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숙옹주 (문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숙옹주는 조선 문종과 후궁 양씨 사칙 사이에서 태어난 옹주로, 경혜공주의 이복 여동생이자 단종의 이복 누나이다. 1454년 강자순과 혼인했으나 후사 없이 사망했으며, 사망 시기는 1482년 이전으로 추정된다. 남편 강자순은 경숙옹주 사후 재혼하였고, 이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중종 때 두 번째 부인으로 인정받았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남편 강자순과 함께 묻혔으며, 묘소는 강자순 묘 아래에, 그 아래에 재취부인 경주 이씨의 묘가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문종의 자녀 - 단종 (조선)
세종의 손자이자 문종의 외아들인 단종은 조선의 제6대 임금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나 숙부인 수양대군에 의해 폐위되어 유배 후 사사되었고, 숙종 때 복위되어 단종으로 추존되었다. - 조선 문종의 자녀 - 경혜공주
조선 문종과 현덕왕후의 딸이자 단종의 누나인 경혜공주는 계유정난과 남편의 처형 등 정치적 격변을 겪었으나, 세조의 배려로 복권되었고 아들 정미수는 중종반정에 공을 세웠다. - 1439년 출생 - 아시카가 요시미
아시카가 요시미는 6대 쇼군의 아들로 태어나 승려가 되었다가 환속하여 쇼군의 후계자가 되었고, 오닌의 난 이후 아들이 쇼군이 되자 정무를 보다가 사망했다. - 1439년 출생 - 류자광
류자광은 조선 시대 무신이자 문신으로, 이시애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나, 남이의 옥사 조작과 사화 연루로 비판받고 유배된 인물이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경숙옹주 (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문종의 옹주 |
이름 | 경숙옹주 (敬淑翁主) |
가문 | |
출신 가문 | 전주 이 (Jeonju Yi) (출생) |
혼인 가문 | 진주 강 (Jinju Kang) (결혼) |
생애 | |
출생 | 1439년 조선 |
사망 | 1482년 이전 조선 |
능묘 | 경숙옹주묘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78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문종 |
어머니 | 사칙 양씨 |
배우자 | 반성위 강자순 (姜子順, Kang Ja-sun) |
혼인 | 1454년 4월 16일 |
자녀 | 없음 |
2. 생애
경숙옹주는 문종과 후궁 양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경혜공주의 이복 여동생이자 단종의 이복 누나였다. 1454년(단종 2년) 강자순과 혼인하였으나 후사 없이 일찍 사망했다. 사망 시기와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1482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숙옹주 사후 남편 강자순의 재혼 문제는 성종 대와 중종 대에 걸쳐 논란이 되었다. 당시 옹주의 남편은 재혼이 금지되었으나, 강자순은 경숙옹주 사후 이길상의 딸을 첩으로 들였다. 이에 대해 신하들이 벌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성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후 중종 대에 이르러 이길상의 딸은 강자순의 정식 부인으로 인정받았다.
경숙옹주의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78번지에 위치하며, 남편 강자순의 묘 아래에 있다.
2. 1. 출생과 혼인
경숙옹주는 1439년 조선 문종과 양씨 사칙의 후궁 사이에서 태어났다. 경혜공주의 이복 여동생이자 조선 단종의 이복 누나였다. 1450년에 여동생을 낳았지만, 1년 후에 죽었다.1454년 4월 16일(음력), 단종 재위 2년, 14~15세의 경숙옹주는 11세의 진주 강씨 강자손과 결혼하기로 결정되었고, 반성위(班城尉|반성위중국어)라는 칭호를 받았다. 얼마 후, 경숙옹주는 갑자기 사망했고, 자녀는 없었다. 경숙옹주의 사망 원인이나 사망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482년 이전으로 추정된다.
2. 2. 이른 죽음과 남편의 재혼
1454년(단종 2) 음력 4월 16일 반성위 강자순에게 하가하였으나, 후사 없이 죽었다. 경숙옹주가 언제 어떤 이유로 죽었는지 알 수 없으나, 1482년(성종 13년) 강자순이 경숙옹주가 죽은 뒤 전 현감 이길상(李吉祥)의 딸을 첩으로 맞이하였는데, 이를 벌주라고 신하들이 간하였으나 성종이 이를 듣지 않았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7] 옹주 사후, 강자순은 1471년(성종 2년)에 이길상의 막내딸인 경주 이씨(1442~?)를 두 번째 부인으로 맞이했다.[4]2. 3. 묘소
경기도 양주시 진건면 송릉리(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산78번지)에 남편 강자순 묘 아래편에 묘소가 있다.[7] 묘소 위에는 강자순의 묘소가 있고, 경숙옹주 묘 바로 아래에는 강자순의 재취부인 경주 이씨의 묘소가 있다.[5][6]3. 가족 관계
구분 | 내용 |
---|---|
아버지 | 문종 (1414~1452, 재위: 1450~1452) |
어머니 | 사칙 양씨 (1423~?) |
법적 어머니 | 안동 권씨 현덕왕후 (1417~1441) |
할아버지 | 조선 세종 (1397~1450) |
할머니 | 청송 심씨 소헌왕후 (1395~1446) |
형제 | 이름 없는 여동생 (1450~1451) |
시아버지 | 대호군 강휘 (? ~1459) |
시어머니 | 정부인 인천 이씨 |
남편 | 강자순 (1443~?), 반성위, 공안공, 슬하 자녀 없음 |
참조
[1]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Princess Gyeongsuk's Life
https://thetalkingcu[...]
2015-04-02
[4]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https://www.heritage[...]
2021-05-02
[6]
웹사이트
https://blog.naver.c[...]
[7]
서적
성종실록
1482-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