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출은 정당한 이유 없이 생활 근거지를 떠나 귀가하지 않는 행위를 의미하며, 개인적, 가정적, 학교,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가출은 청소년의 파괴적 행동 위험을 높이고, 학교생활 부적응, 비행, 범죄 피해, 약물 복용, 성병 감염,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가출은 가족 해체, 부모의 심리적 고통,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며, 이를 예방하고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가출을 소재로 한 작품은 소설, 영화, 만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양, 위탁, 고아 돌봄, 격리 - 존 볼비
    영국의 정신분석가이자 발달심리학자인 존 볼비는 아동의 애착 행동과 발달에 대한 연구, 특히 애착 이론을 창시하여 초기 아동기의 경험이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했다.
  • 입양, 위탁, 고아 돌봄, 격리 - 가정위탁
    가정위탁은 친가정에서 양육될 수 없는 아동에게 다른 가정이 일시적인 보호와 양육을 제공하여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는 아동 복지 제도이며, 친족, 비친족, 단기, 장기, 전문 위탁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 가정 - 가계
    가계는 경제학에서 수요 측면의 최소 단위로, 세대를 기준으로 정의되지만, 최근 개인의 소비 결정 중요성 증가로 소비 실태 파악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 가정 - 아동 학대
    아동 학대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 방임, 착취 등 아동의 건강과 존엄성을 해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인, 관계,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장기적인 문제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치료를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 사회 문제 -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는 사생활 보호 및 자기 정보 통제권으로, 철학적, 역사적 기원을 가지며 기술 발전과 함께 침해 가능성이 커져 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위한 철학적, 사회적, 기술적 과제로 남아있다.
  • 사회 문제 - 자해
    자해는 자살 의도 없이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는 행위로, 정신적 고통 완화나 도움 요청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고, 정신사회적 치료법으로 치료하며,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예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출
가출
가출 청소년
가출한 어린 아이
가출 유형자발적, 비자발적
관련 법률미국 실종 및 착취 아동 보호법
영국 1989년 아동법
원인
가정 환경학대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방치
가정 불화
빈곤
약물 남용
개인적 요인정신 건강 문제
약물 남용
또래 압력
성 정체성 혼란
임신
사회적 요인사회적 고립
차별
주택 부족
실업
결과
건강질병
영양실조
정신 건강 문제 악화
안전착취 (성매매, 노동 착취)
범죄 피해
노숙
교육학업 중단
법적 문제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 증가
예방 및 대처
예방가정 환경 개선
정신 건강 서비스 제공
사회적 지원 강화
가출 청소년 보호 시설 확대
대처가출 청소년 발견 시 신고
가출 청소년 보호 시설 연계
상담 및 지원 제공

2. 가출의 정의 및 유형

사춘기에 이르면 다른 가정이나 도시 생활을 동경하면서 외부 세계에 대한 유혹을 느끼기 시작한다. J. D. 샐린저의 The Catcher in the Rye|호밀밭의 파수꾼영어은 이러한 시기의 문제아 홀든의 가출을 다루어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공감을 얻었다. 이 외에도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가출을 다룬 작품은 많다.[23]

근대 일본에서는 여성이 부모가 정한 결혼, 부부 동성 강제, 아내의 법적 무능력 등 남녀 불평등한 가족 제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다이쇼 시대에 여성의 직업 영역이 확대되면서 여성의 "가출"은 여성의 사회 진출을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다이쇼 민주주의 시대의 여성 운동가 중에는 이러한 "가출" 경험자가 많았다.[23]

최근에는 가족이나 학교와의 사소한 다툼으로 대화를 거부하고 가출하여 며칠 만에 돌아오는 "소규모 가출(プチ家出)"도 많아졌다. 이는 과거 발달 단계에서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가출"을 한 사람을 "가출인"이라고 한다.

