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 접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N 접합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만나는 경계로, 1939년 벨 연구소의 러셀 올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 접합은 반도체 소자의 핵심 요소로, p-n 접합의 특성은 두 반도체의 상대 전압에 따라 조절된다.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전류가 쉽게 흐르고, 역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PN 접합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발광 다이오드(LED), 태양전지 등 다양한 반도체 소자에 활용되며, 정류 작용, 공핍층을 이용한 전계 효과, 전기 발광 및 광기전력 효과 등 다양한 현상을 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도체 구조 - 양자 우물
양자 우물은 띠 간격이 다른 반도체 물질을 층층이 쌓아 전하 캐리어를 가두는 퍼텐셜 우물을 형성하는 구조로, 광전자 및 전자 소자, 에너지 수확 분야에 응용되며, 한국은 관련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 반도체 구조 - 쇼트키 접합
쇼트키 접합은 금속과 반도체 접촉으로 형성되는 계면에서 금속의 일함수와 반도체의 전자 친화도 차이로 쇼트키 장벽이 생겨 정류 특성을 가지며, 쇼트키 다이오드 등 다양한 반도체 소자와 특성 분석에 활용된다. - 다이오드 - 건 다이오드
건 다이오드는 건 효과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 소자로, 갈륨 비소와 같은 반도체의 전자띠 구조를 통해 음의 미분 저항을 발생시키며, 스피드건,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다이오드 - 제너 다이오드
제너 다이오드는 제너 효과와 애벌랜치 효과를 이용하여 특정 역전압에서 항복하며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반도체 소자로, 전압 안정기, 기준 전압 생성, 전압 조정기 등에 활용된다.
PN 접합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유형 | 반도체 접합 |
구성 |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
역할 | 다이오드 등 전자 소자 구성 요소 |
특징 | 정류 작용 |
작동 원리 | |
접합 형성 |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 접촉 전자와 정공 확산 |
공핍 영역 형성 | 전하 캐리어 부족 영역 생성 |
전위 장벽 형성 | 전하 이동 방해 |
순방향 바이어스 | 전위 장벽 감소, 전류 흐름 |
역방향 바이어스 | 전위 장벽 증가, 전류 차단 |
응용 분야 | |
주요 응용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태양 전지 발광 다이오드 (LED) 집적 회로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반도체 정공 전자 페르미 준위 공핍 영역 전위차 바이어스 정류 작용 전류 |
2. 역사
1939년, 벨 연구소의 미국 물리학자 러셀 올이 p-n 접합을 발명했다.[1] 1941년, 바딤 라시카료프는 Cu₂O와 황화은 광전지, 그리고 셀레늄 정류기에서 P-N 접합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2] 1950년 윌리엄 쇼클리는 저서 "반도체의 전자와 정공"에서 p-n 접합의 현대 이론을 명확히 밝혔다.[3]
3. 특성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하면, 그 경계면에서 두 반도체의 상대 전압에 따라 전하 운반자가 줄어들어 공핍 영역이 형성된다.[4] 이 공핍층을 통해 전하 운반자가 어떻게 흐르는지를 조절하여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를 만들 수 있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특성을 가지며, 이는 p-n 접합이 현대 반도체 전자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p-n 접합 영역에 전압을 가하는 것을 '바이어스'라고 하며, 여기에는 순방향 바이어스와 역방향 바이어스 두 가지가 있다. 순방향 바이어스는 전류가 쉽게 흐르는 방향이고, 역방향 바이어스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거나 아예 흐르지 않는 방향이다.
p형과 n형 반도체를 접합하면 n형의 다수 캐리어인 전도 전자와 p형의 다수 캐리어인 정공이 서로 확산하면서 확산 전류가 발생한다.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사라지면, 접합부 근처에는 캐리어가 거의 없는 공핍층이 만들어진다.
