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용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용흘은 1898년 함경남도 홍원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활동한 한국계 작가이다. 보스턴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대표작으로는 자전적 소설 『초당, The Grass Roof』(1931)이 있으며, 이 외에도 『행복한 숲, The Happy Grove』(1934), 『동양인이 본 서양, East Goes West』 등을 발표했다. 또한,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1971년에는 노벨 문학상 후보로 추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작가 - 정도전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서,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통치 체제를 정비했으며, 《조선경국전》 등을 저술했으나, 왕권 중심의 정치를 견제하다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게 살해당했다.
  • 한국의 작가 - 백관수
    백관수는 호를 근촌이라 하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2·8 독립 선언을 주도하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 활동했으며,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고 제헌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
  • 뉴욕 대학교 교수 - 네드 블록
    네드 블록은 기능주의와 튜링 테스트 비판, 의식 경험과 접근 의식 구분, 오버플로우 논증 제시 등으로 심리철학, 인지과학, 의식 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철학자이다.
  • 뉴욕 대학교 교수 - 피터 싱어
    피터 싱어는 공리주의 윤리학자이자 생명윤리학자로 동물 권리, 빈곤, 생명 윤리 분야에서 활동하며 『동물 해방』으로 동물 해방 운동에 기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지만, 급진적인 견해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 보스턴 대학교 동문 - 한기춘
    한기춘은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한국은행 고문,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유신정우회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으로 활동했으나, 유신정권 참여 경력은 비판받는다.
  • 보스턴 대학교 동문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강용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힐 강
본명강용흘
로마자 표기Gang Yong-heul
출생일1898년 6월 5일 (음력 5월 10일)
출생지홍원군, 함경남도, 조선
사망일1972년 12월 2일
사망지새틀라이트 비치, 플로리다주, 미국
국적한국
직업작가, 강사
작품 활동
활동 시기1930년대
대표 작품초가집
동쪽은 서쪽으로

2. 일생

강용흘은 함흥 영생중학교를 졸업하고 1921년 3·1 운동 이후 한국 독립 운동을 위해 한국을 떠나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갔다.[4] 보스턴 대학교에서 의학, 하버드 대학교에서 영미 문학을 전공했으며,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편집위원을 역임했다.[4] 대표작은 일제강점기3·1 운동을 배경으로 한 자전적 첫 영문 장편 소설 『초당』(The Grass Roof)이다.

로마 대학교, 뮌헨 대학교, 파리 대학교 등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뉴욕 대학교 등에서 동양 문화와 비교 문학을 강의했다. 소설 『행복한 숲』(The Happy Grove, 1934), 『동양인이 본 서양』(East Goes West), 희곡 『왕실에서의 살인』(1935) 등을 발표했다.

번역서로는 『동양의 시』(Oriental Poetry, 1929), 한용운의 『님의 침묵』(Nim-e Chimmuk, 1971, 부인 프란시스 킬리와 공역)이 있으며, 영어 교재와 미국사 관련 서술도 남겼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역임하기도 한 그는, 항상 한국이나 한국인에게서 작품의 소재를 찾았다. 펄 S. 벅은 그를 "동방의 가장 빛나는 예지"라고 칭찬했다.

1971년에는 노벨 문학상 후보였음이, 선정 50년 이상 경과 후 노벨상 위원회가 공표한 후보자 명단에 의해 밝혀졌다.[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강용흘은 1898년 함경남도 홍원에서 태어났다. 함흥 영생중학교를 졸업하고,[4] 어린 시절 한국에서 유학 및 기독교 선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21년 3·1 운동 이후 한국 독립 운동에 참여한 일로 인해 한국을 떠나 먼저 캐나다로 건너갔고(그곳에서 잠시 달하우지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이후 미국으로 이주했다.[5] 1925년 보스턴 대학교에서 이학사(B.S.) 학위를, 1927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영어 교육 교육학 석사(Ed.M.) 학위를 받았다.[5] 보스턴 대학교에서는 의학을,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영미 문학을 전공했다.

