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C 버클리 법학대학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C 버클리 법학대학원(Berkeley Law)은 189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과로 설립되어, 1912년 법학대학원으로 승격되었다.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논란이 된 인물의 이름을 딴 건물 명칭 '보알트 홀'을 삭제했다. J.D. 과정 입학 경쟁률이 높으며, 로스쿨의 교육 과정은 J.D., LL.M., J.S.D. 과정을 포함한다. 기업법, 헌법, 국제법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센터와 클리닉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캘리포니아 로리뷰 등 여러 법률 간행물을 발간한다. 얼 워런, 딘 러스크 등 법조계, 정계, 학계의 저명한 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클리 (캘리포니아주)의 교육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는 1868년 캘리포니아 주 헌법에 따라 설립된 공립 연구 중심 대학교로, 골드러시 이후 인구 증가에 따른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20세기에는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한 J.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비롯한 수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고, 1960년대 자유 발언 운동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 버클리 (캘리포니아주)의 교육 - 미국 웨스트 침례교신학교
    미국 웨스트 침례교신학교는 1919년 시작되어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침례교 신학 교육을 제공했으며, 합병과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는 버클리 신학대학으로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대학원 신학 연합과 협력하고 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아파치 스파크
    아파치 스파크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위한 오픈 소스 분산 처리 시스템으로, 빠른 속도와 다양한 API 지원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스트리밍 처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며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의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시작하여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 연구소로 발전했으며, 가속기 개발, 핵융합 연구, 유전체학, 나노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16개의 원소 발견, 15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 5개의 국립 과학 사용자 시설 운영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1894년 법 - 1894년 산업 조정 및 중재법
    1894년 산업 조정 및 중재법은 노동조합 등록을 자발적으로 하되, 등록된 노동조합은 중재법원의 판결에 따라야 했으며, 1936년과 1961년의 개정을 거쳤다.
  • 1894년 법 - 치안유지법
    치안유지법은 1925년 일본 제국에서 국체 변혁 또는 사유재산제도 부인을 목적으로 하는 결사 조직 및 가입을 금지하고 처벌하는 법률로, 일제강점기 한국인 독립운동 탄압에 악용되었으며, 종전 후 폐지되었으나 역사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UC 버클리 법학대학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UC 버클리 로스쿨 로고
UC 버클리 로스쿨 로고
모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설립일1912년 11월 12일
유형주립 로스쿨
모교 기부금74억 달러 (2023년)
총장어윈 체머린스키
위치캘리포니아주 버클리
국가미국
학생 수916명
교수진119명 (전임 및 시간제)
순위12위 (2024년)
변호사 시험 합격률95.5% (2021년)
홈페이지law.berkeley.edu
표어Fiat lux (라틴어)
표어 (영어)Let there be light
미국변호사협회 (ABA) 보고서표준 509 보고서
교표교표 리소스
추가 정보
명칭 변경존 볼트의 이름을 2020년에 학교에서 삭제함
법대 설립1894년
지적재산권 순위미국 뉴스 지적재산권 순위
ABA 보고서Berkeley Law ABA 509
취업 통계취업 통계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 통계2022년 7월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 통계

2. 역사

오늘날 버클리 로스쿨(Berkeley Law)로 알려진 학교는 189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과(Department of Jurisprudence)로 설립되었다.[10] 1894년 8월 17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이사회(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는 미국 헌법, 국제법, 로마법, 법철학(Jurisprudence)을 포함하는 새로운 학과를 설립하는 결의안을 승인했다.[1]

초대 학과장인 윌리엄 케리 존스(William Carey Jones) 교수는 처음 3년 동안 새로운 학과의 모든 강좌를 직접 가르쳤다. 존스 교수는 1882년 버클리 4학년생들에게 로마법 강좌를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학과 설립을 구상했으며,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에 비해 학문적인 성격을 강조했다.[10] 초기에는 버클리 학부생들의 법학 지식 함양을 목표로 했으며, 변호사 업무를 배우려는 학생들은 헤이스팅스로 진학했다.[10]