공핍층의 n형 쪽은 전자가 부족하고 양전하를 띤 도너 이온이 고정되어 양으로 대전된다. 반면 p형 쪽은 정공이 부족하고 음전하를 띤 억셉터 이온이 고정되어 음으로 대전된다. 그 결과, 공핍층은 양전하 층과 음전하 층이 겹쳐진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고, 확산 전위(내장 전위)라고 하는 내부 전위()가 발생한다. 이 내부 전장은 전자와 정공을 각각 n형, p형 영역으로 되돌리려 하고, 이로 인해 표동 전류가 발생한다.
열평형 상태에서는 순 전류가 0이 되고, 확산 전류와 표동 전류가 균형을 이루며, p-n 접합 전체의 페르미 준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3. 1. 평형 상태 (제로 바이어스)
p-n 접합에서 외부 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면 접합부 전체에 걸쳐 전위차가 형성되는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이 전위차를 ''내부 전위'' ()라고 한다.
n형 반도체의 자유 전자는 무작위적인 열적 이동("확산")으로 인해 p형 반도체로 이동한다. p형 반도체로 확산된 전자는 정공과 결합하여 서로 상쇄된다. 마찬가지로 p형 반도체의 정공도 n형 반도체로 확산되어 자유 전자와 결합하고 서로 상쇄된다. n형 반도체의 양으로 대전된 ("도너") 도펀트 원자는 결정의 일부이며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n형 반도체에서 접합부 근처 영역은 일정량의 양전하를 갖게 된다. p형 반도체의 음으로 대전된 ("억셉터") 도펀트 원자는 결정의 일부이며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p형 반도체에서 접합부 근처 영역은 음전하를 띠게 된다. 그 결과 접합부 근처 영역은 이러한 대전된 영역이 생성하는 전기장 때문에 이동 전하를 접합부에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p-n 계면 근처의 영역은 전기적 중성을 잃고 대부분의 이동 캐리어를 잃어 공핍층을 형성한다(그림 A 참조). 공간 전하에 생성된 전기장은 추가적인 확산을 방해하여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공간 전하 영역은 다수 캐리어 확산에 의해 "노출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고정 이온(도너 또는 억셉터)에 의해 순 전하를 갖는 영역이다. 평형 상태에 도달하면 전하 밀도는 표시된 계단 함수로 근사된다. 공간 전하 영역은 p-n 계면의 양쪽에서 같은 크기의 전하를 가지므로, 덜 도핑된 쪽(그림 A와 B의 n쪽)으로 더 멀리 확장된다.
p형과 n형 반도체를 접합하는 순간, n형 쪽의 다수 캐리어인 전도 전자와 p형 쪽의 다수 캐리어인 정공이 각각 확산함으로써 확산 전류가 발생한다.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에 의해 소멸하면, 접합부 근처에 캐리어가 적은 영역(공핍층)이 형성된다. 접합 양쪽에서 전자와 정공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확산 전류가 흐른다.
공핍층의 n형 쪽에서는, 원래 존재하는 전도 전자가 부족한 반면 양전하를 띠는 도너 이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으로 대전된다. 한편 공핍층의 p형 쪽에서는, 원래 존재하는 정공이 부족한 반면 음전하를 띠는 억셉터 이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음으로 대전된다. 그 결과, 공핍층은 양으로 대전된 층과 음으로 대전된 층이 겹쳐진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고, 내장 전장이 생긴다. 내장 전장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 포텐셜의 차이 를 '''확산 전위''' 또는 '''내장 전위'''(built-in potential)라고 한다. 내부 전장은 전자와 정공을 각각 n형, p형 영역으로 되돌리려고 한다. 내장 전장의 발생에 따라 표동 전류도 발생한다.
열평형 상태에서는 순 전류는 0이며, 확산 전류와 표동 전류는 균형을 이룬다. 따라서 pn 접합 전체의 페르미 준위(화학 포텐셜)는 일정하게 된다.
