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별은 생물학적, 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다면적인 개념이다. 생물학적 성별은 유성 생식을 위한 성징과 성결정계를 통해 결정되며, 염색체 조합, 호르몬, 생식기의 차이를 포함한다. 사회적 성(젠더)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포함하며, 성 역할, 성 정체성, 젠더 표현 등을 아우른다. 성별은 짝짓기, 교배, 성교와 같은 생물학적 현상과 성차별, 성평등, 성 불평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성분화 이상, 간성, 성전환, 트랜스젠더 등 다양한 관련 개념이 존재하며, 법적 성별, 성 지정, 성별 격리 등 사회적, 법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쟁점이 된다. 성별을 나타내는 기호(♂, ♀)가 사용되지만, 젠더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기호 사용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에 관한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 성에 관한 - 성적 지향
성적 지향은 특정 성별에 대한 성적, 감정적 매력과 그에 따른 행동, 사회적 소속을 의미하는 개인의 정체성이며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등으로 나뉘고 개인의 의지로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없는 특성이다. - 성별 - 여성
여성은 생물학적으로 XX 염색체를 가지며 난자 생산 및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 생식 기관을 가진 사람으로, 사회적으로 여성성을 가지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고, 여성주의 운동을 통해 권익 신장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건강, 교육, 정치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 성별 - 성전환
성전환은 생물학적 성이 수컷에서 암컷 또는 그 반대로 변하는 현상으로, 짝짓기 시스템이나 크기와 번식 성공 간의 관계에 따라 진화하며, 어류, 갑각류 등 다양한 생물에서 관찰되고, 인간의 경우 생식기 외관을 바꾸는 성별적합수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 성소수자에 관한 - 여성
여성은 생물학적으로 XX 염색체를 가지며 난자 생산 및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 생식 기관을 가진 사람으로, 사회적으로 여성성을 가지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고, 여성주의 운동을 통해 권익 신장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건강, 교육, 정치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 성소수자에 관한 - 성전환 수술
성전환 수술은 성별 불쾌감을 겪는 트랜스젠더가 신체적 성별을 재확인하기 위해 받는 수술로, 생식기 재건술, 유방 절제술 등을 포함하며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다.
성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주제 | 생물학적 성별 |
관련 주제 | 사회적 성, 젠더, 성적 지향 |
관련 학문 | 생물학, 의학, 사회학, 심리학 |
정의 | |
생물학적 성별 | 생식 기관, 호르몬, 염색체 등의 생물학적 요인에 따라 결정되는 인간의 특성 |
사회적 성별 | 사회적, 문화적 규범과 역할에 따라 정의되는 성별 (젠더) |
성별 인식 | 개인이 스스로의 성별을 인식하고 정의하는 것 (젠더 정체성) |
생물학적 성별 구분 | |
남성 | XY 염색체, 남성 생식 기관, 남성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
여성 | XX 염색체, 여성 생식 기관,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
간성 | 생식 기관이나 염색체가 전형적인 남성 또는 여성의 특징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
