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niversal Migrator Part 1: The Dream Sequence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niversal Migrator Part 1: The Dream Sequencer''는 아르옌 안토니 루카선이 2000년에 발매한 앨범으로, 2CD로 기획된 ''Universal Migrator'' 프로젝트의 첫 번째 파트이다. 이 앨범은 전작의 록 오페라 형식을 벗어나 각 트랙마다 다른 보컬리스트를 기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프로그레시브 록 팬들을 위한 앨범으로 기획되었다. 앨범은 2084년, 지구 멸망 후 화성에 남은 마지막 인간이 Dream Sequencer라는 기계를 통해 과거를 여행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시대와 문화를 넘나드는 11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록 오페라 - 헤드윅 (뮤지컬)
    젠더퀴어 록 가수 헤드윅 로빈슨의 삶과 '열받은 일 인치'에 얽힌 사연을 독백, 노래, 하드록 밴드, 애니메이션 등으로 전달하는 록 뮤지컬 헤드윅은 1998년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고, 퀴어 정체성 탐구, 사랑의 기원과의 연관성, 이원론적 주제 등을 다루며 영화로도 제작되어 호평을 받았다.
  • 록 오페라 - Music from "The Elder"
    키스의 컨셉 앨범 "Music from 'The Elder'"는 하드 록 스타일로의 회귀 시도와 새로운 팬층 확보를 위한 아트 록적인 변화가 음악적 일관성 부족으로 이어져 상업적 실패를 겪었으며, "The Oath", "A World Without Heroes" 등의 곡과 멤버들의 외형 변화가 있었다.
  • 2000년 음반 -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는 U2가 2000년에 발매한 9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얼터너티브 록과 전자 음악 실험 후 전통적인 사운드로 돌아와 "Beautiful Day" 등의 히트곡을 내며 상업적,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고, 멤버들의 경험과 사회적 이슈를 담아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며 20주년 기념 에디션으로 재발매되었다.
  • 2000년 음반 - Supreme Clientele
    고스트페이스 킬라의 데뷔 음반인 《Supreme Clientele》는 RZA의 주도 하에 녹음 중단과 스튜디오 피해를 극복하고 아프리카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와 독특한 사운드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롤링 스톤지의 "역대 최고 앨범 500장" 목록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피프티 센트 조롱과 작사권 논란도 있었다.
Universal Migrator Part 1: The Dream Sequencer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음반 이름The Dream Sequencer
음반 종류스튜디오 음반
가수에이리온
음반 커버Ayreon_-_Dream_Sequencer.jpg
발매일2000년 6월 20일
녹음 기간1999년 3월 – 11월
녹음 장소The Electric Castle Studio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스페이스 록
포크 록
어쿠스틱 록
길이70분 14초
레이블Transmission
Inside Out
SPV
프로듀서아르옌 뤼카센
이전 음반Into the Electric Castle
이전 음반 발매 연도1998년
다음 음반Universal Migrator Part 2: Flight of the Migrator
다음 음반 발매 연도2000년
음반 정보(한국어)
음반 이름Universal Migrator Part 1: The Dream Sequencer
가수명에이리온
레이블해당 사항 없음
음반 종류음반
발매년월일2000년 5월 22일
길이해당 사항 없음
이전 앨범Into the Electric Castle
현재 앨범Universal Migrator Part 1: The Dream Sequencer
다음 앨범Universal Migrator Part 2: Flight of the Migrator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스페이스 록
포크 록
어쿠스틱 음악

2. 제작 배경

이전 앨범 'Into the Electric Castle'의 성공 이후, 아르옌은 전작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앨범을 만들고자 했다.[2]