3. 2. 순방향 바이어스
PN 접합에서 순방향 바이어스는 P형 반도체에 (+) 전압을, N형 반도체에 (-) 전압을 가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P 영역의 정공과 N 영역의 전자가 접합면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핍 영역의 폭이 줄어들고, 전위 장벽이 낮아져 전기 저항이 감소한다.[5]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에서는 다수 캐리어(N형의 전자, P형의 정공)가 접합부를 가로질러 이동한다. 전자는 N형에서 P형으로 이동하여 정공과 결합하며, 이 과정이 계속되면서 전류가 끊이지 않고 흐른다. 총 전류는 전자 전류와 정공 전류의 합으로, 공간적으로 일정하다. 이는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에 따른 것이다.
전자가 P형 물질로 주입된 후 정공과 재결합하기 전까지 이동하는 평균 거리를 확산 길이라고 하며, 보통 마이크로미터 단위이다.[5]
전극에서 N형 및 P형 영역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다수 캐리어)은 접합 영역에서 재결합한다. 이 때, 캐리어가 금지대를 넘어 재결합하면서 에너지를 열이나 빛의 형태로 방출한다. 이 현상을 활용한 것이 발광 다이오드(LED)와 반도체 레이저이다.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외부에서 일정 전압을 공급해야 하는데, 이를 순방향 전압 강하라고 한다. 실리콘 다이오드의 경우 약 0.6~0.7V,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약 0.2V,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파장 및 출력에 따라 약 1~5V이다.
쇼클리 다이오드 방정식은 애벌랜치 영역을 제외한 p-n 접합의 순방향 바이어스 특성을 모델링한다.
3. 3. 역방향 바이어스
역방향 바이어스는 p형 영역을 전원 공급 장치의 음극에, n형 영역을 양극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즉, n형에 (+), p형에 (-) 전압을 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정공은 n형에서 p형으로, 전자는 p형에서 n형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이러한 연결은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 장벽을 증가시켜 전하 운반자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높인다. 따라서 p-n 접합의 저항이 증가하여 접합이 절연체처럼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핍 영역의 폭이 증가하고, 전위 장벽이 높아진다.
하지만 높은 역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주면 항복에 의해 역방향 전류가 형성된다. 항복의 종류에는 제너 항복(Zener breakdown)과 애벌랜치 항복(avalanche breakdown)이 있다.[1]
항복 현상은 자너 다이오드 레귤레이터 회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자너 다이오드는 항복 전압이 낮아, 다이오드의 전압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역방향 바이어스의 또 다른 응용 분야는 바리액터 다이오드로, 공핍 영역의 폭을 조절하여 다이오드의 정전용량을 변경한다.[1]
4. 확산 전위
비퇴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계단형으로 접합한 이상적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p형 반도체의 억셉터 농도를 N영어 , 도너 농도를 N영어라고 하면 N
:p=N'=N-N
:n=N'=N-N
이 두 반도체를 접합했을 때의 확산 전위는 p형과 n형 각각의 일함수의 차이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 =
:
:
여기서 E는 밴드갭, E는 전도대의 하단 에너지, E는 가전자대의 상단 에너지, N와 N는 유효 상태 밀도, n는 진성 캐리어 밀도이다.
예를 들어 실리콘(밴드갭 1.17eV)의 pn 접합의 경우, 내부 전위는 0.6~0.7V 정도가 된다.
5. 공핍층의 폭
p-n 접합에서 공핍층의 폭은 외부 전압과 도핑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를 음으로 대전된 수용체 원자의 농도, 를 양으로 대전된 도너 원자의 농도라고 하자. 와 를 각각 전자와 정공의 평형 농도라고 하면, 푸아송 방정식에 의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는 전위, 는 전하 밀도, 는 유전율, 는 전자 전하의 크기이다.
