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올스타전 2010-1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L 올스타전 2010-11은 2011년 1월 30일 잠실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팬 투표를 통해 드림팀과 매직팀의 올스타 선수들이 선발되었다. 올스타전에서는 루키 챌린지와 3점슛 콘테스트, 슈팅 스타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되었으며, 매직팀이 드림팀을 108-102로 꺾고 승리했다. 루키 챌린지에서는 2년차 팀이 1년차 팀을 상대로 승리했으며, 이승준이 MVP를 수상했다. 3점슛 콘테스트에서는 박지현이, 슈팅 스타에서는 SK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농구 - FIBA 유로바스켓 2011
FIBA 유로바스켓 2011은 리투아니아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스페인이 우승하고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가 MVP로 선정되었다. - 2011년 농구 - 한국프로농구 2011-12
한국프로농구 2011-12 시즌은 고양 오리온스 연고지 이전, 외국인 선수 자유계약제 변경, KB국민카드 메인 스폰서 후원 등의 변화 속에서 원주 동부 프로미의 정규 시즌 1위와 안양 KGC인삼공사의 플레이오프 우승으로 마무리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KBL 올스타전 2010-11 | |
---|---|
KBL 올스타전 2010-11 | |
![]() | |
날짜 | 2011년 1월 23일 |
장소 | 마산실내체육관 |
MVP | 문태영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참가팀 | |
드림팀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원주 동부 프로미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서울 삼성 썬더스 창원 LG 세이커스 |
매직팀 | 전주 KCC 이지스 부산 KT 소닉붐 안양 KT&G 카이츠 서울 SK 나이츠 대구 오리온스 |
결과 | |
드림팀 | 110 |
매직팀 | 109 |
기타 정보 | |
이전 시즌 | KBL 올스타전 2009-10 |
다음 시즌 | KBL 올스타전 2011-12 |
2. 올스타 팬투표
프로농구 올스타전의 각 팀 베스트 5를 선정하기 위한 올스타전 팬투표는 2010년 12월 5일부터 2011년 1월 6일까지 포털사이트 네이트를 통해 진행되었다. 총 6만 385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모비스 | 양동근 | 40,788 |
LG | 김현중 | 16,307 |
KT | 표명일 | 14,443 |
KT | 조동현 | 11,440 |
오리온스 | 박유민 | 7,575 |
동부 | 박지현 | 7,265 |
LG | 변현수 | 5,918 |
오리온스 | 박재현 | 5,866 |
모비스 | 노경석 | 5,662 |
동부 | 황진원 | 5,506 |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동부 | 김주성 | 32,990 |
LG | 문태영 | 25,514 |
오리온스 | 이동준 | 20,471 |
KT | 조성민 | 9,414 |
동부 | 윤호영 | 7,385 |
KT | 제스퍼 존슨 | 4,745 |
KT | 박상오 | 4,619 |
LG | 강대협 | 3,631 |
모비스 | 송창용 | 3,620 |
모비스 | 박종천 | 3,300 |
모비스 | 로렌스 엑페리건 | 2,556 |
오리온스 | 글렌 맥거원 | 2,537 |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KCC | 전태풍 | 31,901 |
SK | 김효범 | 21,799 |
SK | 주희정 | 16,882 |
KCC | 강병현 | 12,519 |
인삼공사 | 박찬희 | 8,303 |
삼성 | 강혁 | 7,939 |
전자랜드 | 신기성 | 7,637 |
삼성 | 이정석 | 3,961 |
전자랜드 | 정영삼 | 3,766 |
SK | 변기훈 | 3,089 |
인삼공사 | 박상률 | 2,974 |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삼성 | 이승준 | 39,116 |
전자랜드 | 문태종 | 32,513 |
SK | 김민수 | 11,429 |
KCC | 추승균 | 10,316 |
인삼공사 | 이정현 | 9,573 |
삼성 | 이규섭 | 6,706 |
인삼공사 | 김성철 | 6,400 |
삼성 | 김동욱 | 4,729 |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KCC | 하승진 | 17,967 |
SK | 테렌스 레더 | 13,820 |
전자랜드 | 서장훈 | 13,682 |
전자랜드 | 허버트 힐 | 6,563 |
KCC | 크리스 다니엘스 | 4,232 |
인삼공사 | 데이비드 사이먼 | 4,121 |
'''굵은 글씨'''는 각 포지션별 최다 득표자로, 베스트 5로 선정되었다(가드, 포워드는 상위 1, 2위. 센터는 최다 득표자). 올스타전 최다 득표자는 양동근 (모비스)으로 40,788표를 얻었다.
