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ARC 트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ARC 트레인은 워싱턴 D.C. 유니언 역을 기점으로 펜 선, 캠든 선, 브런즈윅 선 등 3개의 노선을 운행하는 통근 열차 시스템이다. 펜 선은 주말에도 운행하며, 모든 열차는 푸시-풀 방식으로 운행된다. MARC는 암트랙에 펜 선의 운행 및 유지를, 알스톰에 브런즈윅 선과 캠든 선의 운행 및 유지를 위탁한다. 1984년 MARC라는 단일 브랜드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1996년 실버스프링 충돌 사고와 같은 사건을 겪었다. 2007년과 2023년에 서비스 확장 계획을 발표했으며, 현재는 디젤 및 전기 기관차와 다양한 객차를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ARC 트레인 - 유니언역 (워싱턴 D.C.)
    워싱턴 D.C.에 위치한 유니언 역은 1907년 개장한 역사적인 기차역이자 대중교통 허브로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을 자랑하며 암트랙, 워싱턴 메트로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연결하는 워싱턴 D.C.의 주요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어 복합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여객 철도 - 카디널 (암트랙)
    카디널은 암트랙이 뉴욕과 시카고를 연결하는 장거리 열차로, 과거 철도 노선의 통합 후신이며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노선으로, 현재 주 3회 운행되지만 암트랙은 매일 운행을 목표로 개선 중이다.
  •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여객 철도 - 캐피틀 리미티드
    캐피톨 리미티드는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를 기점으로 주요 역에 정차하는 철도 노선으로, 슈퍼라이너 객차와 지멘스 ALC-42 기관차를 사용하며 과거에는 다른 지역 역에도 정차했었다.
  • 미국의 공기업 - 암트랙 캘리포니아
    암트랙 캘리포니아는 1976년 캘리포니아주의 재정 지원으로 설립되어 캘리포니아주 교통국 산하 철도부가 관리하는 암트랙의 시외 여객 철도 서비스로, 주요 노선 운영 및 쓰루웨이 버스 서비스 제공, 그리고 코첼라 밸리 서비스 확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미국의 공기업 - 해외민간투자공사
    해외민간투자공사(OPIC)는 미국 기업의 신흥 시장 진출 및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미국의 정부 기관으로, 정치적 위험 보험 제공 및 투자 펀드 조성을 통해 신흥 시장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9년 미국 국제 개발 금융 공사(DFC)로 통합되었다.
MARC 트레인 - [회사]에 관한 문서
노선도
MARC 노선도
MARC 노선도
기본 정보
이름메릴랜드 지역 철도 통근
원어MARC Train
종류통근 철도
운영 시작1984년 (메릴랜드 지역 철도 통근으로)
소유자메릴랜드 교통 관리국
최고 경영자홀리 아놀드
노선 수3
일일 승객 수36,000명
연간 승객 수9,000,000명
운영자알스톰 (캠든 및 브런즈윅 선)
암트랙 (펜 선)
시스템 길이301 km
역 수42
궤간1,435 mm
최고 속도201 km/h
약칭MARC
호스트암트랙
CSX 교통
전철화가공 전차선
12 kV 25 Hz AC (펜 선)
웹사이트mta.maryland.gov/marc-train
운영
운영 및 유지 보수 계약알스톰 (캠든 및 브런즈윅 선)
암트랙 (펜 선)
노선 정보
노선브런즈윅 선
캠든 선
펜 선

2. 운행 노선

MARC 트레인 노선도


MARC는 유니언 역(워싱턴 D.C.)에서 뻗어나가는 세 개의 노선을 운행한다.

  • 펜 선 – 평일 58회 운행
  • 캠든 선 – 평일 21회 운행
  • 브런즈윅 선 – 평일 18회 운행


펜 선은 주말에도 운행하며, 토요일 18회, 일요일 12회 운행한다. 특정 공휴일에는 운행이 축소되거나 중단된다.

모든 MARC 열차는 푸시-풀 방식으로 운행된다. 객차는 일반적으로 워싱턴에 가장 가까운 열차의 끝에 위치하며, 디젤 기관차가 있는 열차에서는 이 배치를 통해 매연이 유니언 역 터미널에서 더 멀리 떨어지게 된다. 열차 길이는 3~5량에서 펜 라인 출퇴근 시간대 10량까지 다양하다. 짧은 열차는 일반적으로 모두 단층 또는 모두 이층 객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긴 열차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MTA는 펜 라인의 MARC 열차 운행 및 유지 보수를 암트랙에, 브런즈윅 라인 및 캠든 라인의 운행 및 유지 보수를 알스톰에 위탁한다.

워싱턴 D.C.의 유니언 역을 기점으로 3개의 노선을 운행한다.

  • Brunswick Line영어 - 워싱턴 D.C.에서 웨스트버지니아 주의 마틴스버그까지 119km를 연결한다. 비전철화 구간이다.
  • Camden Line영어 - 워싱턴 D.C.에서 볼티모어의 캠든 역까지 63km를 연결한다. 비전철화 구간이다.
  • Penn Line영어 - 워싱턴 D.C.에서 볼티모어의 펜 역을 경유하여 페리빌까지 124km를 연결한다. 암트랙의 노스이스트 코리더 선로를 사용하며,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다.

2. 1. 브런즈윅 선 (Brunswick Line)



'''브런즈윅 선'''은 CSX 소유의 선로를 따라 워싱턴 D.C.와 웨스트버지니아주 마틴스버그 사이를 운행하는 119km 길이의 노선이며, 메릴랜드주 프레데릭까지 23km 길이의 지선이 있다. 이 노선은 워싱턴과 북부 및 서부 교외를 잇는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B&O) 통근 열차 서비스에서 유래되었다. 전 구간 비전철화 구간이다.