염색체 | |
남성 | XY |
여성 | XX |
간성 | 다양한 염색체 조합 (예: XXY, X0, XXX) |
호르몬 | |
남성 | 테스토스테론 (주요 남성 호르몬) |
여성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주요 여성 호르몬) |
생식 기관 | |
남성 | 고환, 음경 |
여성 | 난소, 자궁, 질 |
성별과 관련된 문제 | |
사회적 문제 | 성차별, 성폭력, 젠더 불평등 |
의학적 문제 | 성분화 질환 (간성), 호르몬 불균형 |
추가 정보 | |
중요 사항 | 생물학적 성별은 젠더와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성별은 개인의 정체성, 사회적 역할, 건강에 중요한 영향 성평등과 성소수자 인권 존중이 중요 |
관련 링크 | |
내각부 링크 | 내각부 성차: 젠더와 섹스의 차이 |
참고 링크 | 젠더 |
2. 생물학적 성별
유성 생식은 일반 세포의 절반의 염색체를 가진 생식세포가 결합하여 개체가 되는 생식 방식이다. 유성 생식은 생식세포의 크기 차이에 따라 동형접합(Isogamy)과 이형접합(Anisogamy)으로 나뉜다. 동형접합은 생식세포의 크기 차이가 없어 암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생식 역할을 교배형(mating type)이라고 한다. 반면 이형접합은 생식세포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데, 수컷의 정세포는 작고 이동성이 있는 정자이고, 암컷의 생식세포는 크고 이동성이 적은 난자이다.[1]
종자식물은 꽃가루가 암술에 묻는 방식으로 수정이 이루어진다.[1]
생물학적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을 성징이라고 하며, 암수 사이에 생식기 외에도 신체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성적 이형성이라고 한다.[1]
생물학적인 성별이 결정되는 체계를 성결정계라고 한다. 염색체에 의한 성결정을 하는 생물은 성 염색체 배열이나 염색체 수에 따라 암수가 결정된다. XY나 XO 성결정계에서는 암컷이 XX, ZW나 ZO 성결정계에서는 수컷이 ZZ 염색체를 가진다. 하지만 이는 모든 생물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에 의해 성별이 결정되거나, 성별이 없는 무성생식생물, 암수한몸인 생물, 성전환을 하는 자웅이숙 생물도 있다. 성염색체가 있는 생물에서, 암수에 관계없이 같은 상동염색체가 있는 경우를 상염색체, 암수에 따라 종류나 조합이 다른 경우를 성염색체라고 한다.[1]
인간은 XY 성결정계로서 일반적으로 여성은 XX, 남성은 XY 성염색체를 가진다. 인간의 성 결정은 Y 염색체에 있는 정소결정인자에 의해 고환 발달과 항뮐러관 호르몬(AMH) 분비에 따른 뮐러관 소멸이 시작되고,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에 의해 남성의 외성기가 발달한다. 고환 형성에 작용하는 다른 유전자도 존재한다. 뮐러관은 질 하부와 난소를 제외한 여성의 내성기로 발달하는 기관이다.[1] 여성의 성 분화 과정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1]
인간의 생식 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여러 염색체에 있지만, 정자 생산에 필수적인 유전자는 Y 염색체에도 존재한다.[1]
인간의 성징은 태아 시기에 생식샘 유형과 성기 모양이 결정되는 1차 성징과, 사춘기에 성호르몬 영향을 받아 생식능력이 성숙하고 성별에 따른 외모와 몸매 차이가 커지는 2차 성징이 나타난다.[1]
인간의 성별은 근본적으로 남성화를 촉진하는 유전자의 유무에 기인하며, 수정 순간에 거의 결정된다. 인간의 23쌍의 염색체 중 1쌍은 '''성염색체'''로 불리며 다른 '''상염색체'''와 구별된다. 이 성염색체의 형태('''X염색체'''와 '''Y염색체'''의 조합)에 따라 성별 발달이 크게 좌우된다. 이는 Y염색체 위에 고환 형성을 유도하고 남성화를 가져오는 SRY 유전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1]
성염색체의 형태는 다음 두 가지가 전형적이다.
- XY형: X염색체와 Y염색체를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으로 발달한다.
- XX형: 성염색체로서 X염색체를 두 개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으로 발달한다.
