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わ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わ행은 일본어의 음운 중 하나로, 'わ', 'ゐ', 'ゑ', 'を'를 포함한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양순 접근음이나 양순연구개음 등으로 발음되었으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ゐ', 'ゑ'는 'い', 'え'로, 조사 이외의 'を'는 'お'로 통합되었다. 또한,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는 'くゎ', 'ぐゎ' 등의 합요음이 사용되었으나, 현대 가나 사용법에서는 각각 'か', 'が'로 표기된다. 외래어 표기에서는 /w/ 발음을 위해 'ウィ', 'ウェ', 'ウォ'가, /v/ 발음을 위해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가 사용되지만, 일본어에서는 각각 'ウ이', 'ウ에', 'ウ오' 또는 'ば', 'び', 'ぶ', 'べ', '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십음 - あ행
  • 오십음 - や행
    や행은 일본어 가나의 한 행으로, 'や', 'ゆ', 'よ'를 포함하며 자음 y 또는 j와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역사적으로 음운 변화와 요음 형성의 특징을 가지며, 현대 일본어에는 'え'에 해당하는 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わ행
'와/와행 (わ/ワ行)'
로마자 표기wa 행
히라가나わ ゐ う ゑ を
가타카나ワ ヰ ウ ヱ ヲ
발음'[ɰa], [ɰi], [ɯ], [ɰe], [ɰo]'
종류일본어 음절
추가 정보
다른 문자 체계점자: ⠺, ⠴, ⠥, ⠻, ⠱
전신 부호: ---・
모음'あ い う え お'

2. 음성

'わ'의 음은 자음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양순 연구개 접근음 /w/ 또는 양순 접근음 /β̞/로 표기된다. 'ゐ', 'ゑ', 'を'는 현대 일본어에서는 각각 'い'(이), 'え'(에), 'お'(오)와 같은 음으로 발음된다. 와행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 헵번식 모두 wa (i) (u) (e) (o)이다.

'わ'의 두음 자음은 유성음이며, 'わ' 이외의 '와행 음'은 모음이므로, 와행 가나에 탁점을 붙이는 탁음은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와행 가나에 탁점을 붙이는 탁음의 특수한 예에 대해서는 항목 참조).

2. 1. 역사적 변화

헤이안 시대에는 'わ'(와), 'ゐ'(이), 'ゑ'(에), 'を'(오)가 모두 양순 접근음이나 양순 연구개 접근음 등으로 발음되었지만, 점차 혼동이 진행되어 에도 시대 말기 무렵에는 현대와 같은 음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후의 글자 정리에 따라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ゐ', 'ゑ'는 'い', 'え'로 통합되었고, 조사 이외의 'を'는 'お'로 통합되었다.

3. 합요음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는 또는 ぐ를 첫 글자로 하는 요음의 두 번째 글자로 작게 쓰는 「ゎ」를 사용하여 「くゎ」, 「ぐゎ」로 표기하고 , 또는 , 로 발음했지만,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くゎ」는 , 「ぐゎ」는 が로 쓴다. 또한, 「くゎ」, 「ぐゎ」 등의 요음을 「합요음」이라고 한다.

역사적 자음 가나 표기법(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한 가나 표기법)으로는 「クヰ」, 「クヱ」, 「グヰ」, 「グヱ」 등이 존재했다. 玄関(겐ン쿠ン)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모토오리 노리나가에도 시대의 발음에 근거하여 자음 가나 표기법을 정했으며, 이러한 표기를 채택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4. 외래어 표기

‘ウィ’, ‘ウェ’, ‘ウォ’는 외래어 표기 시 /w/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ウイ’, ‘ウエ’, ‘ウオ’로 발음되거나 /w/ 없이 발음되기도 한다. ‘ウィスキー(ウイスキー)’(위스키), ‘ウェディング(ウエディング)’(웨딩), ‘サンドウィッチ(サンドイッチ)’(샌드위치), ‘スウィッチ(スイッチ)’(스위치) 등이 그 예이다. 이 중 ‘ウォ’는 정착률이 높아, ‘ウォッチ’나 ‘ウォッシュ’ 등과 같이 ‘ウ’와 ‘オ’로 2으로 나뉘지 않고 발음된다.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는 외래어 표기 시 /v/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지만, 일본어에서는 ‘ば’, ‘び’, ‘ぶ’, ‘べ’, ‘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ヴァイオリン(バイオリン)’(바이올린), ‘ヴィデオ(ビデオ)’(비디오) 등이 그 예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국립국어원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w] 발음은 ‘우’로 적고, [v] 발음은 ‘브’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그 외

공간 절약을 위해 와행의 빈 공간(「ゐ」,「ゑ」는 사용하지 않고 공란으로 함)에 「」 문자를, 혹은 더 나아가 장음이나 촉음을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を」의 위치를 옮기기도 한다. 정식 배치는 아니므로 표기 방법은 다양하지만, 한 예로 「わをんーっ」과 같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