2. 1. 콘셉트 및 작곡

이전 아르옌의 성공적인 앨범인 ''Into the Electric Castle'' 이후, 아르옌은 이전 작품을 모방하거나 비슷한 내용을 답습하지 않으면서,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앨범을 만들어야 한다고 느꼈다. 이를 위해 그는 이전의 작곡 과정에 몇 가지 근본적인 변화를 주었다. 아르옌은 이전 앨범에서 사용되었던 대화 형식, 록 오페라 스타일의 노래와는 달리, 각 보컬리스트가 각 트랙을 하나씩만 부르도록 결정했다.[2]

''Universal Migrator''는 2CD 앨범을 구성할 만큼 충분한 콘텐츠를 가지고 있었기에, 아르옌은 각 디스크를 별도의 릴리스로 판매하기로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그는 팬들이 선호하는 장르에 따라 크게 프로그레시브 록 팬과 헤비 메탈 팬, 두 그룹으로 나뉜다고 생각했다. ''The Dream Sequencer''는 프로그 팬들을, ''Flight of the Migrator''는 메탈 팬들을 위한 앨범으로, 각 팬들이 원하는 앨범만 구매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예상외로 팬들은 두 앨범 모두를 구매하고 좋아했다.

3. 줄거리 배경

지구 최후의 실험에서 이어지는 이야기로, 2084년 지구 멸망 후 화성에 남은 마지막 인간이 주인공이다.[3] 그는 드림 시퀀서(Dream Sequencer)라는 기계를 통해 과거를 경험한다.[3]

3. 1. 드림 시퀀서

'''The Dream Sequencer'''는 지구 최후의 실험에서 시작된 줄거리를 이어간다. 최종 세계 대전으로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멸망한 2084년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지구에서의 마지막 몇 년간의 전투 동안, 많은 수의 인간이 화성으로 탈출하여 살게 되었다. 이들은 물자를 가져갔지만, 지구가 황폐해지면서 자원을 보충할 방법이 없었고, 곧 거의 모든 인류가 죽었다. '''The Dream Sequencer'''는 화성 식민지에서 홀로 살아남은 마지막 인간의 이야기를 다룬다.[3]

화성 초기 정착민에게서 태어난 이 식민지 주민은 지구에서 한 번도 살아본 적이 없으며, 드림 시퀀서(Dream Sequencer)라는 기계를 통해서만 지구를 경험할 수 있었다. 화성 과학자들이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개발한 드림 시퀀서는 최면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유년 시절, 또는 그보다 더 멀리, 자신의 이전 생으로 시간 여행을 할 수 있게 해준다.[3]

식민지 주민은 이 기계를 사용하여 자신의 유년 시절, 화성에서의 삶을 다시 경험하고, 결국 그의 많은 전생을 보게 된다. 2084년의 전쟁에서 싸우는 여성, 함대를 지켜보는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스톤헨지 건설 현장에 있었던 남자, 그리고 심지어 지구에 살았던 최초의 인간까지. '''The Dream Sequencer'''의 각 트랙은 이러한 과거의 삶 중 하나를 재방문한다.[3]

4. 트랙 분석

각 트랙은 주인공이 드림 시퀀서를 통해 경험하는 과거의 삶을 보여준다.