2. 1. 드림팀 투표 결과
wikitable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모비스 | 양동근 | 40,788 |
LG | 김현중 | 16,307 |
KT | 표명일 | 14,443 |
KT | 조동현 | 11,440 |
오리온스 | 박유민 | 7,575 |
동부 | 박지현 | 7,265 |
LG | 변현수 | 5,918 |
오리온스 | 박재현 | 5,866 |
모비스 | 노경석 | 5,662 |
동부 | 황진원 | 5,506 |
```
```wikitable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동부 | 김주성 | 32,990 |
LG | 문태영 | 25,514 |
오리온스 | 이동준 | 20,471 |
KT | 조성민 | 9,414 |
동부 | 윤호영 | 7,385 |
KT | 제스퍼 존슨 | 4,745 |
KT | 박상오 | 4,619 |
LG | 강대협 | 3,631 |
모비스 | 송창용 | 3,620 |
모비스 | 박종천 | 3,300 |
모비스 | 로렌스 엑페리건 | 2,556 |
오리온스 | 글렌 맥거원 | 2,537 |
```
```wikitable
2. 1. 1. 가드
wikitable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모비스 | 양동근 | 40,788 |
LG | 김현중 | 16,307 |
KT | 표명일 | 14,443 |
KT | 조동현 | 11,440 |
오리온스 | 박유민 | 7,575 |
동부 | 박지현 | 7,265 |
LG | 변현수 | 5,918 |
오리온스 | 박재현 | 5,866 |
모비스 | 노경석 | 5,662 |
동부 | 황진원 | 5,506 |
2. 1. 2. 포워드
wikitable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동부 | 김주성 | 32,990 |
LG | 문태영 | 25,514 |
오리온스 | 이동준 | 20,471 |
KT | 조성민 | 9,414 |
동부 | 윤호영 | 7,385 |
KT | 제스퍼 존슨 | 4,745 |
KT | 박상오 | 4,619 |
LG | 강대협 | 3,631 |
모비스 | 송창용 | 3,620 |
모비스 | 박종천 | 3,300 |
모비스 | 로렌스 엑페리건 | 2,556 |
오리온스 | 글렌 맥거원 | 2,537 |
2. 1. 3. 센터
wikitable
2. 2. 매직팀 투표 결과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KCC | 전태풍 | 31,901 |
SK | 김효범 | 21,799 |
SK | 주희정 | 16,882 |
KCC | 강병현 | 12,519 |
인삼공사 | 박찬희 | 8,303 |
삼성 | 강혁 | 7,939 |
전자랜드 | 신기성 | 7,637 |
삼성 | 이정석 | 3,961 |
전자랜드 | 정영삼 | 3,766 |
SK | 변기훈 | 3,089 |
인삼공사 | 박상률 | 2,974 |
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삼성 | 이승준 | 39,116 |
전자랜드 | 문태종 | 32,513 |
SK | 김민수 | 11,429 |
KCC | 추승균 | 10,316 |
인삼공사 | 이정현 | 9,573 |
삼성 | 이규섭 | 6,706 |
인삼공사 | 김성철 | 6,400 |
삼성 | 김동욱 | 4,729 |
'''굵은 글씨'''는 각 부분별 상위 득표자로 베스트 5로 선정되었다(가드, 포워드는 상위 1, 2위 센터부분은 센터 부분 최다 득표자). 올스타전 최다 득표자는 양동근 (모비스) 40,788표이다.