1901년 교수진이 6명으로 늘면서 2년 과정의 강좌를 제공했고,[10] 1902년에는 강사 4명을 추가하여 3년제 법학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헤이스팅스로의 진학 안내를 중단했다.[10] 1903년 네고로 모토유키(Motoyuki Negoro)를 포함한 3명의 남성이 처음으로 법학 학위를 받았으며,[10] 1906년에는 에미 마르쿠세(Emmy Marcuse)가 여성 최초로 법학 학위를 받았다.[10]

1912년 버클리 법학과는 미국법학교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Law Schools)에 가입하고, 같은 해 '''법학대학원(School of Jurisprudence)'''으로 승격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법학부는 입학 기준 완화 및 규모 확장 압력에 직면했다.[1]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에 법과대학 설립은 버클리 법학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1]

1950년, 버클리 법학부는 '''법과대학(School of Law)'''으로 명칭을 변경하고,[1] 1951년 가을에는 볼트 홀(Boalt Hall)이라는 새 건물로 이전했다.[1]

2008년, UC 버클리 법학대학원은 "버클리 로스쿨(Berkeley Law)"로 브랜드를 변경했다.[15]

2. 1. 법학과(Department of Jurisprudence) 설립 (1894년)

오늘날 버클리 로스쿨(Berkeley Law)로 알려진 학교는 189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과(Department of Jurisprudence)로 설립되었다.[10] 1894년 8월 17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이사회(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는 마틴 켈로그(Martin Kellogg) 총장에게 전달할 결의안을 승인했다. 이 결의안은 윌리엄 케리 존스(William Carey Jones) 교수의 감독 하에 있던 "연구 분야"를 역사 및 정치학과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학과로 구성하도록 지시했다. 새 학과는 (1) 미국 헌법, (2) 국제법, (3) 로마법, (4) 법철학(Jurisprudence)을 포함했다.[1] 이 결의안은 이사회의 소위원회에서 나온 것으로, 위원들은 모두 변호사였다.[1]

존스 교수는 처음 3년 동안 새로운 학과의 모든 강좌를 직접 가르쳤다.[10] 존스 교수에 따르면, 이 학과 설립의 영감은 1882년 버클리 4학년생들에게 로마법 강좌를 가르친 경험에서 비롯되었다.[10] 존스 교수는 새로운 학과가 기존의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에 비해 직업 교육보다는 학문적인 성격을 띠기를 바랐다.[10] 처음에는 버클리 학부생들의 법에 대한 학문적 지식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10] 실제로 변호사 업무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은 헤이스팅스로 안내되었으며, 버클리에서 이수한 과정은 헤이스팅스 법학 학위 취득에 인정되었다.[10]

1901년, 강사 1명과 조교 2명을 채용하여 교수진이 6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2년 과정의 강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10] 1902년, 강사 4명이 추가되면서 3년제 법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헤이스팅스로의 안내는 중단되었다.[10] 1902년 6월 26일,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의 신문들은 버클리에 "완전한 법학대학"이 생겼다고 보도했으며, 졸업생들은 헤이스팅스에서 추가 과정을 이수하지 않고도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 응시 자격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10] 이 학과는 1903년에 처음으로 3명의 남성에게 법학 학위를 수여했는데, 그중 한 명은 언론인이자 노동 운동가인 네고로 모토유키(Motoyuki Negoro)였다.[10] 1906년에는 에미 마르쿠세(Emmy Marcuse)가 이 학과에서 법학 학위를 받은 첫 여성이 되었다.[10]

2. 2. 법학대학원(School of Jurisprudence)으로 승격 (1912년)

버클리의 법학과(Department of Jurisprudence) 명성이 높아지고 헤이스팅스 법과대학(Hastings)의 위상이 떨어지면서, 법학과 학생, 교수진, 동문들은 법학과를 진정한 로스쿨로 만들자는 목소리를 높였다.[1] 1912년 8월, 법학과는 아직 공식적으로 로스쿨로 명칭이 바뀌지 않았고 인문대학(College of Letters) 내의 단과대학에 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법학교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Law Schools)에 가입될 만큼 이미 충분한 명성을 얻었다.[1] 1912년 11월 12일, 이사회(Board of Regents)는 변호사 출신 이사들로 구성된 특별 위원회의 권고를 승인하여 버클리에 '''법학대학원(School of Jurisprudence)'''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 초대 학장은 존스(Jones)가 임명되었으며, 1923년 6월 30일 퇴임할 때까지 재직했다.[1]