2. 2. 캠든 선 (Camden Line)

'''캠든 선'''은 워싱턴 D.C.와 볼티모어의 캠던 역 사이를 운행하는 63km 길이의 노선으로, CSX 소유의 선로를 이용한다.[7] 이 노선은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를 운행했던 B&O 통근 노선에서 파생되었다. B&O는 1830년에 이 노선의 일부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으며, 이는 현재까지 운영 중인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여객 철도 노선 중 하나이다.[7] 전 구간은 비전철화 구간으로 운행된다.

2. 3. 펜 선 (Penn Line)

'''펜 선'''은 암트랙의 노스이스트 코리더 선로를 따라 워싱턴 D.C.와 메릴랜드주 페리빌 사이를 운행하는 124km 길이의 노선으로, 볼티모어 펜 역을 경유한다.[6] 대부분의 열차는 워싱턴과 볼티모어 펜 역 사이의 63km 구간에서 운행하며, 마틴 주립 공항과 페리빌까지 제한적인 운행을 한다. 이 노선은 북미에서 가장 빠른 통근 철도 노선으로, 최대 201km/h의 속도로 운행할 수 있다.[6] 펜실베이니아 철도가 운영하던 워싱턴-볼티모어 통근 노선에서 파생되었으며, MARC 노선 중 가장 붐비는 노선이자 주말에도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펜 선은 전 구간 전철화 구간으로 운행한다.[6]

2. 4. 특별 운행

MARC는 워싱턴-볼티모어 통합 통계 지구 지역의 스포츠 경기에 참석하기 위해 웨스턴 메릴랜드 주민들을 위한 특별 주말 여행을 컴벌랜드, 메릴랜드에서 출발하여 운행했으며, 웨스턴 메릴랜드로의 관광 여행을 지원했다.[8]

2. 5. 환승

MARC가 운행하는 거의 모든 역은 지역 버스 또는 메트로버스와 연계된다. 워싱턴 유니언 역, 뉴캐럴턴, 컬리지 파크, 그린벨트, 실버스프링, 록빌에서는 워싱턴 메트로 지하철로 환승할 수 있으며, 볼티모어 펜 역과 캠든 역에서는 모두 볼티모어 라이트 레일링크로 환승할 수 있다. 볼티모어 메트로 서브웨이링크는 MARC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테이트 센터 역은 볼티모어 펜 역에서 멀지 않다. 워싱턴 유니언, 볼티모어 펜, BWI 공항, 애버딘, 뉴캐럴턴, 록빌, 하퍼스 페리, 마틴스버그 역은 암트랙 노선과 공유되며, 유니언 역에서는 버지니아 철도 익스프레스 시스템으로도 환승할 수 있다.

3. 역사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B&O)는 1830년 5월 24일 볼티모어와 엘리콧 시티 간의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의 캠든 선 노선의 일부를 이용했다.[9] 1835년 8월 25일에는 B&O의 볼티모어-워싱턴 간 노선(현재 캠든 선)이 개통되었다.[7]

B&O는 서쪽으로 노선을 확장하여 1842년 마틴스버그까지 연결했다. 1873년, B&O의 메트로폴리탄 지선이 개통되면서, 이후 마틴즈버그와 프레데릭에서 워싱턴으로 향하는 대부분의 열차가 이 노선을 이용하게 되었고, 이는 현재 브런즈윅 선의 기본 노선이 되었다.

필라델피아, 윌밍턴 앤 볼티모어 철도(PW&B)는 1838년 12월 볼티모어와 필라델피아 간 노선을 완공했다. 1872년, 펜실베이니아 철도(PRR) 소유의 볼티모어 앤 포토맥 철도(B&P)가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에 개통되었다.[10] 1881년, PW&B는 PRR에 인수되었고, 이후 PRR의 워싱턴-필라델피아 간 직통 운행(현재 펜 선의 전신)이 시작되었다. 1902년, PW&B와 B&P는 PRR의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앤 워싱턴 철도로 통합되었다.[11]

B&O는 1949년 11월 프레데릭 지선의 지역 운행을 중단했다. 1958년, B&O의 볼티모어-필라델피아 간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고, 워싱턴 출발 지역 운행은 캠든 역으로 축소되었다.

1987년 MARC EMD F9PH가 포인 오브 록스를 통과하는 모습


20세기 중반, 자동차의 발달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여객 철도 서비스는 쇠퇴하였다.[12] 1968년, PRR은 펜 센트럴 교통 회사(Penn Central)에 흡수되었고,[12] 1971년에는 암트랙이 미국 내 대부분의 도시 간 여객 서비스를 인수하였다.[13] 그러나 B&O와 펜 센트럴은 워싱턴-볼티모어 및 워싱턴-브런즈윅 통근 노선을 보조금 없이 계속 운행하였다.[14]

1974년, 메릴랜드 교통부(MDOT)는 B&O의 통근 노선에 50%의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으며,[15][16] 1975년에는 B&O와 운영 계약을 체결하여 주 정부가 차량을 제공하고 모든 운영 손실을 보상하였다.[16] 콘레일은 1976년 펜 센트럴로부터 통근 서비스를 인수하였으며,[19] MDOT는 1977년부터 콘레일 서비스에도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하였다.[20]

1983년, MDOT는 암트랙에 구 PRR 워싱턴-볼티모어 서비스 운행 비용을 지불하기 시작했고,[16][33] 이 서비스는 AMDOT(암트랙 메릴랜드 교통부)로 브랜드화되었다.[32] 1984년, 메릴랜드(Maryland) 주 철도 관리국(SRA)은 세 개의 보조 노선(펜 선, 캠든 선, 브런즈윅 선)을 통합하여 MARC라는 단일 브랜드로 운영하기 시작했다.[16][33]

1980년대 후반부터 MARC는 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33] 1986년 10월, MARC는 암트랙 AEM-7 기관차 시험을 시작했다.[33] 1989년 2월 27일, 워싱턴-볼티모어 노선의 평일 왕복 운행 횟수를 늘리고, 보위 스테이트에 새로운 역을 개통하고, 기존의 보위 역을 폐쇄했다.[33] 같은 해 5월에 두 번의 왕복 운행이 더 추가되었다.[33]