2. 2. 미국 유학 및 활동

함흥 영생중학교를 졸업하고 1921년 3·1 운동 이후 독립 운동을 위해 한국을 떠나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갔다. 보스턴 대학교에서 의학, 하버드 대학교에서 영미 문학을 전공했다.[4]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편집자로 일했으며, 뉴욕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4]

처음에는 한국어와 일본어로 글을 쓰다가 1928년 미국인 아내 프랜시스 킬리(Frances Keeley)의 지도로 영어로 전환했다.[4] 토마스 울프(Thomas Wolfe)가 그의 소설 ''풀 지붕''(The Grass Roof)의 첫 장을 읽고 스크리브너스(Scribners) 출판사에 추천하여, 레베카 웨스트(Rebecca West)와 H. G. 웰스(H. G. Wells) 등의 작가들에게 칭찬을 받았다. 할리우드에서 영화로 각색될 뻔했으나, ''풀 지붕''은 당시 한국에 대한 미국의 멸시를 확인시켜주는 듯하여 호평을 받았지만, ''동쪽에서 서쪽으로''(East Goes West)는 미국을 비판했기 때문에 다문화주의 운동이 재조명하기 전까지 인기가 덜했다.[6]

''행복한 숲''(The Happy Grove), ''동양인이 본 서양''(East Goes West) 등을 썼고,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거나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에서 서평을 썼다.[4] 구겐하임 펠로우십(Guggenheim Fellowship)으로 2년간 유럽을 여행했고,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미국 육군 출판 사무소와 민간 정보 부대에서 미국 정부의 아시아 전문가로 일했다.[5][6]

로마 대학교, 뮌헨 대학교, 파리 대학교 등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뉴욕 대학교 등에서 동양 문화와 비교 문학을 강의했다. 소설 『행복한 숲, The Happy Grove』(1934), 『동양인이 본 서양, East Goes West』, 희곡 『왕실에서의 살인』(1935) 등을 발표했다.

번역서로는 『동양의 시, Oriental Poetry』(1929), 한용운의 『님의 침묵, Nim-e Chimmuk』(1971, 부인 프란시스 킬리와 공역)이 있다. 영어 교재와 미국사 관계 서술도 남겼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역임하기도 했으며, 항상 한국이나 한국인에게서 작품의 소재를 찾았다.

2. 3. 문학 활동

강용흘은 한국에서 유학과 기독교식 교육을 받았다. 1921년 독립 운동을 위해 한국을 떠나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갔다. 보스턴 대학교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학위를 받았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편집자로 일하고 뉴욕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행복한 숲》(The Happy Grove), 《동양인이 본 서양》(East Goes West) 등을 썼고,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4]

처음에는 한국어와 일본어로 글을 쓰다가 1928년에 미국인 아내 프랜시스 킬리(Frances Keeley)의 도움으로 영어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4]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편집자로 일하면서 뉴욕 대학교에서 강의했는데, 동료 토마스 울프가 그의 소설 《풀 지붕》(The Grass Roof)의 첫 장을 읽고 스크리브너스 출판사에 추천했다.[4] 이 책은 레베카 웨스트, H. G. 웰스 등 유명 작가들에게 호평을 받았고, 할리우드에서 영화로 만들어질 뻔했다.[6] 《풀 지붕》은 당시 한국에 대한 미국의 무관심을 드러내 호평을 받았지만, 《동쪽에서 서쪽으로》는 미국을 비판했기 때문에 다문화주의 운동이 재조명되기 전까지는 인기가 덜했다.

《풀 지붕》과 《동쪽에서 서쪽으로》 외에도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하고 뉴욕 타임스에 서평을 썼다.[4] 구겐하임 펠로우십으로 2년간 유럽을 여행했고,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큐레이터, 미국 육군 출판 사무소와 민간 정보 부대에서 미국 정부의 아시아 전문가로 일했다.[5][6]

대표작 《초당》(The Grass Roof)은 일제강점기3·1 운동을 배경으로 한 자전적 첫 영문 장편 소설이다. 1931년에 출판되었고, 1947년 김성칠에 의해 제1권이 한국어로 번역되었지만, 제2권은 한국어로 번역되지 못했다. 그러나 독일, 프랑스,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등 10개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로마 대학교, 뮌헨 대학교, 파리 대학교 등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뉴욕 대학교 등에서 동양 문화와 비교 문학을 강의하는 한편, 소설 《행복한 숲》(The Happy Grove, 1934), 《동양인이 본 서양》(East Goes West), 희곡 《왕실에서의 살인》(1935) 등을 발표했다.

번역서로는 《동양의 시》(Oriental Poetry, 1929), 한용운의 《님의 침묵》(Nim-e Chimmuk, 1971, 부인 프란시스 킬리와의 공역)이 있다. 영어 교재와 미국사 관계의 서술 등도 남겼다.

