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영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C영창은 1956년 신향피아노사로 설립되어, 야마하 피아노를 유통하며 시작되었다. 1962년 법인 전환 후 자체 피아노를 수출하고, 1979년 인천에 공장을 설립하며 성장했다. 1984년에는 악기 업계 최초로 기업 공개를 했으며, 펜더 스콰이어 기타와 페닉스 기타를 OEM 방식으로 생산하기도 했다. 1990년 커즈와일 뮤직 시스템즈를 인수하고, 1995년 중국 톈진에 공장을 설립하는 등 사업을 확장했다. 2004년 삼익악기에 인수될 뻔했으나 무산되었고, 같은 해 파산했다. 이후 HDC현대산업개발에 인수되었으며, 현재는 웨버, 프람버거 등의 피아노와 관악기, 현악기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설립된 제조 기업 - 테팔
테팔은 프랑스의 주방용품 및 소형 가전제품 브랜드이지만, 최근 PFOA 검출로 인한 환경 오염 스캔들과 노동 감독관 탄압 시도 의혹 등 사회적 논란이 있었다. - 피아노 제조사 - 카와이 악기 제작소
카와이 악기 제작소는 1886년 일본에서 설립되어 피아노를 주로 제작하며, ABS 수지 등 대체 소재를 활용하여 성능 향상을 추구하는 악기 제조 회사이다. - 피아노 제조사 - 야마하
야마하는 야마하 도라쿠스가 1887년에 창업한 세계 최대의 악기 제조 회사로, 악기 외에도 AV 기기, IT 기기, 스포츠 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며 VOCALOID 엔진 개발, 스테인버그 및 뵈젠도르퍼 인수를 통해 기술력을 확장해왔다. - 악기 제조사 - 클라비아
클라비아는 1983년 디지털 드럼 ddrum 개발로 시작하여 Nord Lead 시리즈로 가상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를 대중화하고 Nord Electro, Nord Stage 등 다양한 전자 키보드 악기를 출시하며 명성을 얻은 스웨덴 악기 제조 회사이다. - 악기 제조사 - 삼익악기
삼익악기는 1958년 삼익피아노사로 설립되어 피아노, 기타 등 악기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해외 시장 진출과 유럽 시장 경쟁력 강화, 그리고 양궁 사업부 분사 등의 활동을 통해 성장했다.
HDC영창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56년 |
창립자 | 김재영 김재창 김재섭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인천 |
사업 정보 | |
산업 | 악기 제조업 |
제품 | 피아노 현악기 관악기 |
매출액 | 2억 8100만 달러 (1998년) |
직원 수 | 3,817명 (1998년) |
소유 및 자회사 정보 | |
모기업 | HDC |
자회사 | 톈진 영창 악기 회사 영창 (미국) Timber 영창 아메리카 웨버 피아노 컴퍼니 커즈와일 뮤직 시스템즈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youngchang.com |
기업 정보 (2014년) | |
법인 형태 | 주식회사 |
설립일 | 1962년 9월 |
이전 명칭 | 신향피아노사 영창악기 영창뮤직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서구 봉수대로 196 |
대표이사 | 현계흥 (Hyeon Gye-heung) |
제품 | 피아노 신시사이저 플루트 색소폰 클라리넷 기타 바이올린 등 |
매출액 | 58,672,005,794 원 |
영업이익 | -11,403,479,267 원 |
순이익 | -13,258,050,197 원 |
자산 | 85,795,805,164 원 |
모회사 | HDC(주) |
직원 수 | 59명 |
웹사이트 | global.youngchang.com |
2. 역사
HDC영창의 역사는 1956년 김재섭(金在燮, 1919 ~ 2002)이 서울특별시 명동에 악기회사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8] 2004년 2월 기준으로 피아노 내수시장 점유율 55%로 1위를 다시 차지하였으며,[9] 2012년에는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피아노 부문 13년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9]
HDC영창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956년 11월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서 신향피아노사 설립 |
1962년 9월 | 영창악기제조주식회사로 법인 전환 |
1964년 2월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당시 신도림동)에 공장 설립 |
1971년 4월 | 자체 브랜드 피아노 수출 개시 |
1979년 11월 | 인천광역시 북구(현 서구) 가좌동에 악기 공장 설립 |
