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국천왕은 고구려의 제8대 왕으로, 179년에 즉위하여 197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중앙 집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190년에는 반란을 진압하고 평민 출신 을파소를 국상으로 등용하여 능력 위주의 인재 등용을 실시했다. 또한 194년에는 진대법을 제정하여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등 민생 안정에도 힘썼다. 고국천왕은 형제 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의 변화를 시도했지만, 동생 산상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년 사망 - 진기 (원술 부하)
진기는 영웅기에 기록된 원술 휘하 장수로, 원술이 황제를 칭하려 할 때 반대하다 죽임을 당했으며, 구강태수로 임명되어 손책과의 동맹 관계에 갈등을 빚었고, 여포 공격에 참여했다 패배하기도 했다. - 197년 사망 - 곽사
후한 말 동탁의 부하였던 곽사는 이각 등과 장안을 점거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권력을 장악했으나, 이각과의 다툼 끝에 조조에게 패하고 부하에게 살해당한 인물이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2세기 출생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2세기 출생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국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제9대 고구려 국왕 |
휘 | 남무(男武), 이이모(伊夷模) |
시호 | 고국천(故國川) |
능묘 | 고국천원(故國川原) |
재위 | |
즉위 | 179년 12월 (음력) |
퇴위 | 197년 5월 (음력) |
후임자 | 산상왕 |
태자 시절 | |
임명 | 176년 3월 (음력) |
해임 | 179년 12월 (음력) |
전임자 | 태자 익 |
후임자 | 태자 우위거 (동천왕) |
개인 정보 | |
출생 | 176년 3월 이전 |
사망 | 197년 5월 (음력) |
부친 | 신대왕 |
모친 | 미상 |
배우자 | 왕후 우씨(于氏) |
형제자매 | 고발기?, 고발기, 산상왕, 고계수 |
이름 | |
한글 | 고국천왕 |
한자 | 故國川王 |
로마자 표기 | Gogukcheonwa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o Kukch'ŏnwang |
예일 표기 | Ko Kwukchenwang |
기타 명칭 | |
국양왕 (한글) | 국양왕 |
국양왕 (한자) | 國壤王 |
국양왕 (로마자 표기) | Guk Yangwang |
국양왕 (매큔-라이샤워 표기) | Kuk Yangwang |
국양왕 (예일 표기) | Kwuk Yangwang |
본명 | |
고남무 (한글) | 고남무 |
고남무 (한자) | 高男武 |
고남무 (로마자 표기) | Go Nammu |
고남무 (매큔-라이샤워 표기) | Ko Nammu |
고남무 (예일 표기) | Ko Nammwu |
2. 생애
179년 신대왕이 사망하자 고국천왕이 즉위하였다. 고국천왕은 키가 9척[14]이고 겉모습이 크고 위엄이 있었다고 한다. 180년에는 제나부(堤那部) 우소(于素)의 딸 우씨(于氏)를 왕후로 삼았다.
184년 후한의 요동 태수가 쳐들어오자 동생 계수를 보내 막았으나 패배하였다. 이에 왕이 직접 출병하여 좌원(坐原)에서 한나라 군대를 격퇴하였다. 190년 왕후의 친척인 중외대부(中畏大夫) 패자 (沛者) 어비류(於卑留)와 평자(評者) 좌가려(左可慮)가 권력을 등에 업고 전횡을 일삼자 왕이 이를 벌하려 하였다. 이에 좌가려 등이 사연나(四椽那)와 함께 반란을 일으켜 191년 수도를 공격하였으나 패배하여 진압되었다.
이후 을파소를 국상(國相)에 임명하여 194년 진대법(賑貸法)을 제정하는 등 여러 정책을 펼쳤다.
197년 고국천왕이 사망하였으며 고국천원(故國川原)에 장사지냈다.
2. 1. 즉위 전
176년 3월에 태자로 책봉되었다.[14] 고국천왕은 신대왕의 둘째 아들이었다.[2] 원래 태자는 그의 형인 고발기(高拔奇|고발기hanja)였지만, 176년에 고국천왕을 지지하는 조정 대신들의 지지로 태자가 되었다.그러나 이 기록은 김부식이 《통전》을 잘못 인용하여 이이모가 고국천왕과 동일인물이라고 생각한 데서 비롯된 오류이며, 한국 역사학계에서는 고국천왕의 형 고발기[拔奇]와 산상왕의 형 고발기[發岐]가 동일인물이라는 것이 정설로 굳어져 있다. 그리고 한국 역사학계에서는 고국천왕이 신대왕의 둘째 아들이 아니라 신대왕의 장남이었다고 보고 있다.[3]
2. 2. 주요 업적
고국천왕은 184년 후한의 요동 태수가 쳐들어오자 동생 계수를 보내 막았으나 패배하였다. 이에 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좌원에서 한나라 군대를 격퇴하였다. 190년부터 191년에 걸쳐 일어난 외척 좌가려(左可慮)·어비류(於卑留)의 난을 진압하였다. 191년 평민 출신 을파소를 국상에 임명하여 귀족 세력을 억제하고 왕권 강화를 꾀하였다. 194년에는 진대법을 제정하여 백성들을 구휼하고 농촌 진흥에 힘썼다.2. 2. 1. 한나라와의 전쟁
184년, 고구려는 후한 요동 태수의 공격을 받았다. 고국천왕은 동생 계수를 보내 막았으나 패배하였다. 이에 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좌원에서 한나라 군대를 격퇴하였다.[5]2. 2. 2. 내정 개혁