1991년 5월 1일, 노선을 볼티모어에서 북쪽으로 페리빌까지 연장하고, 마틴 주립 공항, 에지우드, 애버딘에 중간 정차역을 설치했다.[34] 1988년에서 1993년 사이에 전체 시스템에서 총 일일 운행 횟수를 늘렸다.[35] 1995년에는 오던턴 역에 주차 공간을 추가했다.[40]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캠든 노선은 높은 이용객 증가와 역의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1989년 7월 31일, 세비지에 새로운 역이 개통되었다.[36] 1993년 5월 3일, 그린벨트 역 운행을 시작했다.[37] 1994년 1월 31일, 로렐 경마장 역을 개통하고, 캠든선의 버윈 역을 폐쇄했다.[38] 같은 해 12월 12일, 뮤어키르크 역을 개통했다.[39] 1996년에는 세비지 역에 주차 공간을 추가했다.[40] 같은 해 7월, 엘크리지 역은 폐쇄되었고 도르시 역으로 대체되었다.[41][42]

1987년 4월 30일, B&O는 CSX에 합병되었고, CSX는 캠든선과 브런스윅선 운행을 계속했다.[33] 같은 해 7월 6일, 브런스윅선에 메트로폴리탄 그로브 역을 개통했다.[43][44]

1994년 저수프에서 EMD E9에 의해 운행되는 MARC 열차


1996년 2월 16일 금요일 저녁, 러시 아워에 브런즈윅 선을 경유하여 워싱턴 유니언 역으로 향하던 동쪽행 열차가 메릴랜드 실버스프링 바로 서쪽에 위치한 눈 덮인 선로의 조지타운 분기점에서 서쪽으로 향하던 암트랙의 ''캐피톨 리미티드''와 충돌했다. 이 열차는 피츠버그를 경유하여 시카고로 향하는 열차였다. 이 사고로 MARC 열차에 탑승해 있던 기관사 리키 오어, 지휘자 지미 메이저 주니어, 짐 퀼렌, 8명의 직업 훈련소 학생들을 포함, 총 11명이 사망했다. 3명은 충돌로 인한 부상, 나머지는 연기와 화염, 또는 그 조합으로 인해 사망했다.

링크


NTSB 보고서에 따르면, MARC 승무원은 켄싱턴 역에서 요청 정차를 한 후 켄싱턴 컬러 포지션 신호의 접근 신호 상태를 잊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MARC 열차는 객차 제어 차량이 앞쪽에 있는 푸시풀 열차 모드로 운행되었으며, 충돌 당시 Amtrak 기관차는 교차점에 있었다. MARC 객차 제어 차량은 선두 Amtrak 차량인 F40PH #255와 충돌하여 연료 탱크가 파열, 화재가 발생하여 대부분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두 번째 차량은 GE Genesis P40DC #811로, 프레임 중앙에 연료 탱크가 보호되는 최신 차량이었다. 공식 조사에 따르면, 1992년 인근 QN 타워가 폐쇄되면서 트랙 신호 시스템을 수정할 때 인적 신뢰성 분석을 수행했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2010년 6월, 메릴랜드 교통국(MTA)은 CSX Transportation을 대체할 캠든 선과 브런즈윅 선의 새로운 운영 및 유지 보수 계약 업체를 찾기 시작했다.[45] 프랑스 국영 철도 회사인 SNCF[46]의 자회사이자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카운티에 기반을 둔 Keolis가 입찰에 참여했으나, SNCF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을 강제 수용소로 수송하는 데 관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발생했다.[47] 이는 레오 브레톨츠 및 다른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경쟁 부족으로 인해 2010년 말 입찰 과정이 중단되었다가 2011년 재개되기 전, 메릴랜드 주는 케올리스에 SNCF의 과거사 관련 정보를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46] 케올리스와 SNCF 변호사는 법에서 요구하는 모든 문서를 이미 제출했다고 주장했다.[47] 2011년 6월, 새로운 공개 법안 시행으로 케올리스의 MARC 계약 입찰 가능 여부는 불확실해졌다. 워싱턴 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공개 법안을 비판하며, SNCF의 기록 디지털화 작업과 메릴랜드 법의 요구 사항이 상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메릴랜드 법무장관실 일각에서는 이 법이 위헌 소지가 있고, 해외 메릴랜드 기업에 대한 보복 위험과 연방 자금 지원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48][49]

MTA는 2011년 7월 14일 브런스윅 선과 캠든 선 MARC 서비스 운영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새로운 RFP를 발행했다.[50] 2012년 10월 17일, 2억 4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캐나다 회사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 수여되면서[51] 케올리스 논란은 종식되었다. 서비스 시작 전 전환 기간 동안 CSXT가 MARC 열차를 계속 운행했다.[51][52] 2018년 5년 계약 갱신이 이루어졌다.[53] 2021년 알스톰이 봄바디어를 인수하면서 계약은 알스톰으로 넘어갔다. 알스톰은 2023년 4월에 4억 100만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5년 연장 옵션이 두 번 가능하다.[3]

3. 1. 기원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B&O)는 1830년 5월 24일 볼티모어와 엘리콧 시티 간의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의 캠든 선 노선의 일부를 이용했다.[9] 1835년 8월 25일에는 B&O의 볼티모어-워싱턴 간 노선(현재 캠든 선)이 개통되었다.[7]

B&O는 서쪽으로 노선을 확장하여 1842년 마틴스버그까지 연결했다. 1873년, B&O의 메트로폴리탄 지선이 개통되면서, 이후 마틴즈버그와 프레데릭에서 워싱턴으로 향하는 대부분의 열차가 이 노선을 이용하게 되었고, 이는 현재 브런즈윅 선의 기본 노선이 되었다.