2. 2. 1. 가드
wikitable소속팀 | 선수 | 득표수 |
---|---|---|
KCC | 전태풍 | 31,901 |
SK | 김효범 | 21,799 |
SK | 주희정 | 16,882 |
KCC | 강병현 | 12,519 |
인삼공사 | 박찬희 | 8,303 |
삼성 | 강혁 | 7,939 |
전자랜드 | 신기성 | 7,637 |
삼성 | 이정석 | 3,961 |
전자랜드 | 정영삼 | 3,766 |
SK | 변기훈 | 3,089 |
인삼공사 | 박상률 | 2,974 |
2. 2. 2. 포워드
wikitable
2. 2. 3. 센터
wikitable
루키 챌린지는 1년차 팀과 2년차 팀으로 나눠서 대결을 펼치는 방식으로, 09-10 프로농구 올스타전에 이어 두 번째로 시행되었다.
```
'''굵은 글씨'''는 각 부분별 상위 득표자로 베스트 5로 선정되었다(가드, 포워드는 상위 1, 2위 센터부분은 센터 부분 최다 득표자).
올스타전 최다 득표자 : 양동근 (모비스) 40,788표
3. 루키 챌린지
'''Rookie'''(1년차 팀)
'''Sophomore''' (2년차 팀)
2011년 1월 30일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루키 챌린지 경기에서 2년차 팀은 Rookie팀을 상대로 97-105로 승리하며 2년 연속 루키 챌린지에서 승리하였다.
1년차 올스타는 송창용-문태종-이정현-박찬희-하재필이 베스트5로 나섰고, 2년차 올스타는 박성진-허일영-이승준-김명훈-박성훈이 선발 출장했다.
1쿼터는 1년차 올스타가 38-31로 앞선 채 끝났다. 문태종의 3점포로 포문을 연 1년차 올스타는 하재필이 덩크슛을 선보이는 등 10득점으로 가장 많은 득점을 올렸고, 문태종은 8득점, 송창용은 7득점, 이정현은 3점슛 2방으로 6득점했다. 2년차 올스타는 이승준이 8득점, 박성훈이 3점슛 1개를 포함해 7득점을 올렸고, 김종근은 야투 3개를 모두 성공시키며 6득점을 올렸다.
2쿼터에서는 2년차 올스타의 추격이 이어졌다. 이승준이 덩크슛 한 방을 비롯해 11득점을 올리며 공격을 이끌었고, 허일영이 7득점을 올렸다. 1년차 올스타는 2년차 올스타에게 추격을 허용했지만 62-61로 리드를 유지했다. 3쿼터에서도 1년차 올스타는 5득점을 올린 박형철 등 7명의 선수들이 고루 득점하며 83-77로 앞섰다.
마지막 4쿼터에서 이승준의 덩크슛으로 89-88 역전에 성공한 2년차 올스타는 1분여를 남기고 103-94로 1년차 올스타의 추격을 차단했다. 이승준이 6득점을 올리며 2년차 올스타를 이끌었다.
이 경기에서 31득점 15리바운드 4어시스트를 기록한 이승준(서울 삼성)이 루키챌린지 MVP를 수상했다.
3. 1. 루키 챌린지 출전 선수
'''Rookie'''(1년차 팀)
'''Sophomore''' (2년차 팀)3. 1. 1. Rookie (1년차 팀)
3. 1. 2. Sophomore (2년차 팀)
3. 2. 루키 챌린지 경기 결과
2011년 1월 30일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루키 챌린지 경기에서 2년차팀은 Rookie팀을 상대로 97-105로 승리하며 2년 연속 루키 챌린지에서 승리하였다.
1년차 올스타는 송창용-문태종-이정현-박찬희-하재필이 베스트5로 나섰고, 2년차 올스타는 박성진-허일영-이승준-김명훈-박성훈이 선발 출장했다.
