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찰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찰견은 법 집행을 돕기 위해 훈련된 개를 의미한다. 중세 시대부터 범죄자 추적에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도시화로 인한 범죄 증가로 인해 널리 활용되었다. 경찰견은 검거 및 공격, 탐지, 다목적, 수색 및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저먼 셰퍼드, 도베르만, 래브라도 리트리버 등 여러 견종이 사용된다. 훈련 과정은 복종, 후각, 경계 훈련을 포함하며, 은퇴 후에는 연금 혜택을 받거나 원래 핸들러에게 입양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경찰견의 과도한 공권력 사용, 특히 유색인종에 대한 불균형적인 사용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찰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경찰 - 현행범
    현행범은 범죄 실행 중이거나 직후인 사람을 뜻하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상 일반인도 영장 없이 체포 가능하나, 체포 필요성과 긴급성이 요구되고 경미한 범죄는 주거불명 또는 도주 우려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 사역견 - 세인트 버나드
    세인트 버나드는 스위스와 이탈리아 국경에서 유래한 대형견으로, 조난자 구조견으로 활약하며 많은 생명을 구출했고, 뉴펀들랜드와의 교배를 통해 품종을 유지, 스위스의 국견으로 지정되었으나, 유전 질환에 취약하며 대중문화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 사역견 - 그레이트 데인
    그레이트 데인은 마스티프와 시각견의 특징을 가진 큰 개 품종으로, 16세기 유럽 귀족의 사냥개에서 유래하여 갈색곰이나 멧돼지 사냥에 사용되었으며, "개들의 아폴로"라는 별칭과 달리 독일 원산임에도 불구하고 덴마크와 연관된 이름으로 불리며, 온순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등장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경찰견
경찰견
근무 중인 경찰견
근무 중인 경찰견
정의법 집행을 위해 훈련된 개
다른 이름K-9, K9
역할 및 훈련
주요 역할용의자 추적
마약 및 폭발물 탐지
실종자 수색
증거 수집
경비
훈련 방법언어 및 핸드 신호 명령에 따르도록 훈련
보상 기반 훈련 방식 사용
훈련 기관민간 훈련 시설
경찰 기관 자체 훈련 프로그램
품종
일반적인 품종저먼 셰퍼드
벨지안 말리누아
래브라도 리트리버
도베르만 핀셔
잉글리시 스프링어 스패니얼
블러드하운드
법적 보호
미국 법률법 집행에 사용되는 동물에 대한 해를 가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법률 존재
호주 법률경찰견을 특수 보호하는 법률 존재
기타
관련 단체국립 경찰견 재단

2. 역사

경찰견은 1896년 독일 제국 힐데스하임 시 경찰에서 경찰관과 함께 순찰하는 개로 처음 채용된 것으로 여겨진다.[28] 1899년 벨기에 겐트시에서 경찰관을 보조하기 위해 폴리스독이 채용되었다.[28] 미국에서는 1907년 뉴욕시 경찰이 벨기에 겐트 경찰을 모델로 경찰견을 도입했다.[29] 미국의 경찰은 캐나인(Canine)의 음역어인 "K9"을 자주 사용하며, 영화 제목에도 사용되고 있다(예: 「K-9/우정에 빛나는 별」). 1908년, 영국 켄트주에서 경찰관을 보조하기 위해 에어데일 테리어가 경찰견으로 채용되었다.[28]

대한민국에서는 1912년(다이쇼 2년) 경시청(내무성)이 영국(대영제국)으로부터 콜리래브라도 리트리버 2마리를 도입한 것이 시작이다(단, 범죄 예방 홍보 목적).[28][30][31] 당시에는 “탐정견”이라고 불렸다.[32] 1940년(쇼와 15년) 경시청은 견사를 설치하여 경찰견 6마리를 사육했지만,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일시 폐지되었다.[28] 1952년(쇼와 27년)에는 민간 훈련사에게 12마리의 개를 경찰견으로 위탁하는 위탁 경찰견 제도가 창설되면서 경찰견 제도의 도입이 다시 검토되었다.[28] 그리고 1956년(쇼와 31년)에는 경시청에서 본격적인 직할 경찰견 제도가 발족했다.[28] 전후에도 홍보 목적으로 도입되었지만, 사육을 재개한 직후 도입된 “알렉스호”는 당시 드물었던 냄새 식별에서 성과를 올려 범죄 수사에 이용되기 시작했다.[33]

일본의 경찰견에는 경찰이 소유하고 사용하는 직할견과 경찰의 시험 및 매년 심사에 합격하여 요청을 받고 비상근 경찰견으로 일하는 위탁견의 두 종류가 있다.[34][35] 또한 광의로는 일본경찰견협회가 경찰견으로서의 능력을 인정하는 7개 견종을 경찰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직할견은 국비로 사육되며, 2022년 시점에서 약 160마리가 있다.[34] 그 외 각 도도부현 경찰 감식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경시청 경비부 경비 2과에는 경찰의 수색 활동을 하는 경찰견뿐만 아니라 폭발물 탐지, 범인 제압, 재해 구조견처럼 피해자의 수색 구조 등 여러 가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경비견이 있다.