2. 3. 법과대학(School of Law)으로 명칭 변경 (1950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G.I. 법안 수혜자와 베이비붐 세대가 법조계에 진출하려는 관심이 급증하면서, 법학부는 입학 기준을 완화하고 규모를 확장해야 한다는 정치적 압력에 직면했다.[1]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헤이스팅스는 급속한 확장을 거듭했고, 1947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에 법과대학을 설립하기 위한 예산이 확보되었다.[1] 버클리 교수진은 이러한 발전이 기준 완화 압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1960년대 데이비스에 또 다른 UC 법과대학 설립을 지지했다.[1] 버클리가 엘리트주의적 기준을 고수할 수 있었던 덕분에 1990년대까지 미국 최고 로스쿨 상위권에 오를 수 있었다.[1]

UCLA 로스쿨의 설립은 버클리 법학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1] UCLA 법대가 특권을 확보하면 버클리도 동등성을 주장하여 같은 특권을 얻는 패턴이 나타났다.

1948년, 윌리엄 로이드 프로서는 버클리의 차기 학장으로 선출된 후 UCLA 법대 설립을 지원하기 위해 UCLA를 방문했다. 프로서는 UCLA 총장으로부터 헤이스팅스가 UC "법학과"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UCLA에 "법과대학"을 설립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버클리도 같은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12] 프로서와 헤이스팅스 학장 데이비드 E. 스노드그래스는 하버드 대학교 동기였기에,[1] 스노드그래스는 버클리의 명칭 변경을 공개적으로 지지했고, 프로서는 헤이스팅스 예산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기로 합의했다.[1] 그 결과, 1950년 7월 1일부로 법학부는 '''법과대학(School of Law)'''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51년 가을, 법과대학은 새로운 건물로 이전했다.[1] 1952년 3월 18일, 개교 기념일 행사의 일환으로 새 법대 건물 준공식이 거행되었다.[1] 새 법대 건물은 볼트 홀(Boalt Hall)로 명명되었고, 구 법대 건물은 뒤랑 홀(Durant Hall)로 명명되었다.

2. 4. 버클리 로스쿨(Berkeley Law)로 브랜드 변경 (2008년)

2008년 4월, UC 버클리 법학대학원은[15] 혼란을 야기했던 법학대학원의 공식 명칭과 건물 명칭('볼트 홀(Boalt Hall)')의 오랜 혼용을 해소하고 모교와의 명칭 일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버클리 로스쿨(Berkeley Law)"로 브랜드를 변경하였다. 학교 당국은 이를 통해 법학대학원의 국내외 인지도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했다. 많은 사람들이 UC 버클리에 법학대학원이 있다는 사실은 알았지만, '볼트 홀'이라는 이름이 별도의 기관을 지칭하는 것인지 혼란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공식 명칭 변경에도 불구하고 '볼트 홀'은 법학대학원의 주요 건물 명칭으로 계속 사용되었고, 12년간 비공식적으로 법학대학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6][17]

3. 입학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로스쿨(Berkeley Law)의 법학 박사(J.D.) 과정 입학은 매우 경쟁이 치열하다. 2020년에는 지원자 중 22%만이 합격했다.[22] 버클리 로스쿨은 학부 GPA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3학년도 입학생의 법학적성시험(LSAT) 점수는 25번째 백분위수가 163점, 75번째 백분위수가 170점이며, 중간값은 168점이다. 학부 GPA는 25번째 백분위수가 3.65, 75번째 백분위수가 3.92이며, 중간값은 3.81이다.[23]

J.D. 과정 합격생의 평균 연령은 25세이며, 연령대는 21세에서 46세까지 다양하다. 학생과 교수의 비율은 거의 6:1이다. 버클리 로스쿨은 대부분의 로스쿨과 달리 학급 구성원의 60%가 여성이고 40%가 남성이라는 특징을 보인다.[24]