1쿼터는 1년차 올스타가 38-31로 앞선 채 끝났다. 문태종의 3점포로 포문을 연 1년차 올스타는 하재필이 덩크슛을 선보이는 등 10득점으로 가장 많은 득점을 올렸고, 문태종은 8득점, 송창용은 7득점, 이정현은 3점슛 2방으로 6득점했다. 2년차 올스타는 이승준이 8득점, 박성훈이 3점슛 1개를 포함해 7득점을 올렸고, 김종근은 야투 3개를 모두 성공시키며 6득점을 올렸다.
2쿼터에서는 2년차 올스타의 추격이 이어졌다. 이승준이 덩크슛 한 방을 비롯해 11득점을 올리며 공격을 이끌었고, 허일영이 7득점을 올렸다. 1년차 올스타는 2년차 올스타에게 추격을 허용했지만 62-61로 리드를 유지했다. 3쿼터에서도 1년차 올스타는 5득점을 올린 박형철 등 7명의 선수들이 고루 득점하며 83-77로 앞섰다.
마지막 4쿼터에서 이승준의 덩크슛으로 89-88 역전에 성공한 2년차 올스타는 1분여를 남기고 103-94로 1년차 올스타의 추격을 차단했다. 이승준이 6득점을 올리며 2년차 올스타를 이끌었다.
이 경기에서 31득점 15리바운드 4어시스트를 기록한 이승준(서울 삼성)이 루키챌린지 MVP를 수상했다.
4. 2011 KBL 올스타전
4. 1. 올스타전 출전 선수
올스타전 출장자는 팬투표로 선출되는 베스트 5와 감독 및 선수 추천, 그리고 와일드 카드 선수로 구성된다.'''드림팀''' : 원주 동부 프로미, 울산 모비스 피버스, 창원 LG 세이커스, 대구 오리온스, 부산 KT 소닉붐
- '''감독''' : 강동희 (동부)
- '''코치''' : 김승기 (KT), 김대의 (LG)
- '''베스트 5'''
- *'''가드''' : 양동근(모비스), 김현중(LG)
- *'''포워드''' : 김주성(동부), 문태영(LG)
- *'''센터''' : 로드 벤슨(동부)
- '''감독 및 선수 추천'''
- *'''가드''' : 박지현(동부), 표명일 (KT), 노경석(모비스)
- *'''포워드''' : 조성민(KT), 이동준(오리온스)
- *'''센터''' : 찰스 로드(KT), 크리스 알렉산더(LG)
- '''와일드 카드''' : 박상오(KT, 포워드)
'''매직팀''' : 서울 삼성 썬더스, 서울 SK 나이츠,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전주 KCC 이지스, 안양 한국인삼공사
- '''감독''' : 유도훈(전자랜드)
- '''코치''' : 서동철(삼성), 김광(KCC)
- '''베스트 5'''
- *'''가드''' : 전태풍(KCC), 김효범 (SK)
- *'''포워드''' : 이승준(삼성), 문태종(전자랜드)
- *'''센터''' : 하승진(KCC)
- '''감독 및 선수 추천'''
- *'''가드''' : 주희정(SK), 이정석 (삼성), 박찬희(인삼공사)
- *'''포워드''' : 이정현(인삼공사), 추승균(KCC)
- *'''센터''' : 테렌스 레더(SK), 데이비드 사이먼(인삼공사)
- '''와일드 카드''' : 에론 헤인즈(삼성, 포워드)
4. 1. 1. 드림팀
원주 동부 프로미, 울산 모비스 피버스, 창원 LG 세이커스, 대구 오리온스, 부산 KT 소닉붐- '''감독''' : 강동희 (동부)
- '''코치''' : 김승기 (KT), 김대의 (LG)
- '''베스트 5'''
- *'''가드''' : 양동근(모비스), 김현중(LG)
- *'''포워드''' : 김주성(동부), 문태영(LG)
- *'''센터''' : 로드 벤슨(동부)
- '''감독 및 선수 추천'''