190년 가을, 왕후의 친척으로 중외대부(中畏大夫) 패자(沛者)였던 어비류(於卑留)와 평자(評者) 좌가려(左可慮)가 권력을 등에 업고 전횡을 일삼자 왕이 이를 벌하려 하였다. 이에 좌가려 등은 사연나(四椽那)와 함께 191년 4월에 수도를 공격하였으나 패배하여 진압되었다.[14]반란을 진정시킨 뒤 그해에 왕은 평민 출신 을파소를 국상(國相)에 임명하였다. 구신(舊臣)들이 신진 세력인 을파소를 참소하자 왕은 “국상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는 멸족할 것이다.”라고 포고하였다. 이에 을파소는 왕의 정성에 감동하여 정치에 힘써 나라가 융성하였다. 191년, 고국천왕은 관리를 선발할 때 능력 위주의 제도를 채택하여 고구려 전역에서 많은 인재들을 발굴했는데, 그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은 을파소였다.[2][6]
194년에는 진대법(賑貸法)을 제정하여 백성들을 구휼하였다.[2] 고대 문헌인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국천왕은 194년에 사냥을 나가 굶주린 마을을 발견하고, 마을 사람 중 한 명에게 옷과 음식을 나누어 주었으며, 백성들의 기아를 자신의 책임으로 느꼈다.[7] 고국천왕은 왕국 내 농민과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여 ''진대법''을 제정하였는데, 이 제도는 백성들이 3월부터 7월까지 곡물을 빌리고 10월에 갚도록 하는 곡물 대여 제도였다.[2][8] 이 제도는 조선 시대까지 "환곡"으로 유지되었으며, 천 년 이상 보존될 정도로 중요한 법이었다.[2]
2. 3. 사망
197년에 사망하였으며 고국천원(故國川原)에 장사지냈다.[10] 고국천왕의 즉위는 형제 상속에서 부자 상속, 즉 장자 상속으로의 변화를 알렸지만,[9] 그는 동생 산상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시호는 그의 묘역인 고국천원(故國川原)에서 유래되었다.3. 왕위 계승 논란
《삼국사기》에는 신대왕의 맏아들 발기(拔奇)가 불초하였기 때문에 나라 사람들이 둘째 아들인 이이모를 왕으로 세웠다면서 고국천왕의 다른 이름으로 이이모(伊夷模)가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지》를 비롯한 중국의 기록에 따르면 이이모는 산상왕의 이름이다. 《삼국지》의 기록에는 고국천왕의 기록이 없고, 신대왕의 뒤를 이어 이이모(산상왕)가 즉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신대왕 다음에 산상왕이 즉위했다며 고국천왕을 누락한 것에 대해서는 중국 측 기록이 잘못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삼국사기》의 고국천왕 원년에 등장하는 발기(拔奇)의 모반 기록은 산상왕 원년의 발기(發岐) 모반과 같은 기록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이에 따르면 고국천왕 1년(179년)조의 발기(拔奇)는 산상왕 1년(197년)조의 발기(發岐)와 동일인물로서 산상왕 때 모반을 일으킨 발기의 기록을 고국천왕 1년조에 잘못 옮겨 쓴 것이 된다.[15]
이 무렵 고구려 왕의 계보에 관해서는 많은 이설과 차이가 있어, 계보 전설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안에서도 "고국천왕의 아들 개수를 요동태수와의 싸움에 파견했다"(고국천왕기 6년 조)고 하거나, "고국천왕에게 아들이 없어 동생 연우가 왕위를 계승했다", "발기와 함께 쳐들어온 공손도에 대한 방어전에 산상왕의 동생 개수를 내보냈다"(산상왕기 전편)고 하여, 이설을 정리하지 못한 듯한 모습이 보인다.
4. 가계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 | 『삼국지』 고구려전 | 『후한서』 고구려전 |
---|---|---|
┣━고국천왕(남무)━━개수? | ||
┣━발기 | ||
┣━산상왕(위궁) | ||
┗━개수? | 궁━━백고━┳━발기 | |
┗━남무━━위궁 | 궁━━수성━━백고 |
이 무렵 고구려 왕의 계보에 관해서는 많은 이설과 차이가 있어, 계보 전설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 안에서도 "고국천왕의 아들 개수를 요동태수와의 싸움에 파견했다"(고국천왕기 6년 조)고 하거나, "고국천왕에게 아들이 없어 동생 연우가 왕위를 계승했다", "발기와 함께 쳐들어온 공손도에 대한 방어전에 산상왕의 동생 개수를 내보냈다"(산상왕기 전편)고 하여, 이설을 정리하지 못한 듯한 모습이 보인다.[1]
5. 대중문화 속 고국천왕
6. 고국천왕을 섬긴 사람들
참조
[1]
웹사이트
Samguk sagi
http://db.history.go[...]
Kim Bu-sik
2016-01-29
[2]
웹사이트
King Gogukcheon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1-29
[3]
문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고국천왕 원년
[4]
서적
Women in Korean History 한국 역사 속의 여성들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8
[5]
웹사이트
계수
https://www.doopedia[...]
Doopedia
2016-03-07
[6]
서적
Samguk sagi
[7]
서적
Koguryo, the origin of Korean power & pride
Dongbuka History Foundation
2007
[8]
서적
World Clothing and Fashion: An Encyclopedia of History, Culture, and Social Influ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1-29
[9]
서적
The South and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
Hollym
1999
[10]
서적
Samguk sagi
[11]
문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고국천왕
[12]
문서
乙巴素
[13]
문서
모본왕의 아들
[14]
문서
고국천왕 신장
[15]
논문
고구려초기의 취수혼에 관한 일고찰
198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