2020년(레이와 2년) 10월 24일, 행방불명자 수색에 임하고 있던 효고현 경찰의 경찰견 “클레바호”가 도주하는 사건이 있었다. 수색 3일째인 10월 27일, 도망친 장소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산정 부근에서 나무에 리드가 걸려 움직일 수 없게 된 클레바호를 발견했다.[37] 이후 클레바호는 재훈련을 거쳐 2021년 2월 현장에 복귀하여 공을 세웠다. 이 사건을 계기로 효고현 경찰에서는 직할 경찰견에 GPS가 장착된 목걸이를 하게 되었다.[38] 일본 전국의 경찰견은 경찰 직할, 위탁을 합쳐 2022년 말 시점에서 1244마리이다.[39]

2. 1. 초기 역사

개는 중세부터 법 집행에 사용되어 왔다. 당시 마을에서는 순찰관의 블러드하운드를 유지하기 위해 십일조를 냈으며, 이 개들은 탈법자를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다. 경찰견의 최초 기록은 14세기 초 프랑스의 생말로에서 발견되는데, 당시 개들은 부두와 부둣가를 지키는 데 사용되었다.[8] 14세기 후반, 스코틀랜드에서는 블러드하운드가 "슬라우 독(Slough dogs)"으로 알려져 사용되었고, "탐정"을 뜻하는 단어 "슬루스(Sleuth)"는 이에서 유래했다.[9] 12세기부터 20세기까지 영국 제도와 유럽 대륙의 경찰견은 주로 추적 능력 때문에 사용되었다.[10]

19세기 잉글랜드와 프랑스의 급속한 도시화는 증가하는 무법 행위에 대한 대중의 우려를 증가시켰다.[10] 런던에서는 기존의 법 집행 기관인 보 스트리트 러너스가 범죄를 스스로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그 결과 범죄와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사설 단체들이 결성되었다.[11] 야간 경비원은 건물을 지키기 위해 고용되었고, 범죄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총기와 개를 지급받았다.

경찰견은 1896년 독일 제국 힐데스하임 시 경찰에서 경찰관과 함께 순찰하는 개로 처음 채용된 것으로 여겨진다.[28] 1899년, 벨기에 겐트시에서 경찰관을 보조하기 위해 폴리스독이 채용되었다.[28] 미국에서는 1907년 뉴욕시 경찰이 벨기에 겐트 경찰을 모델로 경찰견을 도입했다.[29] 미국의 경찰은 캐나인(Canine)의 음역어인 "K9"을 자주 사용하며, 영화 제목에도 사용되고 있다(예: 「K-9/우정에 빛나는 별」). 1908년, 영국 켄트주에서 경찰관을 보조하기 위해 에어데일 테리어가 경찰견으로 채용되었다.[28]

2. 2. 근대

1880년대 연쇄 살인범 잭 더 리퍼를 추적하기 위해 찰스 워런 경이 사용한 블러드하운드


보호경찰(Schutzpolizei) 경찰관과 돌격대(Sturmabteilung) 보조원이 1933년 3월 독일 연방 선거 당일 순찰 중인 모습. 나치의 권력 장악 직후


경찰견을 최초로 사용하려는 시도 중 하나는 1889년 런던 경찰청(Metropolitan Police) 찰스 워런 경(Sir Charles Warren)에 의해 이루어졌다. 워런은 연쇄 살인범 잭 더 리퍼(Jack the Ripper)를 식별하고 체포하는 데 여러 번 실패하여 언론으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살인범을 추적하기 위해 블러드하운드(bloodhound)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그는 곧 두 마리의 블러드하운드를 훈련시켜 살인범의 범죄 현장에서 간단한 추적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 결과는 매우 불만족스러웠는데, 한 마리의 개가 경찰청장을 물었고 두 마리의 개는 나중에 도망쳐 경찰의 수색이 필요했다.[12]

대규모로 경찰견을 처음 사용한 곳은 유럽 대륙이었다. 파리 경찰은 야간에 돌아다니는 범죄 조직에 대항하여 경찰견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1899년 최초의 조직적인 경찰견 서비스 프로그램을 도입한 곳은 벨기에 겐트 경찰서였다.[13] 이러한 방법은 곧 오스트리아-헝가리독일로 퍼져 나갔고, 독일에서는 개의 품종 개량과 훈련에 대한 실험을 통해 이 분야의 최초의 과학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독일 경찰은 저먼 셰퍼드 독(German Shepherd Dog)을 경찰 업무에 이상적인 품종으로 선정하고 1920년 그린하이데(Greenheide)에 최초의 경찰견 훈련 학교를 설립했다.[14] 이후 수년 동안 많은 벨지안 말리누아(Belgian Malinois) 개들이 부대에 추가되었다. 개들은 경찰관에 대한 복종, 범죄자 추적 및 공격 훈련을 체계적으로 받았다.

