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노야마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미노야마번은 에도 시대에 존재했던 일본의 번으로, 여러 가문이 번주를 역임하며 가미노야마 지역을 다스렸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모가미씨의 가신들이 가미노야마 성을 차지했으나, 가문 분쟁으로 인해 막부의 명령에 따라 영지가 몰수되었다. 이후 마쓰다이라 가문, 가모 가문, 도키 가문, 가나모리 가문 등을 거쳐 1697년부터 마쓰다이라 가문이 번주로 정착하여 메이지 유신까지 이어졌다. 바쿠마츠 시대에는 도쿠가와 막부를 지지하며 보신 전쟁에 참여했으나, 폐번치현으로 가미노야마 현이 되었고, 이후 야마가타현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미노야마번 - 가미노야마성
가미노야마성은 야마가타현 가미노야마시에 있는 성으로, 무로마치 시대 축성 후 센고쿠 시대에는 다테 씨와 모가미 씨의 격전지였으며, 에도 시대에는 가미노야마 번의 번청이었으나 메이지 시대에 해체, 1982년 모의 천수각이 복원되어 향토자료관으로 쓰인다. - 가나모리씨 - 가나모리 나가치카
가나모리 나가치카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장으로, 히다 정벌에 공을 세워 다카야마 성주가 되었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도 활약했으며, 다도에도 능하여 센노 리큐와 교류하는 등 문화적 재능도 보였다. - 가나모리씨 - 가나모리 요리토키
가나모리 요리토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히다 다카야마 번, 데와 가미노야마 번, 미노 구조 번의 번주를 역임하며 젊은 시절 방탕한 생활을 청산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번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었으며, 막부의 요직을 거쳐 세 번의 전봉 후 백성을 위한 연공 징수 방식 변경 등 민생 안정에 기여했다. - 도키씨 - 바사라
바사라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헤이안 시대 자유로운 연주를 뜻했으나 가마쿠라 시대 말기 기존 체제에 반항하는 행태를 일컫는 용어로 확장되었고, 무로마치 막부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유행했으나 전국 시대에 쇠퇴하였으며, 어원에 대한 이설도 존재한다. - 도키씨 - 누마타번
누마타번은 에도 시대 고즈케국 누마타 지역에 존재했던 번으로, 사나다 씨, 혼다 씨, 구로다 씨를 거쳐 도키 씨가 다스렸으며 마지막 번주 도키 요리오키가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협력하여 폐번치현 이후 군마현에 편입되었다.
가미노야마번 | |
---|---|
개요 | |
이름 | 가미노야마 번 (上山藩) |
위치 | 야마가타현 일부 |
수도 | 가미노야마성 |
시대 | 에도 시대 |
역사 | |
성립 | 1622년 |
폐지 | 1871년 |
통치 | |
정부 형태 | 다이묘 |
기타 | |
현재 | 야마가타현 일부 |
2. 번의 역사
가미노야마는 야마가타번과 요네자와번 사이에 있는 우슈 가이도의 요충지였다. 1458년에는 가미노야마 온천이 발견되어 온천 숙박 마을로 번영했다. 모가미씨가 지배하던 센고쿠 시대에는 다테씨와 이 땅을 놓고 다투기도 했다. 1600년 게이초 데와 전투에서는 나오에 가네쓰구가 이끄는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대군이 가미노야마성을 지키던 사토미 민부 휘하의 모가미군에게 대패했다. 그러나 사토미 민부는 모가미 요시아키와 대립하여 쫓겨났고, 사카 미쓰히데, 모가미 미쓰히로가 이 지역을 다스렸다.
1622년, 모가미 소동으로 모가미씨가 개역되자, 마쓰다이라 시게타다가 4만 석으로 가미노야마에 들어와 가미노야마 번이 세워졌다. 시게타다는 조카마치와 교통로를 정비했지만, 1626년 셋쓰 산다 번으로 옮겨갔다. 이후 가모 다다토모, 도키 요리유키가 차례로 번주가 되었다. 도키 가문은 2대에 걸쳐 조카마치와 교통로 정비, 광산 개발, 농지 개간, 산업 장려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1691년 도키 요리타카는 오사카성주 대행을 맡았고, 이듬해 노오카 번으로 옮겨갔다. 가나모리 요리토키를 거쳐 1697년 마쓰다이라 노부미치가 3만 석으로 입봉하면서 번주 가문이 안정되었다.
