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탄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탄당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단당류로, 알도펜토스와 케토펜토스로 분류된다. 알도펜토스는 알데히드기를, 케토펜토스는 케톤기를 가지며, 각기 D-형과 L-형의 입체 이성질체를 갖는다. 주요 알도펜토스에는 리보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릭소스가 있으며, 리보스는 RNA의 구성 성분이다. 케토펜토스에는 리불로스와 자일룰로스가 있으며, D-리불로스는 광합성에, D-자일룰로스는 오탄당 인산 경로에 관여한다. 오탄당은 고리형 구조를 형성하며, 생화학적으로 RNA와 DNA의 구성 성분으로 중요하며, 오탄당 인산 경로는 뉴클레오타이드, NADPH, 방향족 아미노산 합성에 기여한다. 오탄당의 중합체는 펜토산이라고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당류 - 케토스
    케토스는 분자 구조 내에 케톤기를 가진 단당류로, 탄소 원자 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광합성과 에너지 대사 등 생체 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알도스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 단당류 - 당화
    당화는 아밀라아제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다당류인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누룩이나 맥아를 사용하여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엿, 감주 등 다양한 식품 및 주류 제조에 활용된다.
오탄당
개요
화학식C₅H₁₀O₅
분자량150.13 g/mol
분류단당류, 탄수화물
이성질체리보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굴로스
설명
정의탄소 원자 5개를 가진 단당류
형태알도스: 알데하이드기를 가짐 (알도펜토스)
케토스: 케톤기를 가짐 (케토펜토스)
중요성핵산 구성 성분: 리보스 (RNA), 데옥시리보스 (DNA)
조효소 구성 성분: ATP, NADPH 등
기타: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등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
종류
알도펜토스리보스: RNA 구성 성분
데옥시리보스: DNA 구성 성분
아라비노스: 식물 세포벽 구성 성분
자일로스: 식물 세포벽 구성 성분, 자일리톨의 원료
리크소스
케토펜토스리불로스: 광합성 과정 중간체
자일룰로스: 오탄당 인산 경로 중간체

2. 분류

오탄당은 크게 알도펜토스와 케토펜토스로 나뉜다. 알도펜토스는 키랄 중심 탄소를 3개 가지므로 8종류의 입체이성질체가 가능하며, 케토펜토스는 키랄 중심 탄소를 2개 가지므로 4종류의 입체이성질체가 가능하다.[1]

D-리보스와 L-리보스


D-아라비노스와 L-아라비노스


D-자일로스와 L-자일로스


D-릭소스와 L-릭소스


D-리불로스와 L-리불로스


D-자일룰로스와 L-자일룰로스

2. 1. 알도펜토스

알도펜토스는 1번 탄소에 알데하이드 작용기(-CHO)를 갖는 오탄당이다. 알도펜토스의 가운데 있는 3개의 탄소 원자는 비대칭적 탄소 결합으로 키랄 중심을 이뤄 8종류(23)의 입체이성질체를 형성할 수 있다. 4종류의 D-알도펜토스와 이에 대비되는 L-형 입체이성질체가 존재한다.[1]

알도펜토스는 선형 형태에서 1번 탄소에 카르보닐기를 가지고, 구조 H–C(=O)–(CHOH)4–H를 형성한다. 반면 케토펜토스는 2번 또는 3번 위치에 카보닐기를 가지는 케톤 유도체이다. 개방형에는 8개의 알도펜토스와 4개의 2-케토펜토스가 있으며, 이는 수산화기의 공간적 위치가 다른 입체 이성질체이다. 이러한 형태는 일반적으로 "" 또는 ""로 표시되는 광학 이성질체 쌍으로 존재한다.[1]

2. 1. 1. D-알도펜토스

알도펜토스는 3개의 키랄 중심 탄소를 가지며, 8종의 입체 이성질체가 가능하다. 4종류의 D-알도펜토스가 있으며, 이 4종류에 대비되는 L-형 입체이성질체가 존재한다.



리보스RNA의 구성 성분이며, 관련 분자인 데옥시리보스는 DNA의 구성 성분이다. 인산화된 펜토스는 오탄당 인산 경로의 중요한 산물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리보스 5-인산(R5P)으로, 이는 뉴클레오타이드와 핵산의 합성에 사용되며, 에리트로스 4-인산(E4P)은 방향족 아미노산의 합성에 사용된다.