- *'''가드''' : 박지현(동부), 표명일 (KT), 노경석(모비스)
- *'''포워드''' : 조성민(KT), 이동준(오리온스)
- *'''센터''' : 찰스 로드(KT), 크리스 알렉산더(LG)
- '''와일드 카드''' : 박상오(KT, 포워드)
4. 1. 2. 매직팀
- '''감독''' : 유도훈(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코치''' : 서동철(서울 삼성 썬더스), 김광(전주 KCC 이지스)
- '''베스트 5'''
- *'''가드''' : 전태풍(KCC), 김효범 (SK)
- *'''포워드''' : 이승준(삼성), 문태종(전자랜드)
- *'''센터''' : 하승진(KCC)
- '''감독 및 선수 추천'''
- *'''가드''' : 주희정(SK), 이정석 (삼성), 박찬희(인삼공사)
- *'''포워드''' : 이정현(인삼공사), 추승균(KCC)
- *'''센터''' : 테렌스 레더(SK), 데이비드 사이먼(인삼공사)
- '''와일드 카드''' : 에론 헤인즈(삼성, 포워드)
4. 2. 올스타전 경기 결과
2011년 1월 30일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2010-2011 현대모비스 프로농구 올스타전에서 매직팀이 드림팀을 108-102로 꺾고 2년 연속 승리했다.매직팀에서는 김효범(15점 4어시스트)이 올스타전 MVP로 선정되었으며, 문태종(23점 6리바운드), 애론 헤인즈(17점 7리바운드 4어시스트), 테렌스 레더(16점) 등이 활약했다. 드림팀에서는 로드 벤슨(23점 11리바운드), 이동준(22점 8리바운드), 찰스 로드(20점 10리바운드) 등이 분전했지만, 경기 막판 추격 기회를 놓치며 패배했다.
경기 초반 드림팀이 이승준, 이동준 형제의 활약과 벤슨의 골밑 득점으로 앞서나갔으나, 1쿼터 후반 매직팀이 김효범을 앞세워 추격하며 30-30 동점으로 1쿼터를 마쳤다. 2쿼터에는 매직팀이 사이먼의 앨리웁 덩크와 박찬희, 문태종, 이정현의 득점으로 59-52로 앞선 채 전반을 마쳤다.
3쿼터에도 양 팀은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매직팀은 레더와 헤인즈가, 드림팀에서는 이동준과 벤슨이 공격을 이끌었다. 85-81로 매직팀이 앞선 채 시작한 4쿼터, 경기 종료 3분 전 문태종의 역전 중거리슛과 3점슛으로 매직팀이 승기를 잡았다.
올스타전 MVP 선정 과정에서, 3쿼터 종료 직전 투표 마감으로 인해 4쿼터에 활약한 문태종 대신 김효범이 선정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했다.
5. 올스타전 이벤트
5. 1. 3점슛 콘테스트
3점슛 콘테스트는 5개의 포지션에서 각 5번씩 총 25회를 시도하며 5개 공중 컬러볼을 성공하면 2점, 나머지는 1점을 얻게 된다(30점 만점, 제한시간 1분). 다득점을 따져 상위 4명이 토너먼트를 벌여 우승자를 가린다.선수 | 기승호 (LG) | 김효범 (SK) | 노경석 (모비스) | 문태종 (전자랜드) | 이정현 (인삼공사) |
---|---|---|---|---|---|
점수 | 9 | 10 | 13 | 12 | 6 |
선수 | 박재현 (오리온스) | 김동욱 (삼성) | 강병현 (KCC) | 박지현 (동부) | |
점수 | 9 | 14 | 14 | 13 |
2라운드는 양 사이드와 정면, 세 곳에서만 15개의 공을 던져 승부를 가린다(제한시간 40초).