일반적으로 도펀트(dopant)는 깊이 x에 따라 변하는 농도 프로파일을 가지지만, 급격한 접합의 경우 는 접합의 p 쪽에서는 일정하고 n 쪽에서는 0으로, 는 접합의 n 쪽에서는 일정하고 p 쪽에서는 0으로 가정할 수 있다. 를 p 쪽 공핍 영역의 폭, 을 n 쪽 공핍 영역의 폭이라고 하면, 공핍 영역 내에서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이는 공핍 영역의 p 쪽과 n 쪽의 총 전하가 0이 되기 때문이다. 와 가 전체 공핍 영역과 그 영역에 걸친 전위차를 나타낸다고 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를 공핍 영역의 전체 폭이라고 하면, 다음을 얻는다.
는 평형 성분과 외부 성분으로 나누어 로 쓸 수 있다. 평형 전위는 확산력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아인슈타인 관계를 적용하고 반도체가 비퇴화(즉, 곱 는 페르미 에너지와 무관함)라고 가정하여 를 계산할 수 있다.[6]
여기서 ''T''는 반도체의 온도이고 ''k''는 볼츠만 상수이다.
p형 쪽의 공핍층 폭을 , n형 쪽의 공핍층 폭을 이라 하고, 공핍층에서는 가전자대의 전자와 전도대의 정공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즉, 전하 밀도 는 p형 쪽에서는 억셉터 이온의 음전하, n형 쪽에서는 도너 이온의 양전하에 의한 것만이라고 가정한다. 공핍층의 바깥쪽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
:
:
:
6. 전류-전압 특성
PN 접합은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데, 이를 '''정류 작용'''이라고 한다. 이러한 특성은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 등 여러 반도체 소자에 이용된다.
PN 접합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관계는 붕괴되지 않은 영역에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Jo는 역방향 포화 전류, q는 기본 전하, V는 전압, n은 이상 다이오드 인자, k는 볼츠만 상수, T는 온도이다. n=1일 때가 PN 접합의 이상적인 I-V 특성이다.
- '''순방향 바이어스''': P형 영역에 (+) 전압, N형 영역에 (-) 전압을 가하면 확산 전류가 증가하여 전류가 흐른다.
- '''역방향 바이어스''': N형 영역에 (+) 전압, P형 영역에 (-) 전압을 가하면 캐리어들이 반대 영역으로 움직일 수 없어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매우 적은 드리프트 전류에 의한 역방향 전류가 흐르며, 항복 전압 이상에서는 제너 항복이나 애벌랜치 항복으로 인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한다.
6. 1. 순방향 바이어스 특성
순방향 바이어스는 P형 부분에 (+) 전압을, N형 부분에 (-) 전압을 걸어주는 경우이다. 이렇게 하면 P 영역의 정공과 N 영역의 전자가 접합면 쪽으로 끌려온다. (P 영역에 걸린 양전하가 정공을 밀어내고, N 영역에 걸린 음전하가 전자를 밀어낸다.) 따라서 '''공핍(depletion)영역'''의 폭이 줄어든다. P-N 접합면의 전위 장벽(potential barrier)가 줄어들고, 전기저항이 낮은 값이 된다.[5]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p형 반도체가 양극에, n형 반도체가 음극에 연결된다. 반도체의 내장 전위는 도핑 원자의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p-n 접합을 가로지르는 캐리어의 수축 이동으로부터 공핍층 폭 감소를 추론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전기 저항을 감소시킨다. p-n 접합을 가로질러 p형 물질로 이동하는 전자(또는 n형 물질로 이동하는 정공)는 인근 중성 영역으로 확산된다. 근접 중성 영역에서의 소수 캐리어 확산량은 다이오드를 통해 흐를 수 있는 전류량을 결정한다.