임신 4주경에 난황낭에서 발생한 원시생식세포는 6주경에 하복부의 생식능선으로 이동하여 원시생식선을 형성한다. 이 시점에서는 원시생식선이 고환이 될 수도 있고 난소가 될 수도 있다. 7주가 되면, SRY 유전자가 존재하고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경우 성선원기는 고환으로 분화한다. 같은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여 고환으로의 분화가 일어나지 않으면 11주 이후에 난소로 분화한다. 이때 많은 인자와 그 수용체가 작용하므로, 어떤 장애에 의해 고환 결정 유전자의 유무와 성선 분화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염색체 변이에 의해 고환과 난소의 중간적인 형태로 분화하거나, 두 개의 원시생식선 중 하나는 고환으로, 다른 하나는 난소로 분화하는 경우도 있다.[1]
원시생식샘이 고환으로 분화된 경우, 원시생식세포는 사춘기까지 휴면한다. 사춘기가 되면, 이들은 활발하게 분열을 시작하여 정자를 생산한다. 난소로 분화된 경우, 임신 3개월부터 7개월에 걸쳐 원시생식세포는 감수분열을 시작하여 1차 난모세포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9개월까지 원시난포가 형성되고, 원시난포는 사춘기까지 휴면한다. 사춘기까지 99.9%의 원시난포는 난포폐쇄를 한다. 남은 것 중 일부가 월경 주기마다 어떤 기전에 의해 선택되어 성장하고, 그 중 하나가 그라프난포로 성장하여 배란을 일으킨다. 이 기전은 난소와 뇌하수체 사이의 피드백에 의해 조절되는 여러 가지 화학 물질에 의해 지배되지만, 상세한 기전은 불명확한 점이 많다.[1]
생식샘 형성과 함께 중신관(볼프관)을 따라 중신곁관(뮬러관)이 형성된다. 임신 7주 이후, 생식샘에서 분비하는 물질에 따라 이들 관이 생식관으로 분화된다. 생식샘이 완전히 남성형(고환)인 경우 테스토스테론에 의해 볼프관의 유지는 촉진되고, 부고환, 정관, 정낭으로 분화한다. 또한, 뮬러관 억제 인자에 의해 뮬러관은 퇴화·소실된다. 다만, 일부는 고환출구관이 되어 볼프관에 개구한다. 생식샘이 남성형이 아닌 경우 테스토스테론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볼프관은 유지되지 못하고 퇴화·소실된다. 또한, 뮬러관 억제 인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뮬러관은 발달하여 자궁, 난관으로 분화한다. 이로부터 여성의 내성기 분화에 난소는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유전자 변이에 의해 양성의 생식관 발달이 혼재하거나 불완전해지는 경우, 고환을 가지고 있지만 뮬러관 억제 인자가 충분하지 않거나, 혹은 억제 인자의 수용체가 불완전한 경우 볼프관과 뮬러관 모두 발달하여 양성의 내성기를 함께 가지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화학 물질의 영향에 의해 생식관이 생식샘과는 다른 형태로 분화하는 경우도 있다.[1]
외부 생식기의 분화는 테스토스테론의 유무에 따른다. 원시 생식샘이 고환으로 분화하여 테스토스테론을 생산하는 경우 남성형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 여성형으로 분화한다. 테스토스테론이 있는 경우 효소에 의해 환원되어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이 된다. 이에 노출된 외부 생식기는 10주에서 12주 사이에 남성형으로 분화한다. 생식결절은 급속히 발달하여 음경귀두·음경이 되고, 생식융기는 유합하여 음낭이 되며, 요도주름은 요도해면체가 된다. 음낭 표면에 보이는 봉합선 모양의 구조는 이 유합의 흔적이다. 테스토스테론이 없는 경우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노출이 일어나지 않은 채 20주가 되면, 이들은 자연스럽게 여성 외부 생식기로 변화한다. 생식결절은 약간 발달하여 음핵으로 분화하고, 생식융기는 대음순, 요도주름은 소음순이 된다. 또한, 요생식동의 상피가 뮬러관 유래의 자궁관과 연결되어 증식하여 내부에 공동을 만들어 질이 형성된다. 따라서 여성 외부 생식기의 형성에 난소는 필요하지 않다.[1]
염색체 이상으로 인해 생식결절이 활발하게 증식하는 반면 생식융기의 유합은 충분히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외견상 남녀 양쪽의 외부 생식기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성염색체는 XX형인 경우가 많지만 XX/XY 모자이크형인 경우도 있다. 질의 형성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진성 간성에서는 그 성기의 상태는 사람마다 다르며,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인체에 있는 두 개의 생식샘 중 하나가 고환이고 다른 하나가 난소인 경우와, 고환 또는 난소가 좌우로 갖춰지고, 더 나아가 그것들과 반대인 세 번째 생식샘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염색체 구조는 46,XX에 이어 46,XY가 많고, 46,XX/46,XY 모자이크도 많다. 남성형에서는 요도하열, 여성형에서는 음핵비대, 음순유합이 나타난다. 성선발생이상증의 경우 외음부는 여성형이 된다. 혼합성 성선발생이상증의 경우 염색체 분석에서 45,XO/46,XY와 같은 모자이크를 보이는 외부 생식기는 남녀 중간형을 보인다.[1]