선수 | 김동욱 (삼성) | 강병현 (KCC) |
---|---|---|
점수 | 10 (1위) | 6 (2위) |
선수 | 노경석 (모비스) | 박지현 (동부) |
점수 | 9 (4위) | 10 (3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위 김동욱 (삼성) 13 : 11 노경석 (모비스) 4위 | 김동욱 (삼성) 12 : 16 박지현 (동부) |
2위 강병현 (KCC) 10 : 14 박지현 (동부) 3위 |
5. 1. 1. 3점슛 콘테스트 예선
wikitable- 2라운드는 양 사이드와 정면, 세 곳에서만 15개의 공을 던져 승부를 가린다(제한시간 40초)
선수 | 김동욱(삼성) | 강병현(KCC) |
---|---|---|
점수 | 10(1위) | 6 (2위) |
선수 | 노경석(모비스) | 박지현(동부) |
점수 | 9(4위) | 10 (3위) |
5. 1. 2. 3점슛 콘테스트 4강 및 결승
wikitable준결승전 | 결승전 |
---|---|
1위 김동욱(삼성) 13 : 11 노경석(모비스) 4위 | 김동욱(삼성) 12 : 16 박지현(동부) |
2위 강병현(KCC) 10 : 14 박지현(동부) 3위 |
5. 2. 슈팅 스타
슈팅 스타는 현역, 은퇴, 여성 선수가 한 팀을 이뤄 출전하는 경기로 6개의 슈팅 구역에서 차례대로 성공시켜야 하며 순위는 시간이 빠른 순서대로 결정하여 상위 두 팀이 결선을 치른다. (제한 시간 2분)팀 | 현역선수 | 은퇴선수 | 여성선수 |
---|---|---|---|
KT | 조성민 | 김희선 | 김보현 |
SK | 이민재 | 문경은 | 김진아 |
모비스 | 박종천 | 우지원 | 김수희 |
전자랜드 | 임창한 | 최명도 | 김민지 |
인삼공사 | 이정현 | 최은동 | 김은영 |
삼성 | 박대남 | 박성훈 | 정은순 |
동부 | 진경석 | 변청운 | 민주희 |
KCC | 전태풍 | 신동한 | 정미선 |
오리온스 | 박재현 | 박준용 | 이선연 |
LG | 김동욱 | 박도경 | 유영주 |
팀 | 전자랜드 | SK | 오리온스 | KT | 동부 |
---|---|---|---|---|---|
시간 | 33초 | 36초 | 37초 | 42초 | 51초 |
팀 | 모비스 | LG | KCC | 삼성 | 인삼공사 |
시간 | 52초 | 52초 | 1분 13초 | 1분 34초 | 1분 40초 |
결승전에서는 전자랜드가 1분 56초, SK가 44초를 기록하여 '''SK'''가 우승을 차지했다.
5. 2. 1. 슈팅 스타 출전 선수
wikitable팀 | 현역선수 | 은퇴선수 | 여성선수 |
---|---|---|---|
KT | 조성민 | 김희선 | 김보현 |
SK | 이민재 | 문경은 | 김진아 |
모비스 | 박종천 | 우지원 | 김수희 |
전자랜드 | 임창한 | 최명도 | 김민지 |
인삼공사 | 이정현 | 최은동 | 김은영 |
삼성 | 박대남 | 박성훈 | 정은순 |
동부 | 진경석 | 변청운 | 민주희 |
KCC | 전태풍 | 신동한 | 정미선 |
오리온스 | 박재현 | 박준용 | 이선연 |
LG | 김동욱 | 박도경 | 유영주 |
5. 2. 2. 슈팅 스타 예선 및 결승
wikitable팀 | 전자랜드 | SK | 오리온스 | KT | 동부 |
---|---|---|---|---|---|
시간 | 33초 | 36초 | 37초 | 42초 | 51초 |
팀 | 모비스 | LG | KCC | 삼성 | 인삼공사 |
시간 | 52초 | 52초 | 1분 13초 | 1분 34초 | 1분 40초 |
```
결승전에서는 전자랜드가 1분 56초, SK가 44초를 기록하여 '''SK'''가 우승을 차지했다.
5. 3. 스킬스 챌린지
스킬스 챌린지에 대한 정보는 현재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KBL 올스타전 2010-11 문서를 완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5. 4. 덩크슛 콘테스트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