필라델피아, 윌밍턴 앤 볼티모어 철도(PW&B)는 1838년 12월 볼티모어와 필라델피아 간 노선을 완공했다. 1872년, 펜실베이니아 철도(PRR) 소유의 볼티모어 앤 포토맥 철도(B&P)가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에 개통되었다.[10] 1881년, PW&B는 PRR에 인수되었고, 이후 PRR의 워싱턴-필라델피아 간 직통 운행(현재 펜 선의 전신)이 시작되었다. 1902년, PW&B와 B&P는 PRR의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앤 워싱턴 철도로 통합되었다.[11]

B&O는 1949년 11월 프레데릭 지선의 지역 운행을 중단했다. 1958년, B&O의 볼티모어-필라델피아 간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고, 워싱턴 출발 지역 운행은 캠든 역으로 축소되었다.

3. 2. 공공 인수

20세기 중반, 자동차의 발달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여객 철도 서비스는 쇠퇴하였다.[12] 1968년, PRR은 펜 센트럴 교통 회사(Penn Central)에 흡수되었고,[12] 1971년에는 암트랙이 미국 내 대부분의 도시 간 여객 서비스를 인수하였다.[13] 그러나 B&O와 펜 센트럴은 워싱턴-볼티모어 및 워싱턴-브런즈윅 통근 노선을 보조금 없이 계속 운행하였다.[14]

1974년, 메릴랜드 교통부(MDOT)는 B&O의 통근 노선에 50%의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으며,[15][16] 1975년에는 B&O와 운영 계약을 체결하여 주 정부가 차량을 제공하고 모든 운영 손실을 보상하였다.[16] 콘레일은 1976년 펜 센트럴로부터 통근 서비스를 인수하였으며,[19] MDOT는 1977년부터 콘레일 서비스에도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하였다.[20]

1983년, MDOT는 암트랙에 구 PRR 워싱턴-볼티모어 서비스 운행 비용을 지불하기 시작했고,[16][33] 이 서비스는 AMDOT(암트랙 메릴랜드 교통부)로 브랜드화되었다.[32] 1984년, 메릴랜드(Maryland) 주 철도 관리국(SRA)은 세 개의 보조 노선(펜 선, 캠든 선, 브런즈윅 선)을 통합하여 MARC라는 단일 브랜드로 운영하기 시작했다.[16][33]

3. 3. 서비스 개선

1980년대 후반부터 MARC는 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33] 1986년 10월, MARC는 암트랙 AEM-7 기관차 시험을 시작했다.[33] 1989년 2월 27일, 워싱턴-볼티모어 노선의 평일 왕복 운행 횟수를 늘리고, 에 새로운 역을 개통하고, 기존의 보위 역을 폐쇄했다.[33] 같은 해 5월에 두 번의 왕복 운행이 더 추가되었다.[33]

1991년 5월 1일, 노선을 볼티모어에서 북쪽으로 까지 연장하고, , , 에 중간 정차역을 설치했다.[34] 1988년에서 1993년 사이에 전체 시스템에서 총 일일 운행 횟수를 늘렸다.[35] 1995년에는 오던턴 역에 주차 공간을 추가했다.[40]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캠든 노선은 높은 이용객 증가와 역의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1989년 7월 31일, 에 새로운 역이 개통되었다.[36] 1993년 5월 3일, 그린벨트 역 운행을 시작했다.[37] 1994년 1월 31일, 로렐 경마장 역을 개통하고, 캠든선의 버윈 역을 폐쇄했다.[38] 같은 해 12월 12일, 뮤어키르크 역을 개통했다.[39] 1996년에는 세비지 역에 주차 공간을 추가했다.[40] 같은 해 7월, 엘크리지 역은 폐쇄되었고 도르시 역으로 대체되었다.[41][42]

1987년 4월 30일, B&O는 CSX에 합병되었고, CSX는 캠든선과 브런스윅선 운행을 계속했다.[33] 같은 해 7월 6일, 브런스윅선에 메트로폴리탄 그로브 역을 개통했다.[43][44]

3. 4. 1996년 실버스프링 충돌 사고

1996년 2월 16일 금요일 저녁, 러시 아워에 브런즈윅 선을 경유하여 워싱턴 유니언 역으로 향하던 동쪽행 열차가 메릴랜드 실버스프링 바로 서쪽에 위치한 눈 덮인 선로의 조지타운 분기점에서 서쪽으로 향하던 암트랙의 ''캐피톨 리미티드''와 충돌했다. 이 열차는 피츠버그를 경유하여 시카고로 향하는 열차였다. 이 사고로 MARC 열차에 탑승해 있던 기관사 리키 오어, 지휘자 지미 메이저 주니어, 짐 퀼렌, 8명의 직업 훈련소 학생들을 포함, 총 11명이 사망했다. 3명은 충돌로 인한 부상, 나머지는 연기와 화염, 또는 그 조합으로 인해 사망했다.

NTSB 보고서에 따르면, MARC 승무원은 켄싱턴 역에서 요청 정차를 한 후 켄싱턴 컬러 포지션 신호의 접근 신호 상태를 잊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MARC 열차는 객차 제어 차량이 앞쪽에 있는 푸시풀 열차 모드로 운행되었으며, 충돌 당시 Amtrak 기관차는 교차점에 있었다. MARC 객차 제어 차량은 선두 Amtrak 차량인 F40PH #255와 충돌하여 연료 탱크가 파열, 화재가 발생하여 대부분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두 번째 차량은 GE Genesis P40DC #811로, 프레임 중앙에 연료 탱크가 보호되는 최신 차량이었다. 공식 조사에 따르면, 1992년 인근 QN 타워가 폐쇄되면서 트랙 신호 시스템을 수정할 때 인적 신뢰성 분석을 수행했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3. 5. 운영 및 유지 보수 계약 논란