  • "The Dream Sequencer"는 라나 레인과 에릭 노랜더가 디지털화된 목소리로 참여하여, 식민지 개척자들이 드림 시퀀서를 사용하는 과정과 기계의 명령을 묘사한다.[4]
  • "My House on Mars"는 요한 에드룬드(티아마트)와 플로어 얀센(애프터 포에버)이 보컬로 참여하여, 주인공이 어린 시절 지구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은 슬픔과 2084년 지구 파괴 후 아버지를 용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4]
  • "2084"는 라나 레인이 보컬을 맡아 인류의 파멸을 초래한 전쟁을 다룬다. 이 전쟁은 최후의 실험과 01011001에서도 언급된다.[4]
  • "One Small Step"은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을 배경으로, 닐 암스트롱의 "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라는 유명한 문구와 실제 우주 비행사들의 목소리 샘플을 담고 있다.[4] 에드워드 리커스가 보컬, 라나 레인이 백 보컬을 담당했다.[4]
  • "The Shooting Company of Captain Frans B. Cocq"는 프란스 반닝 코크 대위와 그의 민병대를 그린 렘브란트의 그림 ''야경''을 소재로 한다. 네덜란드 황금 시대인 1642년에 그려진 이 그림의 제목은 아리언 루카슨이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하는 제목을 사용했다. 튜즈데이 차일드의 마우스가 보컬, 라나 레인이 백 보컬을 맡았다.
  • "Dragon on the Sea"는 엘리자베스 1세의 "틸버리 연설"과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한 영국 함대를 다룬다.[4] 프랜시스 드레이크 경과 노팅엄 백작 찰스 하워드가 이끈 영국 함대는 "바다의 용"으로 불렸다.[4] 라나 레인이 보컬, 에릭 노랜더가 작사를 맡았다.[4]
  • "Temple of the Cat"은 마야 문명마야 신화, 특히 티칼의 재규어 사원을 배경으로 한다.[4][5] 실제 마야 축제에서 가져온 샘플이 사용되었으며, 크레지프의 재클린 고버트가 보컬을 맡았다.
  • "Carried by the Wind"는 아일랜드 민속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며, ''The Final Experiment''의 주인공인 눈먼 음유 시인 아이리온을 언급한다. 아르옌 안토니 루카센이 직접 보컬을 맡았다.
  • "And the Druids Turn to Stone"은 스톤헨지의 기원에 대한 판타지적인 설명을 제시하며, 드루이드들이 마법에 의해 돌로 변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데미안 윌슨이 보컬을 맡았다.[4]
  • "The First Man on Earth"는 기원전 50,000년경 지구에 처음 등장한 호모 사피엔스를 다룬다. 닐 모스(스푹스 비어드의 전 리드 싱어)가 보컬, 마크 맥크라이트가 백 보컬을 맡았다.[4]
  • "The Dream Sequencer Reprise"는 기악곡으로, 드림 시퀀서가 꺼지는 것을 암시한다.[4]

4. 1. The Dream Sequencer

이 곡에서 디지털화된 목소리는 라나 레인과 에릭 노랜더가 제공했다.[4] 이 곡은 식민지 개척자들이 드림 시퀀서를 사용할 준비를 하고, 기계가 내리는 명령에 관한 내용이다.[4] 대사가 끝나면 드림 시퀀서가 배경 음악을 연주하는데, 이는 11번째 트랙 "The Dream Sequencer (Reprise)"에서 끝맺는다.[4]

4. 2. My House on Mars

이 곡은 요한 에드룬드(티아마트)와 플로어 얀센(애프터 포에버)이 보컬을 맡았으며, 에드룬드는 이 곡의 보컬 멜로디도 작곡했다. 이 곡은 주인공이 어린 시절, 누이와 함께 아버지가 지구 전쟁에서 사망한 것을 슬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84년에 지구는 파괴되었다. 곡 후반부에서 주인공은 자신을 떠나 지구에 데려가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아버지를 용서한다.[4]

4. 3. 2084

이 곡은 라나 레인이 보컬을 맡았으며, 결국 인류의 파멸로 이어지는 전쟁에 관한 것이다. 이 전쟁은 최후의 실험에서 언급되었고, 이후 01011001에서도 언급된다.[4]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등장인물은 주인공 자신이 아니라, 그의 과거 생애 중 하나이다 ("화성 위의 나의 집"에서 주인공은 지구를 본 적이 없다).

