로지 이론 — 대수적 위상수학 입문'', 제임스 W. 빅 (1994, 2판)
  • ''계산 가능성 — 수학적 스케치북'', 더글러스 S. 브리지스 (1994)
  • ''대수적 K-이론과 그 응용'', 조나단 로젠버그 (1994)
  • ''군의 이론 입문'', 조셉 J. 로트먼 (1995, 4판)
  • ''쌍곡면 다양체의 기초'', 존 G. 래트클리프 (2019, 3판)
  • ''가환대수 — 대수 기하학적 관점'', 데이비드 아이젠버드 (1995)

3. 6. 1. 수리논리학

(아무 내용도 출력하지 않음)

3. 6. 2. 집합론

(내용 없음)

3. 6. 3. 범주론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Dover Publications 2015
[2] 문서
[3] 문서
[4] 서적 Complex Analysis and Special Topics in Harmonic Analysis 1995
[5] 문서
[6] 서적 Exercises and Solutions Manual for Integration and Probability by Paul Malliavin 1995
[7] 서적 Riemannian Manifolds: An Introduction to Curvature
[8] 문서
[9] 서적 Dover Publications 2015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Complex Analysis and Special Topics in Harmonic Analysis 1995
[13] 문서
[14] 서적 Exercises and Solutions Manual for Integration and Probability by Paul Malliavin 1995
[15] 서적 Riemannian Manifolds: An Introduction to Curvature
[16] 서적 Dover Publications 2015
[17] 문서
[18] 문서
[19] 서적 Complex Analysis and Special Topics in Harmonic Analysis 1995
[20] 문서
[21] 서적 Exercises and Solutions Manual for Integration and Probability by Paul Malliavin 1995
[22] 서적 Riemannian Manifolds: An Introduction to Curva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