펄 S. 벅은 강용흘을 "동방의 가장 빛나는 예지"라고 칭찬했다. 1971년에는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는 사실이 노벨상 위원회가 발표한 후보자 명단을 통해 밝혀졌다.[7]

2. 4. 기타 활동

강용흘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편집자로 일했으며, 뉴욕 대학교에서 동료 토마스 울프의 추천으로 학생들을 가르쳤다.[4] 스크리브너스 출판사에 추천된 그의 소설 ''풀 지붕''은 레베카 웨스트, H. G. 웰스와 같은 작가들에게 칭찬을 받았고, 할리우드에서 영화화될 뻔했다.[6]

''풀 지붕''과 ''동쪽에서 서쪽으로'' 외에도 한국 문학을 영어로 번역했으며 뉴욕 타임스에서 서평을 썼다.[4] 구겐하임 펠로우십으로 2년간 유럽을 여행했고,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미국 육군 출판 사무소와 민간 정보 부대에서 미국 정부의 아시아 전문가로 일했다.[5][6]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뮌헨 대학교, 파리 대학교 등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뉴욕 대학교 등에서 동양 문화와 비교 문학을 강의했다. 영어 교재와 미국사 관계 서술도 남겼으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번역서로는 『동양의 시, Oriental Poetry』(1929), 한용운의 『님의 침묵, Nim-e Chimmuk』(1971, 부인 프란시스 킬리와 공역)이 있다.

1971년에는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음이, 선정 50년 이상 경과 후 노벨상 위원회가 공표한 후보자 명단에 의해 밝혀졌다.[7]

2. 5. 수상 경력 및 평가

강용흘은 할페린 카민스키 상, 1953년 루이스 S. 바이스 기념상을 받았으며, 고려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6] 펄 S. 벅은 그를 "동방의 가장 빛나는 예지"라고 격찬했다. 사망 1년 전인 1971년에는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는 사실이, 선정 50년 이상이 경과한 후 노벨상 위원회가 공표한 후보자 명단을 통해 밝혀졌다.[7]

그는 ''풀 지붕''으로 레베카 웨스트, H. G. 웰스 등 유명 작가들에게 칭찬을 받았으며, 이 책은 할리우드에서 영화로 각색될 뻔했다.[6] ''풀 지붕''은 당시 한국에 대한 미국의 멸시를 확인시켜주는 듯하여 호평을 받았지만, ''동쪽에서 서쪽으로''는 미국을 비판했기 때문에 다문화주의 운동이 재조명하기 전까지 인기가 덜했다.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받아 2년간 유럽을 여행하기도 했다.[5]

3. 작품 세계

강용흘은 소설, 희곡,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소설로는 『행복한 숲, The Happy Grove』(1934년), 『동양인이 본 서양, East Goes West』, 『초당, The Grass Roof』(1931년)이 있다. 희곡으로는 『왕실에서의 살인』(1935)을 발표했다. 한용운의 『님의 침묵, Nim-e Chimmuk』(1971, 아내 프란시스 킬리와 공역)과 『동양의 시, Oriental Poetry』(1929)를 번역했다.

그의 대표작은 《초당》과 《동양인이 본 서양》으로, 한국과 미국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의 정체성과 문화적 갈등을 다루고 있다.

3. 1. 《초당 (The Grass Roof)》

《초당》은 한중파라는 인물을 통해 강용흘의 한국에서의 삶을 묘사하고 그가 한국을 떠나기로 결심한 이유를 설명한다. 한은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하는 저항 운동에 참여하기보다는 한국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그는 서양 문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보는 집단 운동, 민족주의, 그리고 가족 관계의 강조보다는 서구의 개인주의적 약속을 선호하며, 이러한 한국을 쇠퇴하고 있다고 여긴다.

3. 2. 《동양인이 본 서양 (East Goes West)》

《동양인이 본 서양》은 강용흘의 미국 생활과 그곳에서의 경험을 다룬 소설이다. 그는 이민자들이 한국 독립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고국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하는지 깨닫는다. 그러나 동료 이민자들과의 거리감은 새로운 나라에서의 고독감을 더욱 깊게 만든다. 서양에서의 새로운 삶에 대한 그의 희망은 당시 미국의 현실적인 기회를 넘어서는 꿈이었기에 실현되지 못한다. 그는 진정으로 미국인이 되기를 원하는 두 명의 한국인, 점과 김과 친구가 되지만, 그들 역시 미국 사회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한다. 학업을 계속하는 것이 해결책이 되기를 바라지만, 대학 장학금조차 그의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한다. 소설의 끝에서 강용흘은 이생 너머의 삶에 대한 불교적 희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꿈이 좌절되었음을 깨닫는다.[1]

3. 3. 주제 의식

《풀 지붕》은 한중파라는 인물을 통해 강용흘의 한국에서의 삶을 묘사하고 그가 한국을 떠나기로 결심한 이유를 설명한다. 한은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하는 저항 운동에 참여하기보다는 한국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그는 서양 문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보는 집단 운동, 민족주의, 그리고 가족 관계의 강조보다는 서구의 개인주의적 약속을 선호하며, 이러한 한국을 쇠퇴하고 있다고 여긴다.