일본 경찰청 생활안전국장은 1999년 10월 25일에 발표한 "불량 행위 소년의 보도에 관하여"에서 "가출"을 "정당한 이유 없이 생활의 근거지를 떠나 귀가하지 않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가출 청소년은 범죄에 연루되거나, 집단 자살, 인터넷 자살 등의 유혹에 빠질 위험이 있다. 가출 중 범죄 피해를 입은 미성년자는 2021년에 경찰이 파악한 것만 277명이며, 그중 고등학생이 126명으로 가장 많고, 8할 가까이가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저촉되는 범죄 행위에 의한 것이다.[25]

가출인 중에서 범죄 등으로 생명, 신체, 재산에 위해의 우려가 있거나, 사건, 사고에 휘말렸을 가능성이 있는 자, 자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자는 "특이 가출인"으로 지명 수배, 공개 수사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미성년)은 1만 6,020명이며, 가장 많은 가출 동기는 9세 미만과 10대 모두 가족 관계이다.[26][27]

3. 가출의 원인

청소년 가출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방임, 학대, 가정폭력, 가족 구성원의 약물 남용 등의 가정 기능 부전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1][2] 또래의 부추김도 가출의 원인 중 하나인데, 아동 가출 청소년의 89%가 또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4]

사춘기에는 다른 가정이나 도시 생활을 동경하며 외부 세계에 대한 유혹을 느끼기도 한다. J. 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이러한 시기 청소년의 가출을 다룬 대표적인 작품이다.

근대 일본에서는 여성이 불평등한 가족 제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여성의 사회 진출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다이쇼 시대 청학 그룹 등 여성 운동가 중 "가출" 경험자가 많았다.[23]

최근에는 가족이나 학교와의 갈등으로 대화를 거부하고 가출하는 "소규모 가출"이 늘었다. 이는 과거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으로서의 가출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경찰청은 "정당한 이유 없이 생활 근거지를 떠나 귀가하지 않는 행위"를 가출로 규정한다. 가출 청소년은 야쿠자에게 걸려들어 풍속업에 끌려가거나, 집단 자살, 인터넷 자살 등의 유혹에 빠질 위험이 있다. 또한 범죄 피해를 볼 위험도 크다. 가출인 중 범죄 등으로 위험이 있거나 자해,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사람은 "특이 가출인"으로 지명 수배된다.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은 1만 6,020명이며, 가장 많은 가출 동기는 가족 관계였다.[26][27]

3. 1. 가정적 요인

현재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가출의 주요 원인은 부모의 방임,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 가족 구성원의 약물 남용 문제, 가정 폭력과 같은 가정 기능 부전이다.[1][2] 가출 청소년 중 거의 절반이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3분의 1 이상이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약물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보고했다.[3]

사춘기에는 다른 가정이나 도시의 생활을 자신의 가족과 비교하여 부러워하거나 동경하면서 외부 세계에 대한 유혹이 시작되기도 한다. J. 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이러한 다감한 시기의 문제아 홀든의 가출을 다룬 작품으로,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공감을 얻었다.

최근에는 가족이나 학교와의 사소한 다툼으로 대화를 거부한 채 가출하여 수일 만에 돌아오는 "소규모 가출"도 많아졌다. 그 사이 친구 집을 전전하며 놀러 다니는 경우가 많아, 과거 발달 단계에서의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는 하나의 단계라는 것과는 상당히 양상이 다르다.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미성년)은 1만 6,020명이며, 그중 가장 많은 가출 동기가 9세 미만과 10대 모두 가족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26][27]

3. 2. 학교 요인

학교폭력, 따돌림, 학업 스트레스, 교사와의 갈등, 학교 부적응 등은 청소년 가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25] 2021년 일본에서 가출 중 복지 범죄 피해를 입은 미성년자는 경찰이 파악한 것만으로도 277명이었으며, 그중 고등학생이 12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 중 8할 가까이가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저촉되는 범죄 행위로 피해를 입었다.[25]

3. 3. 사회적 요인

사춘기에는 다른 가정이나 도시 생활을 동경하며 외부 세계에 대한 유혹을 느끼기 시작한다. J. 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이러한 시기 청소년의 가출을 다룬 대표적인 작품이다.