4. 교육 과정

버클리 로스쿨에는 약 850명의 법학 박사(J.D.) 과정 학생, 200명의 법학 석사(LL.M.) 및 법학 박사(J.S.D.) 과정 학생, 그리고 45명의 법학 및 사회 정책 박사(Ph.D.) 과정 학생이 있다. 또한, 경영, 법률 및 경제학, 비교 법학 연구, 환경법, 공익 및 사회 정의, 비판적 인종 연구, 국제법 연구, 법률 및 기술 분야의 특수화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버클리 로스쿨의 법학 박사(J.D.) 과정 성적 평가 시스템은 예일 로스쿨(Yale Law School), 하버드 로스쿨(Harvard Law School), 스탠퍼드 로스쿨(Stanford Law School)과 유사하게 대부분의 로스쿨과는 다르다. 학생들은 최우수(High Honors, HH), 우수(Honors, H), 합격(Pass, P)으로 평가된다. 각 학급의 약 60%가 합격, 30%가 우수, 상위 10%가 최우수 등급을 받는다. 교수의 재량에 따라 불합격(Substandard Pass 또는 Pass Conditional, PC 약칭) 및 학점 미부여(No Credit, NC) 등급이 부여될 수도 있다. 각 학급 또는 분반에서 최고 성적을 거둔 학생은 법학상(Jurisprudence Award)을, 2등 학생은 프로서상(Prosser Prize)을 받는다.

버클리 로스쿨 교수진은 문리대학의 전공 과목으로 구성된 법학 학부 과정의 학문적 방향 설정과 대부분의 강의를 담당한다. 법학 학부 과정은 예비 법률 과정이 아닌, "기본적인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을 장려할 수 있는" 교양 과정이다.[25]

버클리 로스쿨은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UC Berkeley) 캠퍼스와 더 넓은 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시스템 내의 다른 학교와 복수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sity)와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와 공동 석사 학위 과정도 제공한다.[29]

5. 연구 및 클리닉 프로그램

UC 버클리 법학대학원(버클리 로스쿨)은 21개 이상의 연구 센터와 6개의 주요 클리닉, 그리고 5개 지역에 걸친 국내외 현장 실습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법 분야의 경험적 학습을 제공한다.[24] 이들 기관은 UC 버클리 캠퍼스와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에 위치하며, 북부 캘리포니아와 미국 전역의 변호사, 이해관계 집단, 로펌 및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되기도 한다. 또한, 학생들은 'SLP'(학생 주도 법률 서비스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과 자금을 제공받는다.

5. 1. 주요 연구 센터

버클리 법과 경영 센터(Berkeley Center for Law and Business)는 2004년에 설립되었으며, 법과대학에서 기업법 분야의 경험 학습을 위한 중심축 역할을 한다. 기업 거버넌스, 합병 및 인수, 금융 사기 기소, 자본 시장, 사이버 보안, 반독점 준수 및 벤처 캐피털 투자 등의 문제에 중점을 둔다. 또한 하스 경영대학(Haas School of Business)과 공동으로 J.D./MBA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 협상 관련 전국 대회를 개최한다.[41][42]

기업법 관련 다른 센터로는 로버트 D. 버치 세금 정책 및 공공 재정 센터(Robert D. Burch Center for Tax Policy and Public Finance, 1994년 설립)와 법, 경제 및 정치 센터(Law, Economics, and Politics Center)가 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법학대학의 헌법 및 규제법 관련 연구소로는 2018년 설립된 새로운 소비자법 및 경제정의 센터(Berkeley Center for Consumer Law and Economic Justice), 버클리 사법 연구소(Berkeley Judicial Institute), 그리고 캘리포니아 헌법 연구에 전념하는 유일한 비영리 단체인 캘리포니아 헌법 센터(California Constitution Center)가 있다.[43] 법학대학은 미국 헌법 학회(American Constitution Society)와 연방주의자 학회(The Federalist Society) 지부를 운영하는 것 외에도, 관심 있는 학생들이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워싱턴 캠퍼스에서 1학기 동안 헌법 및 규제법을 공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판사, 미국 검사(United States Attorneys), 검찰총장 및 기타 정부 기관과의 민사 현장 실습 및 외부 수습 기회를 제공한다.

법학대학의 다른 정책 연구소로는 1961년 설립된 법과 사회 연구 센터(Center for the Study of Law and Society), 2000년 설립된 카디시 도덕, 법률 및 공공 문제 센터(Kadish Center for Morality, Law and Public Affairs), 선거구 재획정 및 투표권 관련 데이터에 전념하는 센터, 그리고 법률 연구소(Institute for Legal Research)가 있다.