성선이 고환으로 분화한 경우에도 테스토스테론을 환원하는 효소가 부족하거나 수용체가 충분하지 않으면 외부 생식기의 남성화는 발생하지 않는다(고환성 여성화 증후군). 그대로 20주가 되면 외부 생식기는 여성형으로 분화한다. 그 외에도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환원 효소의 유전자는 X염색체 위에 있기 때문에 열성 유전이다. 음핵의 비대가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외견상 거의 여성형인 경우도 많다. 그러나 질은 깊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제2성징기에도 음모는 자라지 않는다. 보통 뮬러관의 퇴화는 일어나고 있으며, 자궁·난관은 가지고 있지 않다. 고환은 자궁에 해당하는 부위에 있는 경우와, 다리 뿌리 부근까지 내려와 있는 경우가 있다. 난소나 자궁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월경이다. 남성 간성 중 사춘기가 되면 남성화를 일으키는 것이 있다. 출생 시에는 남성으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여성으로 취급된다. 사춘기에 고환의 테스토스테론 생산이 활발해짐으로써 음핵이 급속히 발달하여 음경이 되고, 변성·수염의 발모가 일어난다. 이 때문에 외견상으로는 여자아이가 남자로 변한 것처럼 보인다. 이 경우의 발생률은 민족에 따른 차이가 크며, 일본인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1954년에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이외에, 1980년대에 카리브해의 섬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카리브의 경우는 모두 한 사람의 자손이었기 때문에, 어떤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성선이 난소로 분화한 경우에도, 선천성 부신피질 과형성증 등으로 테스토스테론이 과잉 분비되어 결과적으로 외부 생식기가 남성화되는 경우가 있다. 음핵이 약간 비대하는 정도의 것부터, 외부 생식기가 완전히 남성형이 되는 것까지 다양하다. 요도하열이 보이는 경우도 많다.[1]
2. 1. 성분화 이상과 간성
인간의 성 분화 과정에 이상이 있으면 전형적이지 않은 성징이 나타나는데, 이를 성분화 이상이라고 한다. 염색체, 생식샘, 성 호르몬, 성기가 남녀 어느 쪽에 맞지 않는 경우는 간성이라고 한다.[1]간성의 경우 표현형이 성염색체나 SRY 유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1]
간성인의 법적 권리나 사회적 측면에 대해서는 다른 문단에서 서술한다.[1]
비정형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러한 것들의 대부분은 정자·난자 생산 시 감수분열 실패에 의한 것이다.[1]
종류 | 설명 |
---|---|
XXY, XXXY, XXXXY형 (클라인펠터 증후군) | 과잉 X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발생률은 1000명 중 1명이다. 대부분 표현형은 남성이며, 외성기는 거의 정상적인 남성과 같이 보인다. 과거에는 정자가 적고, 정자 기형도 많아 자연 수정은 불가능했지만, 현재는 인공 수정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X염색체 수가 많을수록 장애는 심하다. 골다공증에 걸리기 쉽고, 여성의 갱년기 장애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1] |
XYY, XYYY, XYYYY형 (초남성) | Y염색체가 과잉이다. 발생률은 1000명 중 1명이다. 외성기는 완전히 남성이며, 생식 능력도 있다. XY형 남성에 비해 정자가 적다는 설도 있다. 흉악 범죄가 많다는 의견과 매우 지능적이라는 의견이 모두 존재한다.[1] |
XXYY형 | 클라인펠터 증후군의 일종이라고도, 초남성의 일종이라고도 한다.[1] |
XX형 남성 | 성염색체는 XX형이지만, 변이된 Y염색체의 일부가 다른 염색체에 결합하여, 그 위의 SRY 유전자가 작용하고 있다. 발생률은 수십만 명 - 수백만 명 중 1명으로 추정된다. 외성기는 거의 남성이지만, 요도하열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생식 능력은 없다. 사춘기에는 여성으로서의 이차 성징을 하는 경우도 있다. 성호르몬 투여에 의해 남성화를 촉진하지 않으면, 점차 여성화된다.[1] |
XO형 (터너 증후군) | 성염색체로서 X염색체를 하나만 가지고 있다. 드물게 손상된 Y염색체의 일부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발생률은 2000명 - 3000명 중 1명이다. 표현형은 여성이며, 외성기에 형성 이상은 없다. 자궁이 결손되는 경우도 있다. 이차 성징이 결손되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하다. 전반적으로 저신장이며, 월경 불순 등이 있는 경우도 있다. 종양·당뇨병의 위험성이 높다. 지능 장애는 적다.[1] |
