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자일리톨을 L-자일룰로스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EC 번호는 1.1.1.10이다. 이 효소는 34kDa 크기에 2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막 단백질이며, 콩팥에서 고도로 발현되어 세포질 막에 위치한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탄수화물 대사, 포도당 대사, 우론산 회로에 관여한다. 이 효소의 결핍은 오탄당뇨증과 관련 있으며, 과발현은 전립선암과 연관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ADPH 의존 효소 -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DH)는 TCA 회로에서 아이소시트르산을 α-케토글루타르산으로 전환하는 효소로, NAD+ 또는 NADP+를 조효소로 사용하며 특정 유전자 변이는 암과 관련될 수 있다. - NADPH 의존 효소 - 아릴-알코올 탈수소효소 (NADP+)
아릴-알코올 탈수소효소(NADP+)는 NADP+를 조효소로 사용하여 아릴 알코올을 해당 알데히드로 산화시키는 효소입니다. - 인간 17번 염색체상 유전자 -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성장 촉진과 신진대사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결핍 시 왜소증, 과다 시 거인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의학적으로는 다양한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 인간 17번 염색체상 유전자 - BRCA1
BRCA1은 DNA 복구, 전사 조절, 세포 주기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유방암 및 난소암과 관련되어,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유전성 유방-난소암 증후군을 유발하여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 - EC 1.1.1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EC 1.1.1 - 알코올 탈수소효소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는 알코올을 알데히드 또는 케톤으로 산화시키는 효소 그룹으로, 에탄올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알코올 발효, 카이랄 알코올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 |
---|---|
효소 정보 | |
이름 |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
EC 번호 | 1.1.1.10 |
CAS 번호 | 해당 없음 |
GO 코드 | 해당 없음 |
![]() | |
단백질 정보 | |
이름 | 디카르보닐/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
HGNC ID | 18985 |
심볼 | DCXR |
대체 심볼 | 해당 없음 |
엔트레즈 유전자 | 51181 |
OMIM | 608347 |
RefSeq | NM_016286 |
유니프로트 | Q7Z4W1 |
PDB | 해당 없음 |
EC 번호 | 1.1.1.10 |
염색체 | 17 |
팔 | q |
띠 | 25.3 |
로커스 추가 데이터 | 해당 없음 |
2. 구조
DCXR 유전자는 크기가 대략 34 kDa이고, 2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막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이 단백질은 콩팥에서 많이 발현되며, 세포질 막에 위치한다.[4][1]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L-자일룰로스 뿐만 아니라 여러 오탄당, 사탄당, 삼탄당, α-다이카보닐 화합물의 환원을 촉매한다.[5][2] 이 효소는 탄수화물 대사, 포도당 대사, 우론산 회로에 관여한다. 또한 자일리톨을 생성하여 콩팥의 근위 세뇨관에서 물 흡수 및 세포 삼투압 조절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5][2]
3. 기능
3. 1. 효소 반응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자일리톨 + NADP+ L-자일룰로스 + NADPH + H+
이 반응에서 두 가지 기질은 자일리톨과 NADP+이며, 세 가지 생성물은 L-자일룰로스, NADPH, H+이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산화환원효소의 일종으로, 특히 공여체의 CH-OH기에 작용하며 수용체로 NAD+ 또는 NADP+를 사용한다. 이 효소 클래스의 계통명은 자일리톨:NADP+ 2-산화환원효소 (L-자일룰로스 생성)이다.
이 효소는 L-자일룰로스 뿐만 아니라 여러 오탄당, 사탄당, 삼탄당, α-다이카보닐 화합물의 환원을 촉매할 수 있다.[5][2]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탄수화물 대사, 포도당 대사, 우론산 회로에 관여하며, 자일리톨을 생성하여 콩팥의 근위 세뇨관에서 물 흡수 및 세포 삼투압 조절에 역할을 할 수 있다.[5][2]
4. 명명법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계통명은 '''자일리톨:NADP 4-산화환원효소 (L-자일룰로스 형성)'''(xylitol:NADP+ 4-oxidoreductase (L-xylulose-forming)영어)이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들이다.
- '''자일리톨 탈수소효소'''(xylitol dehydrogenase영어)
5. 임상적 중요성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결핍은 오탄당뇨증의 원인이 된다. 이 효소의 활성이 부족하면 L-자일룰로스가 소변으로 과도하게 배설되는 선천성 대사 이상이 나타난다.
한편, 이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만들어지거나(과발현) 원래 위치가 아닌 곳에서 나타나는(이소성 발현) 경우, 전립선암[6] 및 전립선 선암종[3]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참조
[1]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ammalian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nd its localization in kidney
[2]
논문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a critical disulfide bond in the active site of L-xylulose reductase
[3]
논문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 potential biomarker identified by laser-capture microdissection-micro 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of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4]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ammalian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nd its localization in kidney
[5]
논문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a critical disulfide bond in the active site of L-xylulose reductase
[6]
논문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 potential biomarker identified by laser-capture microdissection-micro 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of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