1984년 6월 | 대한민국 악기 업계 최초로 기업 공개 |
1987년 5월 | JIS(일본공업규격) 표시 승인 획득 |
1990년 6월 | 커즈와일 뮤직 시스템스 인수 |
1991년 3월 | 차세대 디지털 피아노 영창 베스티아노 출시 |
1992년 5월 | 영창피아노와 빈 소년합창단 편 TV광고 개시 |
1995년 9월 | 중국 톈진 현지 공장(천진영창악기유한공사) 준공 |
1996년 2월 | 대한민국 업계 최초 ISO 9001 인증 획득 |
2006년 5월 | 현대산업개발에 피인수 |
2006년 7월 | 본사를 분당으로 이전 |
2011년 3월 | 주식회사 영창뮤직으로 사명 변경[11] |
2015년 7월 | 본사를 인천으로 이전 |
2018년 4월 | HDC영창주식회사으로 사명 변경 |
2. 1. 설립 초기 (1956년 ~ 1970년대)
1956년 11월, 김재섭(金在燮, 1919 ~ 2002)과 그의 형제 김재영, 김재창은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서 신향피아노사를 설립하였다.[8] [6] 초기에는 야마하 피아노를 유통하는 회사였다.[1]1962년 9월에는 영창악기제조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하였고,[8] 1964년 2월에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당시 신도림동)에 첫 번째 공장을 설립하였다.[2] [8] 1971년 4월에는 자체 브랜드 피아노 수출을 시작하며 해외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였다.[8]
2. 2. 성장과 확장 (1980년대 ~ 1990년대)
1979년 인천광역시 서구 가좌동에 악기 공장을 설립하고,[8] 1984년에는 대한민국 악기 업계 최초로 기업을 공개하였다.[8] 1987년에는 JIS(일본공업규격) 표시 승인을 획득하였고,[8] 1990년에는 고급 전자 악기 제조업체인 커즈와일 뮤직 시스템즈를 인수하였다.[8]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펜더의 스콰이어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를 OEM 방식으로 생산하였고,[10] 자체 브랜드인 "페닉스"(Fenix)로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및 베이스 기타를 제조하였다.[10]
1995년에는 중국 톈진에 현지 공장을 준공하여 해외 생산 거점을 확보하였고,[8] 1996년에는 대한민국 악기 업계 최초로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경영 시스템을 확립하였다.[8]
1995년, 스타인웨이 앤드 선즈의 전 부사장이자 피아노 설계자인 요셉 프람버거를 영입하였다.[6] 프람버거는 "플래티넘 터치 액션"과 특허받은 비대칭 테이퍼 향판 등 피아노 설계에 많은 혁신을 가져왔다.[6]
2. 3. 인수와 변화 (2000년대 이후)
2004년 삼익악기는 영창의 지분 48.13%를 인수하여 경영권을 확보하려 했으나,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것이 독점 체제를 만들 것이라며 인수를 막고 삼익악기에 영창 지분 처분을 명령했다.[4] 이에 따라 영창은 2004년 9월 21일 파산했다.[4]2006년 HDC현대산업개발이 영창을 인수했다.[5] 이후 본사를 분당(2006년 7월)을 거쳐 인천(2015년 7월)으로 이전했다. 2011년 3월에는 '''주식회사 영창뮤직'''으로,[11] 2018년 4월에는 '''HDC영창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했다.[5]
HDC영창은 Albert Weber|앨버트 웨버|label=앨버트 웨버영어, 웨버(Weber), (과거에는) 프람버거(Pramberger), 버그만(Bergman) 브랜드의 피아노를 제조·판매하고 있다.[7] 1986년에는 웨버 피아노 컴퍼니를 설립하여 웨버 브랜드 이름으로 피아노를 판매했으나, 1987년 이 자회사를 삼성 아메리카에 매각했다.[1]
3. 제품
HDC영창은 피아노 외에도 기타를 제조하였는데,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펜더 스콰이어(Squier) 전기 기타와 베이스 기타를 OEM으로 공급하였고, "페닉스"(Fenix)라는 브랜드로 어쿠스틱 기타, 전기 기타 및 베이스 기타를 만들었다.[10]
현재 HDC영창이 제조, 판매하는 제품은 다음과 같다.
3. 1. 악기
HDC영창은 다음과 같은 제품들을 제조 및 판매한다.[10]HDC영창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펜더 스콰이어(Squier)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를 OEM 방식으로 공급했고, "피닉스"(Fenix, 여우)라는 자체 브랜드로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및 베이스 기타를 제조했다.[10] 1990년에는 전자 악기 회사인 커즈와일 뮤직 시스템즈를 인수했다.