영국에서는 북동부 철도(North Eastern Railway) 경찰이 1908년 의 부두에서 도난 사건을 막기 위해 최초로 경찰견을 사용한 곳 중 하나였다. 1910년까지 철도 경찰은 벨지안 말리누아, 래브라도 리트리버(Labrador Retriever), 저먼 셰퍼드와 같은 다른 품종을 실험했다.[15]

대한민국에서는 1912년(대정 2년) 경시청(내무성)이 영국(대영제국)으로부터 콜리와 래브라도 레트리버 2마리를 도입한 것이 시작이다(단, 범죄 예방 홍보 목적으로 도입).[28][30][31] 당시에는 “탐정견”이라고 불렸다.[32] 1940년(쇼와 15년) 경시청은 견사를 설치하여 경찰견 6마리를 사육했지만,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일시 폐지되었다.[28] 1952년(쇼와 27년)에는 경찰견 제도의 도입이 다시 검토되어 민간 훈련사에게 12마리의 개를 경찰견으로 위탁하는 위탁 경찰견 제도가 창설되었다.[28] 그리고 1956년(쇼와 31년)에는 경시청에서 본격적인 직할 경찰견 제도가 발족했다.[28]

전후에도 홍보 목적으로 도입되었지만, 사육을 재개한 직후 도입된 “알렉스호”는 당시 드물었던 냄새 식별에서 성과를 올려 범죄 수사에 이용되기 시작했다.[33]

일본의 경찰견에는 경찰이 소유하고 사용하는 직할견과 경찰의 시험 및 매년 심사에 합격하여 요청을 받고 비상근 경찰견으로 일하는 위탁견의 두 종류가 있다.[34][35] 또한 광의로는 일본경찰견협회가 경찰견으로서의 능력을 인정하는 7개 견종을 경찰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찰견 훈련에서는 복종 훈련, 후각 훈련, 경계 훈련이 실시된다.[36]

직할견은 국비로 사육되며, 전국의 경찰 본부의 약 절반이 도입하고 있으며, 2022년 시점에서 약 160마리가 있다.[34] 2004년 시점에서는 경시청 감식과만 해도 32마리가 사용되었다.[31] 그 외 각 도도부현 경찰 감식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경시청 경비부 경비 2과에는 경찰의 수색 활동을 하는 경찰견뿐만 아니라 폭발물 탐지, 범인 제압, 재해 구조견처럼 피해자의 수색 구조 등 여러 가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경비견이 있다.

2020년(레이와 2년) 10월 24일, 행방불명자 수색에 임하고 있던 효고현 경찰의 경찰견 “클레바호”가 갑자기 달려나가 감식과 직원의 손에서 리드(줄)가 떨어져 도망치는 사건이 있었다. 현경은 감식과 직원 등 약 40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수색대를 구성하여 매일 수색을 계속했고, 헬리콥터도 투입하여 수색 3일째인 10월 27일 오전, 도망친 장소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미터 떨어진 산정 부근에서 나무에 리드가 걸려 움직일 수 없게 된 클레바호를 감식과 직원이 발견했다는 뉴스가 흘러나왔고, 향후 처우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전해졌다.[37] 그러자 전국에서 “꾸짖지 말고 친절하게 대해 주세요”, “앞으로도 경찰견으로서의 활약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등 클레바호를 응원하는 목소리가 약 90건이나 접수되었고, 이를 받아들여 현경은 “기회를 주고 싶다”며 재훈련을 실시했다.[38] GPS를 장착하고 2021년 2월 현장에 복귀하여 복귀 4일째에는 공을 세웠다. 2020년 클레바호 도주 사건을 계기로 효고현 경찰에서는 (클레바호에 한정되지 않고) 직할 경찰견에 GPS가 장착된 목걸이를 하게 되었다.[38]

일본 전국의 경찰견은 경찰 직할, 위탁을 합쳐 2022년 말 시점에서 1244마리이다.[39]

2. 3. 한국

대한민국에서 경찰견의 역사는 1912년(다이쇼 2년) 경시청(내무성)이 영국으로부터 콜리와 래브라도 레트리버 두 마리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는 범죄 예방 홍보 목적이었고, 당시에는 “탐정견”으로 불렸다.[28][30][31][32] 1940년(쇼와 15년) 경시청은 견사를 설치하고 경찰견 6마리를 사육했지만,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일시 중단되었다.[28]

1952년(쇼와 27년) 민간 훈련사에게 12마리의 개를 경찰견으로 위탁하는 위탁 경찰견 제도가 만들어지면서 경찰견 제도가 다시 검토되기 시작했다.[28] 이후 1956년(쇼와 31년) 경시청에서 본격적인 직할 경찰견 제도가 발족되었다.[28] 전후에도 홍보 목적으로 도입되었지만, 사육 재개 직후 도입된 “알렉스호”가 냄새 식별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 범죄 수사에 활용되기 시작했다.[33]

일본 경찰견은 경찰 소유의 직할견과 경찰 시험 및 연례 심사에 합격하여 요청 시 비상근으로 활동하는 위탁견으로 나뉜다.[34][35] 넓게는 일본경찰견협회가 경찰견 능력을 인정하는 7개 견종을 경찰견으로 칭하기도 한다. 경찰견 훈련에는 복종, 후각, 경계 훈련이 포함된다.[36]

직할견은 국비로 사육되며, 2022년 기준 전국 경찰 본부의 약 절반이 도입하여 약 160마리가 활동 중이다.[34] 2004년에는 경시청 감식과에서만 32마리가 사용되었고,[31] 각 도도부현 경찰 감식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경시청 경비부 경비2과에는 경찰 수색견 외에도 폭발물 탐지, 범인 제압, 재해 구조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경비견이 있다.