버클리 로스쿨은 학생들이 사회 정의를 옹호하고 저소득층이나 소외된 개인을 지원하는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여러 임상 프로그램과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기회에는 사형제도 클리닉, 정책 옹호 클리닉, 재향군인 법률 실습, 가정 폭력 법률 실습 등이 포함된다.[44][45] 많은 클리닉, 외부 실습, 현장 배치 및 프로그램은 인근 이스트 베이 지역 사회 법률 센터(EBCLC)와 파트너십을 맺고 진행되며, 이 센터는 불우한 알라메다 카운티 주민들에게 법률 지원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EBCLC와 함께 청소년 사법, 경범죄 삭제, 주택법, 세금 지원 및 소규모 사업 설립과 같은 문제에 대해 협력할 수 있다.

버클리 로스쿨은 또한 형사 사법 개혁, 민사 사법 접근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한 연구와 학문을 생성하는 여러 센터, 연구소 및 이니셔티브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센터에는 셀턴 헨더슨 [https://www.law.berkeley.edu/research/thelton-e-henderson-center-for-social-justice/ 사회 정의 센터](Thelton Henderson Center for Social Justice), [https://civiljusticeinitiative.org/ 민사 사법 연구 이니셔티브](Civil Justice Research Initiative), 인종, 성 및 문화 센터, [https://www.law.berkeley.edu/research/center-on-reproductive-rights-and-justice/ 생식권 및 정의 센터](Center on Reproductive Rights and Justice), 그리고 공법 및 정책 프로그램이 있다.

법, 에너지 및 환경 센터(Center for Law, Energy & the Environment)와 환경법 클리닉(Environmental Law Clinic)[46]은 기후 변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 신재생에너지 및 해양 건강에 대한 법적 해결책에 중점을 둔다.

버클리 로스쿨의 국제법 프로그램은 국제인권법 클리닉(1998년 설립), 인권센터, 로빈스 컬렉션, 그리고 LL.M. 프로그램을 포함한다.[47] 이러한 조직과 프로그램들은 인권 문제에 대한 정책 해결책을 개발하고, 옹호 활동을 통해 세계 인권과 국제 정의를 증진하며, 전쟁범죄와 심각한 인권 침해를 조사하고, 종교법과 민법 분야에서 비교 연구와 학습을 후원한다. 인권센터는 이전에 맥아더 창의적 효과적 기관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 분야의 센터들은 국제법에 중점을 둔 모의 재판 경연 대회를 위한 학생들을 훈련시킨다.

버클리 로스쿨 내 다른 국제법 센터로는 버클리 유대법 및 이스라엘 연구소와 한국법센터, 그리고 공동 설립자인 쇼 사토 교수(1924-1986)의 이름을 딴 일본 및 미국 법 쇼 사토 프로그램이 있다.[48][49]

버클리 법률 및 기술 센터는 1996년에 설립되었다. 이 센터와 그 산하 기관들(예: 2000년에 설립된 새뮤얼슨 법률, 기술 및 공공 정책 클리닉(Samuelson Law,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Clinic)과 밀러 세계적 과제 및 법률 연구소(Miller Institute for Global Challenges and the Law))이 다루는 문제에는 지적 재산권, 개인 정보 보호, 특허, 의료법 및 디지털 엔터테인먼트가 포함된다.[50]

6. 법률 간행물

버클리 로스쿨에는 다음과 같은 학생 주도의 법률 간행물들이 있다.