XXX형 (초여성) | X염색체를 세 개 가지고 있다(트리플X). 표현형은 여성이다. 지적 장애를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다소 비만형이 많은 편이다. 슈퍼 여성이라고도 불린다.[1] |
칼만 증후군 | X염색체의 일부가 결손되어 있다. 후각에 이상이 보인다.[1] |
모자이크형 | 일반적으로 개체의 모든 세포는 완전히 동일한 유전자 세트를 가지고 있지만, 드물게 세포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이것이 성염색체에 대해 발생하면, XO/XY 혼재형, XO/XX 혼재형 등이 된다. 클라인펠터 증후군 중 특수한 것으로서 XY/XXY 혼재형이 있지만, 그들은 정자를 생산할 수 있으며, 생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 3종류 이상의 성염색체형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극히 드물고, 그 상황도 다양하기 때문에, 발생률은 10억 명 - 100억 명 중 1명으로 추정되고 있다.[1] |
또한, 위에서는 SRY 유전자를 중시하여 설명했지만, Y염색체 상의 다른 몇 가지 유전자도 남성화의 방아쇠로서 중요하다는 설도 있다.[1]
X염색체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Y염색체 하나만을 가지는 YO형은 출생하지 않고, 수정 직후에 치사가 된다고 생각되고 있다.[1]
2. 2. 짝짓기와 교배, 성교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의 생식세포가 융합되는 과정을 수정이라고 한다. 체내수정을 하는 동물은 짝을 찾아서 교미를 하며, 체외수정을 하는 동물도 개구리처럼 암컷이 산란한 뒤에 수컷이 사정하는 방식으로 교미하는 경우가 있다.[1] 포유류는 체내수정을 하며 오리너구리 같은 예외를 제외하고 암컷의 자궁에서 태아를 키운 뒤 출산한다.[1] 인간의 짝짓기를 주로 성교라고 부르며, 친밀감 확인, 쾌락, 자식 획득 등을 위해 성교를 한다.[1]3. 젠더 (사회적 성)
젠더(Gender) 또는 사회적 성(社會的 性)은 여성성과 남성성을 비롯한 사회적, 문화적인 성을 의미한다. 성 역할, 젠더표현(성별 표현), 성정체성 등이 이에 속한다.
대부분의 사회는 전통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성별만을 인정해왔으나, 전통적인 제3의 성이 존재하는 사회도 있다. 최근에는 젠더퀴어나 논바이너리 등 젠더 이분법에 어긋나는 젠더를 가진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성 역할은 특정 성별에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역할이다. 예를 들어, 남성은 거친 일, 여성은 서비스나 돌봄과 관련된 일을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남아있기도 하지만, 오늘날에는 성 역할 구분에 대한 관념이 약해지고 있다.
성적 지향은 성적 특질에 대한 이끌림을 말하며, 대부분의 사람은 이성애자로서 자신과 다른 성별에 이끌린다. 이성애자, 동성애자, 양성애자 등의 비율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성정체성은 개인이 어떤 성별이나 젠더에 속한다는 정체성을 말한다. 이는 생물학적인 성별이나 길러진 성별과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젠더학(Gender studies) 또는 젠더 연구는 젠더를 연구하는 사회학의 분과이다. 젠더학에는 여성을 연구하는 여성학, 남성을 연구하는 남성학, 퀴어를 연구하는 퀴어학이 있다.
젠더 표현은 행동을 통해 특정 젠더에 속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이다. 꾸밈이나 차림, 성 정체성이나 생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4. 섹스와 젠더의 구분
생물학적 성별(섹스)은 생식세포의 종류와 염색체, 성징과 같은 생물학적 특징에 따라 결정된다. 이형접합을 하는 생물의 경우, 정자를 생산하는 개체를 수컷, 난자를 생산하는 개체를 암컷이라고 한다. 인간은 XY 성결정계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여성은 XX, 남성은 XY 성염색체를 가진다. Y 염색체의 정소결정인자는 고환 발달과 남성 외성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반면, 젠더(사회적 성)는 여성성과 남성성과 같이 사회적, 문화적으로 형성된 성을 의미한다. 성 역할, 젠더표현(성별 표현), 성정체성 등이 젠더에 포함된다. 대부분의 사회는 전통적으로 남성과 여성 두 가지 성별만을 인정해 왔으나, 최근에는 젠더 이분법에서 벗어난 젠더퀴어, 논바이너리와 같은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2]
이처럼 섹스와 젠더를 구분하는 것은 생물학적 특징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명확히 구별하고, 각 개인의 다양한 성정체성을 존중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2]
5. 성별과 사회
성차별은 성별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람을 차별하는 일이나 선입견을 말한다. 생물학적 성별이나 젠더에 기반하여 차별이 이뤄질 수 있다.