2020년(레이와 2년) 10월 24일, 효고현 경찰 소속 경찰견 “클레바호”가 행방불명자 수색 중 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약 40명으로 구성된 수색대가 헬기까지 동원하여 수색한 결과, 3일 후 도주 지점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산 정상 부근에서 나무에 목줄이 걸린 채 발견되었다.[37] 이 사건으로 전국에서 클레바호를 응원하는 목소리가 90여 건 접수되었고, 효고현 경찰은 재훈련 기회를 주기로 결정했다.[38] 클레바호는 GPS를 장착하고 2021년 2월 현장에 복귀하여 4일 만에 공을 세웠다. 이 사건을 계기로 효고현 경찰은 모든 직할 경찰견에 GPS 목걸이를 착용하게 되었다.[38]

2022년 말 기준, 일본 전국의 경찰견은 경찰 직할견과 위탁견을 합쳐 1244마리이다.[39]

3. 경찰견의 종류

경찰견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각 임무에 특화된 견종이 활용된다.


  • 검거 및 공격견: 용의자를 찾고 체포하며, 제압하는 역할을 한다.
  • 탐지견: 폭발물이나 마약(마리화나, 헤로인, 코카인, 크랙 코카인, 메탐페타민 등)을 탐지하며, 일부는 화기와 탄약을 탐지하도록 훈련받는다.[22]
  • 다목적견 (순찰견): 추적, 핸들러 보호, 복종 훈련, 범죄자 검거, 물품 및 지역 수색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 수색 및 구조견(SAR): 용의자, 실종자, 실종 물품 수색에 활용된다. 벨기에 말리누아, 저먼 셰퍼드, 골든 리트리버, 래브라도르 레트리버, 블러드하운드 등이 사용된다.

3. 1. 주요 견종

말리노이즈 품종의 경찰견


뉴욕경찰의 K9 경찰견 배지


경찰견으로 이용되는 주요 견종은 다음과 같다.

가정에서 기르는 견종은 약 60종에 이르지만, 이 중에서 경찰견으로 적합한 것은 몇 종류로 제한된다.[28] 특히 저먼 셰퍼드 도그는 예리한 감각, 운동 능력, 지능, 인내심, 침착함 등의 이유로 경찰견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진다.[28]

경찰견의 주요 견종
견종특징
저먼 셰퍼드 도그1880년경 독일 중부 및 남부 산악 지방에 존재했던 양치기개에서 고도의 능력을 가진 군견을 목표로 개발된 견종.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바이마르 공화국군이 군견으로 채용하여 그 우수성이 인정받았다. 전 세계의 공안 기관에서 경찰견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군견으로 채용되었다. 일본 국내 경찰견 중 등록 수가 가장 많은 견종이다.
도베르만19세기 말 독일 튀링겐에서 루이스 도베르만이 개발한 견종. 군견으로도 사용되었다. 단미, 단이되는 경우가 많다.
에어데일 테리어영국의 테리어 종으로 사냥개로 사용되었으며, 영국과 캐나다 등에서 경찰견으로서의 실적을 가지고 있다.
콜리영국 북부 스코틀랜드의 하이랜드 지방 원산으로, TV 드라마 『명견 래시』로 유명해졌다. 일본에서는 1958년부터 경찰견으로 지정되어 있다.
복서독일에서 투견으로 만들어진 견종으로, 단미, 단이된다.
래브라도르 레트리버북유럽이나 영국 원산으로, 캐나다의 래브라도르 반도에서 바다에 빠진 물고기 등을 회수하는 일에 사용되었다. 맹도견이나 마약 탐지견으로 채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84년에 경찰견에 추가되었다.
골든 레트리버스코틀랜드 원산으로, 경계 능력은 약하지만 발자국 추적이나 냄새 식별 능력이 높다. 일본에서는 1992년에 경찰견으로 지정되었다.



일본에서 일본경찰견협회가 지정하는 경찰견 종류는 셰퍼드, 도베르만, 콜리, 에어데일 테리어, 래브라도르 레트리버, 복서, 골든 레트리버의 7종이다.[28][42] 또한 민간 위탁 경찰견에는 지정 견종 이외에도 경찰의 위탁을 받는 개가 있다.