하지만 번의 규모가 작아 엔쿄 연간부터 재정난이 발생했고, 농민 잇키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1809년에는 번교 천보관(天輔館)이 설립되었다. 막부 말기, 가미노야마 번은 막부를 지지하여 에도에 있는 사쓰마번 저택 공격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참가하여 호쿠에쓰 전쟁에도 휘말렸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가미노야마 번은 폐지되고 가미노야마 현이 되었다가 야마가타현에 통합되었다.
2. 1. 초기 역사와 가문의 변천
모가미씨가 지배하던 센고쿠 시대에 가미노야마 지역은 다테씨와의 분쟁 지역이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가신 나오에 가네쓰구가 이끄는 2만 5천의 병력은 가미노야마 성을 지키던 모가미씨의 가신 사토미 민부가 이끄는 1천 명의 병사에게 패배했다. 그러나 사토미 민부는 모가미 요시아키와 대립하여 도망쳤고, 이후 사카 미쓰히데, 모가미 미쓰히로가 가미노야마에 들어왔다.[3][4]1622년 모가미 소동으로 모가미씨의 영지가 몰수된 후, 마쓰다이라 시게타다가 4만 석 영주로 임명되어 가미노야마 번이 성립되었다. 시게타다는 조카마치와 교통로를 정비했지만, 1626년 셋쓰 산다 번으로 전봉되었다.[3][4]
이후 가모 다다토모가 4만 석으로 들어왔으나 이요 마쓰야마 번으로 옮겨갔고, 도키 요리유키가 2만 5천 석으로 번주가 되었다. 도키 가문은 2대에 걸쳐 조카마치와 교통로 정비, 광산 개발, 농지 개간, 신사와 불당 건립, 산업 장려, 용수로 건설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2대 번주 도키 요리타카는 1691년 1만 석을 추가받고 오사카성주 대행을 맡았으며, 이듬해 노오카 번으로 전봉되었다. 가나모리 요리토키가 3만 8700석으로 입봉하였으나 1697년 구조 번으로 옮겨갔다.[3][4]
같은 해 9월, 니와세 번에서 마쓰다이라 노부미치가 3만 석으로 가미노야마에 오면서 번주 가문이 안정되었다. 하지만 번의 규모가 작아 엔쿄 연간부터 재정난이 발생했고, 농민 잇키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1809년에는 번교 천보관(天輔館)이 설립되었다.[3][4]
2. 2.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의 통치와 안정
겐나 8년(1622년), 모가미 소동이라 불리는 오이에 소동으로 모가미씨가 개역된 후, 마쓰다이라 시게타다가 4만 석으로 가미노야마에 들어와 가미노야마번을 세웠다.[3][4] 시게타다는 조카마치와 교통로를 정비하여 번정의 기초를 다지려 했지만, 간에이 3년(1626년)에 셋쓰 산다 번으로 전봉되었다. 그 후 가모 다다토모가 4만 석으로 들어왔으나, 곧 이요 마쓰야마 번으로 옮겨갔다. 간에이 5년(1628년)에는 도키 요리유키가 2만 5천 석으로 입봉하였다. 도키 가문은 2대에 걸쳐 가미노야마를 통치하며 조카마치 정비, 광산 개발, 농지 개간, 산업 장려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3][4]도키 요리타카는 겐로쿠 4년(1691년)에 1만 석을 추가받고 오사카성주 대행을 맡았으며, 이듬해 노오카 번으로 전봉되었다. 이후 가나모리 요리토키가 3만 8700석으로 입봉하였으나 겐로쿠 10년(1697년) 6월에 구조 번으로 옮겨갔다.[3][4]