3. 2. 과거 생산 제품
HDC영창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펜더의 스콰이어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를 OEM 방식으로 생산하여 공급했다.[10] 또한, "페닉스"(Fenix)라는 자체 브랜드로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를 제조했다.[10] 1987년부터 1988년까지는 미국의 악기 체인점인 새뮤얼 뮤직 컴퍼니에 일렉트릭 기타를 제조 및 공급했으며, 이 기타들은 새뮤얼 뮤직의 자체 브랜드인 "베스터"로 판매되었다.하지만, 펜더와의 라이선스 문제로 페닉스 악기 판매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생산이 중단되었다. 영창은 1990년대 후반에는 하모니카, 리드 오르간 및 산업용 목공 기계도 생산했다.[1]
4. 회사 명칭
HDC영창의 회사 명칭은 HDC그룹의 HDC와 창업주 형제인 김재영, 김재창의 이름 끝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8]
5. 해외 사업
HDC영창은 대한민국, 중국, 미국 등지에 생산 시설과 연구 개발 시설을 운영하며 해외 시장에서 활발하게 사업을 전개했다. 1990년 커즈와일 뮤직 시스템즈를 인수했고, 스타인웨이 앤드 선즈의 제3 브랜드인 에섹스를 제조하기도 했다. 앨버트 웨버(Albert Weber), 웨버(Weber) 등의 브랜드로 피아노를 제조·판매하고 있다.[7]
5. 1. 생산 시설
HDC영창은 1999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서울과 인천, 중국 톈진에 피아노 제조 시설을 운영했다.[1] 1964년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당시 신도림동)에 첫 공장이 설립되었고,[2] 1979년에는 인천 북구(현 서구) 가좌동에 악기 공장이 설립되었다.[1] 1995년에는 중국 톈진에 현지 공장(천진영창악기유한공사)을 준공하여 저가 시장 공략을 위한 생산 기지로 활용했다.[1]1991년 HDC영창은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에 제재소(영창 아메리카 팀버)를 설립하여 아시아 제조 현장으로 수출할 북미산 가문비나무와 단풍나무를 절단하고 가공했다.[1] 1988년에는 중국 톈진에 주물 공장을 설립하여 피아노 핵심 부품 생산을 보충하기도 했다.[1]
이 외에도 매사추세츠주 월섬에 연구 개발 시설을 운영했다.[1]
5. 2. 해외 시장
1990년, 커즈와일 뮤직 시스템즈를 인수했다.[6]스타인웨이 앤드 선즈의 제3 브랜드인 에섹스를 제조하기도 했다. 수제 Weber Piano Company|웨버 피아노 컴퍼니|label=앨버트 웨버영어(Albert Weber), 웨버(Weber), (과거에는) 프람버거(Pramberger), 버그만(Bergman) 브랜드의 피아노를 제조·판매하고 있다.[7]
5. 3. 과거 협력 관계
영창은 1992년부터 캘리포니아주 벨몬트의 ''클라인 피아노 컴퍼니''를 위해 클라인 피아노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1] 1990년대 후반에는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의 ''뮤직 시스템즈 리서치''를 위해 크나베 피아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1] 1998년까지 일본 하마마쓰의 나카미치를 위해 피아노를 생산했으며, 이 피아노는 미국으로 수출되기 전에 나카미치에 의해 수정되었다.[1] 영창은 한때 ''볼드윈 피아노 & 오르간''을 통해 미국에 유통하기 위한 월리처 피아노를 생산했지만, 이 관계는 1990년대 후반 이전에 종료되었다.[1]참조
[1]
보고서
Pianos: Economic and Competitive Conditions Affecting the U.S. Industry (Publication 3196)
https://www.usitc.go[...]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2018-07-21
[2]
서적
Piano: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3
[3]
서적
Blue Book Of Electric Guitars 9th Edition Zachary Fjestad, Edited by S.P. Fjestad
[4]
간행물
Acquisition of Young Chang Co. by Samick Musical Instrument Co.
Korea Fair Trade Commission
[5]
웹사이트
Company History
http://www.hdc-young[...]
2019-11-22
[6]
학술지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https://www.usitc.go[...]
[7]
웹사이트
2011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http://kcsi.kmac.co.[...]
한국능률협회컨설팅
[8]
뉴스
명복을 빕니다 - 영창악기 설립자 김재섭 회장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1-01-26
[9]
웹사이트
2011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http://kcsi.kmac.co.[...]
한국능률협회컨설팅
[10]
서적
Blue Book Of Electric Guitars 9th Edition Zachary Fjestad, Edited by S.P. Fjestad
[11]
뉴스
영창악기, '영창뮤직'으로 사명 변경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1-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HDC영창, 천연 목재 건반과 새로운 사운드를 담은 디지털 피아노 3종 출시
HDC영창과 요기보에서 함께하는 가정의 달 공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