근대 일본에서는 여성이 남녀 불평등한 가족 제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여성의 사회 진출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다이쇼 시대에는 청학 그룹 등 여성 운동가 중 "가출" 경험자가 많았다.[23]

최근에는 가족이나 학교와의 갈등으로 대화를 거부하고 가출하는 "소규모 가출"이 늘었다. 이는 과거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으로서의 가출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경찰청에서는 "정당한 이유 없이 생활 근거지를 떠나 귀가하지 않는 행위"를 가출로 규정한다. 가출 청소년은 야쿠자에게 걸려들어 풍속업계에 끌려들어가거나, 집단 자살/인터넷 자살 등의 유혹에 빠질 위험이 적지 않다. 또한 가출 청소년은 범죄에 연루되거나 피해를 입을 위험이 크다. 2021년에는 가출 중 복지 범죄[24] 피해를 입은 미성년자가 277명이었으며, 그 중 고등학생이 가장 많았다.[25]

가출인 중 범죄 등으로 생명, 신체, 재산에 위협이 있거나, 자해 또는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사람은 "특이 가출인"으로 지명 수배된다.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은 1만 6,020명이며, 가장 많은 가출 동기는 가족 관계였다.[26][27]

4. 가출의 결과 및 영향

가출 청소년은 파괴적인 행동을 할 위험이 높으며,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비행,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불법 약물 복용, 성병 감염, 원치 않는 임신, 우울증, 자살 시도, 성적 착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6][3]

사춘기에는 다른 가정이나 도시 생활에 대한 동경으로 외부 세계의 유혹을 느끼기 쉽다. J. 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이러한 시기 청소년의 가출을 다룬 대표적인 작품이다.

근대 일본에서는 여성이 가부장적인 가족 제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여성의 사회 진출을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23]

최근에는 가족이나 학교와의 사소한 다툼으로 대화를 거부한 채 가출하여 수일 만에 돌아오는 "소규모 가출"도 많아졌다. 이는 친구 집을 전전하며 놀러 다니는 경우가 많아, 과거 발달 단계에서의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는 하나의 단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경찰청은 "불량 행위 소년의 보도에 관하여"에서 "가출"을 "정당한 이유 없이 생활의 근거지를 떠나 귀가하지 않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가출 청소년은 야쿠자에게 걸려 풍속업에 끌려가거나, 집단 자살, 인터넷 자살 등의 유혹에 빠질 위험이 있다. 또한, 가출 중 복지 범죄[24] 피해를 보는 미성년자도 적지 않다.[25]

가출인 중에서 범죄 등으로 생명, 신체, 재산에 위협을 받거나 사건, 사고에 휘말렸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자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사람은 "특이 가출인"으로 분류되어 지명 수배, 공개 수사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은 1만 6,020명이며, 주요 가출 동기는 가족 관계 문제였다.[26][27] 경찰의 보호가 어려운 도시 지역과 지방에 잠적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혼율 상승과 사회 구조 변화로 인해 가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범죄 피해나 미성년 임신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으며, 보호자로부터의 수색 의뢰가 드물고, 폭력배 조직원이나 해외 마피아 구성원에 의한 유괴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4. 1. 청소년 개인

가출 청소년은 여러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어 중퇴, 퇴학, 정학 등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5] 가출은 비행 청소년이 될 위험을 높이고, 범죄 피해자가 될 가능성도 커진다.[8]

가출하여 노숙 생활을 하는 '거리의 아이들'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불법 약물 복용, 성병 감염, 원치 않는 임신, 우울증, 자살 시도, 성적 착취 등의 위험이 매우 높다.[6] 가출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가정 내 경험에서 시작되어 장기간의 외상적인 사건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3] 여성 가출 청소년의 우울증은 가족 갈등 및 의사소통 문제와 관련이 있고, 남성 가출 청소년의 우울증은 아버지의 알코올 사용 장애 및 불우한 가정환경과 관련이 있는 경향이 있다.[7]

가출 청소년은 복지 범죄[24] 피해를 볼 위험도 있다. 2021년에는 경찰에 파악된 미성년자 가출인 중 277명이 복지 범죄 피해를 보았으며, 이 중 고등학생이 12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 중 80% 가까이는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저촉되는 범죄 행위로 인한 피해였다.[25]

4. 2. 가족

가족 해체는 가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가출 청소년들은 가정 내 불화, 학대, 방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한다. 이러한 경험은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심리적 상처를 남기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어지기도 한다.[3] 부모 또한 자녀의 가출로 인해 죄책감과 심리적 고통을 겪는다.