2010년 6월, 메릴랜드 교통국(MTA)은 CSX Transportation을 대체할 캠든 선과 브런즈윅 선의 새로운 운영 및 유지 보수 계약 업체를 찾기 시작했다.[45] 프랑스 국영 철도 회사인 SNCF[46]의 자회사이자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카운티에 기반을 둔 Keolis가 입찰에 참여했으나, SNCF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을 강제 수용소로 수송하는 데 관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발생했다.[47] 이는 레오 브레톨츠 및 다른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경쟁 부족으로 인해 2010년 말 입찰 과정이 중단되었다가 2011년 재개되기 전, 메릴랜드 주는 케올리스에 SNCF의 과거사 관련 정보를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46] 케올리스와 SNCF 변호사는 법에서 요구하는 모든 문서를 이미 제출했다고 주장했다.[47] 2011년 6월, 새로운 공개 법안 시행으로 케올리스의 MARC 계약 입찰 가능 여부는 불확실해졌다. 워싱턴 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공개 법안을 비판하며, SNCF의 기록 디지털화 작업과 메릴랜드 법의 요구 사항이 상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메릴랜드 법무장관실 일각에서는 이 법이 위헌 소지가 있고, 해외 메릴랜드 기업에 대한 보복 위험과 연방 자금 지원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48][49]

MTA는 2011년 7월 14일 브런스윅 선과 캠든 선 MARC 서비스 운영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새로운 RFP를 발행했다.[50] 2012년 10월 17일, 2억 4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캐나다 회사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에 수여되면서[51] 케올리스 논란은 종식되었다. 서비스 시작 전 전환 기간 동안 CSXT가 MARC 열차를 계속 운행했다.[51][52] 2018년 5년 계약 갱신이 이루어졌다.[53] 2021년 알스톰이 봄바디어를 인수하면서 계약은 알스톰으로 넘어갔다. 알스톰은 2023년 4월에 4억 100만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을 체결했으며, 5년 연장 옵션이 두 번 가능하다.[3]

4. 차량

MARC는 현재 디젤 기관차와 전기 기관차를 혼합하여 운용하고 있다.

MARC 기관차
제조사모델수량번호비고
150px
EMDGP39H-2670 ~ 75
150px
EMDGP40WH-2168
150px
봄바디어-알스톰봄바디어 알스톰 HHP-864910 ~ 4915
150px
MPIMP36PH-3C2610 ~ 35
150px
지멘스차저 SC-448[56]80 ~ 87



과거에 MARC에서 운행했던 기관차는 다음과 같다.

과거 MARC 기관차
제조사모델수량차량 번호사진비고
EMD/ASEAAEM-744900–4903
150px
EMDGP40WH-21951–67, 69
150px
E9AM1060–69
150px
전-벌링턴 노던 철도; 원래는 E8A로 제작됨; 67–68호는 91–92호로 재번호 부여됨.
F9PH581–85
150px
전-볼티모어 및 오하이오 철도; 모리슨-너드슨에서 이전 F7 기관차에서 재건축됨; 이전 MDOT 7181–7185.
F7 APCU17100
150px
전-볼티모어 및 오하이오 철도 F7 #4553, APCU로 개조되었으며 헤드엔드 동력용 발전기가 장착됨; 2000년대 초반에 가끔 객차를 대신하여 사용됨; B&O 철도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박물관의 철도 투어에 사용됨[62][63]



MARC 트레인은 현재 스미토모/닛폰차량제조의 MARC IIA, MARC IIB, 가와사키중공업의 MARC III,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의 MARC IV 객차를 운행하고 있다.[64][57][66]


  • MARC IIA는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도입되었으며, 16량이 운행 중이다. 7710-7713호는 자전거 거치대와 승객 좌석을 갖춘 "자전거 객차"이며, 7709호는 1996년 실버 스프링 충돌 사고로 파손되었다.
  • MARC IIB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도입되었으며, 28량의 코치와 6량의 캡카가 운행 중이다. 7720호는 1996년 실버 스프링 충돌 사고로 파손되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봄바디어에서 정비되었다.
  • MARC III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도입되었으며, 49량의 코치와 14량의 캡차가 운행 중이다. 7826-7834호와 7855-7858호는 2000년에 구매한 전 버지니아 철도 익스프레스 차량으로, 2008년에 MARC에서 인수하였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봄바디어에서 정비되었다.[64][57]
  • MARC IV는 2014년에 도입되었으며, 39량의 코치와 15량의 캡차가 운행 중이다. 봄바디어 멀티레벨 코치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66]


과거에는 버드 컴퍼니의 RDC, MARC I, 스미토모/닛폰차량제조 MARC IIA 캡카, 풀먼 스탠다드의 갤러리 객차를 운행했다.

  • 버드 RDC는 1984년에 도입된 16량의 자력식 객차로, 여러 철도에서 상속받았다.
  • MARC I은 1984년에 도입된 22량의 단층 객차로, 펜실베이니아 철도, 노포크 앤드 웨스턴 철도, NJ 트랜짓, SEMTA 등에서 사용하던 차량이다. 일부는 B&O 철도 박물관에서 사용되었고, 나머지는 개인 사업자에게 판매되었다.
  • MARC IIA 캡카는 1985년부터 1987년까지 11량이 도입되었으며, 7752호는 1996년 실버 스프링 열차 충돌 사고로 파손되었다. 2020년부터 보관 중이다.
  • 풀먼 갤러리 객차는 2004년에 도입된 12량의 2층 객차로, 전 메트라 차량이었다. 브런스윅 노선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2015년 초 MARC IV로 대체되어 메트라로 반환되었다.[68]


MARC 객차
 제조사 / 모델수량도입번호비고
MARC II 캡카
스미토모/ 닛폰차량제조
MARC II
601985년부터 1987년까지7700 ~ 7715
7745 ~ 7756
1991년부터 1993년까지7716 ~ 7735
7757 ~ 7762
7791 ~ 7799
MARC Ⅲ 객차
가와사키
MARC III
631999년부터 2001년까지7800 ~ 7834
7845 ~ 7858
7870 ~ 7876
7890 ~ 7896
풀먼
MARC 갤러리
122004년7900 ~ 7911
봄바디어
MARC IV
542014년부터 2015년까지8000 ~


4. 1. 기관차

MARC는 현재 디젤 기관차와 전기 기관차를 혼합하여 운용하고 있다.