4. 4. One Small Step

이 곡은 아르옌 루카슨이 최초의 유인 달 착륙인 아폴로 11호 임무를 겪으며 있었던일을 이야기한다. 이 곡은 닐 암스트롱의 유명한 어구인 "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를 사용한다.[4] 달 착륙 당시 녹음된 우주 비행사들의 목소리 샘플도 포함되어 있다.[4] 에드워드 리커스가 이 곡의 보컬을, 라나 레인이 백 보컬을 담당했다.[4]

4. 5. The Shooting Company of Captain Frans B. Cocq

이 곡은 프란스 반닝 코크 대위와 그의 민병대를 언급하며, 네덜란드 화가 렘브란트의 그림 ''야경''에 영원히 담겨 있다. 이 그림은 네덜란드 황금 시대인 1642년에 그려졌다. 곡의 제목에서 아리언 루카슨은 이 그림에 가장 정확하다고 여겨지는 제목을 사용했다. 이 곡의 보컬은 튜즈데이 차일드의 마우스가, 백 보컬은 라나 레인이 맡았다.

4. 6. Dragon on the Sea

이 곡은 엘리자베스 1세와 1588년 7월 스페인 무적함대의 공격을 앞두고 그녀가 연설한 "틸버리 연설"을 언급하고 있다. 스페인 무적함대는 3만 명 이상의 병력을 태운 130척 이상의 거대한 해군 함대로 구성되었다.[4] 영국 함대는 "바다의 용"인 프랜시스 드레이크 경과 노팅엄 백작 찰스 하워드의 지휘 하에 전투에서 승리했다.[4] 이 곡의 보컬은 라나 레인이 맡았으며, 에릭 노랜더가 작사했다.[4]

4. 7. Temple of the Cat

이 곡은 마야 문명마야 신화를 언급하며, 서기 8세기경을 배경으로 한다. 아리언 루카슨에 따르면, 특히 티칼의 재규어 사원에 대해 이야기한다.[4][5] 이 곡에 사용된 특정 샘플은 실제 마야 축제에서 가져온 것이다. 크레지프의 재클린 고버트가 이 곡의 보컬을 맡았다. 아리언 루카슨은 이 곡을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Ayreon 곡이라고 말했다.[4][5]

4. 8. Carried by the Wind

이 곡은 아일랜드 민속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며, ''The Final Experiment''의 주인공 중 한 명인 눈먼 음유 시인 아이리온을 언급한다. 아르옌 안토니 루카센이 직접 보컬을 맡았다. 곡의 가사에 따르면 아이리온의 영혼은 마지막 실험이 실패했음을 알아차리고 인류의 새로운 희망을 찾아 화성을 바라본다.[4] 이 "바람 속의 영혼"은 ''01011001''의 "The Sixth Extinction"에서도 언급된다.

4. 9. And the Druids Turn to Stone

이 곡은 영국 윌트셔주 에임즈베리 근처에 있는 기념물스톤헨지를 언급하는데, 이는 기원전 2500년에서 기원전 2000년 사이에 주로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기념물의 기원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아리언 루카슨은 한 무리의 드루이드들이 마법에 의해 돌로 변하여 스톤헨지가 되었다는 판타지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이 곡의 보컬은 데미안 윌슨이 맡았다.[4]

4. 10. The First Man on Earth

이 곡은 기원전 50,000년경 지구에 처음 등장한 호모 사피엔스를 언급한다. 닐 모스(스푹스 비어드의 전 리드 싱어)가 보컬을 맡았으며, 마크 맥크라이트가 백 보컬을 담당했다. 닐 모스, 에릭 노랜더, 아르옌 안토니 루카슨이 이 곡의 작사를 맡았다.[4]

4. 11. The Dream Sequencer Reprise

이 곡은 기악곡이다. 이 곡에는 가수가 없기 때문에, 일부 팬들은 이 곡이 "The Dream Sequencer" 트랙에서 기계가 식민지 개척자에게 모든 지시를 내린 후 재생되는 배경 음악의 마지막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곡의 끝부분을 통해 드림 시퀀서가 꺼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아이디어는 다음 앨범인 ''이주자의 비행''의 시작 부분에서 드림 시퀀서가 다시 몇 가지 명령과 경고를 한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배경 음악은 없고, 여정은 즉시 시작된다).[4]