같은 해 9월, 니와세 번으로부터 마쓰다이라 노부미치가 3만 석으로 가미노야마에 들어오면서 번주 가문이 안정되었다. 하지만 번의 규모가 작아 엔쿄 연간부터 재정난이 발생하였고, 농민 잇키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분카 6년(1809년)에는 번교 천보관(天輔館)이 설립되었다.[3][4]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마쓰다이라씨의 후지이 분가가 가미노야마번을 통치했다. 185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번에는 2200가구가 있었으며, 아자부에 주요 에도 거처(''가미야시키'')를 유지했다.[1]
2. 3. 막부 말기와 보신 전쟁
게이오 4년(1868년) 보신 전쟁이 시작되자 가미노야마번은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참가했다. 같은 해 5월 3일, 동맹의 방침에 따라 총독 야마무라 구마가 이끄는 서양식 군대를 데와 구보타번에 파병하였다. 7월에 야마무라 구마는 데와 신조번의 배신으로 전사하였고, 이후 쇼나이번과 함께 구보타 성을 포위했다. 또한 가미노야마번은 호쿠에쓰 전쟁에도 휘말려 별동대를 나가오카에 파견했다.[3]9월에 요네자와번이 신정부에 항복하자, 가미노야마번은 배후 공격을 우려하여 같은 달 15일에 군대를 철수하고 항복했다. 9월 18일 신정부군이 가미노야마성에 입성했고, 19일에는 쇼나이번 정벌군(사쓰마번, 요네자와번)이 가미노야마에 들어왔다. 가미노야마번도 약 80명 규모의 쇼나이번 정벌군을 편성하여 사가에 방면으로 출진, 나가오카 산에서 격전을 벌였다.[5][3][4]
덴포력게이오 4년 9월 8일, 메이지로 연호가 바뀌었다.
메이지 원년12월 7일(그레고리력[1869년][1월 19일]])에는 번에 속한 무라야마군이 데와국에서 분할되어 우젠국 소속이 되었다.
메이지 원년12월 22일(1869년2월 3일) 보신 전쟁 후의 처분으로 가미노야마번은 감봉되었고, 영지 일부는 사카타 민정국의 관할이 되었다.
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판적봉환 칙허에 따라, 같은 해 6월 20일 번이 소유했던 토지(판)와 인민(적)이 조정에 반환되었다. 마쓰다이라 노부야스가 가미노야마 번지사가 되었다.
메이지 4년7월 14일(1871년[8월 19일]]) 폐번치현으로 가미노야마번은 폐지되고 가미노야마현이 되었다. 마쓰다이라 노부야스는 번지사에서 면직되었다.
메이지 4년11월 2일(1871년12월 13일) 제1차 현 통합으로 무라야마군·모가미군이 '''야마가타현''' 관할이 되면서 가미노야마현은 소멸되었다.
메이지 11년(1878년)11월 1일 야마가타현에서 군구정촌 편제법이 시행되면서 무라야마군 중 야마가타 등 7정 84촌에 대해 '''미나미무라야마군'''의 행정 구역이 되었고, 같은 날 무라야마군이 소멸되었다.
메이지 14년 10월 1일, 메이지 천황이 순행으로 가미노야마 부근을 통과하면서 도카마치 마을의 가와이 초로쿠 저택에서 점심 식사 휴식을 취했다.
당시 군악대였던 가미노야마번 고적 악대는 가미노야마번 고적 악대 보존회로 현존하며, 당시 서양식 군대와 군악대 보존회가 존재하는 몇 안 되는 지역이다.[6]
2. 4. 폐번치현과 그 이후
1871년 폐번치현으로 가미노야마번은 폐지되고 가미노야마현이 되었다가, 야마가타현에 편입되었다.겐나 8년(1622년), 모가미 소동이라 불리는 오이에 소동을 이유로 모가미씨는 개역되었다.[3][4] 그 후, 가미노야마에는 마쓰다이라 시게타다가 4만 석으로 들어가, 가미노야마번이 성립되었다. 시게타다는 조카마치와 교통로를 정비하여 번정의 기초를 다지려 했지만, 4년 후인 간에이 3년(1626년)에 셋쓰 산다 번으로 전봉되었다. 이후 가모 다다토모를 거쳐 도키 요리유키가 2만 5천 석으로 번주가 되었다. 도키 가문은 2대에 걸쳐 가미노야마를 지배하면서 조카마치 정비, 광산 개발, 산업 장려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겐로쿠 4년(1691년) 도키 요리타카는 오사카성주 대행을 맡았고, 이듬해 노오카 번으로 전봉되었다. 이후 가나모리 요리토키를 거쳐 마쓰다이라 노부미치가 3만 석으로 입봉하면서 번주 가문이 안정되었다.