  • 미니어처 슈나우저: 주인에 대한 충성심은 매우 높은 반면, 모르는 사람에게는 경계심이 강하다. 2010년 1월 1일, 와카야마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으로 등록된 크리크호(원래 이름은 쿠우)는[43] 일본 최초의 소형견 경찰견이다.[43]
  • 롱코트 치와와: 2010년 11월 19일, 나라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 심사에 합격하여 2011년 1월에 등록되었다. 체중 3kg으로 작기 때문에 재해 등의 수색 구조 활동에 종사한다.[44]
  • 시바견: 일본 고유의 견종으로, 일본견 중 유일한 소형견이다. 충성심이 두텁고 용감하며, 타인에 대한 경계심이 강하다. 일본견의 특징적인 성질로 약간 고집이 센 면이 있다. 2011년 6월에 실시된 오카야마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 심사에서 후타바가 처음으로 합격했다.[45] 후타바는 일본 최초의 일본견 경찰견이며, 2013년 6월에 임기가 만료되었다.
  • 토이 푸들: 2011년 11월 18일에 실시된 돗토리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 심사회에서 2마리가 합격했다.[46] 교토부 경찰은 2012년 4월 「수색」 부문에서 일본 최초로 토이 푸들을 채용했다.[47] 2015년 10월, 안즈는 이바라키현 심사회에서 첫 도전으로 현 경찰 최초의 소형 경찰견으로 합격했다.
  • 미니어처 닥스훈트: 쿠마모토현 경찰에서 채용되었다.


2013년 10월 시점, 일본의 소형견 경찰견은 와카야마현 경찰, 나라현 경찰, 돗토리현 경찰(2마리) 및 쿠마모토현 경찰의 6마리였다.

2022년 말 현재 1244마리의 경찰견 중 대형견 7종 이외의 「기타」에 해당하는 것은 70마리이다.[48]

3. 2. 기타 견종

경찰견으로 이용되는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 일본경찰견협회가 지정하는 경찰견 종류는 저먼 셰퍼드, 도베르만, 콜리, 에어데일 테리어, 래브라도르 레트리버, 복서, 골든 레트리버의 7종이다.[28][42] 민간 위탁 경찰견에는 지정 견종 이외에도 경찰의 위탁을 받는 개가 있다.

  • 미니어처 슈나우저: 주인에게는 충성심이 매우 높지만, 낯선 사람에게는 경계심이 강하다. 2010년 1월 1일, 와카야마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으로 등록되었다(등록명은 「크리크호」, 원래 이름은 「쿠우」).[43] 크리크호는 일본 최초의 소형견 경찰견이다.[43]
  • 롱코트 치와와: 2010년 11월 19일, 나라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 심사에 합격하여 2011년 1월에 등록되었다. 체중 3kg으로 작아 재해 등의 수색 구조 활동에 종사한다.[44]
  • 시바견: 일본 고유의 견종으로, 일본견 중 유일한 소형견이다. 충성심이 강하고 용감하며, 타인에 대한 경계심이 강하다. 일본견 특유의 고집스러운 면도 있다. 2011년 6월 오카야마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 심사에서 「후타바」가 처음으로 합격했다.[45] 후타바는 일본 최초의 일본견 경찰견이다. 2013년 6월에 임기가 만료되었다.
  • 토이 푸들: 2011년 11월 18일 돗토리현 경찰의 위탁 경찰견 심사회에서 2마리가 합격했다.[46] 「수색」 부문에서 일본 최초로 채용된 것은 2012년 4월 교토부 경찰이었다.[47] 2015년 10월, 안즈는 이바라키현 심사회에서 첫 도전으로 현 경찰 최초의 소형 경찰견으로 합격했다.
  • 미니어처 닥스훈트: 쿠마모토현 경찰에서 채용되었다.


2013년 10월 기준, 일본의 소형견 경찰견은 와카야마현 경찰, 나라현 경찰, 돗토리현 경찰(2마리), 쿠마모토현 경찰 등 6마리였다.

2022년 말 현재 1244마리의 경찰견 중 대형견 7종 이외의 「기타」에 해당하는 것은 70마리이다.[48]

3. 3. 한국의 특수 견종



경찰견으로 이용되는 주요 품종은 다음과 같다.

견종
부비에 데 플랑드르
말리노이즈
로트와일러
스탠더드 슈나우저
자이언트 슈나우저
복서
저먼 셰퍼드
시베리안 허스키
벨기에 테뷰런
그레이트 피레니즈
버니즈 마운틴 도그
아키타견
벨기에 라케노이즈
알래스칸 맬러뮤트
쿠바크
벨기에 시프도그
그레이트 데인
불 마스티프
저먼 핀셔
그레이트 스위스 마운틴 도그
아나톨리아 셰퍼드 도그
사모예드
블랙 러시안 테리어
뉴펀들랜드
벨기에 그뢰넨달
티베탄 마스티프
마스티프
도그 드 보르도
네오폴리탄 마스티프
포르투갈 워터 도그
래브라도 레트리버
보스롱
브라질리안 가드 도그
슈나우저
세인트 버나드
도베르만 핀셔