5. 평가

올뮤직의 평론가 글렌 아스타리타는 이 앨범을 칭찬하며 "기본적으로 루카센의 강력한 작곡과 매력적인 편곡은 음악과 전반적인 프로덕션이 저항적인 창의적인 프로그레시브 록의 영광스러운 시대를 연상시키면서 매력적인 조화를 이룬다."라고 말했다.[6]

6. 곡 목록

전체 작사/작곡은 아리엔 앤서니 루카슨이 담당했다 ("My House on Mars"는 루카슨과 요한 에드룬드 공동 작곡).[1]

번호제목보컬길이
1"The Dream Sequencer"라나 레인5:10
2"My House on Mars"요한 에드룬드, 플로어 얀센7:49
3"2084"라나 레인7:42
4"One Small Step"에드워드 레커스, 라나 레인8:46
5"The Shooting Company of Captain Frans B. Cocq"마우스, 라나 레인7:59
6"Dragon on the Sea"라나 레인7:09
7고양이 사원재클린 고바르트4:11
8"Carried by the Wind"아리엔 앤서니 루카슨3:59
9"And the Druids Turn to Stone"데이미언 윌슨6:37
10"The First Man on Earth"닐 모스, 마크 매크라이트7:20
11"The Dream Sequencer Reprise"(연주곡)3:38


7. 참여진

역할참여자
보컬라나 레인, 요한 에드룬드 (티아마트), 플로어 얀센 (애프터 포에버), 에드워드 리커스 (카약), 마우스, 재클린 고버트 (크레지프), 아르옌 루카슨, 데미안 윌슨 (스레스홀드), 닐 모스, 마크 맥크리트
연주아르옌 루카슨 (기타, 베이스 기타,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멜로트론, 해먼드 오르간, 키보드), 롭 스나이더스 (드럼), 에릭 놀랜더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피아노, 보코더, 해먼드, 키보드), 클라이브 놀란 (신스 솔로), 페터 지들라흐 (현악)
기술아르옌 안토니 루카센 (프로듀서), 오스카 홀레만 (사운드 엔지니어), 제프 베르텔스 (커버 아트)


7. 1. 보컬


  • 라나 레인 - 1, 3, 6번 트랙 보컬, 4, 5번 트랙 백 보컬
  • 요한 에드룬드 (티아마트) - 2번 트랙
  • 플로어 얀센 (애프터 포에버) - 2번 트랙
  • 에드워드 리커스 (카약) - 4번 트랙
  • 마우스 - 5번 트랙
  • 재클린 고버트 (크레지프) - 7번 트랙
  • 아르옌 루카슨 - 8번 트랙
  • 데미안 윌슨 (스레스홀드) - 9번 트랙
  • 닐 모스 - 10번 트랙
  • 마크 맥크리트 - 10번 트랙 백 보컬

7. 2. 연주

7. 3. 기술


  • 아르옌 안토니 루카센 – 프로듀서
  • 오스카 홀레만 – 사운드 엔지니어
  • 제프 베르텔스 – 커버 아트

8. 차트

차트 (2000년)최고 순위
독일90


참조

[1] 웹사이트 Ayreon vinyl editions : ArjenLucassen.com http://www.arjenluca[...] 2012-11-28
[2] 웹사이트 Ayreon biography http://www.arjenluca[...]
[3] 웹사이트 UM Album page http://www.arjenluca[...]
[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Arjen: Aardschok Magazine (pt. 1) http://www.arjenluca[...] 2009-02-27
[5] 웹사이트 Jacqueline Govaert's page at Ayreon.com http://www.arjenluca[...]
[6] 웹사이트 "Universal Migrator, Pt. 1: The Dream Sequencer'' Review" http://www.allmusic.[...] "[[Rovi]]" 2011-06-18
[7] 웹인용 "Universal Migrator, Pt. 1: The Dream Sequencer'' Review" http://www.allmusic.[...] "[[Rovi]]" 2011-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