간행물명설명
캘리포니아 법률 검토(California Law Review)1912년 창간된 버클리 로스쿨의 대표 학술지이다. 지원 절차는 익명의 글쓰기 경쟁으로 이루어지며, 성적은 심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자기소개서도 심사 대상이다.[35][36] 댈러스 매버릭스 사장 겸 CEO를 역임한 터데마 어세리('87)가 이 학술지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버클리 형사법 저널(Berkeley Journal of Criminal Law)2000년 창간되었으며, 실체적 및 절차적 형사법의 새로운 쟁점과 캘리포니아주 및 미국 서부에 고유한 형사 사법 문제에 관한 논문을 게재한다. 매년 1월과 6월에 발행되며, 디지털 형태로 출판된다.
버클리 고용 및 노동법 저널(Berkeley Journal of Employment & Labor Law)1975년 창간되었으며, 노동 및 고용법의 최신 동향에 초점을 맞춘 논문을 발표한다. 고용 차별, "전통적인" 노동법, 공공 부문 고용, 국제 및 비교 노동법, 직원 복리후생, 부당 해고 원칙의 발전 등과 관련된 법적 문제를 다룬다. 학술 논문 외에도 학생 논평, 서평, 수필을 포함하며, 연 2회 발행된다.
버클리 국제법 저널(Berkeley Journal of International Law)1982년 창간되었으며, 공법, 사법, 국제 비교법을 다룬다. 해당 분야의 신간 서평도 게재하며, 연 2회 발행된다.
버클리 기술법 저널(Berkeley Technology Law Journal)1986년 창간되었으며, 지적재산권, 사이버법, 정보법, 생명공학, 반독점법, 통신법 분야의 새로운 법적 문제들을 다룬다. 분기별로 발행된다.
생태법전문지(Ecology Law Quarterly)1971년 창간된 환경법 및 에너지 법 전문 학술지이다. 환경법 관련 법원 판결 및 정책에 대한 논평과 분석을 담고 있다.
버클리 경영법 저널(Berkeley Business Law Journal)2004년 창간되었으며, 100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한 법과대학 최대 규모의 저널 중 하나이다. 연간 인쇄 저널과 블로그(네트워크(The Network))를 발행하며, 캠퍼스 내 심포지엄 및 행사를 통해 학생들을 기업법 분야의 교수 및 실무자들과 연결한다.
아시안 아메리칸 법률 저널(Asian American Law Journal)아시아계 미국인 관련 법률 저널. 전 미국 최고기술책임자(2013-2014)였던 니콜 웡('95)이 버클리 법대 재학 시절 공동 설립했다.
버클리 아프리카계 미국인 법률 및 정책 저널(Berkeley Journal of African-American Law & Policy)아프리카계 미국인 관련 법률 및 정책 저널.
버클리 엔터테인먼트 및 스포츠 법률 저널(Berkeley Journal of Entertainment & Sports Law)엔터테인먼트 및 스포츠 관련 법률 저널.
버클리 성별, 법률 및 정의 저널(Berkeley Journal of Gender, Law & Justice)성별, 법률, 정의 관련 저널.
버클리 중동 및 이슬람 법률 저널(Berkeley Journal of Middle Eastern & Islamic Law)중동 및 이슬람 관련 법률 저널.
버클리 라라자 법률 저널(Berkeley La Raza Law Journal)라라자 관련 법률 저널.


7.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

UC 버클리 법학대학원은 정부, 사법부, 사업, 법조계, 학계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습니다.

국내 정부 및 정계에서는 미국 민주당과 미국 공화당 양당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들을 배출했습니다. 얼 워런, 피트 윌슨 등 여러 주지사와 미국 상원의원들이 UC 버클리 법학대학원 출신입니다. 또한, 딘 러스크, G. 윌리엄 밀러, 에드윈 미즈 3세 등 미국 내각급에서 근무한 많은 관리들을 배출했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졸업생들이 미국 법무차관보, 미국 법무차관, 국무차관보, 미국 대사, 미국 연방 검사 등 연방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사법부에서는 미국 대법원 판사 얼 워런과 미란다 두, 아물 타파 등 연방 항소 법원 및 지방 법원 판사, 주 대법원 판사 및 국제 중재인을 배출했습니다. 국제 법원에서는 영국 및 웨일즈 고등법원 판사인 라빈더 싱 경과 전 필리핀 대법원장 레이나토 S. 푸노 등의 동문이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국제 중재인 데이비드 캐런, 윌리엄 앤드 메리 법학대학 교수 낸시 콤스 등이 저명한 동문입니다.