다수 캐리어(n형 물질의 전자 또는 p형 물질의 정공)만이 거시적 길이에 대해 반도체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순방향 바이어스는 전자에 힘을 가하여 N 쪽에서 P 쪽으로 밀어낸다.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공핍 영역이 충분히 좁아 전자가 접합을 가로질러 p형 물질에 '''주입'''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적으로 정공과 재결합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p형 물질을 무한정 흐르지는 않는다. 재결합하기 전에 전자가 p형 물질을 통과하는 평균 길이를 '''확산 길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5]
전자는 p형 물질에 짧은 거리만 침투하지만, 정공(다수 캐리어)이 반대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하기 때문에 전류는 계속해서 중단 없이 흐른다. 전자 전류와 정공 전류의 합인 총 전류는 공간적으로 일정하다. p형 영역에서 n형 영역으로의 정공 흐름은 N에서 P로의 전자 흐름과 정확히 유사하다(전자와 정공의 역할이 바뀌고 모든 전류와 전압의 부호가 반전된다).
다이오드를 통한 전류 흐름의 거시적 그림은 접합 방향으로 n형 영역을 통과하는 전자의 흐름, 접합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p형 영역을 통과하는 정공의 흐름, 그리고 접합 부근에서 두 종류의 캐리어가 끊임없이 재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자와 정공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반대 전하를 갖기 때문에 다이오드의 양쪽에서 전체 전류는 필요에 따라 같은 방향이다.
쇼클리 다이오드 방정식은 애벌랜치(역 바이어스 전도) 영역을 제외한 p-n 접합의 순방향 바이어스 작동 특성을 모델링한다.
pn 접합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한 경우, 즉 내부 전위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 전압을 거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러면 포텐셜의 균형이 무너져 확산 전류가 증가하고 전류가 흐른다.
전극에서 n형, p형 각 영역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다수 캐리어)는 접합 영역에서 재결합한다. 일반적인 실리콘 다이오드의 경우, 접합면을 통과하여 10~100μm 정도의 영역까지(소수 캐리어로서) 주입된다.
캐리어가 금지대를 넘어 재결합할 때, 재결합 에너지를 열이나 빛으로 방출한다. 이 현상을 이용한 것이 발광 다이오드와 반도체 레이저이다. 순방향 전류를 흘리려면 금지대폭이 2전자볼트(eV)라면 최소 2V의 전압을 외부에서 공급해야 한다. 다이오드를 순방향 바이어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순물 준위 등을 통한 전이에 의한 전압 저하분을 빼고, 또 전극에서의 쇼트키 장벽에 의한 전위차나 소자 각 부분에서의 저항 손실을 더한 전압을 가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순방향 전압 강하(또는 순방향 강하 전압)라고 부른다. 순방향 전압 강하는 실리콘 다이오드의 경우 0.6V~0.7V 정도이며,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경우 0.2V이다. 발광 다이오드에서는 발광 파장이나 출력에 따라 다르며, 1V~5V 정도가 된다.
6. 2. 역방향 바이어스 특성
역방향 바이어스는 N형 부분에 (+) 전압, P형 부분에 (-) 전압을 걸어주는 경우이다. 이렇게 하면 캐리어들이 반대 영역으로 움직일 수 없어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높은 역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줄 경우 '''항복(breakdown)'''에 의해 역방향 전류가 형성된다. 항복의 종류에는 제너 항복, 애벌랜치 항복이 있다.p형 영역을 전원 공급 장치의 음극에, n형 영역을 양극에 연결하면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린다. 음극의 전압이 양극의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다이오드가 고장날 때까지 매우 적은 전류만 흐른다.
p형 물질의 정공이 접합부에서 멀어지고, n형 영역의 전자도 접합부에서 멀어지면서 고갈 영역의 폭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전압 장벽이 증가하여 전하 운반자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높아지고, p-n 접합을 가로지르는 최소한의 전류만 흐를 수 있다. p-n 접합의 저항 증가는 접합이 절연체처럼 작동하게 한다.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고갈 영역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한다. 전기장 강도가 임계 수준을 넘어서면 p-n 접합 고갈 영역이 고장나고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데, 일반적으로 제너 항복 또는 애벌랜치 항복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 이러한 두 가지 고장 과정은 반도체 재료가 과열되어 열적 손상을 입을 정도로 전류량이 많지 않은 한 비파괴적이고 가역적이다.
