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우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성우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포수 포지션에서 활동했다.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92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1995년과 1999년 한국시리즈 준우승에 기여했다. 2001년 SK 와이번스로 이적 후 2005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kt 위즈 등 여러 팀에서 배터리코치를 역임했다. 선수 시절에는 청소년 대표와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구 (부산광역시) 출신 - 곽규택
곽규택은 서울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검사, 변호사 등을 거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현재 국민의힘 소속으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는 정치인이다. - 서구 (부산광역시) 출신 - 채태인
채태인은 부산상고 투수 출신으로 보스턴 레드삭스에 입단했으나 부상 후 삼성 라이온즈에서 타자로 전향하여 KBO 리그에서 활동하며 '채럼버스'라는 별명을 얻었고, 은퇴 후에는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활동했다. - 부산광역시 출신 야구 선수 - 박동원
박동원은 2009년 넥센 히어로즈에 입단하여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팀의 중심 선수로 자리매김했고, 성폭행 사건 연루 등 부침을 겪었으나 KIA 타이거즈를 거쳐 LG 트윈스로 이적 후 2024년 야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부산광역시 출신 야구 선수 - 양상문
양상문은 전 야구 선수로, 코치, 감독, 해설위원, 단원으로 활동했으며, 선수 시절 좌완 투수로 63승을 기록했고, 롯데 자이언츠, LG 트윈스 등에서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다. - 199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정태
박정태는 롯데 자이언츠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탱크'라는 별명과 독특한 '흔들 타법'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KBO 리그 최다 연속 경기 안타 기록과 2루수 골든글러브 5회 수상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은퇴 후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 199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정민태
정민태는 대한민국 전 야구 선수로 투수였으며, 아마추어 시절 MVP를 수상하고 프로에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일본에서 활동하다가 한국으로 복귀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강성우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강성우 |
영어 표기 | Kang Seong-Woo |
원어명 | 강성우 (姜盛友)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생년월일 | 1970년 1월 5일 |
신장 | 173cm |
체중 | 80kg |
포지션 | 포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프로 입단 | 1992년 |
드래프트 순위 | 1992년 1차 지명 (롯데 자이언츠) |
첫 출장 | KBO / 1992년 4월 10일 사직 대 LG전 |
최종 경기 | KBO / 2005년 9월 20일 광주 대 KIA전 |
배번 | 66 |
선수 경력 | |
선수 | 롯데 자이언츠 (1992년 ~ 2000년) SK 와이번스 (2001년 ~ 2005년) |
지도자 경력 | |
코치 | 삼성 라이온즈 배터리코치 (2005년 ~ 2009년) WBC 국가대표팀 배터리코치 (2009년) 한화 이글스 배터리코치 (2009년 ~ 2012년)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코치 (2011년 ~ 2012년, 2014년) 두산 베어스 배터리코치 (2013년 ~ 2014년) 두산 베어스 2군 배터리코치 (2014년) 삼성 라이온즈 배터리코치 (2015년 ~ 2016년) KT 위즈 배터리코치 (2017년 ~ 2018년) KT 위즈 2군 배터리코치 (2019년 ~ 2020년) KIA 타이거즈 2군 배터리코치 (2022년) 롯데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2024년 시즌 중 ~)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 |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
메달 | }} |
2. 선수 시절
국가대표로 선발되기도 했던 강성우는 롯데 자이언츠와 SK 와이번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92년에 1차 지명을 받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1995년과 1999년 한국시리즈 준우승에 기여하였다. 2001년에는 SK 와이번스로 이적하여[1] 2005년에 은퇴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청소년 대표와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2.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단국대학교 졸업 후 1992년에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했으며, 경기를 읽는 센스와 투수 리드 및 근성 등 수비형 포수로서의 장점을 두루 갖춘 선수였다. 1995년에는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선제 3점 홈런을 치고 연장에서 2타점 적시타로 맹활약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1999년에도 한국시리즈 준우승에 공헌하였다.2. 3. SK 와이번스 시절
2001년 롯데 자이언츠에서 이적하여 SK 와이번스에 입단하였다.[1] 2005년 11월에 은퇴했다.3.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의 배터리코치를 맡았고, 2009년 WBC 국가대표팀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1] 2009년에 한대화가 한화 이글스의 감독으로 선임되며 한화 이글스의 배터리코치로 자리를 옮겼으나 한대화가 감독직에서 물러나고 김응용이 부임하며 재계약에 실패했다. 이후 두산 베어스로 옮겨서 2014년까지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2014년 시즌 후 삼성 라이온즈의 배터리코치로 돌아왔으나 2016년 시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고 배터리코치에서 물러났다.[1] 2016년 10월, 당시 신임 감독이었던 김진욱의 부름을 받아 kt 위즈의 배터리코치로 선임됐다.[1]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두산 베어스, kt 위즈, KIA 타이거즈, 롯데 자이언츠 등에서 코치를 역임했다.