2. 1. 2. L-알도펜토스

D-알도펜토스의 거울상 이성질체이다. 알도펜토스는 3개의 키랄 중심 탄소를 가지며, 8종의 입체 이성질체가 가능하다.


2. 2. 케토펜토스

케토펜토스는 2번 탄소(또는 3번 탄소)에 케톤(=O) 작용기를 갖는 오탄당이다. 2개의 키랄 중심 탄소를 가지므로 4종류(22)의 입체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D-형과 L-형으로 나뉘며, 자연계에는 D-형이 주로 존재한다. 3-케토펜토스는 자연계에서 발견되기 어렵고 합성이 어렵다. 주요 케토펜토스에는 리불로스자일룰로스가 있다.

D-케토펜토스L-케토펜토스
구조
D-리불로스
L-리불로스
구조
D-자일룰로스
L-자일룰로스


2. 2. 1. D-케토펜토스

D-리불로스광합성캘빈 회로 중간 생성물이다. D-자일룰로스오탄당 인산 경로 중간 생성물이다.


2. 2. 2. L-케토펜토스

D-케토펜토스의 거울상이성질체이다.


3. 고리형 구조

탄수화물인 오탄당 분자 내에서 알데하이드와 케톤 작용기는 각기 하이드록시기와 분자 내 작용을 통해 헤미아세탈 또는 헤미케탈을 이룬다. 그 결과 푸란과 닮은 고리인 푸라노스를 형성하게 된다.[3] 푸라노스에서 고리는 자발적으로 개폐를 반복하며 이웃한 탄소와 결합하는데, 특히 α-상태에서 β-상태로 반복하여 구조를 바꾼다.

리보푸라노스


카르보닐 탄소는 고리 폐쇄 과정에서 키랄 중심으로 변환되며, 이는 새로운 수산기의 위치에 따라 두 가지 배열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선형 형태는 "α"와 "β" 접두사로 식별되는 두 가지 뚜렷한 닫힌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펜토스의 알데하이드기 및 케톤기는 4위 또는 5위의 하이드록실기와 분자 내 헤미아세탈 또는 헤미케탈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생기는 환 구조는 퓨란(5원환) 또는 피란(6원환)과 유사하므로 푸라노스 또는 피라노스라고 부른다. 이 환 형성은 자발적으로 일어나며, 카르보닐기와 인접한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에서 생기는 회전에 의해 입체 배치가 다른 α체와 β체의 2가지 구조가 생성된다. 이 과정은 변광 회전이라고 불린다.

4. 생화학적 중요성

리보스RNA의 구성 성분이며, 데옥시리보스는 DNA의 구성 성분이다.[1] 오탄당 인산 경로의 중요한 산물인 인산화된 펜토스 중 리보스 5-인산(R5P)은 뉴클레오타이드와 핵산 합성에 사용되며, 에리트로스 4-인산(E4P)은 방향족 아미노산 합성에 사용된다.[1] 세포 내에서 오탄당은 헥소스보다 대사 안정성이 더 높다.[3]

5. 펜토산

오탄당의 중합체는 펜토산이라고 한다.

6. 오탄당 검출

오탄당 검출의 주요 방법은 오탄당을 푸르푸랄로 전환한 후, 발색단과 반응시키는 것이다. 톨렌스의 오탄당 검사(환원당에 대한 톨렌스 은거울 반응과 혼동하지 말 것)에서는 푸르푸랄 고리가 플로로글루시놀과 반응하여 유색 화합물을 생성한다.[4] 아닐린 아세테이트 검사에서는 아닐린 아세테이트와 반응하며,[5] 비알 검사에서는 오르시놀과 반응한다.[6] 이들 검사에서 오탄당은 육탄당보다 훨씬 더 강하고 빠르게 반응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entose http://www.merriam-w[...]
[2] 웹사이트 D-Ribose https://pubchem.ncbi[...] 2010-02-06
[3] 서적 Organic Chemistry Allyn and Bacon
[4] 논문 Ueber Spectral‐Reactionen des Methylfurfurols https://onlinelibrar[...] 1901-05
[5] 서적 Safety Scale Laboratory Experiment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12-05
[6]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Laboratory Techniques: A Small Scale Approach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5
[7] 웹사이트 Pentose http://www.merriam-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