가족 간의 부정적인 상호 작용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7] 여성 가출 청소년의 경우 가족 갈등과 의사소통 부재, 남성 가출 청소년의 경우 아버지의 알코올 사용 장애와 불우한 가정환경이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 수는 1만 6,020명이었으며, 가장 많은 수가 가족 관계를 가출 동기로 꼽았다.[26][27] 이는 가족 기능의 약화가 가출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과거 일본에서는 여성이 가부장적인 가족 제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다이쇼 시대에 여성의 직업 영역이 확대되면서 여성의 사회 진출을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23]

4. 3. 사회

가출은 사회적으로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가출 청소년은 범죄에 연루되거나 유해한 환경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2021년 일본에서는 경찰에 파악된 가출 청소년 중 277명이 복지 범죄[24] 피해를 입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저촉되는 범죄 행위로 인한 것이었다.[25]

가출은 또한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킨다. 가출 청소년 보호 시설 운영, 의료 지원, 범죄 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추가적인 자원이 필요하게 된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은 16,020명이었다.[26][27] 이들의 주요 가출 동기는 연령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연령대주요 가출 동기
9세 미만가족 관계
10대가족 관계



가출인 중 범죄 등으로 생명, 신체, 재산에 위협을 받거나 사건, 사고에 휘말렸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자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사람은 "특이 가출인"으로 분류되어 지명 수배, 공개 수사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5. 가출 청소년 현황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미성년)은 1만 6,020명이며, 이 중 가장 많은 가출 동기는 9세 미만과 10대 모두 가족 관계였다.[26][27] 이들은 일본의 도시 지역과 지방에 잠적하며 경찰의 보호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혼율 상승과 사회 구조 변화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그중에는 범죄 피해나 미성년 임신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다. 보호자로부터 가출인 수색 의뢰가 드물고, 폭력배 조직원이나 해외 마피아 구성원에 의한 유괴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가출 중 복지 범죄[24] 피해를 입은 미성년자는 일본 경찰이 파악한 것만으로도 2021년에 277명이며, 학력별로는 고등학생(126명)이 가장 많았고, 8할 가까이가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저촉되는 범죄 행위에 의한 것이었다.[25]

6. 가출 예방 및 지원

최근에는 가족이나 학교와의 사소한 다툼으로 대화를 거부한 채 가출하여 수일 만에 돌아오는 "소규모 가출"이 많아졌다. 그 사이 친구 집을 전전하며 놀러 다니는 경우가 많아, 과거 발달 단계에서의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는 하나의 단계라는 것과는 상당히 양상이 다르다. 이러한 어린이의 소규모 가출과 비슷하게, 주부나 남편의 가출도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가출"을 한 사람을 "가출인"이라고 한다.

경찰청 생활안전국장에 의해 1999년 10월 25일에 발표된 "불량 행위 소년의 보도에 관하여"에서는 불량 행위에 해당하는 "가출"을 "정당한 이유 없이 생활의 근거지를 떠나 귀가하지 않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가출 청소년은 야쿠자에게 걸려들어 풍속업계에 끌려들어가거나, 집단 자살/인터넷 자살 등의 유혹에 빠질 위험이 적지 않다. 가출 중에 복지 범죄[24] 피해를 입은 미성년자는 경찰이 파악한 것만으로도 2021년에는 277명이며, 고등학생(126명)이 가장 많고, 8할 가까이가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저촉되는 범죄 행위에 의한 것이다.[25]

범죄 등으로 생명·신체·재산에 위해의 우려가 있는 자, 사건·사고에 휘말렸을 가능성이 있는 자, 자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자는 "특이 가출인"으로 지명 수배, 공개 수사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미성년)은 1만 6,020명이며, 그중 가장 많은 가출 동기가 9세 미만과 10대 모두 가족 관계이다.[26][27]