4. 상세 정보
강성우는 대신초등학교, 부산대신중학교, 경남상업고등학교, 단국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87년~1988년 청소년 대표, 1989년~1991년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그의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등번호 | 사용 기간 |
---|---|
12 | 1992년 - 2000년, 2002년 - 2005년 |
22 | 2001년 |
83 | 2006년 - 2009년, 2015년 - 2016년 |
82 | 2010년 - 2012년 |
72 | 2013년 - 2014년 |
77 | 2017년 - 2020년, 2022년 |
66 | 2024년 - |
4. 1. 출신 학교
4. 2. 경력
4. 3. 등번호
등번호 | 사용 기간 |
---|---|
12 | 1992년 - 2000년, 2002년 - 2005년 |
22 | 2001년 |
83 | 2006년 - 2009년, 2015년 - 2016년 |
82 | 2010년 - 2012년 |
72 | 2013년 - 2014년 |
77 | 2017년 - 2020년, 2022년 |
66 | 2024년 - |
5.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포지션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4구 | 사구 | 삼진 | 병살 |
---|---|---|---|---|---|---|---|---|---|---|---|---|---|---|---|
1992 | 롯데 | 포수 | 0.303 | 94 | 201 | 25 | 61 | 2 | 80 | 31 | 0 | 15 | 4 | 22 | 6 |
1993 | 0.195 | 62 | 149 | 6 | 29 | 1 | 36 | 18 | 0 | 7 | 2 | 21 | 2 | ||
1994 | 0.286 | 76 | 189 | 14 | 54 | 0 | 68 | 23 | 2 | 7 | 1 | 24 | 7 | ||
1995 | 0.222 | 75 | 158 | 13 | 35 | 0 | 41 | 12 | 2 | 10 | 0 | 15 | 3 | ||
1996 | 0.221 | 73 | 145 | 13 | 32 | 2 | 45 | 21 | 1 | 16 | 2 | 25 | 4 | ||
1997 | 0.199 | 79 | 171 | 10 | 34 | 0 | 38 | 13 | 2 | 9 | 2 | 37 | 4 | ||
1998 | 0.158 | 73 | 133 | 9 | 21 | 0 | 27 | 5 | 0 | 5 | 2 | 23 | 2 | ||
1999 | 0.283 | 112 | 191 | 12 | 54 | 1 | 65 | 17 | 0 | 7 | 0 | 16 | 6 | ||
2000 | 0.192 | 51 | 78 | 5 | 15 | 0 | 15 | 3 | 0 | 4 | 1 | 11 | 2 | ||
2001 | SK | 0.160 | 110 | 188 | 11 | 30 | 0 | 37 | 13 | 2 | 15 | 1 | 31 | 6 | |
2002 | 0.216 | 62 | 88 | 2 | 19 | 0 | 21 | 8 | 0 | 2 | 0 | 10 | 4 | ||
2003 | 0.264 | 39 | 53 | 5 | 14 | 0 | 15 | 3 | 0 | 3 | 1 | 10 | 3 | ||
2004 | 0.160 | 30 | 25 | 4 | 4 | 0 | 5 | 0 | 0 | 2 | 0 | 3 | 0 | ||
2005 | 0.278 | 22 | 18 | 1 | 5 | 0 | 9 | 0 | 0 | 0 | 0 | 4 | 2 | ||
통산 | 14시즌 | 포수 | 0.228 | 958 | 1787 | 130 | 407 | 6 | 502 | 167 | 9 | 102 | 16 | 252 | 5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