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TV 조선왕조실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V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잊혀지거나 잘못 알려진 역사를 재조명하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확립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1997년 3월 11일부터 1998년 5월 26일까지 KBS 1TV에서 매주 화요일 밤 10시 15분에 방송되었으며, 유인촌이 진행을 맡았다. 조선 건국부터 조선왕조 472년간의 역사를 다루었으며,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조선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역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 차이나는 클라스
    《차이나는 클라스》는 JTBC에서 다양한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지식 강연을 제공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오상진, 이현이, 함은정, 이장준 등이 진행을 맡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역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KBS 1TV에서 1998년부터 2012년까지 방송된 역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한국사의 다양한 사건, 인물, 문화유산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했으며, 유인촌, 고두심, 한상권 등이 진행했고, 2021년에는 UHD 역사스페셜로 방송되었다.
  • 1997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 1997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성공시대 (MBC)
    MBC에서 1997년부터 2001년까지 방영된 성공시대는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한 인물들의 삶과 철학을 조명한 인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 1998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삼김시대 (드라마)
    《삼김시대》는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의 삶과 정치 활동을 그린 1998년 SBS 드라마로, 시대상황과 인물 심리 분석, 민주화 운동 긍정 평가, 권력 비판 시각을 제시하지만, 주관적 해석, 캐스팅 문제, 낮은 시청률, 평면적 구성 등으로 조기 종영 및 비판을 받았다.
  • 1998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바람의 노래
    바람의 노래는 공영화 감독 연출, 최현경 작가 극본의 드라마로, 신은경, 이창훈, 감우성, 박주미 등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한다.
TV 조선왕조실록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 채널KBS1
방송 기간1997년 3월 11일 ~ 1998년 5월 26일
방송 시간매주 화요일 밤 22:15 ~ 23:00
방송 분량45분
방송 횟수50부작
진행자유인촌

2. 기획 의도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잊혀 가거나 잘못 알려진 역사를 재조명하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확립하고자 한다. 조선 건국부터 조선왕조 472년간의 역사가 담겨 있다.

3. 방송 시간

KBS 1TV에서 1997년 3월 11일부터 1998년 5월 26일까지 매주 화요일 밤 10시 15분부터 11시까지 방송되었다.

4. 진행자

유인촌

5. 에피소드 목록

5. 1. 1997년

횟수방송 일자제목
13월 11일조선시대 블랙박스 - 조선왕조실록
23월 18일나라이름을 "조선"으로 정한 까닭은?
33월 25일개국 프로젝트 제1호 - 종묘
44월 1일킹 메이커 정도전의 사후 이력서
54월 8일조선시대에는 인사청탁법이 있었다
64월 15일태조가 태종에게 활을 쏜 까닭은?
74월 22일1402년, 조선이 바라본 세계
84월 29일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1 - 세종 즉위, 태종의 시나리오였다
95월 6일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2 - 집현전에 물어보라
105월 13일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3 - 세종, 최초의 여론조사를 실시하다
115월 20일세종탄신 600주년 기획 4 - 그러나 세종은 불행한 왕이었다
126월 17일단종은 영월에 살아있다
137월 8일조선 선비 중국 표류기
147월 15일노비의 출산휴가는 80일이었다
157월 22일사치하는 자는 장 100대에 처하라
168월 5일홍길동은 실존인물이었다
178월 19일철저해부! 연산군의 다섯가지 폭정
188월 26일언관 채수가 귀신 이야기를 쓴 까닭은 - 조선시대 금서 "설공찬전"
199월 2일1581년, 조선팔도는 지금
209월 9일전하, 그 뜻을 거두소서 - 조선시대의 언론정신
219월 23일발 뒤의 정치 - 문정왕후의 수렴청정
229월 30일다시 보는 임진왜란 1 - 7년 전쟁, 패배는 60일 뿐이었다
2310월 7일다시 보는 임진왜란 2 - 전쟁중에도 과거를 실시했다
2410월 14일조선외교 비사 - 왜란 후 10년, 통신사를 보낸 까닭은?
2510월 21일광해군 다시보기 1 - 파주가 서울이 될 뻔했다
2610월 28일광해군 다시보기 2 - 조선 최초의 해외 파병, 실리외교로 풀었다
2711월 4일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날을 - 삼전도의 치욕
2811월 11일실록 청문회 - 김자점이 간신인 다섯가지 이유
2911월 18일그때 우리는 북벌을 꿈꾸었다
3011월 25일17세기, 조선에도 소빙하기가 있었다
3112월 9일장희빈이 사약을 받은 진짜 이유는?
3212월 16일놀부는 왜 처음부터 부자였나 - 조선시대의 가족제도


5. 2. 1998년

1998년에는 총 18회에 걸쳐 다양한 주제의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횟수방송 일자제목
331월 6일조선시대 독도지킴이 - 안용복
341월 13일조선의 삼평통보 살리기 - 환율을 잡아라
351월 20일일어서는 한강 서울의 상인들
362월 3일조선의 절반은 노비였다
372월 10일조선의 뉴딜정책 - 영조청계천 준설공사
382월 17일아들을 죽인 임금, 그러나 - 영조의 두얼굴
393월 10일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1 - 개혁의 산실 규장각
403월 17일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2 - 국왕도 일기를 썼다
413월 24일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3 - 피가로의 결혼판소리 춘향전
423월 31일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4 - 인왕산 선언 "조선은 양반의 나라가 아니오"
434월 7일조선의 르네상스 정조시대 5 - 그들은 신주를 불태웠다
444월 14일입체분석 정약용의 자서전 1 - IQ는 150+a
454월 21일입체분석 정약용의 자서전 2 - 유배 18년 500권의 책 어떻게 썼나
464월 28일최초 공개 홍경래 난 진중일기
475월 5일사례분석 세도정치하의 부정부패
485월 12일궁궐에 조선이 있다
495월 19일철종즉위 누구의 시나리오였나
505월 26일다시보는 조선왕조실록



6. 주요 내용

7. 제작진

책임 프로듀서는 남성우이다. 연출은 남기석, 김규태, 왕현철, 이도경, 김형일, 허진, 권오주, 우종택, 양승동, 이완희, 장성주가 담당했다. 작가는 이혜진, 빈선화, 권기경, 정윤정, 주은경이다.

8.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