성평등은 성별에 관계 없이 대우와 기회가 평등한 것을 말하며, 성 불평등은 그 반대 상태를 의미한다. 젠더폭력은 젠더에 기반한 권력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이다.
5. 1. 성차별, 성평등, 성 불평등
성차별은 성별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람을 차별하는 일이나 선입견을 말한다.[1] 생물학적 성별에 기반하든, 젠더에 기반하든 차별이 이뤄질 수 있다.[1] 특정한 성별을 가진 사람에 대한 성차별, 성역할 고정관념에 맞지 않는다고 여겨진 사람에 대한 성차별, 생물학적 성별과 사회적 성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른 차별이 있을 수 있다.[1]성평등은 생물학적 성별이나 젠더에 관계 없이 대우와 기회가 평등한 것을 말한다.[2] 성 불평등은 반대로 생물학적 성별이나 젠더에 따라 대우와 기회, 성취가 불평등한 상태를 말한다.[3]
젠더폭력은 젠더에 기반한 권력 관계에서 빚어진 폭력을 말한다.[4]
5. 2. 성별격리
성별격리는 사람을 성별에 따라 가급적 섞여 모이지 않도록 나누는 것이다. 보통은 생물학적 성별을 기준으로 실시되지만, 젠더를 기준으로 격리가 이뤄지는 경우도 있다.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성별격리를 하는 것 자체가 논란이 될 수 있다.단성교육이 좋은지 혼성교육이 좋은지 등은 논쟁거리이다. 또한 격리가 필요한 경우, 그 기준을 섹스에 둘지 젠더에 둘지 등도 논쟁거리이다.[1]
5. 3. 성 지정
성 지정은 신생아의 성별을 판단해 생물학적 성별을 지정하고, 어떻게 기를지 정하는 것을 말한다.[8] 성분화 이상을 가진 아이의 경우 성 지정이 복잡할 수 있다.강제적인 교정 수술은 성별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재생산권 침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다.[8]
5. 4. 법적 성별
대부분의 사회에서 법적 성별은 남성과 여성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중성이나 남녀 양쪽에 속하지 않는 성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국가나 지역도 있다.[8]서울가정법원 1992. 11. 20. 자 92브80 판례는 간성으로 태어났으나 부모가 성별 진찰 없이 여성으로 신고했지만, 성장 후 외관상 성염색체와 같이 남성으로 보이고 성 정체성도 남성이지만 성기 모양은 구별하기 어려운 신청인의 법적 성별을 남성으로 정정하도록 허가하였다.[8]
트랜스젠더의 성별 정정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기준이 다르며, 성별 정정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성전환 수술을 요구하고 있지만, 성별 정정을 불허하는 기준이 존재해 논란이 되고 있다.
남녀 양성에 속하지 않는 비이분법 성별을 법적으로 인정하는 국가나 지역도 있으며, 인정 기준은 다양하다.
6. 트랜스젠더
젠더 표현이나 성 정체성이 지정된 성별이나 생물학적 성별과 일치하지 않는 사람을 트랜스젠더라고 한다.[4] 성별 불쾌감은 성 정체성이 지정된 성과 불일치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증상이다.