MARC 기관차
제조사모델수량번호비고
|150px]]EMDGP39H-2670 ~ 75
|150px]]EMDEMD GP40WH-2168
|150px]]봄바디어-알스톰봄바디어 알스톰 HHP-864910 ~ 4915
|150px]]MPIMP36PH-3C2610 ~ 35
|150px]]지멘스차저 SC-448[56]80 ~ 87



과거에 MARC에서 운행했던 기관차는 다음과 같다.

과거 MARC 기관차
제조사모델수량차량 번호사진비고
EMD/ASEAAEM-744900–4903|150px]]||
EMDGP40WH-21951–67, 69|150px]]||
E9AM1060–69|150px]]|| 전-벌링턴 노던 철도; 원래는 E8A로 제작됨; 67–68호는 91–92호로 재번호 부여됨.
F9PH581–85|150px]]|| 전-볼티모어 및 오하이오 철도; 모리슨-너드슨에서 이전 F7 기관차에서 재건축됨; 이전 MDOT 7181–7185.
F7 APCU17100|150px]] || 전-볼티모어 및 오하이오 철도 F7 #4553, APCU로 개조되었으며 헤드엔드 동력용 발전기가 장착됨; 2000년대 초반에 가끔 객차를 대신하여 사용됨; B&O 철도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박물관의 철도 투어에 사용됨[62][63]


4. 2. 객차

MARC 트레인은 현재 스미토모/닛폰차량제조의 MARC IIA, MARC IIB, 가와사키중공업의 MARC III,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숀의 MARC IV 객차를 운행하고 있다.[64][57][66]

  • MARC IIA는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도입되었으며, 16량이 운행 중이다. 7710-7713호는 자전거 거치대와 승객 좌석을 갖춘 "자전거 객차"이며, 7709호는 1996년 실버 스프링 충돌 사고로 파손되었다.
  • MARC IIB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도입되었으며, 28량의 코치와 6량의 캡카가 운행 중이다. 7720호는 1996년 실버 스프링 충돌 사고로 파손되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봄바디어에서 정비되었다.
  • MARC III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도입되었으며, 49량의 코치와 14량의 캡차가 운행 중이다. 7826-7834호와 7855-7858호는 2000년에 구매한 전 버지니아 철도 익스프레스 차량으로, 2008년에 MARC에서 인수하였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봄바디어에서 정비되었다.[64][57]
  • MARC IV는 2014년에 도입되었으며, 39량의 코치와 15량의 캡차가 운행 중이다. 봄바디어 멀티레벨 코치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66]


과거에는 버드 컴퍼니의 RDC, MARC I, 스미토모/닛폰차량제조 MARC IIA 캡카, 풀먼 스탠다드의 갤러리 객차를 운행했다.

  • 버드 RDC는 1984년에 도입된 16량의 자력식 객차로, 여러 철도에서 상속받았다.
  • MARC I은 1984년에 도입된 22량의 단층 객차로, 펜실베이니아 철도, 노포크 앤드 웨스턴 철도, NJ 트랜짓, SEMTA 등에서 사용하던 차량이다. 일부는 B&O 철도 박물관에서 사용되었고, 나머지는 개인 사업자에게 판매되었다.
  • MARC IIA 캡카는 1985년부터 1987년까지 11량이 도입되었으며, 7752호는 1996년 실버 스프링 열차 충돌 사고로 파손되었다. 2020년부터 보관 중이다.
  • 풀먼 갤러리 객차는 2004년에 도입된 12량의 2층 객차로, 전 메트라 차량이었다. 브런스윅 노선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2015년 초 MARC IV로 대체되어 메트라로 반환되었다.[68]


MARC 객차
 제조사 / 모델수량도입번호비고
스미토모/ 닛폰차량제조
MARC II
601985년부터 1987년까지7700 ~ 7715
7745 ~ 7756
1991년부터 1993년까지7716 ~ 7735
7757 ~ 7762
7791 ~ 7799
가와사키
MARC III
631999년부터 2001년까지7800 ~ 7834
7845 ~ 7858
7870 ~ 7876
7890 ~ 7896
풀먼
MARC 갤러리
122004년7900 ~ 7911
봄바디어
MARC IV
542014년부터 2015년까지8000 ~


5. 서비스 확장 제안

5. 1. 2007년 계획

21세기 첫 10년 동안 MARC의 이용객 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시스템은 현재 구성의 용량에 근접했다.[69] 이 지역의 인구가 증가하고, BRAC 과정이 MARC 역 근처의 애버딘 시험장과 포트 미드에 새로운 일자리를 가져올 준비를 하면서, 메릴랜드 주는 서비스 확장의 필요성을 느꼈다.[69] 2007년 9월, 메릴랜드 주 교통국(MTA Maryland)은 30년 시스템 개선 계획을 발표했다.[69] 당시에는 자금 출처가 확립되지 않았지만, 이 계획은 용량과 유연성을 증가시키려는 주의 목표를 나타냈다.[69]

제안된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69]

  • 낡은 단층 객차를 대체하기 위해 54대의 봄바디어 멀티레벨 객차를 주문했다.
  • 펜 라인 주말 운행. 2013년 12월 7일부터 볼티모어와 워싱턴 D.C. 사이에서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일부 열차는 마틴 주립 공항까지 연장 운행했다.[70]
  • 캠든 및 브런스윅 노선에서 낮 시간대 운행 및 역방향 통근 서비스 증가.
  • 워싱턴의 유니온 역을 지나 랑팡 플라자까지, 그리고 VRE 노선을 따라 버지니아 북부까지 서비스 연장.
  • 볼티모어 펜 역 동쪽으로 더 많은 일일 운행.
  • 페리빌 너머 뉴어크 또는 윌밍턴까지 서비스 제공.
  • 볼티모어의 북동 회랑을 따라 새로운 또는 확장된 터널.
  • 메트로 지하철과의 직접 연결을 제공하는 볼티모어의 새로운 역.
  • 볼티모어를 통과하는 급행 운송과 같은 서비스.