7. 가출 관련 논쟁 및 과제

사춘기에는 다른 가정이나 도시 생활을 동경하여 외부 세계에 대한 유혹을 느끼기 시작한다. J. 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은 이러한 시기 문제아의 가출을 다루어 청소년들에게 큰 공감을 얻었다.[23] (반항기에 가족과의 다툼으로 가출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근대 일본에서는 여성이 부모가 정한 결혼, 부부 동성 강제, 아내의 법적 무능력 등 남녀 불평등 가족 제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하는 경우가 있었다.[23] 이는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었지만, 다이쇼 시대에 여성의 직업 영역이 확대되면서 여성의 사회 진출을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다이쇼 민주주의 시대의 여성 운동가 중에는 이러한 "가출" 경험자가 많았다.[23]

최근에는 가족이나 학교와의 사소한 다툼으로 대화를 거부하고 가출하여 수일 만에 돌아오는 "소규모 가출(プチ家出)"이 많아졌다.[23] 이는 과거 발달 단계에서 이상과 현실의 갈등을 극복하는 단계와는 다른 양상이다. 주부나 남편의 가출도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가출"을 한 사람을 "가출인(家出人)"이라고 한다.

경찰청은 1999년 "불량 행위 소년의 보도에 관하여"에서 "정당한 이유 없이 생활 근거지를 떠나 귀가하지 않는 행위"를 가출로 규정했다. 가출 청소년은 야쿠자에게 걸려들어 풍속업에 끌려가거나, 집단 자살/인터넷 자살 등의 유혹에 빠질 위험이 있다. 가출 중 복지 범죄[24] 피해를 입은 미성년자는 2021년에 277명이며, 고등학생(126명)이 가장 많고, 8할 가까이가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에 저촉되는 범죄 행위에 의한 것이다.[25]

범죄 등으로 생명·신체·재산에 위해 우려가 있거나, 사건·사고에 휘말렸을 가능성이 있거나, 자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가출인은 "특이 가출인(特異家出人)"으로 지명 수배, 공개 수사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2022년 일본 경찰에 신고된 가출 청소년은 1만 6,020명이며, 가장 많은 가출 동기는 9세 미만과 10대 모두 가족 관계이다.[26][27]

8. 가출을 소재로 한 작품

가출을 소재로 한 작품은 영화, 소설, 만화,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영화
  • * 조르손 이야기 (The Jolson Story, 1946년), 미국
  • * 브라더 선 시스터 문 (Brother Sun, Sister Moon, 1972년), 이탈리아·영국
  • * 스탠드 바이 미 (Stand By Me, 1986년), 미국
  • * 텔마 & 루이스 (Thelma & Louise, 1991년), 미국
  • * 에마 (Emma, 1991년), 덴마크
  • * 노스 작은 여행자 (North, 1994년), 미국
  • * 박봉곤 가출 사건 (1996년), 한국
  • * 17세의 처방전 (17 Again, 2002년), 미국
  • * 캐치 미 이프 유 캔 (Catch Me If You Can, 2003년), 미국

  • 음악
  • * 비틀스, 시즈 리빙 홈 (She's Leaving Home)