사업, 언론 및 비영리 부문에서는 스타벅스의 부사장 겸 법률 고문 폴라 보그스, 모질라 재단의 CEO 겸 이사회 의장인 미첼 베이커, DHL 공동 창업자 래리 힐블롬 등 많은 졸업생들이 활약하고 있습니다.
저명한 동문


  • 얼 워런: 미국 대법원장 역임
  • 딘 러스크: 미국 국무장관 역임
  • 피트 윌슨: 캘리포니아 주지사 역임
  • 미란다 두: 네바다 지방 미국 지방법원 수석 판사
  • 아물 타파: 제6순회 미국 연방 항소법원 판사
  • 라빈더 싱: 영국 및 웨일즈 고등법원 판사
  • 레이나토 S. 푸노: 전 필리핀 대법원장
  • 데이비드 캐런: 국제 중재인
  • 낸시 콤스: 윌리엄 앤드 메리 법학대학 교수
  • 폴라 보그스: 스타벅스 부사장 겸 법률 고문
  • 미첼 베이커: 모질라 재단 CEO 겸 이사회 의장
  • 래리 힐블롬: DHL 공동 창업자

저명한 교수진

  • 존 유: 백악관 법률자문관 출신 한국계 미국인 교수
  • 필립 E. 존슨: 지적 설계 운동을 주도한 법학자
  • 로버트 쿠터: 유명 법경제학
  • 어윈 체머린스키: 저명한 헌법 학자, UC 어바인 로스쿨 설립 학장, 현 버클리 로스쿨 학장
  • 류 구드윈: 헌법학 교수, 부학장, 전 미국 제9순회항소법원 지명 후보자(낙선). 캘리포니아주 대법원 부판사 (2011–현재).[54]
  • 존 T. 누난 주니어: 미국 제9순회항소법원 고등판사
  • 윌리엄 L. 프로서: 전 로스쿨 학장 (1948–1961), 제품책임 분야의 선구자
  • 파멜라 새뮤얼슨: 지적 재산권 법 전문가
  • 송 사라: 법학 및 정치학 교수