일부 제안은 구현하는 데 수년 또는 수십 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펜 라인 주말 서비스와 같은 다른 제안은 몇 달 안에 시작될 수 있었지만, 예산 부족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69] 2009년 봄, 이러한 예산 부족을 상쇄하기 위해, 대부분의 비 암트랙 역에서 티켓 판매 직원이 암트랙 "퀵-트랙" 터치스크린 티켓 자동 판매기로 교체되었고, 일부 열차 서비스가 폐지되거나 축소되었다.[71][72]

5. 2. 2010년대: 델라웨어 연장 제안

2017년, 윌밍턴 지역 계획 위원회는 페리빌에서 델라웨어주 뉴어크까지, 그리고 가능하면 엘크턴을 경유하여 윌밍턴까지 MARC 서비스를 연장하기 위한 승객 수 연구를 세실 카운티, 델라웨어 밸리 지역 계획 위원회, SEPTA 및 델라웨어 교통부에 제출했다.[73][74] 페리빌에서 뉴어크까지의 구간은 통근 열차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노스이스트 코리더의 세 구간 중 하나이다(다른 구간은 코네티컷주 뉴런던과 로드아일랜드주 위크포드 정션 사이, 그리고 뉴욕 펜 역과 뉴로셸, 뉴욕 사이이다). 세실 트랜짓에서 운행하는 5번 버스가 이 두 역을 연결했다.[75]

5. 3. 2020년대: 델라웨어 및 버지니아 연장 합의

2023년 4월 13일, 메릴랜드 교통부(MDOT)는 버지니아 여객 철도청 및 델라웨어 교통 공사와 MARC 열차 운행을 현재 종착역 너머로 연장하는 가능성에 대한 합의를 발표했다.[76] 버지니아 방면 연장은 메릴랜드에서 알렉산드리아, 버지니아까지, 델라웨어 방면 연장은 뉴어크까지 한 번에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76] 델라웨어 연장은 2017년 세실 카운티 주민들의 주장에 따라 처음 제안되었다.[76]

델라웨어 연장은 지역 파트너 간의 추가 협의가 필요하며, 버지니아 연장은 포토맥 강 위의 롱 브리지 교체가 필요하다. 롱 브리지 교체는 2030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며, 완료 시 더 많은 열차 수용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76] 단기적으로, VRE 및 MARC 승객 티켓을 각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검토 중이다.[76]