8. 1. 일본 작품


  • 아무도 모른다
  • 서적(소설 외)
  • * 이마 이치세 편, 『완전 가출 매뉴얼』, 미디어웍스, 1999년
  • 소설
  • * 아카가와 지로, 『삼색 고양이 홈즈의 가출』, 고분샤, 1992년
  • * 스쿠키키, 『여행의 무게』, 츠쿠마쇼보, 1972년
  • * 나스 마사키, 『즈코케 가출 대여행』, 포플라사, 2000년
  • * 무라카미 하루키, 『해변의 카프카』, 신초샤, 2002년
  • * 소노 시온, 『자살 서클 완전판』, 카와데쇼보신샤, 2002년
  • * 사토 마키코, 『우리들의 가출 3일』, 포플라사, 2006년
  • 수필
  • * 츠게 요시하루, 『증발 여행 일기』(『야행』), 10호, 키타후유쇼보, 1981년
  • * 테라야마 슈지, 『가출의 권유』(각와문고), 1972년
  • 만화
  • * 후지코 F 후지오, 『도라에몽
  • ** 『도라에몽 노비타의 일본 탄생』, 1988년-1989년
  • ** 이 영화판에 국한되지 않고, 『도라에몽』 작품 속에는 가출이 자주 묘사되고 있다.[28]
  • * 후지코 F 후지오, 『모자공』 - "우주로의 가출"이 콘셉트. 단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그 요소가 제거되었다.
  • * 츠게 요시하루, 『증발』 - 방랑의 시인, 이노우에 이겟츠의 죽음까지의 삶을 다룬 작품.
  • * 오자와 유키, 『팔순 마리코』
  • 영화
  • * 남자는 힘들어』, 1969년
  • * 철탑 무사시노선』, 1997년
  • * 열다섯 살 학교 IV』, 2000년
  • * 『처음 하는 가출』, 2009년
  • * 날씨의 아이』, 2019년
  • 무대
  • * 『최고의 가출』(고조 레니 주연), 2024년
  • 음악
  • * 오자키 유타카, 『15의 밤』

8. 2. 기타 국가 작품


  • عيسى حسن الياسري|이사 하산 알야시리ar(1942년생)는 이라크계 캐나다 시인이다. 열 살 때 가족 몰래 학교를 떠나 외삼촌이 사는 마을로 갔다. 낙타 카라반과 함께 여행하며 밤새도록 걸었으며, 74세가 된 후 여러 해 동안 자신의 어린 시절 자아 개념을 자유에 기반하여 정의했다고 말했다.[22]

  • 서적(소설 외)
  • * 今 一生|이마 이치세일본어 편, 『완전 가출 매뉴얼』(미디어웍스, 1999년)

  • 소설
  • * 赤川 次郎|아카가와 지로일본어, 『삼색 고양이 홈즈의 가출』(고분샤, 1992년)
  • * 洲崎 চুমুক|스쿠키키일본어, 『여행의 무게』(츠쿠마쇼보, 1972년)
  • * 那須 正幹|나스 마사키일본어, 『즈코케 가출 대여행』(포플라사, 2000년)
  • * 村上 春樹|무라카미 하루키일본어, 『해변의 카프카』(신초샤, 2002년)
  • * 園 子温|소노 시온일본어, 『자살 서클 완전판』(카와데쇼보신샤, 2002년)
  • * 佐藤 眞樹子|사토 마키코일본어, 『우리들의 가출 3일』(포플라사, 2006년)

  • 수필
  • * つげ義春|츠게 요시하루일본어, 『증발 여행 일기』(『야행』 10호, 키타후유쇼보, 1981년)
  • * 寺山 修司|테라야마 슈지일본어, 『가출의 권유』(각와문고, 1972년)

  • 만화
  • * 藤子・F・不二雄|후지코 F 후지오일본어, 『도라에몽
  • ** 『도라에몽 노비타의 일본 탄생』(1988년~1989년). 이 영화판뿐만 아니라, 『도라에몽』 작품 속에는 가출이 자주 묘사된다.[28]
  • * 藤子・F・不二雄|후지코 F 후지오일본어, 『모자공』 - "우주로의 가출"이 콘셉트. (애니메이션판에서는 그 요소가 제거됨)
  • * つげ義春|츠게 요시하루일본어, 『증발』 - 방랑 시인 井上井月|이노우에 이겟츠일본어의 죽음까지의 삶을 다룬 작품.
  • * 小坂 ゆうき|오자와 유키일본어, 『팔순 마리코』