참조

[1] 서적 Law at Berkeley: The History of Boalt Hall Institute of Governmental Studies Press 1997
[2] 웹사이트 Annual Endowment Report, Fiscal Year Ended June 30, 2023; p.3 https://www.ucop.edu[...] Chief Investment Officer of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2023-02-15
[3] 웹사이트 Best Law Schools https://www.usnews.c[...]
[4] 웹사이트 General Statistics Report https://www.calbar.c[...] 2022-03-15
[5] 웹사이트 Identity Resources https://www.law.berk[...] 2024-03-13
[6] 서적 The Memoirs of Chief Justice Earl Warren Doubleday & Co 1977
[7] 웹사이트 UC Berkeley removes racist John Boalt's name from law school https://news.berkele[...] 2020-10-28
[8] 웹사이트 Employment Statistics https://www.law.berk[...] 2022-03-15
[9] 웹사이트 General Statistics Report https://www.calbar.c[...] 2023-02-15
[10] 뉴스 Starting Date for Law School at UC Berkeley, Now Known as Boalt Hall, Is in Dispute http://www.metnews.c[...] 2020-08-14
[11] 법규 California Education Code Section 92201 https://leginfo.legi[...]
[12] 논문 From the Oral History of J.A.C. Grant https://heinonline.o[...] 2016
[13] 웹사이트 A Time for Change: Contextualizing the denaming of Boalt Hall https://www.law.berk[...] 2023-10-30
[14] 웹사이트 Was Boalt Hall Rotated? https://www.law.berk[...]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2010-03-30
[15] 웹사이트 UC Berkeley dropping "Boalt Hall" from law school's official name http://www.sfgate.co[...] 2007-10-10
[16] 뉴스 UC Berkeley dropping Boalt Hall from law school's official name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07-10-11
[17] 웹사이트 Berkeley Law: Berkeley Law/ Boalt Hall / Naming Convention http://www.law.berke[...] 2008-04-29
[18] 뉴스 UC Berkeley School of Law's Library Addition Sits Lightly and Gives Back What It Takes Away http://info.aia.org/[...]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2009-01-23
[19] 뉴스 Below the Law https://www.architec[...] Hanley Wood Media 2012-12-17
[20] 웹사이트 Boalt Hall denamed https://news.berke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20-01-30
[21] 뉴스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law school rolls out AI policy ahead of final exams https://www.reuters.[...] 2023-04-28
[22] 웹사이트 Berkeley Law Profile http://berkeley.laws[...] 2021-03-03
[23] 웹사이트 Entering Class Profile https://www.law.berk[...] 2021-08-17
[24] 웹사이트 View the Prospectus https://www.law.berk[...]
[25] 웹사이트 UC Berkeley Legal Studies Web site http://www.legalstud[...]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6] 웹사이트 member chart http://www.orderofth[...] 2018-09-28
[27] 웹사이트 ABA-Approved Law Schools by Year http://www.americanb[...] 2011-04-20
[28] 웹사이트 Member Schools – Association of American Law Schools http://www.aals.org/[...] 2018-09-28
[29] 웹사이트 Berkeley Law – Combined Degree Programs https://web.archive.[...] 2014-08-07
[30] 웹사이트 University of California – Berkeley https://www.lstrepor[...] 2019-05-26
[31] 웹사이트 Employment Statistics https://www.lstrepor[...]
[32] 웹사이트 Employment Summary for 2018 Graduates https://www.law.berk[...]
[33] 웹사이트 USNWR Law School Rankings: UC Berkeley School of Law https://www.usnews.c[...] 2020-04-30
[34] 웹사이트 Law https://www.topunive[...] 2020-03-04
[35] 웹사이트 Law Journal Rankings, 2020 https://managementto[...] 2022-02-06
[36] 웹사이트 Law Journal Meta-Ranking, 2022 Edition – Bryce Clayton Newell https://blogs.uorego[...] 2022-10-05
[37] 웹사이트 New Document http://www.leiterran[...] 2018-09-28
[38] 웹사이트 Fees & Cost of Attendance – Berkeley Law https://www.law.berk[...] 2018-09-28
[39] 웹사이트 Fees & Cost of Attendance – Berkeley Law https://www.law.berk[...] 2019-04-18
[40] 웹사이트 University of California – Berkeley, Finances http://www.lstscorer[...] 2019-04-18
[41] 웹사이트 Business and Start-ups https://www.law.berk[...]
[42] 웹사이트 Law and Economics https://www.law.berk[...]
[43] 웹사이트 Constitutional and Regulatory https://www.law.berk[...]
[44] 웹사이트 Criminal Justice https://www.law.berk[...]
[45] 웹사이트 Social Justice and Public Interest https://www.law.berk[...]
[46] 웹사이트 For Prospective Students https://www.law.berk[...]
[47] 웹사이트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https://www.law.berk[...]
[48] 웹사이트 Sho Sato Program in Japanese and US Law https://www.law.berk[...]
[49] 뉴스 Sho Sato (1924–1986) obituary https://www.latimes.[...] LA Times
[50] 웹사이트 Law and Technology https://www.law.berk[...]
[51] 뉴스 Stephen Barnett, a Leading Legal Scholar, Dies at 73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0-21
[52] 뉴스 Indian-origin scholar Sujit Choudhry becomes dean of top US law school http://www.patrika.c[...] 2014-07-02
[53] 뉴스 Sweet Victory for Feminist Pioneer at Law School The New York Times 1992-04-03
[54] 뉴스 Goodwin Liu Confirmed to California Supreme Court http://www.mercuryne[...] San Jose Mercury News 2011-09-01
[55] 웹사이트 Status of Certain OLC Opinions Issued in the Aftermath of the Terrorist Attacks of September 11, 2001 http://www.usdoj.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Legal Counsel 2009-01-12
[56] 웹사이트 October 23, 2001 OLC Opinion Addressing the Domestic Use of Military Force to Combat Terrorist Activities http://www.usdoj.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Legal Counsel 2008-10-06
[57] 웹인용 US News Intellectual Property http://grad-schools.[...] 2014-05-12
[58] 웹사이트 Ranking of Top Law Schools 1987 - 2009 By US News & World Report http://www.law.stanf[...]
[59] 웹인용 Berkeley Law ABA 509 https://www.law.berk[...] 2014-05-29
[60] 웹사이트 Ranking of Top Law Schools 1987 - 2009 By US News & World Report http://www.law.stanf[...]
[61] 웹사이트 Berkeley Law Grading Policy http://www.law.berk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