4. 경찰견의 훈련

경찰견 훈련은 매우 오랜 과정이며, 훈련은 견주 훈련부터 시작된다. 견주는 개가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도록 훈련시키기 위해 장기간 훈련을 받는다. 먼저, 견주는 특수견 부서로 전출될 자격을 얻기 전에 필수 경찰학교 훈련과 1~2년의 순찰 경험을 마쳐야 한다.[16] 이는 경찰관으로서의 경험이 예비 견찰관에게 법 집행에 대한 귀중한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찰학교 외부의 훈련 및 견지식(예: 애견 복종 훈련, 군중 통제, 동물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다가가기 쉬운 성격 등)은 자산으로 간주된다. 개를 데리고 다니면 주변 시민들의 관심을 끌기 때문이다.

경찰서에서 사용할 개는 먼저 기본 복종 훈련 과정을 통과해야 한다. 주저 없이 견주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17] 이를 통해 경찰관은 용의자에 대한 개의 힘 사용 정도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다. 유럽에서 훈련받은 개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의 모국어로 명령을 받는다. 개들은 처음에 이 언어로 기본적인 행동 훈련을 받기 때문에 경찰관이 새로운 단어/명령어를 배우는 것이 개에게 새로운 명령어를 재훈련시키는 것보다 더 쉽다. 이는 경찰견이 용의자가 경찰관에게 개를 명령할 수 없도록 다른 언어로 훈련받는다는 일반적인 믿음과는 반대된다.[18]

법 집행에 사용되는 개는 "단일 목적" 또는 "이중 목적"으로 훈련된다. 단일 목적 개는 주로 지원, 개인 보호 및 추적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중 목적 개가 더 일반적이다. 이중 목적 개는 단일 목적 개가 하는 모든 일을 하고, 폭발물 또는 마약을 탐지하기도 한다. 개는 폭발물이나 마약을 발견했는지 경찰관에게 알릴 수 없기 때문에 하나 또는 다른 것에 대해서만 훈련받을 수 있다. 미국에서 마약 탐지견이 경찰관에게 무언가를 발견했다고 알리면 경찰관은 대부분의 주에서 영장 없이 개가 알린 물건(예: 가방 또는 차량)을 수색할 수 있는 상당한 이유를 갖게 된다.[19][20]

용의자 검거 시 큰 짖는 소리를 내는 개는 도움이 되며 용의자가 지체 없이 항복하게 할 수 있다.[21]

독일에서는 2022년 1월부터 개를 기르는 사람들을 위한 규칙으로 새로운 법률이 시행되었다. 새로운 법률에 따라, 발톱이 달린 금속 스파이크 칼라 등 고통을 수반하는 훈련은 전면적으로 금지된다. 경찰견이 범죄자를 공격할 때, 개의 목줄을 약하게 조여 기도(気道)를 제한함으로써 공격을 중단시키는 수법도 동물복지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개선된 방법이 확립될 때까지 공격 훈련을 받은 개와 핸들러의 출동이 중지되게 되었다.[49][50]

5. 경찰견의 활동

경찰견은 특정 분야에서 활동하도록 특화될 수 있다.


  • 검거 및 공격견: 용의자를 찾고, 체포하고, 때로는 제압하는 데 사용되는 견종이다.
  • 탐지견: 마리화나, 헤로인, 코카인, 크랙 코카인 또는 메탐페타민과 같은 폭발물이나 마약을 탐지하도록 훈련된다. 어떤 견종은 특별히 화기와 탄약을 탐지하도록 훈련되기도 한다.[22]
  • 다목적견: 순찰견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추적, 핸들러 보호, 목줄 없는 복종, 범죄자 검거, 물품, 지역 및 건물 수색에 능숙하게 훈련된다.
  • 수색 및 구조견(SAR): 용의자를 찾거나 실종된 사람이나 물건을 찾는 데 사용된다. 벨기에 몰리누아, 저먼 셰퍼드, 골든 리트리버, 래브라도 리트리버, 블러드하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 발자국 추적 활동: 사람이 남긴 냄새를 토대로 범인이나 범인의 유류품, 실종자를 수색한다.[28]
  • 냄새 식별 활동: 범죄 현장에 남겨진 범인의 유류품을 보관해 두었다가 용의자가 밝혀졌을 때 그 물건과 용의자의 냄새를 맡아 구별하여 조사한다.[28]
  • 수색 활동: 일정 지역 내에서 길을 잃은 사람이나 실종자, 유류품 등을 수색한다.[28]
  • 범인 체포: 도주하려는 범인에게 달려들거나, 팔 등에 물어 도주를 방지한다.