이 효과는 제너 다이오드 레귤레이터 회로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제너 다이오드는 항복 전압이 낮다. 항복 전압의 표준 값은 예를 들어 5.6V이다. 즉, 음극의 전압은 양극의 전압보다 약 5.6V 이상 높을 수 없다. 다이오드가 고장나고 전도하기 때문이다. 이 효과는 다이오드의 전압을 제한한다.
역방향 바이어스의 또 다른 응용 분야는 바리액터 다이오드이다. 여기서 고갈 영역의 폭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으로 제어됨)은 다이오드의 정전용량을 변경한다.
pn 접합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하면, n형 쪽에는 양전압이, p형 쪽에는 음전압이 인가되어 포텐셜 장벽이 커진다. 그러면 n형, p형 영역 각각에서 다수 캐리어(전자와 정공)가 소수 캐리어(정공과 전자)의 주입에 의해 감소한다. 이에 따라 공핍층 폭이 증가하고 내장 전위가 커지며, 내장 전위의 증가분이 외부에서 인가한 전압과 균형을 이룬 지점에서 평형에 도달하여 전류가 멈춘다.[1]
실제 소자에서는 역바이어스 상태에서도 드리프트 전류에 의해 약간의 역방향 전류가 흐른다. 더욱 역방향 바이어스를 증가시키면 제너 항복 또는 애벌랜치 항복을 일으켜 전류가 급격히 흐르게 된다. 이때의 전압을 (역방향) 항복 전압이라고 한다.[1]
7. p-n 접합과 발광/수광
pn 접합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가하면, p형 영역에는 양전압이, n형 영역에는 음전압이 가해져 내부 전위가 낮아진다. 이로 인해 확산 전류가 증가하고 전류가 흐르게 된다.
n형과 p형 각 영역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다수 캐리어)은 접합 영역에서 재결합한다. 이 캐리어들이 금지대를 넘어 재결합할 때 에너지를 빛이나 열로 방출하는데, 이 현상을 이용한 것이 발광 다이오드(LED)와 반도체 레이저이다.
반대로 pn 접합 영역에 금지대폭보다 큰 에너지의 광자가 입사하면, 가전자대에서 전자가 여기되어 전도전자가 되고, 내장 전기에 의해 드리프트 전류가 증가하는 광기전력 효과(내부 광전 효과)가 발생한다. 이를 응용한 소자가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태양전지 등이다.
전도대의 바닥과 가전자대의 꼭대기 사이를 전자가 순간적으로 전이할 때 흡수·방출하는 빛의 파장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광자의 에너지를 E, 플랑크 상수 h, 진동수 ν, 광속 c, 파장 λ, 기본 전하 e, 금지대폭을 Eg로 하면,
:
의 관계가 성립한다.
예를 들어 캐리어가 2.200전자볼트(eV)의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넘어 발광 재결합하는 경우, 대략적인 발광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즉, 황록색 빛이 방출된다. 실제로는 불순물 준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광 스펙트럼은 다소 폭을 가진다. 반도체 레이저는 유도 방출을 통해 이를 하나의 파장으로 맞춘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에 빛을 비추면 약간의 광기전력이 발생한다. 반대로, 일반적인 포토다이오드나 태양전지에 전압을 가하면 적외선 영역에서 발광하거나 열이 발생하여 거의 발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8. 주요 응용
참조
[1]
서적
Crystal Fire: The Invention of the Transistor and the Birth of the Information Age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1988
[2]
학술지
Investigation of a Barrier Layer by the Thermoprobe Method
http://ujp.bitp.kiev[...]
2008
[3]
서적
Electrons and Holes in Semiconductors: With Applications to Transistor Electronics
Van Nostrand
1950
[4]
서적
Semiconductor Device Physics and Design
Springer
2008
[5]
서적
Solid State Physics
John Wiley & Sons
2001
[6]
서적
Handbook of Photovoltaic Science and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3-29
[7]
서적
半導体デバイスの基礎
丸善出版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