하지만 번의 규모가 작아 엔쿄 연간부터 재정난이 발생하였고, 농민 잇키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분카 6년(1809년)에는 번교 천보관(天輔館)이 설립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판적봉환에 따라 1869년 가미노야마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야스는 가미노야마 번지사가 되었다.
메이지 원년 12월 7일 (그레고리력 1869년 1월 19일), 번에 속한 무라야마군이 데와국에서 분할되어 우젠국 소속이 되었다.
메이지 원년 12월 22일 (1869년 2월 3일), 보신 전쟁 후의 처분으로 가미노야마번이 감봉되고, 영지의 일부가 사카타 민정국의 관할이 되었다.
메이지 2년 6월 17일에 칙허된 판적봉환에 따라, 같은 해 6월 20일 번이 소유하고 있던 토지(판)와 인민(적)이 조정에 반환되었다.
메이지 4년 7월 14일 (1871년 8월 19일), 폐번치현에 의해 가미노야마번은 폐번하고 가미노야마현이 되었다. 마쓰다이라 노부야스는 번지사에서 면관되었다.
메이지 4년 11월 2일 (1871년 12월 13일), 제1차 현 통합으로 무라야마군・모가미군이 '''야마가타현'''의 관할이 되어 가미노야마현은 소멸되었다.
메이지 11년(1878년) 11월 1일 - 군구정촌 편제법이 야마가타현에서 시행되어, 무라야마군 중 야마가타 등 7정 84촌에 대해서는 '''미나미무라야마군'''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 같은 날, 무라야마군은 소멸되었다.
메이지 14년 10월 1일, 메이지 천황이 순행으로 가미노야마 부근을 통과할 때, 가미노야마번에서 군악대였던 가미노야마번 고적 악대가 당시의 서양식 군대와 군악대를 보존하고 있다.[6]
3. 역대 번주
1622년부터 1871년까지 가미노야마 번을 다스렸던 역대 번주들의 목록이다.
# | 이름 | 재임 기간 | 가문 및 비고 |
---|---|---|---|
1 | 마쓰다이라 시게타다松平重忠일본어 | 1622년 ~ 1626년 | 노미 마쓰다이라 가문 |
2 | 마쓰다이라 시게나오松平重直일본어 | 1626년 | 노미 마쓰다이라 가문 |
3 | 가모 다다토모蒲生忠知일본어 | 1626년 ~ 1627년 | 가모 가문 |
4 | 도키 요리유키土岐頼行일본어 | 1628년 ~ 1678년 | 도키 가문 |
5 | 도키 요리타카土岐頼殷일본어 | 1678년 ~ 1692년 | 도키 가문 |
6 | 가나모리 요리토키金森頼時일본어 | 1692년 ~ 1697년 | 가나모리 가문 |
7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松平信通일본어 | 1697년 ~ 1722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8 | 마쓰다이라 나가쓰네松平長恒일본어 | 1722년 ~ 1732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9 | 마쓰다이라 노부마사松平信将일본어 | 1732년 ~ 1761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10 | 마쓰다이라 노부쓰라松平信亨일본어 | 1761년 ~ 1790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11 | 마쓰다이라 노부후루松平信古일본어 | 1790년 ~ 1796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12 | 마쓰다이라 노부자네松平信愛일본어 | 1796년 ~ 1805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13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松平信行일본어 | 1805년 ~ 1831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14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松平信宝일본어 | 1831년 ~ 1862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15 | 마쓰다이라 노부쓰네松平信庸일본어 | 1862년 ~ 1868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16 | 마쓰다이라 노부야스松平信安일본어 | 1868년 ~ 1871년 |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
3. 1. 노미 마쓰다이라 가문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석고 |
---|---|---|---|---|---|
![]() | |||||