6. 각국의 경찰견



중국에서는 2019년부터 윈난성 쿤밍시, 베이징시의 공안 당국이 복제 기술로 탄생한 경찰견을 도입하고 있다.[41]

6. 1. 독일

경찰견은 1896년 독일 제국 힐데스하임 시 경찰에서 경찰관과 함께 순찰하는 개로 처음 채용된 것으로 여겨진다.[28]

6. 2. 벨기에

1899년, 벨기에 겐트시에서 경찰관을 보조하기 위해 폴리스독이 채용되었다.[28]

6. 3. 미국

미국에서는 1907년 뉴욕시 경찰이 벨기에 겐트 경찰을 모델로 경찰견을 도입했다.[29] 미국의 경찰은 캐나인(Canine)의 음역어인 "K9"을 자주 사용하며, 영화 제목에도 사용되고 있다(예: 「K-9/우정에 빛나는 별」).

6. 4. 영국

1908년, 영국 켄트주에서 경찰관을 보조하기 위해 에어데일 테리어가 경찰견으로 채용되었다.[28]

6. 5.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19년부터 윈난성 쿤밍시, 베이징시의 공안 당국이 복제 기술로 탄생한 경찰견을 도입하고 있다.[41]

7. 은퇴 및 사후 관리

경찰견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정도로 부상을 입거나, 임신 중이거나 강아지를 키우고 있거나, 너무 늙거나 아파서 계속 근무할 수 없는 경우 은퇴한다. 많은 경찰견들이 생후 첫 해 동안 작업 환경에서 자라고 작업 능력이 저하되기 전에 은퇴하기 때문에 경찰견의 근무 기간은 6~9년이다.[23]

일부 국가에서는 경찰견이 은퇴할 때 경찰 업무에 대한 기여에 대한 연금 계획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다. 2013년, 잉글랜드 노팅엄셔의 경찰견을 위한 연금 제도가 도입되어 경찰 당국은 추가 의료비를 충당하기 위해 3년 동안 805GBP를 제공했다. 또한 경찰견은 원래 핸들러에게 입양될 수 있었다.[24]

많은 국가에서 순직한 경찰견은 인간 파트너와 동일한 예우를 받는다.[25] 한국의 직할견에는 은퇴 제도가 없지만, 고령이나 질병으로 인해 경찰견으로서의 역할이 어려워진 경우 국가에 신청하면 교체가 허용된다.[34] 경찰 관계자 이외에는 양도가 허용되지 않으므로, 현역에서 물러난 전직 경찰견을 개인적으로 기르는 경찰관도 있다.[34]

사망한 경찰견에 대해서는 1968년 도쿄가축박애원에 경찰견 위령비가 건립되었고, 연 2회 위령제가 거행되고 있다.[40] 초기에는 전용 묘지가 없었으나 1962년에 죽은 "알렉스호(アレックス号)"를 추모하기 위해 경영자 아들의 제안으로 임시 묘가 세워지고 꽃이 바쳐지는 것을 알게 된 하타노 아키라(秦野章)가 건립을 지시했다.[33]

8. 사회적 논란

경찰견은 범죄 수사 및 진압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수단이지만, 과잉 진압 및 인종 편향성 문제와 같은 사회적 논란 또한 존재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경찰견이 유색인종, 특히 흑인에게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26][27]

8. 1. 과잉진압 및 인종 편향성

2020년, 마셜 프로젝트가 주도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 경찰견이 과도한 공권력으로, 특히 유색인종에게 불균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경찰견이 사람을 잡고, 물고, 다치게 하는 무기로 부적절하게 사용된 150건 이상의 사례가 발견되었다.[26] 흑인 인구가 대다수인 루이지애나주 배턴루지(22만 명)시의 경찰견 물림 사건 발생률은 다음으로 높은 인디애나폴리스시의 두 배가 넘고, 경찰견 물림 사건의 거의 3분의 1이 십대 남성, 대부분 흑인에게 가해졌다. 의학 연구원들은 경찰견 공격이 경찰견의 공격적인 훈련 때문에 "가족 애완견의 살짝 물기보다는 상어 공격에 더 가깝다"고 밝혔다. 물린 많은 사람들은 폭력적이지 않았고 범죄 혐의를 받지도 않았다. 경찰관들은 종종 책임으로부터 보호받고, 연방 시민권법은 실수로 물린 구경꾼들을 일반적으로 포괄하지 않는다. 피해자들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더라도 변호사들은 배심원들이 경찰견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한다.[27]