《동쪽이 서쪽으로 간다(East Goes West)》는 강(강용흘을 대신함)과 미국에서의 삶의 이야기를 이어간다. 그는 그곳에서 다른 이민자들이 한국 독립에 얼마나 관여하고, 고국으로 돌아가기를 얼마나 희망하는지 깨닫는다. 동료 이민자들과의 거리감은 새로운 나라에서의 고독감을 더욱 키운다. 더욱이, 서양에서의 새로운 삶에 대한 그의 희망은 실현되지 못하는데, 이는 그의 꿈이 당시 미국의 기회 현실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그는 진정으로 미국인이 되기를 원하는 두 명의 다른 한국인, 점과 김과 친구가 되지만, 그들 또한 미국 사회에 완전히 진입하지 못한다. 그는 학업을 계속하는 것이 해결책이 되기를 바라지만, 대학 장학금조차 그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소설이 끝날 무렵, 강은 이생 너머의 삶에 대한 불교적 희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꿈이 좌절된 것을 발견한다.

4. 작품 목록

강용흘은 소설, 희곡,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대표적인 소설로는 ''East Goes West영어''와 1931년에 발표한 『초당』, 1934년에 발표한 ''The Happy Grove영어''가 있다. 희곡으로는 1935년에 발표한 『왕실에서의 살인』이 있다. 한용운의 『님의 침묵』(Nim-e Chimmuk영어, 1971)을 아내 프란시스 킬리와 함께 번역했으며,[1] 1929년에는 ''Oriental Poetry영어''를 번역했다.

4. 1. 소설

'''초당'''(The Grass Roof영어, 1931년), ''The Happy Grove영어''(1934년), ''East Goes West영어'' 등의 소설을 썼다.

4. 2. 희곡

1935년 희곡 『왕실에서의 살인』을 발표했다.

4. 3. 번역

강용흘은 한용운의 『님의 침묵』(1971)을 아내 프란시스 킬리와 함께 번역했다.[1]

5. 비평 연구

여러 학자들이 강용흘과 그의 작품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 리규한은 《코리아 저널》 기고문에서 강용흘을 한국계 미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했다.
  • 데이비드 스트레인지는 강용흘과 토마스 울프의 관계를 조명했다.
  • 월터 K. 르는 강용흘의 초기 작품과 대학 시절을 연구했다.
  • 준옥 허는 강용흘의 작품에 나타난 뉴욕 시의 모습을 분석했다.
  • 제임스 리빙스턴은 강용흘의 생애와 작품을 다루었다.
  • 스티븐 크나들러는 강용흘의 작품에 나타난 인종 문제와 귀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분석했다. [7]
  • 월터 K. 르는 강용흘의 작품에 나타난 이식과 번역의 문제를 다루었다.
  • 건 종 리는 강용흘의 작품에 나타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모습을 분석했다.
  • 샌드라 시 윤 오는 강용흘의 작품을 조용한 오디세이, 위안부, 딕테와 함께 한국계 미국 문학의 저항과 역설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분석했다.
  • 크레메나 토치코바 토도로바는 강용흘의 소설을 1930년대 근대성, 이민, 도시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 분석했다.
  • A. 로버트 리는 강용흘의 생애와 작품을 다루었다.[6]
  • 리프 소렌슨은 강용흘의 작품에 나타난 한국계 미국인의 정체성 문제를 분석했다.[5]
  • 클라라 스만코는 강용흘의 작품을 1930년대 미국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분석했다.[4]
  • 카렌 J. 쿠오는 강용흘의 작품을 1924-1942년 미국의 아시아 이미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분석했다.[3]
  • 데이비드 로는 강용흘의 작품에 나타난 과학적 관리와 한국 노동의 문제를 분석했다.[2]
  • 조셉 J. 전은 강용흘을 리처드 E. 김과 함께 망명한 한국인 작가로 소개했다.[1]

참조

[1] 간행물 Kang Yongheul http://klti.or.kr/ke[...] LTI Korea
[2] 논문 Murder in the Royal Palace: A Four-Act Play by Younghill Kang https://muse.jhu.edu[...] 2017-02-15
[3] 서적 Younghill Kang (1903-1972).
[4] 웹사이트 Bio http://college.hmco.[...]
[5] 웹사이트 Bio http://www.apa.si.ed[...] Smithsonian Asian Pacific American Program
[6] 서적 Younghill Kang (1903-1972).
[7] 웹사이트 Younghill Kang https://www.nobelpri[...] ノーベル財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