  • 영화
  • * 『조르손 이야기』(The Jolson Story, 미국, 1946년)
  • * 『남자는 힘들어』(일본, 1969년)
  • * 『브라더 선 시스터 문』(Brother Sun, Sister Moon, 이탈리아·영국, 1972년)
  • * 『스탠드 바이 미』(Stand By Me, 미국, 1986년)
  • * 『에마』(Emma, 덴마크, 1991년)
  • * 『텔마 & 루이스』( Thelma & Louise, 미국, 1991년)
  • * 『노스 작은 여행자』(North, 미국, 1994년)
  • * 『박봉곤 가출 사건』(한국, 1996년)
  • * 『철탑 무사시노선』(鐵塔武蔵野線, 일본, 1997년)
  • * 『열다섯 살 학교 IV』(일본, 2000년)
  • * 『17세의 처방전』(17 Again, 미국, 2002년)
  • * 『캐치 미 이프 유 캔』(Catch Me If You Can, 미국, 2003년)
  • * 『처음 하는 가출』(일본, 2009년)
  • * 『날씨의 아이』(天気の子, 일본, 2019년)

  • 무대
  • * 『최고의 가출』(고조 레니 주연, 2024년)

  • 음악
  • * 비틀스, 『시즈 리빙 홈』(She's Leaving Home)
  • * 尾崎 豊|오자키 유타카일본어, 『15의 밤』(15の夜)

참조

[1] 논문 2021-04-00
[2] 논문 2021-04-00
[3] 학술지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Runaway Youth Utilizing Two Service Sectors 2007-08-00
[4] 학술지 Causes and Effects of Runaway Children Crisis: Evidence from Balochistan 2011-00-00
[5] 웹사이트 NRS Statistics on Runaways http://www.nrscrisis[...] National Runaway Safeline 2010-01-11
[6] 학술지 It's called "Going out to play": a video diary study of Hmong girls' perspectives on running away 2013-02-00
[7] 학술지 Family factor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runaway youth: do males and females differ? 2011-02-00
[8] 학술지 Parents, Teachers, and Peers and Early Adolescent Runaway in Hong Kong http://eric.ed.gov/?[...]
[9] 학술지 Damned if They Flee, Doomed if They Don't: Narratives of Runaway Adolescent Females from Rural India 2010-11-00
[10] 학술지 Newspaper Coverage of Runaway in China
[11] 보고서 Runaway/thrownaway children : national estimates and characteristics http://purl.access.g[...] 2014-11-02
[12] 웹사이트 Home https://www.1800runa[...] National Runaway Safeline 2018-12-29
[13] 논문 2021-04-00
[14] 논문 2021-04-00
[15] 웹사이트 Working with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https://www.ojp.gov/[...] 2023-11-15
[16] 웹사이트 Background on Status Offenders http://www.cga.ct.go[...] Cga.ct.gov 2013-08-17
[17] 웹사이트 Illinois Compiled Statutes 720 ILCS 5 Criminal Code of 1961. Section 10-6 - Illinois Attorney Resources - Illinois Laws http://law.onecle.co[...] Law.onecle.com 2013-08-17
[18] 웹사이트 Criminal Parental Kidnapping http://www.ndaa.org/[...] Ndaa.org 2013-08-16
[19] 서적 The World Almanac and Book of Facts: 2006 Edition
[20] 웹사이트 Family and Youth Services Bureau http://www.acf.hhs.g[...] Acf.hhs.gov 2010-01-11
[21] 웹사이트 Here to Listen, Here to Help http://www.1800runaw[...] 2014-12-14
[22] 웹사이트 في حوارمع طائرالجنوب الشاعر:عيسى حسن الياسري:المرأةأيقظت عالم(الشعر)لدي..ومازلت أعيش مغامرةطفوليّة ! https://almadapaper.[...] 2022-09-13
[23] 서적 역사학사전 제10권 「가출」 弘文堂
[24] 문서 소년법에서 말하는 20세 미만의 자에 대한 유해 행위
[25] 보고서 令和3年中における少年の補導及び保護の概況>第2章 福祉犯の取締り>2  被害少年>⑷ 家出中の福祉犯被害 https://www.npa.go.j[...] 2023-06-24
[26] 보고서 令和4年における行方不明者の状況について https://www.npa.go.j[...] 2023-06-24
[27] 보고서 令和4年中における行方不明者の状況(図表) https://www.npa.go.j[...] 2023-06-24
[28] 문서 특히 노진구가 자주 가출한다.
[29] 문서 수행을 위해 집을 나서는 것은 출가라 한다.
[30] 문서 가출,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