참조

[1] 웹사이트 StackPath https://www.masstran[...] 2022-01-26
[2] 웹사이트 2020 Maryland Statutes :: Transportation :: Title 7 – Mass Transit :: Subtitle 2 – Maryland Transit Administration :: Section 7-208 – Jurisdiction of Administration Over Transit Facilities https://law.justia.c[...] 2022-03-14
[3] 뉴스 Alstom receives new contract for MARC operations, maintenance https://www.trains.c[...] Trains News Wire 2023-04-10
[4] 웹사이트 Amtrak Awarded Five-Year Contract for MARC Penn Line https://www.masstran[...] Endeavor Business Media 2018-02-28
[5] PDF TSAC-MARC-101-presentation https://frederickcou[...] 2022-08
[6] 뉴스 Maryland's MARC Railroad Upgrades Fleet, Service to Bolster Ridership http://www.metro-mag[...] 2017-12-22
[7] 서적 The Great Road: The Building of the Baltimore and Ohio, the Nation's First Railroad, 1828–1853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Maryland Area Rail Commuter, A Rider's Guide PRB Publishing
[9] 서적 History of the Baltimore and Ohio Railroad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1995-01-01
[10] 웹사이트 Southern Maryland Commuter Rail Service Feasibility Study http://www.mdot.mary[...] Maryland Transit Administration 2009-08
[11]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1902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12]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1968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13] 웹사이트 Nationwide Schedules of Intercity Passenger Service http://www.timetable[...] National Railroad Passenger Corporation (Amtrak) 1971-05-01
[14]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1971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15]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1974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16] 웹사이트 History of MARC Train http://mtamaryland.c[...] Maryland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7] 웹사이트 West Virginia State Rail Plan: Intercity Service Review http://www.westvirgi[...] 2013-03-12
[18] 웹사이트 West Virginia State Rail Plan: Maryland Area Regional Commuter Service https://web.archive.[...] West Virgi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tate Rail Authority 2014-10-05
[19]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T: 1976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20]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1977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21]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1977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22] 뉴스 BWI Airport Rail Link Celebrates Opening The Washington Post 1980-10-24
[23] 뉴스 Commuter Trains' New Stop: Beltway Station The Washington Post 1982-08-11
[24] 뉴스 Baltimore-D.C. Commuter Train Trips to Increase The Washington Post 1983-06-09
[25] 간행물 30th Anniversary of New Carrollton Station https://web.archive.[...] 2016-07-29
[26] 뉴스 Metro Parking Spots Rented to Amtrak For Temporary Use at New Carrollton The Washington Post 1983-10-28
[27] 웹사이트 New New Carrollton station http://history.amtra[...] Amtrak 1983
[28] 뉴스 New station, schedule for rail users https://www.newspape[...] 1984-04-28
[29] 뉴스 Bulletin Board The Washington Post 1981-05-28
[30] 법률 Northeast Rail Service Act of 1981. (Title XI, Subtitle E of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of 1981.) 1981-08-13
[31] 뉴스 States Rush to Replace Conrail In Switch of Commuter Servic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1982-12-30
[32] 뉴스 Many Commute From Baltimore To District Jobs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1983-07-11
[33] 웹사이트 A GENERAL CHRONOLOGY OF THE SUCCESSORS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COMPANY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1980–89 http://www.prrths.co[...] Pennsylvania Railroad Technical and Historical Society 2015-04
[34] 뉴스 Commuter rail, Perryville to Baltimore, starts today: MARC line's new Susquehanna Flyer out to attract commuters. ALL ABOARD! https://www.baltimor[...] 2016-07-28
[35] 뉴스 MARC plans to raise fares 19 percent boost to be proposed https://www.baltimor[...] 2016-07-28
[36] 뉴스 Columbia Commuters Get a Station Break: Convenience Touted at New MARC Stop in Savage Station Opens in Savage 1989-08-03
[37] 뉴스 LUKEWARM THRILL AT END OF LINE https://www.washingt[...] 1993-12-10
[38] 웹사이트 MARC is off to the races Jan. 31 https://www.baltimor[...] 2016-07-28
[39] 뉴스 Commuter Lines Add Stations in Va. and Md. 1994-12-12
[40] 뉴스 600 spaces to be added to MARC station parking lot by spring https://www.baltimor[...] 2016-07-28
[41] 뉴스 State DOT Considers New Road near Dulles https://www.highbeam[...] 1996-07-08
[42] 웹사이트 MAJOR TRANSPORTATION MILESTONES IN THE BALTIMORE REGION SINCE 1940 http://www.baltometr[...] Baltimore Metropolitan Council 2005-12-01
[43] 간행물 News and Upcoming Events http://actfortransit[...] Action Committee for Transit 2016-07-28
[44] 뉴스 Md. Commuters Get Another Way to Go 1987-07-09
[45] 웹사이트 MARC to seek new operator for CSX-run routes http://trn.trains.co[...] Trains Magazine 2010-06-14
[46] 뉴스 Holocaust group faults VRE contract https://www.washingt[...] 2010-07-07
[47] 웹사이트 No way to run a railroad http://www.wbaltv.co[...] WBAL TV 2012-09-01
[48] 뉴스 No way to run a railroad https://www.washingt[...] 2011-06-05
[49] 뉴스 State archivist SNCF archives might not be enough http://www.jewishtim[...] 2012-03-04
[50] 뉴스 MD MTA Keolis mum on bids to run MARC lines http://www.masstrans[...] 2011-11-21
[51] 뉴스 Bombardier wins $204m MARC commuter train contract http://washingtonexa[...] 2012-10-28
[52] 뉴스 New company to operate some MARC trains https://www.washingt[...] 2012-12-18
[53] 웹사이트 MARC extends Bombardier O&M contract https://www.railwaya[...] 2022-03-14
[54] 웹사이트 Maryland Rail Commuter Roster https://www.thediese[...] 2018-05-17
[55] 웹사이트 MTA Expands MARC Penn Line Service http://www.mtamaryla[...] MTA Maryland Service Information 2010-02-16
[56] 간행물 Board Of Public Works Approves $58 Million Contract For Eight MARC Locomotives http://mta.maryland.[...] Maryland Transit Administration 2018-01-23
[57] 웹사이트 MARC Riders Advisory Council Meeting Summary Minutes https://s3.amazonaws[...] 2019-06-02
[58] 웹사이트 Penn Line schedule change: April 23 https://mta.maryland[...] 2018-04-15
[59] 웹사이트 MARC Riders Advisory Council Meeting Minutes https://mta-d7.cg-de[...] 2019-06-02
[60] Youtube North Pole Express 2022 - Owosso to Ashley, MI - 12/10/22 https://www.youtube.[...] 2022-12-11
[61] 웹사이트 Locomotives for Lease | Precision Locomotive | United States https://www.pnlxrail[...]
[62] 웹사이트 The MARC 7100 Returns! (November 1999 ''CSX Railfan Magazine'') http://www.trainweb.[...] 2012-09-01
[63] 웹사이트 MARC #7100 - Locomotive, Diesel-Electric {{!}} B&O Railroad Museum https://borail.pastp[...]
[64] 간행물 MARC Train Awards $36.8 Million Contract to Bombardier Transportation to Overhaul 63 Bi-Level Rail Cars https://www.mta-d7.c[...] Maryland Transit Administration 2019-06-02
[65] 뉴스 New cars may ease MARC crowding 2008-08-20
[66] 웹사이트 Governor O'Malley Announces Marc to Purchase 54 Multi-level Passenger Cars https://www.mta-d7.c[...] MTA Maryland 2012-09-01
[67] 문서 Amtrak Employee Timetable 1990-01-01
[68] 웹사이트 Maryland's MARC Railroad Upgrades Fleet, Service to Bolster Ridership https://www.metro-ma[...] 2021-02-04
[69] 웹사이트 MARC Growth & Investment Plan http://www.mtamaryla[...] MTA Maryland 2010-02-16
[70] 웹사이트 MARC Penn Line Full Timetable https://s3.amazonaws[...] Maryland Transit Administration 2019-05-14
[71] 웹사이트 Odenton station is now a Commuter Direct Store https://www.mta-d7.c[...] MTA Maryland 2009-09
[72] 웹사이트 Commuter Direct Store Locations http://www.commuterp[...] Commuter Direct 2015-03
[73] 뉴스 MARC stop in Elkton moves forward, Perryville MARC facility stalls https://www.cecildai[...] Cecil Whig 2017-04-28
[74] 뉴스 Study to examine extending MARC line to Newark https://www.newarkpo[...] Newark Post (Delaware) 2017-03-07
[75] 서적 Fixed Route 5 (schedule) http://www.ccgov.org[...] Cecil Transit
[76] 뉴스 Maryland advances plan for MARC train service to Virginia, Delaware https://www.washingt[...] 2023-04-13
[77] 웹인용 Maryland Rail Commuter (MARC) http://www.trains.co[...] 2006-06-30
[78] 웹인용 MARC Brunswick Line Timetable http://mta.maryland.[...] MTA Maryland 2013-01-14
[79] 웹인용 MARC Camden Line Timetable http://mta.maryland.[...] MTA Maryland 2015-03-09
[80] 웹인용 MARC Penn Line Timetable http://mta.maryland.[...] MTA Maryland 2012-04-02
[81] 웹인용 MARC train weekend service begins http://articles.balt[...] 2013-12-07
[82] 웹인용 Video showing MARC 68 Going to help out https://www.youtube.[...] bebo2good1 2012-09
[83] 웹인용 Marc Penn line 421 Description http://mta.maryland.[...] MTA Maryland 20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