1 | 마쓰다이라 시게타다|松平重忠|마쓰다이라 시게타다일본어 | 1622년 ~ 1626년 | 단고노카미 (丹後守) | 종5위하 (従五位下) | 4만 석 |
2 | 마쓰다이라 시게나오|松平重直|마쓰다이라 시게나오일본어 | 1626년 | 단고노카미 (丹後守) | 종5위하 (従五位下) | 4만 석 |
3. 2. 가모 가문
가모 다다토모蒲生忠知일본어가 1626년부터 1627년까지 재임하였다. ''나카쓰카 다이유''(中務大輔)와 ''지주''(侍従) 관직을 가졌으며, 조정 관위는 종4위하였다. 고쿠다카는 4만 석이었다.#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고쿠다카 |
---|---|---|---|---|---|
![]() | |||||
1 | 가모 다다토모蒲生忠知일본어 | 1626-1627 | 나카쓰카 다이유 (中務大輔); 지주 (侍従) | 종4위하 (従四位下) | 4만 코쿠 |
3. 3. 도키 가문
土岐氏일본어 가문은 1628년부터 1692년까지 가미노야마 번을 통치한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다.#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석고 |
---|---|---|---|---|---|
1 | 도키 요리유키|土岐頼行일본어 | 1628년 ~ 1678년 | 야마시로노카미 (山城守) | 종5위하 (従五位下) | 2만 5천 석 |
2 | 도키 요리타카|土岐頼殷일본어 | 1678년 ~ 1692년 | 이요노카미 (伊予守) | 종4위하 (従四位下) | 3만 5천 석 |
3. 4. 가나모리 가문
가나모리 요리토키金森頼時|가나모리 요리토키일본어가 1692년부터 1697년까지 재임하였다.#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고쿠다카 |
---|---|---|---|---|---|
![]() | |||||
1 | 金森頼時|가나모리 요리토키일본어 | 1692년 ~ 1697년 | 이즈노카미 (出雲守) | 종5위하 (従五位下) | 3만 8700석 |
3. 5.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
'''후지이 마쓰다이라 가문'''일본어#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고쿠다카|석고일본어 |
---|---|---|---|---|---|
1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松平信通일본어) | 1697년 ~ 1722년 | 엣추노카미|越中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2 | 마쓰다이라 나가쓰네(松平長恒일본어) | 1722년 ~ 1732년 | 3만 코쿠|석일본어 | ||
3 | 마쓰다이라 노부마사(松平信将일본어) | 1732년 ~ 1761년 | 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4 | 마쓰다이라 노부쓰라(松平信亨일본어) | 1761년 ~ 1790년 | 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5 | 마쓰다이라 노부후루(松平信古일본어) | 1790년 ~ 1796년 | 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6 | 마쓰다이라 노부자네(松平信愛일본어) | 1796년 ~ 1805년 | 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7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松平信行일본어) | 1805년 ~ 1831년 | 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8 | 마쓰다이라 노부미치(松平信宝일본어) | 1831년 ~ 1862년 | 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9 | 마쓰다이라 노부쓰네(松平信庸일본어) | 1862년 ~ 1868년 | 야마시로노카미|山城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10 | 마쓰다이라 노부야스(松平信安일본어) | 1868년 ~ 1871년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3만 코쿠|석일본어 |
4. 바쿠마츠 시대의 영지
참조
[1]
웹사이트
Edo daimyo.net
http://www1.parkcity[...]
[2]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3]
서적
藩名・旧国名がわかる事典
[4]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5]
서적
戊辰戦争と上山
(有)スタジオ・ワン
2019-03-31
[6]
문서
上山藩鼓笛楽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