참조

[1] 웹사이트 About K-9s https://www.national[...] National Police Dog Foundation 2022-05-22
[2] 웹사이트 What Do K-9 Police Dogs Do? https://www.akc.org/[...] American Kennel Club 2021-09-03
[3] 웹사이트 What Breeds Make the Best drugs Dogs https://www.3dk9dete[...] 2020-10-28
[4] 웹사이트 K9 Unit: Duties and Responsibilities https://web.archive.[...]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2022-05-22
[5] 웹사이트 FAQs https://www.northlan[...] AMSOIL Northland Law Enforcement K-9 Foundation 2021
[6] 웹사이트 18 USC 1368 – Harming Animals Used in Law Enforcement https://law.onecle.c[...] United States Code 2015-10-26
[7] 뉴스 Police dogs and horses to receive special protections in South Australia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3-08-26
[8] 웹사이트 Police K-9 Unit https://cfpd.central[...] Central Falls, Rhode Island Police Department 2022-05-26
[9] 웹사이트 sleuth (n.)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http://etymonline.co[...]
[10] 웹사이트 Police Dogs: Just the Facts https://www.dogster.[...] 2014-07-01
[11] 서적 The First English Detectives. The Bow Street Runners and the Policing of London, 1750–1840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Casebook:Jack The Ripper http://www.casebook.[...] Atchison Daily Globe 1888-10-17
[13] 웹사이트 The Origins of Police K-9 https://web.archive.[...] 2012-12-17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olice Dog https://web.archive.[...] 2012-12-17
[15] 웹사이트 The Dog Section http://www.btp.polic[...] British Transport Police
[16]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K9 Officer: Career and Salary Information https://www.criminal[...] 2019-04-16
[17] 웹사이트 Dogs of all nations : Mason, Walter Esplin, 1867–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18] 웹사이트 How Police Dogs Work http://people.howstu[...] 2004-05-03
[19] 웹사이트 Police dog training 101 https://sitstay.com/[...] 2018-11-02
[20] 웹사이트 The K9 Unit {{!}} Police Dogs and How They are Trained https://web.archive.[...] 2016-09-08
[21] 웹사이트 Longtime Westminster police officer, K9 decoy gets new partner — finally https://behindthebad[...] Behind the Badge Foundation 2019-11-27
[22] 웹사이트 Meet K9 Iggy, the Orange County Sheriff's Department's first gun-detecting dog https://behindthebad[...] 2020-02-05
[23] 웹사이트 Proactive Deterrence https://web.archive.[...] K-9 Cop Magazine 2013-05-02
[24] 논문 English police force sets up retirement plan for dogs https://uottawa-prim[...]
[25] 웹사이트 K-9 Burial Protocol "The Rocky Protocol" https://www.sheriffs[...] National Sheriffs' Association 2014-05-22
[26] 웹사이트 When Police Violence Is a Dog Bite https://www.themarsh[...] 2020-10-02
[27] 웹사이트 We Spent A Year Investigating Police Dogs. Here Are Six Takeaways. https://www.themarsh[...] 2020-10-02
[28] 웹사이트 警察犬 https://web.archive.[...] 千葉県警察本部 2017-01-21
[29] 논문 The K-9 Corps: The Use of Dogs in Police Work https://scholarlycom[...] 1961
[30] 웹사이트 国立公文書館創立40周年記念 連続企画展Ⅰ「はたらく動物」 https://web.archive.[...] 2022-09-19
[31] 웹사이트 警察犬の歩み https://web.archive.[...] 警視庁 2022-09-19
[32] 서적 明治・大正家庭史年表:1868→1925 河出書房新社
[33] 뉴스 警察犬の慰霊碑、建立から50年 警視庁が慰霊祭 https://www.nikkei.c[...] 2018-03-21
[34] 뉴스 警察犬 余生もともに 福岡 引退後に警官が引き取り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7-30
[35] 웹사이트 嘱託警察犬の制度 http://www.policedog[...] 公益社団法人日本警察犬協会 2022-08-12
[36] 웹사이트 警察犬運用要綱の制定について(昭48.5.10 警察庁丙鑑発第7号) https://web.archive.[...] 警察庁 2022-09-19
[37] 뉴스 逃げ出して保護された警察犬、処遇未定「優秀ですが…」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10-28
[38] 뉴스 逃走した警察犬、3カ月ぶり復帰 叱らないで…激励続々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1-02-03
[39] 웹사이트 捨てられた子犬、乗り越えた運命 トイプードル、殺処分まぬがれ警察犬に: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10-16
[40] 웹사이트 警察犬の慰霊祭=捜査貢献、冥福祈る-警視庁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4-03-21
[41] 웹사이트 北京公安局に「クローン警察犬」…攻撃性高い犬の体細胞採取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12-03
[42] 웹사이트 警察犬指定犬種(種類)の照会 http://www.policedog[...] 公益社団法人日本警察犬協会
[43] 뉴스 体重6キロ、日本一小さい?警察犬「くぅ」ちゃん誕生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0-01-18
[44] 웹사이트 チワワの桃、警察犬に合格…来年1月から出動!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22-09-19
[45] 웹사이트 和犬で初の警察犬、柴犬「二葉」3度目で合格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22-09-19
[46] 웹사이트 全国初のトイプードル警察犬誕生…初挑戦で合格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22-09-19
[47] 뉴스 トイプー警察犬だワン、「持ち場」は捜索部門 https://web.archive.[...] YOMIURI ONLINE(読売新聞) 2012-04-09
[48] 웹사이트 捨てられた子犬、乗り越えた運命 トイプードル、殺処分まぬがれ警察犬に: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10-16
[49] 웹사이트 German police dogs sent off duty after ban on ‘pulling collars’ https://www.theguard[...] 2022-02-22
[50] 웹사이트 ドイツの新しい動物福祉法が警察犬訓練に与えた影響とは? https://wanchan.jp/c[...] 2022-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