성전환증(性轉換症)은 성 정체성이 지정된 성별과 달라 생활하는 젠더나 성징을 전환하기를 원하는 상태이며, 이러한 사람을 성전환자라고 한다. 성전환자들은 성전환 치료나 성전환 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 성별 불쾌감이나 성전환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7. 성전환
성전환은 생물학적 또는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생물에게서는 한 개체가 다른 성별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사람에게서는 트랜스젠더가 자신의 젠더 정체성에 맞게 젠더 표현이나 성징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7. 1. 생물의 성전환
자웅이숙은 생물의 생식 기능이 서로 다른 시기에 나타나는 자웅동체의 일종이다. 흰동가리와 감성돔은 수컷이 암컷이 되는 웅성선숙의 생물이다.7. 2.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성전환 과정은 사람의 젠더 표현이나 성징을 원하는 성별에 맞게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성징에 불쾌감을 느끼거나, 젠더 표현을 전환시키는 것이 어렵다면 성전환 치료를 받아 의료적인 도움을 받아 성징을 젠더에 일치시킨다.호르몬 치료나 성전환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 호르몬 치료는 성 정체성에 맞는 호르몬을 투여하거나, 기존에 분비되던 성 호르몬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성전환 수술은 외과적으로 성징을 전환시키는 수술로, 성기 재구성 수술, 유방 수술, 얼굴 수술 등이 있다. 릴리 엘베는 1930년에 처음으로 성전환 수술을 받았다. 호르몬 치료는 생식 능력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9], 특히 성기 성전환 수술은 되돌릴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주의해야 한다.[10][11] 일부 트랜스젠더는 정자나 난자를 냉동 보관하여 생식 능력을 보존하기도 한다.
성전환 수술을 통해 반대 성별의 생식 능력을 가질 수는 없지만, 음경이나 질 등 자신의 성 정체성에 맞는 몸을 가질 수 있게 된다.
8. 성차
여성과 남성의 주로 선천적인 차이를 성차라고 한다. 성 염색체, 외부 성기와 내부 성기, 호르몬의 차이에 의해 성차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경험의 차이가 뇌에 각인을 남길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12] 인간의 성별은 근본적으로 남성화를 촉진하는 유전자의 유무에 기인하며, 수정 순간에 거의 결정된다. 인간의 23쌍의 염색체 중 1쌍은 '''성염색체'''로 불리며 다른 '''상염색체'''와 구별된다. 이 성염색체의 형태('''X염색체'''와 '''Y염색체'''의 조합)에 따라 성별 발달의 기전은 크게 좌우된다. 이는 Y염색체 위에 고환 형성을 유도하고 남성화를 가져오는 SRY 유전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9. 성별 기호
성별 기호는 생물학에서 수컷과 암컷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이다. 수컷을 나타내는 기호는 ♂인데, 이는 마르스의 창과 방패를 나타낸 것이다. 암컷을 나타내는 기호는 ♀인데, 이는 비너스의 손거울을 나타낸 것이다.[1]
이 기호들은 18세기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第70回 性差:ジェンダーとセクスの違い - 内閣府
https://www.cao.go.j[...]
2023-01-18
[2]
서적
広辞苑 第五版
# 출판사 정보 없음
[3]
논문
思春期の発現・大山建司
https://lib.yamanash[...]
[4]
웹사이트
How Many Adults Identify as Transgender in the United States
https://williamsinst[...]
2016-06-00 #날짜 정보가 월까지만 있음
[5]
서적
Integrative Women's Health
# 출판사 정보 없음
2015
[6]
뉴스
性同一性障害 精神疾患対象外 WHO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6-20
[7]
저널
性別未確定で出生した子の性別決定 : 「性別の段階性」および「性別の相対性」の視点から
[8]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https://glaw.scourt.[...]
[9]
저널
Transgenderism and reproduction
2013
[10]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http://monthly.chosu[...]
[11]
저널
Gender reassignment and assisted reproduction: present and future reproductive options for transsexual people
2001
[12]
웹사이트
# 제목 정보 없음
https://www.ncbi.nl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보험료 큰손은 60대 여성…“평균 48만원 넘게 부담”
차별금지법, 공염불 말고 공론화…막힌 입법에 숨통 트이나
세계육상연맹, 여자 선수 유전자 검사 의무화
중3, 대도시·읍면 ‘학업 격차’ 더 벌어지고 협동력 더 떨어졌다
한국 여성 ‘출산 의향’ 유엔 주요 8개국 중 최저
성별 다양? 발언 균등? ‘모두를 위한 공론장’에 필요한 것들
[컨트롤+F] 영국 대법원 “평등법상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트랜스젠더 공동체 ‘우려’
“여성이 남성보다 뜨거운 물건 잘 만진다”국민대 김중경 교수 연구팀, 남녀간 열과 통증 느끼는 방식 차이 발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